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思想硫通에 立脚한 效率的인 英語 學習指導方案

        유순덕 전남대학교 1983 국내석사

        RANK : 248639

        Today, English language is spoken not only by native speakers of English, but also by the people of the world to communicate in international relationship. But the present condition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is behind the times in breathing the world situation that is changing suddenly. The learning of language involves not only acquiring the ability to compose correct sentence but acquiring the understanding of which sentence, or parts of sentence are appropriate in a particular context. The first of these is the citation of words and sentences as manifestation of the language system, and the second is the way the system is realized for communication purpose. Knowing a language is often taken to mean having a knowledge of correct usuage but this knowledge is of little utility on its own ; it has to be complemented by a knowledge of appropriate use. As shown in the exist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al process of our country, the ultimate purpos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So, first of all, the effective method of English learning for communication is urgently required. In this paper, theories of language learning, especially communicative Approach, are reviewed and obstacle factors of communication are discussed. And also,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will elevate communication competence in English learnlng are studied. That is, communicative Drills, classroom English use, Mini-Group Learning and Stick Figures use. Since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learning is communication, classroom presentation should from the outset be directed towar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 expect the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is study play a great role in elevating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lass of every front school.

      • 죽음의 형상화와 치유의 글쓰기 : 신경숙 소설 연구

        유순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how Shin Kyung-sook figured the death experienced by directly or indirectly and how she wrote the healing. Through this way she achieved great results, and through the process of self-healing she attained the growth and maturation. When she was known for writer from 1980s to 2010s, literal sensitivity has changed greatly. In this time, she changed map of writing through inner introspection and find of self-identity. The important thing in her writing is the sublimation of death experienced by directly or indirectly from children's age to adult age.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 she achieved great results, and she experienced the process of self-healing. Of course symbol, eroticism, fantasy and etc. used in narration of confession have important roles in her writing. This paper summarized the cage, well and house as the space of death, and investigated about the effect of healing through the narration of main characters having deficiency from absence of father. Next, this paper researched about the figure of co-living of live person and dead person, and in the dialectic of death and regeneration, death is no more disappear of life. In order to achieve self-realization it is essential to sacrifice one's self-consciousness. Because return and regression must pass death of initiation ceremony as Ouroboros bites its tail in the aspect of promising the new birth. And Shin Kyung-sook arrives at maturation and reconciliation through the process of true healing and overcome of scar by writing of healing while she stares death and writes works of confession.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 that figuration of death and writing of healing appeared in Shin Kyung-sook‘s novel can help writers and readers living in the age of healing in any way. Also, it is expected that Shin Kyung-sook commented to open sluice gate of Korean literature can be a coordinate introducing Korean literature to world. 본 논문은 신경숙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치유의 글쓰기에 관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경숙은 유년기부터 성년기까지 직, 간접적으로 체험한 지인들의 죽음을 고백적 글쓰기를 통해 형상화하여 큰 성과를 얻은 작가다. 그 과정에서 그는 자기 치유의 과정을 거쳐 인간적인 성장과 성숙에 이르렀다. 신경숙은 1985년 등단 이후, 2013년 현재까지 50편 가까운 중, 단편소설과 7편의 장편소설 등을 발표해서 국내외적으로 대중적 인기와 문학적 평판을 얻어왔다. 신경숙이 중요한 작가로 부상된 1990년대에서 2010년대까지는 국내외적으로 냉전체제가 무너지고 문화적 감수성이 크게 변화한 시기로, 대중들의 관심은 창의성, 감수성, 치유, 힐링 쪽으로 기울게 된다. 바로 이러한 시대에 신경숙의 고백의 서사는 특유의 문체를 통한 자기 성찰로 글쓰기의 지형도를 바꾸었다는 평을 듣는다. 신경숙의 치유의 글쓰기에서 중요한 인자는 타인의 죽음에서 받은 충격과 상처이다. 대중적 인기를 안겨준『깊은 슬픔』, 1990년대 문학사적 성과로 평가되는『외딴방』을 비롯해 그의 소설에는 지인의 죽음이 중요한 모티브로 제공된다. 그는 자신을 고통스럽게 했던 기억들을 값진 내용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상처의 진정한 치유와 극복, 성숙과 화해의 과정에 이르게 된다. 고백의 서사에서 상징, 에로티즘, 환상 등의 요소들이 기능하는 바가 적지 않다는 사실도 주목되었다. 본고는 신경숙이 직, 간접적으로 경험한 죽음을 고백의 서사로 형상화시키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학의 효용적 측면인 치유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경숙은 거대서사가 사라진 시대인 1990년대 죽음의 한 전형을 보여 주면서 고백을 통한 자기 치유의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지난 시간을 고통스럽게 한 기억을 의미화 한다. 이러한 신경숙의 자기 치유를 위한 글쓰기는 치유와 힐링의 시대를 살고 있는 작가와 독자들에게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 천안 유관순열사기념관 활성화방안 연구

        유순덕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무분별한 청주읍성 복원을 지양하기 위하여 일련의 계획을 검토하였으며, 청주읍성의 보존에 관한 기본방향과 목표를 재정립하려 한다. 또한 청주읍성을 비롯한 주변 정비를 통하여 역사문화자원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역사문화자원화 방안으로 청주목사 선정비군․청주 남석교의 신규 문화재 지정, 발굴조사지역과 복원․이전․정비․재현을 제시한 보존계획, 동헌공원 및 병영공원의 역사주제공원 조성, 성벽구간․주요 동선상의 정비를 다룬 공공시설 정비, 청주읍성 안내와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청주읍성 안내소, 청주읍성 문화유산의 문화재 상시관리와 문화재 관리․활용을 전담하는 청주읍성 종합센터 등을 제시하였다. 운영프로그램으로는 충청북도의 무형문화재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은 기존 자원의 활용과 재정적 부담이 적은 측면에서 문화재 보존과 활용이 동반하여 청주읍성 역사문화자원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청주읍성과 주요시설의 훼철(毁撤)로 인하여 청주읍성 관아공해 추정도(淸州邑城 官衙公廨 推定圖)를 바탕으로 동헌공원과 병영공원의 시설 복원을 도출하는 아쉬움도 있다. 하지만 무조건적인 복원과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건물 및 토지매입과정을 보면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기본방향을 필두로 보다 나은 청주읍성 역사자원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청주시의 새로운 통합 브랜드로써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였으면 한다. 더불어 실질적 고증과 발굴조사를 바탕으로 문화재 복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행정기관의 일방적인 문화재 행정이 아닌 이해관계자가 이 사안을 두고 고민하고 해결점을 모색하는 것이 청주읍성이 장기적으로 시민들의 품에서, 문화재와 함께 살고 있는 지역 당사자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It has been 11 years since Ryu Gwansoon Memorial Hall was built in Cheonan where she was born. However. main facilities in the Hall are timeworn and its exhibit contents are poor. And the management of historic sites related to her have not focused on their preservation and practical use.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ty of their management and find better ways to invigorate them. This study shows several ways to vitalize the historial sites including Memorial Hall. First, promotion of them should be strengthened. Promotion ways should be various including remodeling of facilities, improvement of management, online promotion with homepage, offline promotion and design of new events. Second, their managing way should be changed. The historical sites can be managed by direct and consigning way. A consultative body is organized and then, Ryu Gwansoon historical sites management office is for facility management and a consigning external group is for development and running of their program. Third, the Memorial Hall should be remodeled. The Hall has been never repaired since its opening, so, many facilities are decrepit and not easy to use. It is necessary to do extensive remodeling and plan the new exhibition for showing Ryu Gawnsoon's whole life of childhood-school days-independent movement in the Aune market-imprisonment-death. Fourth, various program to use the sites should be developed. This offers four programs including training course for ordinary people and guides, educative experience, conservative program and symposium.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students, ordinary citizen is established to inform them Ryu Gwansoon's independent activities and historical sites by a lecture of experts and officers, field survey and experience program and also to find a good way for cultural industry. Training course for guides is founded to make known history about Ryu Gwansoon as well as other independent movements in Cheonan and to provide fine guide service for visitors. The course for guides has 52 training hours including 12 hours for special knowledge, 12 hours for communication skill, 18 hours for guide program development, 8 hours for safety management and 4 hours for practice. Other regular program includes ‘Let’s graduate Ewha school!’ and ‘Let’s make Independence Newspaper!’. Moreover, preservation program of cultural assets is carried out regularly. Protection monitors of the sites can be chosen among individual, family and corporation following the guideline for monitor issued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cademic seminar is also held periodically in connection with Ryu Gwansoon institute in Baekseok University to correct wrong ideas about her and keep in mind her lofty spirit. It emphasizes more active management of the sites to make them one of the most comfortable and useful place for visitors.

      • 동편제 흥보가연구 : -전인삼의 '흥보 박타는 대목'을 중심으로-

        유순덕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인삼의 《흥보가》는 송흥록-박만순-송우룡-송만갑-김정문-강도근-전인삼으로 이어지는 남원지역을 바탕으로 생성되고 발전된 판소리의 본령 ‘남원소리’에 속한다. 동편제《흥보가》에 대한 음악적 연구는 20세기 활동하던 박록주, 박봉술, 강도근의 소리를 대상으로 주로 연구되었고 20세기를 거쳐 21세기에 전승되고 있는 소리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21세기의 동편제 판소리를 전승하고 있는 전인삼의 《흥보가》중 ‘흥보 박타는 대목’을 중심으로 붙임새, 시김새, 선율유형 순서로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붙임새는 진양조 2대목 모두 대마디대장단 구성으로 엇붙임은 출현하지 않는다. 중모리 2대목, 중중모리 5대목, 휘모리 5대목은 대마디대장단과 엇붙임의 구성으로 나타났다. 엇붙임유형은 중모리, 중중모리, 휘모리에서 잉어걸이, 완자걸이, 괴대죽, 도섭의 형태로 다양하게 출현하고 있다. 세부적인 분석결과 대마디대장단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즉 대마디대장단 중심의 동편제의 기본 틀을 지키고 있으며 다양한 엇붙임을 통한 붙임새의 단조로움을 탈피하여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시김새는 <홑․앞꾸밈음>, <겹․앞꾸밈음>, <홑․뒤꾸밈음>, <겹․뒤꾸밈음>, <튕김음>, <연속 끌어 올림음>, <당김음>으로 나누어 연구한 결과 진양조 2대목, 중모리 2대목, 중중모리 5대목은 <홑․앞꾸밈음>과 <겹․뒤꾸밈음>의 출현이 가장 많은 양상을 보였고, <겹․앞꾸밈음>은 중모리에서만 나타났다. 휘모리 5대목은 상대적으로 꾸밈음의 형태가 다양하지 않았다. 이는 휘모리가 빠른 장단이기에 사설을 꾸밈음으로 처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셋째, 선율유형은 시작과 종지선율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시작선율은 본청보다 높은 음으로 질러서 시작하는 <지름>, 본청과 같은 음으로 시작하는 <평>, 본청보다 아래 음으로 숙여서 시작하는 <숙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시작의 선율은 <지름>유형이 <평>과 <숙임>유형보다 배수로 많이 구성되어 처음부터 통성 발성을 사용하여 엄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지선율은 <지름>, <평>, <숙임>의 유형을 고르게 사용하며 종지를 단호하게 끊어내고 있다. 소리의 시작 선율을 통성 발성으로 고음역에서 <지름> 유형으로 시작하는 것이 전인삼 《흥보가》의 선율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음악적 분석을 통해 전인삼의《흥보가》중 ‘흥보 박타는 대목’은 대마디대장단이 많고, <홑․앞꾸밈음>과 <겹․뒤꾸밈음>의 시김새가 많고, 시작선율은 고음으로 질러서 시작하는 유형이 많고, 종지를 단호하게 끊어내는 음악적 특징을 갖는 점을 알 수 있다. 전인삼의 《흥보가》를 통해 동편제 판소리, 특히 ‘남원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알 수 있다. 향후 《흥보가》중 다른 대목의 분석을 통해 ‘남원소리’의 음악적 특징이 더욱 상세히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ngs of Heungbo (or Heungboga) performed by Jeon In-sam is based on Namwon Sori, or “Sounds of Namwon”, which has been home of the Pansori created and developed in the Namwon area through the master singers, Song Heung-rok, Park Man-sun, Song U-ryong, Song Man-gap, Kim Jeong-mun, Gang Do-geun and Jeon In-sam, in succession. The studies on The Songs of Heungbo in the Dongpyeonje style have largely been focused on the performances by Park Nok-ju, Park Bong-sul and Gang Do-geun who were active in the 20th century. There is, however, a lack of studies regarding the sounds passed on in the 21st century. In this study, the main discussion focuses on “The Scene of Heungbo Halving a Gourd” in The Songs of Heungbo performed by Jeon In-sam, a Pansori performer who was passed down the Dongpyeonje Style of the 21st centur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is performance, such as the Buchimsae (adding irregular rhythms), Sigimsae (adding decorative melodies), and different melody types, discuss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Buchimsae, firstly, the two scenes of Jinyangjo (slow drive) consist only of Daemadi Daejangdan without Eotbuchim while the two scenes of Jungmori (middle drive), five scenes of Jungjungmori (intermediate drive), and five scenes of Hwimori (storm drive) consist of both Daemadi Daejangdan and Eotbuchim. Here Eotbuchim displays the techniques of Ingeogeori (beat link), Wanjageori (sauwastika link), Goedaejuk (cat jump link) and Doseop (narration-like technique), and a great variety of Eotbuchim aspects in Jungjungmori and Hwimori. Secondly, the Sigimsae, studied by dividing it into “single-rear ornament”, “double-front ornament”, “single-front ornament”, “double-rear ornament”, “bouncing sound”, “incessant raising sound” and “pulling sound”, shows that the two scenes of Jinyangjo, two scenes of Jungmori and five scenes of Jungjungmori are dominated by the single-front ornaments and double-rear ornaments while the double-front ornament only appears in the scenes of Jungmori. The five scenes of Hwimori feature a lack of diversity in the use of such ornaments. Lastly, the study of the melodies of the beginning and ending parts shows that the melodies of the beginning part use the technique of “shouting” (Jireum) twice as much than those of “leveling” (Pyeong) and “bending” (Sugim), creating stern expressions from the use of “whole sound” from the start. Meanwhile, the melodies of the ending part use the three techniques evenly, resulting in a more resolute end.

      •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유순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진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진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북부지역 중소도시에 위치한 B초등학교와 G초등학교 다문화 아동 30명(남 14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는데 실험집단에는 B초등학교 다문화 아동 15명(남5, 여10), 통제집단에는 G초등학교 다문화가정 아동 15명(남9, 여6)을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 설계는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만 사진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진치료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진행은 본 연구자가 직접 담당하였다. 한 회기의 소요시간은 45분이며, 주 1회 2회기를 연속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이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처치 후에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는데 이는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활발한 자기탐색과 역동적인 상호작용, 관계 속 자기의 패턴 이해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사진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효과적이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처치 후에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는데 이러한 결과는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자기탐색을 통한 올바른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의 성취욕구를 알아차리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바람직한 대인관계 능력을 습득하여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 QR코드를 이용한 새로운 2차인증방식(QRLogin) 제안

        유순덕 한세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IT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삶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중 인터넷을 통한 각종 서비스의 변화는 하루가 다르게 새로워지고 인간은 이를 통해 수많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관리할 수 있는 환경에 살고 있다. 초기엔 정보공유를 안전하게 하기위해 서버 보안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고객인증을 통한 보안강화 측면에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본인인증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10년 넘게 사용하고 있는 1차 본인 계정인증 방식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고정형으로 보안이 허술해 많은 문제점을 노출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계정관리 및 인증방안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 알고 있는 정보(예 : 1차 인증수단- 아이디와 비밀번호), 사용자가 보유한 기기를 활용하는 방식(예: 토큰, 휴대전화 등)과 더불어 사용자가 보유한 생체정보(예: 지문, 홍채, 음석, 얼굴 등)를 활용하고 있다. 그중에서 2차 인증의 대표적인 방식인 OTP OTP : One Time Password, 일회용 비밀번호 (One Time Password)는 로그인을 위해 부여되는 일회용 비밀번호를 말하며 사용자가 보유한 기기(예: 휴대전화, 토큰 등)에서 자동 생성되어 아이디와 비밀번호 외에 추가정보입력을 통해 로그인하는 방식이다. 2차 인증의 대표적인 OTP방식은 보안이 강화된 반면에 사용자에게는 정보입력을 위해 기기를 사용하거나 휴대전화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로그인을 할 때 마다 추가로 6~8자리 숫자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로 하고 인증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계정 인증 관리의 배경을 제공하고 있는 해킹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대표적인 해킹기술인 메모리 해킹, Key Logger, Network Sniffing에 대한 기술을 살펴본다. 또 해킹기술에 대응하기 위해 통용되고 있는 OTP(One Time Password)를 포함한 계정인증관리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2차 인증방식의 OTP는 ID와 비밀번호 외에 휴대전화나 생성토큰에서 만들어진 임시 비밀번호를 활용하여 인증하는 방식으로 보안적인 측면이 강화됐다. 본 연구는 OTP에 대하여 자세히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2차 인증수단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연구는 또 이미 시장에 노출된 계정관리 방식을 검토하고 새롭게 연구한 QRLogin에 대해 소개한다. 상기의 OTP를 활용한 2차 인증방식의 보안강화 측면은 유지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은 증대하는 방안으로 QRLogin 방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QRLogin은 로그인시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서버통신을 통해 인증이 되면 자동으로 로그인 해주는 서비스이다. 사용자의 경우 추가보안 로그인 방식으로 제공되어 선호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QRLogin이라는 새로운 서비스가 시장에 제공됨에 따라 현재 인증을 통한 계정관리 방안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일부분 해소하고 사용자의 경우는 다양한 인증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서 고객 인증강화 뿐만 아니라 온라인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력과 정서지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순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와 부모애착과 정서지능의 관계를 조절하는 정서지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4개 대학과 비수도권 소재 4개 대학의 대학생 452명(남학생 193명, 여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척도, 진로탐색행동 척도, 진로적응력 척도,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은 진로탐색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이 완전매개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애착이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및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확충하고, 진로적응력과 진로탐색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정서지능의 개입방안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parent attachment scal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cale, career adaptability sca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for 452 students(male 193, female 259) from four capital-area universities and four non-capital-area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adapt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econdly, career adaptability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which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ly, the moder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adapt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hich includes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rated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course where parent attachment affec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comprehensively verified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adapt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t also confirmed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and expanded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uggesting the implications for an intervention plan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can facilitate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a proposal for further studies.

      • 한국시의 고향의식 수용과 치유에 대한 연구 : 정지용, 윤동주, 정완영의 작품을 중심으로

        유순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한국시에 나타난 고향의식과 치유에 대한 연구를 정지용, 윤동주, 정완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들 시인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를 살며 새로움과 전통, 삶과 죽음, 가난과 슬픔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과 번민을 거듭하면서 살 수밖에 없었다. 세 시인의 작품에 나타난‘고향의식 양상’을 보면, 정지용의 시에서는 상실과 불안, 윤동주 시에서는 순수와 죽음, 정완영 시에서는 무위와 성찰이 나타난다. 먼저, 정지용 시의 상실과 불안에서는 ‘유년의 상실과 불안’, ‘이향에 따른 불안과 좌절’이 나타나고, 윤동주 시의 순수와 죽음에서는 ‘북간도의 꿈과 순수’, ‘고향과 또 다른 고향’이, 정완영 시에서는 ‘무위와 성찰’, ‘회향과 비움의 미학’이 나타난다. 이들 세 시인은 고향과 이향을 오가는데, 정지용은 옥천→서울→일본→서울, 윤동주는 북간도→평양→북간도→서울→일본, 정완영은 김천→일본→김천→서울→김천을 오가며 살았다. 정지용은 초기에는 동시를 창작한다. 그런 그의 작품에서는 유년시절의 상실과 불안의식이 나타난다. 어머니의 가출로 인해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화자는 대체로 홀로 남겨진 아이이다. 정다운 동무도 없고 누군가는 항상 어딘가로 떠난다. 사랑하는 누나와 동무, 어머니 등 모두가 떠나고 없는 공간에서 엄한 성격의 아버지와 새어머니 아래서 성장한다. 그런 까닭으로 그는 불안과 상실 등의 트라우마를 안고 자랄 수밖에 없었다. 이후, 그는 휘문고보 입학과 일본 유학 등으로 이향을 경험하며 살아가게 된다. 이러한 이향과 고향을 오가며 쓴 작품에는 좌절과 불안의식 등이 나타난다. 하지만 후기 산수시편으로 갈수록 좌절과 죽음에 관한 작품도 일부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윤동주는 북간도에서 나고 자란다. 하지만 이후, 고향을 떠나 서울과 일본으로 유학한다. 하지만 윤동주의 원초적 고향은 조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할아버지 때 북간도에 정착했으니, 이들 유이민의 고향은 조선이었다. 그런데 평양에 온 윤동주는 자신이 고향이라고 생각했던 곳이 조선이 아닌, 일본인 것을 확인한다. 이후, 그는 서울에 있는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한다. 그곳에서 시쓰기를 하며 자신의 지난 시간을 성찰하고 앞으로 나갈 길을 모색한다. 「참회록」까지 남기면서 새로운 길을 찾아 일본 유학을 떠난 것이다. 이처럼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며 참회할 수 있다는 건 일찍부터 윤동주가 시쓰기를 통해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함으로써 성숙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정완영은 이향과 고향을 거듭 오가며 정지용과 윤동주처럼 일본의 근대 문명을 경험했다. 홀로 일본에 남아 떠돌면서 그의 마음 깊숙이 고향과 가족이 자리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 시인은 먼저 시조를 창작하다 후에 어린이를 위한 동시조를 창작한다. 그의 시조에서 고향의식은 무위와 성찰로 나타난다. 고향을 회상하면 늘 되새겨지는 것이 배고픔이지만 사랑의 다사로움이 있는 기억 속의 고향으로 회귀해 작품을 창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실제 고향으로 내려가지만 아무도 없는 고향은 시인에게 더는 안식처가 되지 못한다. 결국 시인은 이제 또 다른 고향인 불교에 귀의한다. 다음으로 살펴본‘고향의식의 수용과 치유’에서는 회귀와 가족의식을 통한 치유, 생태의식을 통한 치유, 자기실현을 통한 자기치유 양상을 가족의식, 생태주의, 융의 심리 유형론인 ‘정신의 4가지 기능’ 등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정지용의 작품에서는 ‘상실과 불안, 좌절과 죽음’ 등의 고향의식은 → 회귀와 가족의식, 조화와 포용, 직관과 회개의 과정을 거치며 자기치유에 이르고 있음을 살폈다. 또 윤동주의 ‘순수와 죽음’ 등의 고향의식은 → 부활과 가족의식, 평등과 사랑, 사고와 성찰을, 정완영 시의 가난과 이별, 슬픔과 죽음 등의 고향의식은 공생과 가족의식 →상생과 순환 → 감정과 공감 등을 거쳐 치유하며 자기실현에 이르는 양상을 규명하였다.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세 시인은 유달리 고향에 대한 상처와 애증을 가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정지용, 윤동주, 정완영의 작품에서는 자신만의 종교의식과 가족의식, 생태의식, 회귀와 가족의식, 융의 심리학적 유형론, 개성화 과정 등을 통해 치유한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에 주목하여 먼저 ‘회귀와 가족의식을 통한 치유’를 살펴보았다. 정지용 작품에서는 초월과 가족의식, 윤동주의 작품에서는 부활과 가족의식, 정완영의 작품에서는 공생과 가족의식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생태의식을 통한 치유에서, 정지용의 작품에서는 조화와 포용이, 윤동주의 작품에서는 평등과 사랑이, 정완영의 작품에서는 상생과 순환이 나타남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들 세 시인은 고향의식으로 인한 상실과 불안, 좌절과 불안의식을 생태의식을 통해 치유해 나가고 있음을 분명히 살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실현을 통한 치유에서는 융의 ‘정신의 4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정지용의 작품에서는 직관이, 윤동주 작품에서는 사고가, 정완영 작품에서는 감정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감각은 이들 세 시인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세 시인은 타고난 정신 기능 외에도 끊임없는 성찰로 무의식을 의식화하면서 건강한 자아를 위해 계속 치유를 하고 있음이 주목되었다. 자기실현에 이르는 양상을 세밀하게 살펴보면 정지용, 윤동주, 정완영의 고향의식 수용과 치유에 관한 연구는 단순히 문헌적 연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힐링의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A study on acceptance of consciousness of hometown and healing of Korean Poem -Focusing on Jeong Jiyong, Yoon Dongju, and Jeong Wanyoungs’Works Yoo Seonduk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Advisor : Professor Kim Soo-bok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study on consciousness of hometown and healing represented in Korean Poem. Jeong Jiyong and Yoon Dongju created poem and children’s verse based on consciousness of hometown. And, Jeong Wanyoung created Sijo and children’s Sijo based on consciousness of hometown. These three poets had to live through the period of Korea under Japanese rule and Korean liberation along with conflict and anguish between newness and tradition, life and death, poverty and sadness. The appearance of consciousness of hometown have the characteristics of loss and anxiety in the Jeong Jiyong’s poem, purity and death in Yoon Dongju’s poem and inaction and reflection in Jeong Wanyoung’s poem. First of all in the Jeong Jiyong’s poem, I examined anxiety and frustration according to loss and anxiety of childhood and departing his hometown. In the Yoon Dongju’s poem, I examined purity and death according to dream and purity of Bukgando and a hometown and another hometown. And, in the Jeong Wanyoung’s poem, I examined inaction and reflection according to return to hometown and aiming the aesthetics of void. These three poets experienced the transition of hometown. Jeong Jiyong moved as follows; Okcheon → Seoul → Japan → Seoul. Yoon Dongju moved as follows; Bukgando → Pyongyang → Bukgando → Seoul → Japan. And, Jeong Wanyoung moved as follows; Gimcheon → Japan → Gimcheon → Seoul → Gimcheon. Jeong Jiyong created children’s verse in the beginning. In his early works loss and consciousness of anxiety of childhood appeared. Because of mother’s leaving home, speakers in his works are usually children left alone. Somebody leave to somewhere without friends. He grew up under stern father and stepmother without lovely sister, friends, and mother. So, he had to grow up with the trauma of anxiety and loss. After that, he experienced departing his hometown such as entering Whimoon high school and going abroad to Japan for studying. Because of departing his hometown, anxiety and frustration appeared in his works. However, he created works about death as his works moved to mountain poetry. Yoon Dongju departed hometown and studied abroad to Seoul and Japan. However, his original hometown could be Joseon. His grandfather moved to Bukgando, so hometown of these immigrants was Joseon. But, after reaching Pyongyang, he recognized that his hometown was Japan not Joseon. After that he entered Yonhee college in Seoul. He groped for future while writing poem. And he went to Japan for finding new way while remaining confessions. From the fact that while confessing faults he could reflect, we could think that he reached to mature human by endless reflection through writing poetry. Jeong Wanyoung was born in Gimcheon and repeated depart as follows; Gimcheon → Japan → Gimcheon → Seoul → Gimcheon. He experienced Japanese modern culture in his early age like Jeong Jiyong and Yoon Dongju. Due to flood, he moved from hometown to Japan. And hometown was in his mind deeply. First he created Sijo and after that he created children’s Sijo. And, in Jeong Wanyoung’s Sijo, consciousness of hometown appeared as inaction and reflection. Whenever he thought hometown, he reminded hungry. And, he returned to real hometown while he created works in his lovely hometown in memory. But, hometown with nobody is not place to rest any more. So, he came to believe in Buddhism as another hometown. In the acceptance of consciousness of hometown and healing, I examined the appearance of healing such as healing through return and consciousness of family, healing through consciousness of ecology and self-healing through realize of self in the aspect of consciousness of family, ecology and Jung’s psychological type theory. In Jeong Jiyong’s works, I examined that consciousness of hometown composed of loss, anxiety and frustration, reached to self-healing through return, consciousness of family, harmony, embrace, intuition and repentance. In Yoon Dongju’s works, I examined that consciousness of hometown composed of purity and death, reached to self-healing through revival, consciousness of family, equity, love, thought and reflection. In Jeong Wanyoung’s works, I examined that consciousness of hometown composed of poverty, farewell and sadness, reached to self-healing and realize of self through co-existence, consciousness of family, co-existence, circulation, emotion and empathy. Three poets had to have hurt, love and hatred about hometown through the period of Korea under Japanese rule. However, in their works they reached to healing through their own religion and consciousness of family, consciousness of ecology, return and consciousness of family, and Jung’s psychological type theory. About the firstly examined healing through return and consciousness of family, I examined transcend and consciousness of family in Jeong Jiyong’s works. I examined revival and consciousness of family in Yoon Dongju’s works. And I examined co-existence and consciousness of family in Jeong Wanyoung’s works. These three poets had their own religious faith. Jeong Jiyong believed Catholic, Yoon Dongju believed Christianity and Jeong Wanyoung believed Buddhism. They continued healing through consciousness of religion and family. Secondly I examined type of healing through consciousness of ecology. I examined harmony and embrace in Jeong Jiyong’s works, equity and love in Yoon Dongju’s works and co-existence and circulation in Jeong Wanyoung’s works. These three poets healed loss and anxiety, frustration and consciousness of anxiety due to consciousness of hometown through consciousness of ecology. I examined the real appearance of healing through Jung’s 4 spiritual functions. Jeong Jiyong healed through intuition, Yoon Dongju healed through thought and Jeong Wanyoung healed through emotion. However, these three poets continued healing through not only spiritual function but also conscientization of unconsciousness by endless reflection. So, I think that the study on acceptance of consciousness of hometown and healing makes big meaning to us living times of healing.

      • 蔚山廣域市 初等學校 學級經營 水準 分析

        유순덕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학급경영 수준이 담임교사의 성별, 경력별, 학급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학급 경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의 학급경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학급경영 5개 영역의 경영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셋째, 교사의 성별에 따라 각 영역별 경영 수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교사의 경력에 따라 각 영역별 경영 수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학급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각 영역별 경영 수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학급경영의 실태 교사들은 학급경영에 있어서 학습지도를 가장 자신 있는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비하여 생활지도는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이라고 응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또 가장 중요시하는 영역이라고 하였다. 가장 소홀히 취급되고 있는 학급경영은 가정 및 지역사회 경영이었으며, 소신 있게 학급경영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방해가 되는 요소는 지나친 공문서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성별, 경력별, 지역별에 따라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볼 때, 학급 담임교사에 따라 학급경영에서 받는 느낌이나 지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2. 학급경영의 전반적 경영수준 초등학교의 학급경영은 대체로 보통 수준의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 영역 중 생활지도 경영이 1위, 사무경영 2위, 환경 및 시설경영 3위, 학습지도 경영이 4위의 순서이었으며, 가정 및 지역사회 경영이 가장 낮은 수준에서 경영되고 있었다. 생활지도 경영이 1위로 나타난 것은 생활지도의 실제가 어렵기는 하지만 일선 교사들이 생활지도 경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학급경영에서 가장 중요하고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할 학습지도 경영이 4위의 수준에 불과한 것은 교수-학습활동을 효율적으로 조직·운영하는 과정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단적으로 말해 준다고 볼 수 있다. 3. 성별 요인에 따른 학급경영 수준의 종합 분석 학급경영 5개 영역을 평균점으로 비교해 볼 때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수준의 경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5개 영역 중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고 있는 영역은 가정 및 지역사회 경영이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의 우리 관습상 남자가 대외적인 활동을 하기 쉽고, 사회활동에 있어서도 더 자유롭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 경력별 요인에 따른 학급경영 수준의 분석 경력별로 학급경영 수준을 비교할 때 경력이 높아질수록 더 높은 수준의 경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는 초등학교의 경우 교사의 경력이 어느 정도 쌓이고, 경험이 축적되어야 더 수준 높은 학급경영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경력이 낮은 젊은 교사들은 부단한 자기연수와 아울러 투철한 사명감과 책임감으로 학급경영에 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5. 지역별 요인에 따른 학급경영 수준의 분석 지역별 요인, 즉 학급이 위치한 시내 지역과 읍·면 지역 간의 학급경영 수준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시내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가 더 높은 수준의 학급경영을 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사회 통념을 벗어난 것으로서, 교사들이 시내 지역에 근무한다고 하여 수준 높은 학급 경영을 하는 것도 아니고, 읍·면 지역에 근무한다고 해서 학급 경영을 소홀히 하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의 학급경영을 종합적으로 볼 때, 남교사보다는 여교사가, 경력이 낮은 교사보다는 경력이 높은 교사가 더 수준 높은 경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학급경영 수준은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학급경영 수준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담임교사들의 학급경영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감 고취, 그리고 교사 상호간의 지식 및 정보 공유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급경영을 지원하는 행정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등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생활지도의 성패 여하가 학급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을 감안할 때, 담임교사들이 생활지도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은 우려되는 바가 크다. 날로 거칠어지고 난잡해지는 학생들을 보면서 체벌이 없는 학급을 위한 대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지나친 공문서가 학급경영에 가장 큰 방해 요소가 된다는 것을 볼 때, 상부관청에서 공문을 줄이든지 아니면 공문만을 전담으로 처리하는 보조원을 따로 두는 방안도 강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학급경영이 담임교사의 성별, 경력별, 그리고 학급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그 수준이 어떠한가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앞으로는 학급경영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여러 요인에 대한 비교·분석과 함께 더 세분화된 영역과 더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경영 차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라는 횡적인 분석에서 벗어나 초·중·고등학교를 망라한 종적인 접근을 통해 학급경영을 비교·분석해 보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gender and career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nd school location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lassroom management in a bid to help improve classroom management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How do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manage their classes? 2. How well do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manage their classes in five areas? 3. What differences do the gender of homeroom teachers make to their classroom management in each area? 4. What differences do the career of homeroom teachers make to their classroom management in each area? 5. What differences does school location make to their classroom management in each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ality of Classroom Management The teachers investigated were most confident of academic guidance. They had difficulties with guidance the most, but they considered that most important at the same time. They paid the least attention to management of home and local community, and a huge amount of official documents they had to take care of made it most difficult for them to manage their classes in their own way. But their classroom man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career and school location, which implied that they perceived classroom management in a different manner. 2. Overall Classroom Management Level The teachers managed their classes at a moderate level. Among the five areas, they performed the best in terms of guidance, followed by school affairs handling, environmental and facility management and academic guidance. The management of home and local community ranked lowest. The fact guidance ranked first seemed to show that they put lots of efforts into that, though they had difficulties with that. At the same time, the fact academic guidance, which was most crucial in classroom management, ranked fourth could be said to prove how difficult it was to provide efficient education. 3. The Relationship of Gender to Overall Classroom Management When their collective averages in the five areas were compared, the female teachers outdid the males in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le teachers outperformed the females only in management of home and local community, and the reason seemed that it's traditionally easier for men to lead a more active life in society. 4. Connections Between Career and Classroom Management By career, the higher-career teachers excelled the lower-career teachers,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fact signified that in elementary school, better-experienced teachers could make a more advanced management of their classes, and less- experienced younger teachers should put more efforts into reinventing themselves and managing their classes with a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y. 5. Relations Between School Location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geographic region of school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classroom management, as there's no disparity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Generally, it's believed that teachers in urban region might be better at classroom management, but it's actually not the case. There's no guarantee that teachers in urban area are always superior in classroom management, and that those in rural region tend to pay less attention to classroom management. Overall, the female teachers and higher-career teachers outperformed the males and less-career teachers in classroom management. And their entire classroom management was at a moderate level. To enhance classroom management, homeroom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be thoroughly responsible for that, and they should share relevant information. Besides, school administration system related to classroom management should be redressed. As classroom management is largely reliant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guidance, there are serious worries about the fact the homeroom teachers had difficulties with guidance the most. It's required to take some action about that, because students are increasingly getting tough and indecent but corporal punishment is forbidden. In addition, superior government offices should issue less official documents, or assistants who take care of those documents should be employed, since classroom management was most disturbed by official document handling.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see how classroom management was affected in elementary school by the gender and career of homeroom teachers and school location. In the future, additional factors to possibly impact on classroom management should be examined in detail, and wider geographic regions should be investigated. In addition, longitudinal approach to make an extensive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hould be attemp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