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 조미료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유수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mponent analysis, measurements of antioxidant activities, antimutagenic, anticancer, cytotoxicity and antitumor activities from natural seasoning containing Lentinus edodes powder (NSLP) in order to detect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develop novel functional resources. It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Method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reducing power, SOD-like activity, DPPH free radical donating method, Ames test, SRB method, and the tumor growth inhibition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mposition analysis were highly composed of carbohydrate as 44.1%. The minerals of different organs were highly composed of sodium as 5073 mg/100g. Through amino acid analysis, 17 amino acids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glutamic acid being the major amino acid.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in butanol fraction from NSLP were 16.38 mg/g. For the anti-oxidant effect with DPPH-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result showed that RC50 (amount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DPPH after 30 min) was 155 ㎍, 158.5 ㎍, 263.9 ㎍, 270.9 ㎍, 278.5 ㎍ and 358.9 ㎍ induced by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hexane fraction, chloroform fraction 70% ethanol extract, and aqueous fraction. While overall butanol fraction have higher reducing power than ethanol extract. After addition of 0.2 mg/mL butanol fraction, auto oxidation of pyrogallol decreased to 39.3% by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The direct antimutagen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NSLP were examined by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In the Ames test, sample themselves did not show any mutagenicity and most of samples had strong antimutagenic effects against mutation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4-nitroquinoline-1-oxide (4NQO). Ethyl acetate fraction of NSLP (200 ㎍/plate) showed approximately 82% inhibitory effect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4NQO against TA98 strain, whereas 84% and 80% inhibitions were observed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4NQO and MNNG against TA100 strain. In anticancer effects, the cytotoxicity of 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NSLP against cancer cell lines including human breast adenocarcinoma (MCF-7), human lung carcinoma (A549),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human gastric carcinoma (AGS), human cervical adenocarcinoma (HeLa) and transformed primary human embryo kidney (293) were investigated. The treatment of 1 mg/mL ethyl acetate fraction of NSLP showed strong cytotoxicity of 56.7%, 84.9%, 64.6%, 85.1% and 71.5% against A549, MCF-7, Hep3B, HeLa and AGS, respectively. In contrast 1 mg/mL treatment of NSLP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had only 4~40% cytotoxicity on human transfomed primary embryonal kidney cell (293). In vivo anti-cancer effect of 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NSLP was tested in the animal system using Balb/c mice transplanted sarcoma-180 cells. NSLP 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 constraint rate of 42.8% at the 100 mg/kg concentration among the others also restrained the growth of tumor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he growth of tumor was gradually inhibited to a significant degre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extract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possible use of NSLP as a material for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cessed functional for food.

      • MoS2 나노 리본 가장자리의 스핀 전류 특성

        유수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Datta와 Das가 제안한 스핀 트랜지스터 이후로 전하의 스핀을 조절하여 스핀 극성을 띄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흑연 덩어리에서 박막을 떼어내 그래핀을 만들어 낸 이후, 그래핀은 저 차원 물질에 대한 연구에 새로운 지평이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새롭게 발견된 저 차원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박막인 MoS2 단층의 Slater-Koster 밀접 결합 근사법을 소개하고 이 박막을 이용한 장치의 모식도를 그리고 스핀 필터로 작용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MoS2 단층의 경우 지그재그 가장자리를 갖는 리본을 만들게 되면 에너지 갭 사이에 전도띠에서 나오는 전자(electron-like) 밴드와 원자가띠에서 나오는 양공(hole-like) 밴드가 교차하는 부분이 생긴다. 이 두 밴드는 나노 리본의 가장자리에 강하게 국소화 되어있는 금속성(metallic) 가장자리 모드(edge mode)이고, 암체어(armchair) 가장자리를 갖는 리본의 경우도 가장자리 모드가 생기지만 서로 교차하지는 않아 절연의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우리는 지그재그 가장자리 모드의 특성과 스핀 대칭성을 깨는 교환 장(exchange field), 위쪽의 게이트에서 전위차이를 조절하여 전류의 스핀 극성을 조절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 외부에서 늘리거나 줄이는 변형이 생겨도 장치의 성질이 유지가 되는지 확인하였는데,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했을 때의 에너지 밴드를 확인하고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결과와 비교하여 웨어러블(wearable) 장치로써 가능성을 제시한다. Since Datta and Das proposed spin transistor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obtaining a spin-polarized current by controlling the spin of charges. In addition, after the thin film was removed from the graphite bulk to produce graphene, graphene became a new horizon in the study of low-dimensional materials. Here, we introduce the Slater-Koster tight-binding approximation of the newly discovered low-dimensional Van der Waals thin film, MoS2 monolayers, suggest a schematic of the device using the MoS2 monolayers, and analyze whether it can act as a spin filter. In the case of the MoS2 monolayers, a ribbon with a zigzag edge, the bands from conduction bands are electron-like, and the bands from valence bands are hole-like bands intersecting at the energy-gap region. These metallic bands are the edge modes that are strongly localized on the edge of the ribbon. We can control spin polarity in the energy intersection by controlling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a gate and the substrate setting that breaks the spin symmetry. In addition, we checked whether the device's properties could maintain spin-polarizability when external stress was applied. We checked the energy band when a tensile and compressive strain was applied and compared the result with no stress. Moreover, by comparing the transmission and spin-polarization results of that un-strained system, we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wearable device with a zigzag MoS2 ribbon.

      • 1930년대 식민지 초등학교 교육에 관한 구술사적 연구

        유수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statement of people receiving elementary education in the 1930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a bid to discuss the meaning of colonial education for contemporary Korean people. It'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why they received colonial education, what they wanted to get from it, what educational experiences they gained, what changes they consequently underwent and what colonial education was like in their mi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ight people who attended elementary school in the early, mid- or late 1930s. They were all different in regional and family environments such as residential area, living standard and parent occupation while they received elementary education. Each of them was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temporary Korean people entered school in pursuit of social mobility. While they didn't receive colonial education and were eventually neglected or disadvantaged, they found themselves to come to a crisis, realizing that they had to survive. And they also realized that receiving elementary school was the only way for them to get ahead. So they eagerly tried to enter elementary school. Seco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were a little different according to region, gender and the period. School entrance was more prevailing among those who changed their names, who dwelled in urban communities and who were male, and that was more widespread in the late 1930s than in the first half of that decade. In the early 1930s, vocational education was not popular, but that education was more reinforced with the lapse of time as practical education was stressed. On the other hand, students began to be more severely exploited as laborers. They were increasingly taught to turn into people who would be loyal to Japan in the late 1930s, and group rituals and collective training were consequently strengthened. Third, colonial elementary education didn't allow contemporary Korean people to realize their dream, namely social mobility. Only one or two in 100 children fortunately entered middle school, and the others had to go back to their rural hometown after graduation and became poor farmers. Fourth, they remembered colonial education as what they could boast of or what gave them pain depending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Although it was colonial education that they received, they took pride in being selected, and are likely to idealize it as what they could be proud of. In addition, the memory from childhood, which was 80 years ago, might simply be regarded as a beautiful experience. Therefore their oral state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keeping all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in mind. 본 연구는 1930년대 식민지 초등교육을 직접 경험한 이들의 구술을 통해 1930년대 식민지교육이 조선인에게 어떤 것이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된 질문은 그들은 왜 일제가 만들어내는 식민지 교육에 적극적으로 나섰는지 그 속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었으며, 어떤 교육 경험을 하였고, 이것이 그들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다주었는지, 그리고 끝으로 그들의 마음속에 남아 있는 식민지 교육은 어떤 모습인지이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1930년대 초반, 중반, 후반과 도시와 농촌, 남학생과 여학생, 가정형편이나 부모의 직업 등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보통학교를 다닌 여덟 명의 구술자들을 만나 개인적 면담을 통한 구술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본 연구가 얻어 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인이 적극적으로 취학을 선택하여 얻고자 한 것은 보통학교를 디딤돌로 한 사회적 이동이다. 조선인은 일제의 식민지 교육을 받지 않아 멸시와 불이익을 겪으며 ‘알아야 산다’라는 위기의식을 느끼게 된다. 이렇게 찾아온 위기의식과 함께 보통학교가 출세를 위한 유일한 통로임을 깨닫게 된다. 그러면서 앞다투어 보통학교의 취학경쟁에 나서게 된 것이다. 둘째, 식민지 조선인의 교육경험은 지역에 따라, 성별에 따라,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모습이다. 조선인의 취학은 개명한 집안, 농촌보다는 도시, 여학생보다는 남학생, 1930년대 초반보다는 후반으로 갈수록 더욱 활발하게 나타난다. 1930년대 초반에 미미하던 교육실제화에 의한 직업교육이 후반으로 올수록 강화되어 학생의 근로동원을 통한 착취가 심해졌다. 또한 후반으로 올수록 황국신민화 교육이 극에 달해 조회와 같은 집단의식 및 훈련을 강화한다. 셋째, 식민지 초등교육은 조선인이 얻고자했던 사회적 이동이란 꿈을 실현시켜 주지 못했다. 중학교에 진학하는 아이는 100명 중에 한 둘로 극히 소수만이 얻는 행운이었다. 그리하여 조선인은 졸업 후 농촌으로 돌아가 여전히 가난한 농부가 된다. 넷째, 조선인의 마음속에 남아있는 식민지 교육은 개인의 경험에 따라 자랑스럽게 그려지기도 하고, 고통스럽게 그려지기도 하였다. 식민지 교육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선택받은 이들이 느끼는 자부심이 일본의 식민지배 의도가 담긴 교육을 자랑스럽게 포장하여 기억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80여 년 전 어릴 때의 추억은 그 자체만으로도 아름답게 미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석할 때는 그들의 구술을 그대로 역사화하기보다는 앞에서 언급한 내용을 염두에 두고 바라보아야겠다.

      •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피드백지향성과 피드백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학생관계의 조절효과

        유수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feedback orientation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9 6th graders sampled from D city and K region, Korea.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AMOS 20.0, and Mplus 6.12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th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feedback orientation. Mastery-approach goal positively predicted feedback orientation. And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the mastery-approach goal,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negatively predicted feedback orientation. Second, feedback utility and feedback self-efficacy had th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feedback seeking behavior, but feedback acountability and feedback sensibility had not the direct effects on feedback seeking behavior. Third, mastery-approach goal had the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feedback seeking behavior, but performance-approach goal had the significant negative indirect effects on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the feedback self-efficacy significantly mediated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Four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eedback orientation, feedback seeking behavior were differential depending on the level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hich is identified from latent profile analysis. Specifically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ignificantly moderated between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feedback orientation. And also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ignificantly moderated between feedback utility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insignificant. Finally the importance of mastery-approach goal, feedback utility, feedback self-efficac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tudents’ feedback seeking behavior were discussed.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양육 어려움이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유수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한부모가족 중 여성 한부모가족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의 결과이다. 한편 여성 한부모의 취업률은 높은 수준을 보였는데, 이들은 취업모로서 일과 양육을 홀로 부담해야 하여 일·가정 갈등을 겪을 확률이 높고 이에 따라 양육 어려움을 겪을 위험이 더욱 크다. 또한 여성 한부모는 심리사회적인 요인과 이혼이라는 생애 사건 등으로 인하여 스트레스 취약성을 가진다. 특히,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 중 불안정한 고용형태를 가진 집단은 고용불안정성으로 인한 추가적인 스트레스 취약성을 가지게 된다.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가 가진 스트레스 취약성은 양육 어려움을 겪을 때 우울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므로 이들이 가진 취약성에 대한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기존 선행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중심으로 양육 어려움을 살펴보고 있는데, 학령기 자녀를 둔 경우 양육자는 이전과는 다른 양육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여성 한부모의 어려움을 가정과 일 측면에서 총체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취약성 이론에 근거하여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양육 어려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간 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18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 2,500명 중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 988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독립변수인 양육 어려움은 4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8개 문항의 합으로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우울은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척도로 측정하였다. 조절변수인 고용형태는 상용근로자를 기준집단으로 더미변수 처리하여 투입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개인, 가구,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고용형태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주요 변수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SPSS 26.0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라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 월 평균 가구소득, 양육비 지원 유무, 사회적 지지와 우울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연령, 학력, 월 평균 가구소득에 따른 우울 수준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셋째, 양육 어려움 수준이 높을수록, 고용형태가 상용직보다 임시일용직일 때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육 어려움과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 간 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 중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한부모가족 지원 정책을 점검하고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학령기 자녀 양육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맞춤형 돌봄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고용형태에 따른 건강불평등에 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여성 한부모 임시일용근로자의 우울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공공서비스 확충과 실효성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 취약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불안정한 고용 환경의 개선 및 지원 정책의 확충이 필요하다. 다섯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양육 어려움 및 우울 완화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지지 체계의 마련을 위하여 실효성 있는 자조모임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Female-headed single parent familie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single parent families in Korea, which is the result of Intensive Mothering Ideology. Since many single mothers are employed, the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work-family conflict as they are responsible for work and nurture alone, leading to parenting difficulties. Furthermore, single mothers have stress vulnerability due to psychosocial factors and life events such as divorce. Among employed single mothers, those with unstable jobs are more vulnerable to stress due to their employment instability. Therefore, appropriate intervention is needed to alleviate the effects of stress vulnerability upon employed single mothers which increase the chance of depression when suffering from parenting difficulties.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difficulties of nurturing preschool children, but parents with school-age children experience different parenting difficulties due to their additional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there was little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difficulties of single mothers in terms of family and work.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difficulties and employment status of employed single mothers with school-age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A Survey on the Status of Single-Parent Families in 2018, which was conduct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as used for analysis. Among 2,500 participants in the survey, 988 employed single mothers with school-age children were selected. Parenting difficultie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as the sum of eight questions composed of a four-point Likert scale, and depression,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with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The employment status, a moderating variable, was processed into a dummy variable by setting regular workers as a reference group. The study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Moreover, it verified th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26.0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self-reported health, household income, availability of financial support for childcar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level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of employed single mothers.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levels of employed single mothers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income were verified. Third, higher levels of parenting difficulties and temporary employment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depression. Fourth,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difficulties and depression of employed single mothers. Lastly, age, self-reported health,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depression of employed single moth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possible.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single parent support policies and expand support policies for better work-life balance. Second, customized care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relieve the parenting burden of employed single mothers with school-age children.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public service and strengthen its effectiveness to prevent and treat temporarily employed single mothers’ depression based on continuous monitoring for health inequality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status. Fourth, th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unstable employment environment and the expansion of support policies to alleviate the stress vulnerability of employed single mothers are needed. Lastly, the self-help group which provides social support to employed single mothers is required for alleviating their parenting difficulties and depression.

      • 우리나라 성인비만 관련요인 분석 : 사회, 경제, 행동적 요인을 중심으로

        유수정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화에 따른 경제발전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비만은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비만을 하나의 질병으로 보고 중재가 필요한 건강상태로 분류하고있다. 최근 세계보건기구의 발표에 따르면 선진국에서 수십년간 진행된 비만인구의 증가가 빠른 성장과 더불어 아시아 국가들에서 급격한 상승을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비만과 관련된 만성질병인 관상동맥질환이나 당뇨병과 같은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비만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회, 경제적 및 건강관련 행동적 측면에서 구명하고자 시행되었다.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6075명을 대상으로 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회·경제적 및 건강관련 행동적 측면에서 관련요인을 구명하고자 시행되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관련요인별 비만도를 기술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t-test, ANOVA로 각 요인별 비만도 차이에 대한 유의성검증을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비만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수는 20세 이상 성인 6075명 이었으며, 남녀의 비율은 각각 43%, 57%였다. 평균 비만도는 23.503 이었으며, 남성이 23.709 여성이 23.356으로 남성이 더 비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크게 일반적특성,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관련 행동요인으로 구분하여 성별, 연령(65세 기준)에 따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65세 미만 남자의 경우 미혼이나 유배우자들에 비해 사별,이혼,별거인 사람들의 비만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65세 이상 남성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만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사회·경제적 요인에서는 저강도나 중강도직업군보다 고강도직업군 사람들의 비만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잘사는 편 또는 보통이라고 말한 사람들보다 못사는 편이라고 대답한 사람들의 비만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연령을 구분하여 시행할 결과에서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하지 못하였다. 남성에 있어서 비만도에 영향을 주는 건강관련 행동요인은 음주 뿐 이었으며,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과 안마시는 사람들에 비해 가끔 음주를 하는 사람들의 비만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미만 남성들에게서만 유의하였다.여성의 비만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주거형태, 학력, 흡연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만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65세 미만자와 65세 이상인자 모두 동일하였다. 결혼상태는 미혼인 사람들에 비해 유배우자나 사별,이혼,별거인 사람들의 비만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남자와 마찬가지로 사별,이혼,별거인 사람들의 증가폭이 더 컸다. 사회·경제적 요인에서는 65세 미만의 여성들에게서 주거형태와 학력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여성일수록, 전문대 이상의 고학력을 가진 사람들일수록 덜 비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강관련 요인으로는 65세 이상 여성들에서 비흡연자나 과거 흡연자들에 비해 현흡연자의 비만도가 낮았다. 위 결과들을 정리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도 관련요인 중 연령과 결혼상태의 변화는 남성과 여성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들 수 있으며, 65세 미만 여성에서는 주거형태, 학력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성인의 경우 건강관련 행동요인이 비만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다만, 65세 이상 여성그룹에서 흡연이 비만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기존에 비만의 원인으로 생각하였던 식생활 습관 및 유전적인 요인 외에 연령, 결혼상태와 같은 일반적인 특성과 직업, 학력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요인들도 비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보건정책이나 비만관련 프로그램을 개발시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중재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 years have seen a dramatic rise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many countries include of Asian societies. Many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represented that obesity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several major diseases, coronary heart disease, type2 diabetes, certain malignancies and musculoskelectal disorders. It causes of increasing of mortality rates and health expenditures. I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Korea, 51% of people is overweight (BMI≥23) and it has been increased than previous survey in 1998.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status(SES) such as educational level, housing, job, economical status, and behavioral factors such as drinking, smoking, sleeping, working hours, stress and physical exam with obesity in Korean adult. The contribution of the measured socioeconomic and behavioral factors was assessed using t-test ,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is based on data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1 carried by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It is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tudy between Nov. to Dec. in 2001. It included 6075 Korean people aged over 20(2612 of men and 3463 of women) who completed interview and physical ex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ed.The average of body mass index was 23.508. 57.7% of men and 51.3% of women were overweight(BMI≥23). Marital status ha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besity of young men(age< 65). Married but has no spouse(because of death, divorce, or seperation), they were more obese than other groups,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other risk factors. Age and housing were associated with obesity in old men(age≥65).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behavioral factors for Korean men except drinking frequency. Men who drink sometimes were more obese than other groups(no drink, drink often).Age, marital status, SES and smoking were each strongly associated with women’s obesity. Age was positive associated with obesity in young women(age<65), while negative associated with obesity in old women(age≥65). SES(housing, educational level)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obesity in young women(age<65). High educational level and apartment regidants decreased the risk of obesity in women.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behavioral factors for women except smoking in over age 65. Now smoking old women was less obese than other groups(non or ex-smokers). In conclusion Korean adult has been shown to hav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mographic factors, SES, and behavioral factors. The obesity rates reported here are considerably higher than previous NHNS in 1998. This prevalence is still lower than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but it is not low any more when we use the BMI standard for Asian-people WHO recommended. And it has been increasing.This is cross-sectional study, so causality cannot be determined from association observed. Therefore I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confirm influence of lifestyle on obesity by repeated and longitudinal study.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물리학 교과서의 현대물리학 내용 분석

        유수정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기본적으로 교과서로 이루어진다. 현재 고등학생들이 학습하는 물리학 교과서의 출판사는 물리학Ⅰ이 8종, 물리학Ⅱ가 5종이다. 교과서는 그 시대에 해당하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하여 제작된다. 하지만, 출판사별로 내용 요소의 기술에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하는 학생들 사이에서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선행된 연구에서는 역학, 전자기, 광학 등의 영역에서 분석이 이루어졌지만, 현대물리학과 관련해서는 일부 개념에 집중하여 교과서별로 기술 방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현대물리 내용 전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교과서의 구성, 내용, 탐구, 삽화 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시기별로 1차 개정 시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현대물리학의 성취기준을 비교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어떤 내용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물리학Ⅰ,Ⅱ교과서 중 3종을 대상으로 내용 요소에 포함된 학습 요소를 기술하는 방식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각 내용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를 통해 각 교과서 출판사 간의 내용 요소 기술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현대물리 영역의 내용 요소를 ‘빛의 이중성’, ‘물질의 이중성’, ‘빛의 입자성’, ‘물질의 파동성’, ‘불확정성 원리’ 5가지로 구분하였고, 각 내용 요소에 대한 학습 요소는 다음과 같다. 내용 요소 ‘빛의 이중성’의 학습 요소는 빛의 파동성, 빛의 입자성, 광전 효과, 빛의 이중성, 전하 결합 소자 등 이며 ‘물질의 이중성’의 학습 요소는 물질의 파동성, 물질파, 전자현미경 등이다. 내용 요소 ‘빛의 입자성’의 학습 요소는 빛의 입자성, 광전 효과, 일함수 등이며 내용 요소 ‘입자의 파동성’의 학습 요소는 입자의 파동성, 물질파, 전자회절실험 등 이고, ‘불확정성 원리’에 해당하는 학습 요소는 불확정성 원리, 수소 원자 궤도 등이다. 이를 통해 교과서 출판사 별로 학습 요소의 기술 방식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출판사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공통으로 드러난 차이는 도입 요소, 탐구, 삽화 등과 관련된 특징이었다. 또한, 과학사의 기술 방식과 정의에 대한 기술 등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교과서 분석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교과서 별로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통해 교육과정에서의 해설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해당 영역의 성취 기준에 대한 해설을 자세하게 해줄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과 교과서 제작할 때에 전공자와 다양한 인력의 투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education in schools is basically made up of textbooks. Currently, there are eight types of physicsⅠ textbooks that high school students learn, and five types of physicsⅡ. Textbooks are produced based on the achievement criteria presented in the curriculum corresponding to the period. However, each publisher differs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 elements. Care should be taken to avoid gaps between students who analyze and learn these differences. However, although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Dynamics(Physics), Electromagnetics and Optics in the current prior research, some concepts were focused on analyzing differences in Modern Physics in each textboo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mposition, content, exploration, illustration, etc. of textbooks based on the entire contents of Modern Physics. In this research, we first looked at what content elements are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comparing the achievement criteria of Modern Physics from the time of the first revision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ree of the Physics I and II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learning elements contained in the content el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content element, the difference in content element description between textbook publishers was found. In this research, the content elements of the Modern Physics domain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duality of light', 'duality of matter', 'particle nature of light', 'wave nature of matter' and 'uncertainty principle',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describ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learning elements of the content element 'duality of light' are the wave nature of light, the particulate matter of light, the photoelectric effect, the duality of light, charge coupled device etc and the element of learning of 'duality of matter' are the wave nature of matter, matter wave and electron microscope, etc. The learning elements of the content element 'particle nature of light' are the particulate matter of light, photoelectric effects, and work functions, etc and the learning elements of the content element 'wave nature of matter' are the wave nature of matter, matter wave and electron diffraction experiment, etc and the learning elements of the content element ‘uncertainty principle’ are the uncertainty principle and hydrogen atom orbital, ect. Through this, each textbook publishers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 of the learning elements. Looking at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publisher, the common differences were characteristics related to introduction elements, exploration, and illustration. It also showed differences in description the history of science and definition. Based on this, necessity for textbook analysis can be suggested, and various differences in textbooks showed that there was a lack of explanations in the curriculu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area in the curriculum, and it seems that the input of majors and various personnel is needed when produc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만 2세 학급 영아의 비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수정 원광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을 통해 영아의 비안전행동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영아 안전교육활동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보육과정을 비롯한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만 2세 영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활동을 만2세 학급 영아에게 적용하여 어린이집과 가정에서의 영아 비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어린이집에서 영아 비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가정에서 영아 비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유사한 S어린이집과 M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40명으로 실험집단 18명과 통제집단 22명이다. 실험 집단 영아에게는 12주간의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영아에게는 실험 집단과 동일한 생활주제에 따른 보육과정을 실시하였다. 어린이집에서 일어나는 영아의 비안전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김동은(2005)의 ‘기관에서의 비안전행동목록’을 사용하였으며, 가정에서 일어나는 영아의 비안전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신동주 외(2002)의 ‘가정에서의 비안전행동목록’을 사용하였다.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영아의 비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공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은 어린이집에서 영아의 비안전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영아들의 경우, 실내영역에서 쌓기, 역할, 수․조작, 과학, 음률영역에서 비안전행동이 감소하였으며, 실외영역에서는 미끄럼틀, 모래놀이 영역에서 비안전행동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가정에서 영아의 비안전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영아들의 경우, 실내영역에서 거실 및 침실, 주방, 욕실, 베란다 및 창문, 전기화재, 기타 공간 등 전체 영역에서 비안전행동이 감소하였으며, 실외영역에서는 엘리베이터, 무빙워크, 쇼핑카트, 동식물영역에서 비안전행동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imed at helping to ensure the health and safety of infants by reducing their unsafe behavior through safety edu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for infants were developed through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including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2011), and analysis o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2-year-old class infants. The activities were applied in classroom to find out their impact on infants’ unsafe behavior at home and childcare center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effects do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have on infants’ unsafe behavior at childcare centers? 2. What effects do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have on infants’ unsafe behavior at h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2-year-old class infants enrolled in S and M childcare centers in Iksan City, North Jeolla Province. Similar in their level of socioeconomic statu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22 in the control group. During an experiment that lasted for 12 weeks, the same life theme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both groups. But, the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y were not used for the control group. To measure the infants’ unsafe behavior at childcare centers, “a list of unsafe behaviors at education institutions” compiled by Kim Dong-eun (2005) was used. Fore measurement of unsafe behavior at home, “a list of unsafe behaviors at home” drawn up by Shin Dong-ju and colleagues (2002) was used.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on infants’ unsafe behavior,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a co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an SPSS program.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infants’ unsafe behavior at childcare centers.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showed a decrease in unsafe behavior in indoor areas related to block building, role play, number operations, science, and tone and rhythm as well as in outdoor areas pertaining to slide and sand play. Second,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infants’ unsafe behavior at home as well.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a decrease in unsafe behavior in all the indoor areas,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living room and the bedroom, the bathroom, the verandah and windows, and electrical fires. The infants’ unsafe behavior also diminished in outdoor areas related to such things as elevators, moving walks, shopping carts, and plants and anim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