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레이저 분광 기술을 이용하여 플라스틱을 재질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유병건 수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mong the plastics that make our lives convenient, the amount of waste plastics used and disposed of is on a continuous increase. Recognition and sorting by material is very important for recycling of waste plastics that are discarded after use. However, ABS, PS, and PP, which are representative plastics generated from used household appliances, and Eng. PP, PC, and PC/PS, which are representative plastics from waste automobiles, are mostly black. This plastic cannot be recognized and sorted by material using the conventional plastic material sorting technology. In the case of conventional plastic material recognition and sorting technologies,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LIBS)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recognition technology as it is not possible to identify the materials of black plastic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plastic-specific recognition technology. In this study, characteristic data on the material of ABS, PS, and PP generated from used household appliances and Eng. PP, PC and PC/PS generated from waste automobile crushed material were obtained using LIBS, and acquired data were treated as artificial intelligence pretreatment algorithms. We designed a classifier(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s, RBFNN) applying various typ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eprocessing algorithms and evaluated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an automatic sorting system for each material of waste plastics was established, the features of the data were extracted using a preprocessing algorithm for the plasma spectral signals and data obtained by each plastic material, and a classifier and Dynamic-Link Library(DLL) were designed and applied using the extracted data. The recognition rate and sorting tests for plastic materials were performed using the automatic sorting system. In the future, we plan to analyze various preprocessing algorithms not used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feature extraction and to compare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to the RBFNN classifier proposed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comparison with other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classifiers such as fuzzy set-based neural networks will be additionally performed. And we intend to acquire additional characteristic data on plastic materials, convert them into big data, and expand research on processing technology using them.

      • 다중초점 광학 현미경 작동 환경 및 계측 조건 분석

        유병건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Patterns recently formed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are progressing in miniaturization and integration to a critical line width of 1x nm.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precise measurement and inspection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critical dimension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emiconductor process. Besides, semiconductor defect inspection equipment requires highly precise inspection equipment due to micro-degradation of detected foreign substance. Accordingly, since the detection sensitivity is increased, the number of foreign substances or defects detected increases exponentially. Therefore, a high-speed inspection equipment has been proposed. Through-Focus Scanning Optical Microscopy i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3D measurement and inspection of nanoscale patterns. To obtain a Through-scanning image, a mechanical movement method of the Z-stage is used. The instability due to the error of the optical axis caused by the mechanical movement of the Z-axis stage is a problem in image acquisition.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TSOM image instrumentation under image operating environment and image instrumentation conditions were analyzed using simulation and actual acquired images, respectively. To analyze the measurement conditions, the image was acquired using a 100 - scale TSOM optical system using a modified mirror, and the reference TSOM image was created by the pattern size of the specimen, and the measurement condition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ses to analyze the MSD for each case. In addition, the TSOM simulation tool was used to identify the operating environment (Jitter, Center Shift) that could occur when obtaining 2D sample images and The MSD was calculated by obtaining a TSOM image with an ideal environment and a DTI (Differential TSOM Image) of the TSOM image with an operational environment implemented in the simulation. The calculated MSD value shall be managed for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optical system within Jitter 4nm, Center shift 0.04 pixel based on 200nm sampling distance through the measurement reference value. 최근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형성되는 패턴은 임계 선폭이 1x nm 급까지 미세화 및 집적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반도체 공정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임계 선폭 등 다양한 변수의 정확한 계측 및 검사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다중초점 광학 현미경(Through-focus Scanning Optical Microscopy : TSOM) 이 제안되었다. 다중초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스테이지의 기계적 이동방식을 이용하는데, 다중초점 이미지 획득을 위한 스캐닝 과정 중 기계적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지는 광축 오차 및 진동으로 인한 광학계 불안정성은 다중초점 이미지 품질에 대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작동 환경 및 이미지 계측 조건에 따른 다중초점 광학 현미경의 계측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뮬레이션과 검사 광학계를 통해 획득한 TSOM 이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계측 조건을 분석하기 위해 시료의 패턴 크기 별 Reference TSOM 이미지를 생성한 뒤, 계측 조건을 여러 케이스로 분류하여 각 케이스 별 MSD를 계산하였다. 또한, 2D 시료 이미지 획득 시 발생할 수 있는 작동 환경(Jitter, Center Shift)을 확인하기 위해 FMM 기반의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상에서 구현된 작동 환경이 적용된 TSOM 이미지와 작동 환경이 적용되지 않은 이상적인 TSOM 이미지의 DTI(Differential TSOM Image)를 획득한 뒤 MSD를 계산하였다. 계측 조건 분석 결과 Image crop size 케이스에 대한 최대 MSD 값이 1.6 x 10-5 으로 계측 민감도가 가장 높은 케이스를 확인하였고, 작동 환경에 대한 분석 결과 100nm 샘플링 크기 기준 4nm 패턴 차이 구분을 위해 Jitter 8 nm 이내 관리 필요 및 Center shift 0.08 pixel 이내 광학계 작동 환경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 정보영재와 일반학생의 프로그래밍 문제해결과정 비교분석

        유병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교육은 교육과정에 반영될 당시 정보 사회에 대비한 창의성, 정보 능력 배양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맞게 알고리즘 등 컴퓨터 과학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정보교육의 창의적 학습을 위해서 프로그래밍의 필요성을 느끼고, 해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프로그래밍 교육이 시작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프로그래밍 교육이 시작하게 되면서, 취업을 목표로 두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나 전문 프로그래머 양성을 위해서만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폭 넓게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그래밍 교육의 주된 목적은 창의성을 키워주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전문 프로그래머가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문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하여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등장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도, 초등학생도 배울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고 모든 학교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만으로 가르치지는 않는다. 실업계 및 전문계 고등학교에서는 전문적인 프로그래머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보다는 C, Java 등 High-level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르친다. 하지만 전문계 고등학교에 입학한 학생들 모두, 고등학교 입학 전부터 프로그래밍에 능통하지는 않다. 고등학교 입학 전에 프로그래밍을 배워보지 않았던 학생도 있고, 고등학교 입학 전에 프로그래밍을 배워보았거나 관심을 가졌던 학생도 있다. 그리고 고등학교 입학 전에 정보영재교육을 받았던 학생도 있다.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자의 이러한 경험적 특성에 따라서, 향후 프로그래밍 학습을 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의 전체 구성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의 전문계 고등학교 하나를 선정하고 세 집단으로 나누어, 1년 동안 동일한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래밍 수업이 진행되는 1년 동안 네 차례에 걸친 프로그래밍 능력검사를 실시하였고, 세 집단 별 프로그래밍에 대한 수업 태도 및 선호방법 또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세 집단 모두 프로그래밍을 개인적으로 하는 것 보다 팀으로 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집단은 서로 의지하고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팀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영재 집단은 프로그래밍이 갖는 특성상 다른 사람이 어떻게 프로그래밍하는 지를 확인하고 더 높은 효과를 내기 위해서 팀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팀을 이루어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프로그래밍 선호방법에 대해서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집단과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집단, 특히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집단이 주로 예시코드를 참조하여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집단은 프로그래밍 방법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예시코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영재 집단은 주로 예시코드를 참조하지 않고 자신이 아는 지식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영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에게는 예시를 토대로 설명할 때에, 영재 학생들에게는 자신만의 해결법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줄 때에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는 각 집단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영재 집단의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집단의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결과에 대한 만족도는 세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재 집단이 문제를 해결했다할지라도 자신이 해결한 문제에 대해서 결과를 크게 만족하지 않고 아쉬워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세 집단 간의 프로그래밍능력은 프로그래밍 기법의 활용이나 직접 프로그래밍을 해 보는 부분에 있어서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네 번에 걸친 성취도 평가 분석결과, 1차는 프로그래밍의 단순한 지식을 묻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세 집단 간의 성취도 차이가 없었으나, 2차부터 매 회를 거듭할수록 집단 간 성취도 차이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취도 평가가 거듭되어질수록 다양한 프로그래밍 기법을 활용해야하는데,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프로그래밍을 많이 접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을 직접 해 보는 부분이나 프로그래밍 문법을 활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프로그래밍능력과 문제해결과정과의 상관관계는 집단의 특성에 따라 다른 계수를 나타내었다. 상관관계에서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집단은 문제해결력과 문제해결 후 성찰이,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집단은 문제해결력과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이, 영재 집단은 문제해결 방법의 다양성과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래밍능력과 문제해결과정과의 상관관계가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 듯이, 프로그래밍을 할 때의 방법 또한 집단별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을 할 때에 긍정적 인식과 학습의 효과를 높여줄 수 있으리라 본다. 그렇기 때문에 각 집단 별로 흥미를 이끌어가면서, 학습자 별 성향에 맞추어 개별화 수업을 한다든지, 등급을 나누어 교육할 것을 제안한다.

      • 檀園 金弘道의 山水畵를 通해 본 眞景硏究 : 本人作品을 中心으로

        유병건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rt emerges when a human being came to take interest in a certain object in nature and tries to represent the essential aspects of it. To express a true landscape showing the true nature of objects, one needs a unique vision and aesthetic sensitivity as well as deep contemplation on the objects. To understand Jingyeong correctly, it is necessary to compare it with Sagyeong (寫景) and Silgyeong (實景). Sagyeong prioritizes the maximum resemblance as it depicts real nature but with the emphasis on the physical laws of nature and appearance. Silgyeong is to paint what one sees without conceptualization or idealization. Jingyeong adds a bit of more objectivity to Silgyeong to emphasize reality. Yet its base is philosophical ideas. That is, Jingyeong, the true nature, is not so much about the visible appearance as it is about the internal logic or truth of objects. To sum up, Jingyeong is a complex concept that not only means copying of nature but also demands the deep contemplation on the object and the serious investigation of the truth in it. It is recorded that there had been landscape pictures depicting Korean natural environment already in Corea Dynasty or in early Chosun period but there are no extant pieces. Yet there are several examples of true landscape paintings in the early to middle Chosun period. Some are memorial paintings for the poetry reading or social meetings of gentries and some depicts the events or scenes from travels or the retirement of a hermit. Maps and pictures for official recording also show a representation method revealing true nature. Especially the Gyehoedo (契會圖: Painting of a Social Gathering), which shows an imprint of Silgyeong, had contributed to an original interpretation of Chinese painting methods. Silgyeong's influence on the later Jingyeong could not be ignored. Yet it had shown the influence of Chinese methods quite persistently until the great master Jeong Seon had established an original way. That is, True Landscapes since and after Jeong Seon created a unique painting method that shows consistency in paining our own landscape in our own ways, divested of any traces of Chinese ways. This became a model for Korean Jingyeong and provided a base for future artists to develop and improve. Kim Hongdo, having lived during the Korean Cultural Renaissance under the reign of Young-Jeong Kings, came to leave a remarkable legacy of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Korean paintings. What is salient from studying his works is that he visualizes his mind and his philosophy of life through his pictures. His achievement lies in that he creates a beauty of space for the generation to breathe in and he leaves a precious beauty of life itself by integrating realism. The characteristics of his Jingyeong landscapes are that he uses multiple perspectives to construct and constitute space and he opens a possibility of new diagonal structuring to provide a new aesthetic experience. I try to learn and apply his usage of brush, and his method of construction and expression in his Kumkangsan paintings. By combining his methods with my various methods like Balmuk (潑墨: Spread of Chinese paint) and line drawing with the brush rooted in my view on nature and painting, I attempt to paint a Jingyeong that fuses the old and new spirits. 藝術이란 인간이 생활하고 있는 자연 속에서 어떤 대상에 관심을 가지고 그 내적 모습을 表現하고자 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진정한 경치, 사물의 진실된 모습을 내포하는 眞景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독특한 시각과 미감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대상에 대한 깊은 사색이 요구된다. 眞景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寫景, 實景과 의미를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寫景은 실재하는 경치를 그리되 그것의 생장원리나 외형을 충실히 묘사하여 최대한 대상과 닮게 하는 것을 중요시하는 것이고 實景은 관념화되거나 이상화되지 않은 실제 보이는 경치를 그린 것이다. 眞景은 거기에 좀 더 객관성을 부여해 실재성을 강조하되 철학적 이념이 바탕을 이룬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眞景은 말 그대로 진정한 경치, 경물이라는 의미로 단순히 눈에 보이는 표피적 형태만이 아닌 대상에 내재된 원리와 진리를 끌어내는 것이다. 다시말해 眞景은 단순히 보고 그리는 實景的 의미만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깊이있는 사색과 그 속에 담긴 진리에 대한 窮究로 이루어야 하는 복합적 개념이다. 우리의 자연을 소재로 하여 山水畵를 제작한 사실은 고려시대나 조선 초기의 文獻이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현존 작품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다만, 조선 초․중기에는 선비들의 詩會나 契會를 기념하여 그린 그림이나 紀行과 隱居地를 담은 實景圖 등 數例가 알려져 있을 뿐이다. 또한 地圖나 기록화에서도 實景을 참작한 표현양식이 나타난다. 특히 조선 초․중기의 契會圖 등 實景의 분위기가 담겨진 표현은 중국화를 한국적 화풍으로 소화하는데 기여한 바 크며 후기 眞景山水畵 형성에 미친 영향도 간과할 수 없다. 다만 그것이 중국적 양식에 연연하다가 조선 후기에야 鄭敾이라는 거장의 배출과 함께 정착되었던 것이다. 즉, 정선과 그 이후의 眞景山水畵는 산수화의 理想的 여건을 중국의 화론이나 풍경에서 벗어나 우리의 산천에서 찾음으로서 자연경관에 어울리는 자기양식으로 완전히 소화하여 일관된 감각의 독창적인 표현방식을 이룩한 것이다. 이로써 한국 진경표현의 전형이 되었으며 후대 화가들에게 성장,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金弘道는 우리나라 회화사상 가장 황금기를 이루었던 英·正祖年間의 문예 부흥기에 있어서 한국화의 정립이라는 획기적인 업적을 남긴 화가로서 그의 회화세계를 연구해 본 결과, 중요한 것은 그의 정신세계와 생활의식을 작품위에 가시화 하였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시대가 호흡하고자하는 공간의 아름다움을 창조했고 현실주의와 결합하면서 가치 있는 생명미를 남겨 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진경산수화의 특징은 미적형식과 구성에서 多點視法에 의한 공간표현법과 새로운 斜形構圖法으로서 가능성을 열어 회화미로서 성공하였다는 점이다. 본인은 주로 금강산을 소재로 취한 작품을 통하여 김홍도의 필법과 구성, 표현방법 등을 응용하고 본인의 자연관과 회화관에 기초한 발묵법과 모필에 의한 선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통과 회화의 정신을 적절하게 융합한 진경산수화를 그리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지금 우리가 직면한 문화변동에 적절한 시대적 조형언어를 창출해내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함으로서 그 본질을 찾아내고 확립해 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