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컨테이너터미널 작업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생산성 측정모델 개발

        유동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항만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전 세계 컨테이너터미널은 선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서비스를 화주 및 운송사를 포함한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터미널의 관점에서는 장비별 단위생산성(예: QC당 처리능력(30 van/hr), TC당 처리능력(15 van/hr))이나 순 작업생산성 등을 중시하고 이러한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 및 홍보 할 수 있지만 선사의 관점에서는 선박당 총 작업생산성이 중요하고, 화주나 운송사의 경우에도 육상운송을 통해 컨테이너터미널로 반입된 컨테이너 또는 컨테이너터미널 장치장에 장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육상운송으로 연계시키는데 처리되는 시간에 관한 생산성을 중시하게 되었으며, 컨테이너터미널 내에서 처리되는 컨테이너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도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은 여전히 안벽능력 또는 개별 장비 중심의 생산성을 관리하는데 주력하고 있고, 이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도 각 컨테이너터미널의 장비별 생산성 비교 또는 각 부문별 생산성을 측정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의 추세를 고려한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의 측정 및 관련 정보에 관한 대고객 서비스, 적용기술이나 장비의 유형을 고려했을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산성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측정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계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 즉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존 컨테이너터미널 주요 작업의 단선적이고, 정태적인 운영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순환적이고 동태적인 상황을 고려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인과관계를 기반으로 생산성 측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동태적 상황이 반영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환경하에서 생산성이 측정될 수 있도록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측정해야 될 생산성 지표 제시를 위해 기존 문헌에 사용된 생산성 지표와 및 관련주체(선사, 운송사, 컨테이너터미널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된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기반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생산성을 분석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생산성 측정 모델의 활용도를 제시하기 위해 기존에 수행된 국가용역사업의 결과와 본 연구의 모델을 통해 분석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는 이후 생산성 분석에 대한 연구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고 현업의 의사결정자 및 관리자가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사전에 운영 결과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鐵道驛舍 旅客利用 行態 分析을 통한 驛舍施設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유동호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철도역에 대한 역사 건물은 100여년이 지나는 장구한 세월속에서 철도건축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건축의 태동을 이끌어 나온 장본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건축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철도건축의 발전은 역사 건물이 단순히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만이 아닌 지역발전과 함께 성장해온 점을 감안하더라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의 목적도 이제는 철도역이라는 단순개념을 벗어나 세계화를 향한 국제적인 역사로서 함께 어깨를 견주고, 나아가 영원히 후손들에게 잊혀지지 않는 역사 건물이 되어지길 바라면서, 좀더 나은 우리 생활에 편리하고 이용객을 위한 배려와, 안전한 시설로서의 건축물이 되도록 설계되어 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철도역사에 대한 공공시설의 이용현황을 조사하여, 철도이용객을 위한 편의제공은 물론, 동선흐름을 관찰하여 역시설에 대한 개선방향을 찾아 기본계획 단계에서부터 공간계획을 잘 하여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각 역별 시설물에 대한 이용실태를 기술하고, 이에 따른 각 시설물에 대한 역별 비교분석으로 여러가지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철도역사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접근이 용이하도록 역사 전면광장에 교통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차종별 접근 Bay시설 설치가 필요하고, 둘째, 콘코스내 역무시설은 여객 동선을 고려하여 출입홀의 유입인원에 따라 순방향으로 하고, 여객이 교차되지 않도록 최대한 짧은 거리에 시설물을 배치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셋째, 역사내 화장실 및 편의시설은 균등배분 보다 주동선 집중배치로 이용객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특히 철도역사는 그 도시의 유래 및 특성이 종합적이고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지역의 Landmark가 되어야 하고, 대기공간, 휴식공간 등으로 역을 이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역사는 그 지역의 중심으로 생활과 문화의 거점, 도시의 상징, 주변도시 경관과 잘 조화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It has analyzed that historical buildings of the railroad stations in Korea,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ose are the very ones that have led not only the station buildings but also the forthcoming activities of building constructions in Korea since the past long time period of more than 100 years. There have had many changes in a development of the railroad architecture since the past history taking into account for the fact that railroad station buildings have taken not only a role of communication simply but also a role to develop with their local societies. Railroad station buildings and facilities will be designed and constructed to be more convenient to our daily lives and more safe for travelers in the fucture getting rid of the concept that those are simply traffic stations but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of constructions of international stations toward a globalization to hope for becoming ones for the descendents in future.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current utilization status of railroad stations and facilities, it has analyzed that a space plan should be prepared well from the very beginning stage of planning for a railroad station when they will have found our an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facilities by surveying a status of utilizing public facilities and by observing a travelers' flow so as to provide for better convenience.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lies suggesting an improvement direction to secure the public community of a railroad station which will be under planning to construct, which is based on the problems which were brought from a comparison of the facilities of each of the stations from the description on utilization status of the facilities of railroad stations.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A bay facility for each of automobile kinds will be established on an entrance road to the square at a railroad station which will be convenient to access on it by users. 2) Office facilities in concourse will b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to passenger flow according to a number of passengers who will enter an entrance hall by considering the flow direction sufficiently and in the shortest distance not to make passengers to be crossed along it. 3) Toilets and convenience facilities in a station will be arranged to provide a maximum convenience for passengers by focusing on a main stream rather than an even distribution of those. 4) Especially, a railroad station will be a landmark of the region surroundings that represents synthetically and symbolically a history and features of the city and waiting rooms and resting places will be a central point of lives and cultures for the passengers in the city which will be planned to harmonize with symbols and scenes of the neighboring cities as well.

      • 국제화 시대의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 개선 방향 연구 : 전공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동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ole of teachers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cultivate future talent, centering on core competencies that have been introduced in line with the trends in global education. Also, the role of teachers is very important in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f we acknowledge that education can not exist beyond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eachers, we must also accept the fact that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eacher in the same context are difficult to exist beyond the system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Problems raised in relation to teacher education policy are connected with a series of processes for teacher supply and training of competent teachers. In particular, pre-service teach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ssue of what kind of curriculum is efficiently operated in the field before they appear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in major countries (USA, Germany, Finland) in order to improve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Based on this, the curriculum and subject, the status of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educational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mental trends in the process of cultivating secondary Korean Language school teachers in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In this paper, I focus on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the curriculum and subject were analyzed based on the number of basic credits and subjects, and major subjects. Second, the status of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was analyzed by college and department, graduate school and department. Third, we analyzed the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present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aching practice and present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actice course.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internationalization' has been focused on internationalization/globalization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our societ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eacher training of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 and the process of cultivat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KSL) teacher who is accommodating diverse students as the composition of students in the school changes. Through the study, we suggest the following improvement directions in the process of training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 First, the process of cultivating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school sit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s should have the nature of course subjects, ie, teaching methodology aspects. In other words,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knowledge of teaching methodology knowledge based on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 should be ad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s by proposing a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multicultural facult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recognize and learn Korean language and core competencies. In particular, the capacity of comm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the ultimate ability and essential capacity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go through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urses. Third, educational practice and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at school level, while effective instruction at the school leve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mad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eacher internship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eaching practice activities and the practical time separator is needed to select appropriate exercise activities for each grade level in the existing 4 weeks training practice period. 세계적 교육의 추세에 발맞추어 도입된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또한 교육의 질을 개선하려는 노력 중에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자질, 능력을 뛰어 넘어 교육이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같은 맥락에서 교사의 자질이나 능력이 교사교육기관의 체제 너머에 존재하기 어렵다는 사실 또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 교사 양성 정책과 관련해 제기되는 문제점들은 교원 수급과 유능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예비 교사들에게 교육현장에 나아나기 이전에 어떠한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되는가에 대한 문제와 직결되어 있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화 시대의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의 개선을 위해 주요 국가(미국, 독일, 핀란드)의 교사 양성 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목, 양성 과정의 개설 현황, 교육실습에 대한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제화 시대의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에 발전적 발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및 교과목을 기본이수학점 및 과목 수와 전공과목을 분석하였다. 둘째, 양성기관의 개설 현황을 단과대학 및 학과, 대학원 및 학과로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 실습의 운영현황과 실습과목의 운영방식 제시를 통해 교육 실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화’의 의미를 국제화/글로벌화와 함께 우리 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에 초점을 맞추었다. 학교의 학생구성이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학생을 수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의 교원 양성 과정과 중등 교사 양성 과정을 분석해봄으로써 국제화 시대의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에 다음과 같은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은 학교 현장과 밀접한 관계가 유지되어야 하며 학부, 대학원 과정의 국어과 교육은 실습 과목의 성격 즉, 교과이론학적 측면을 띠어야 한다. 즉, 국어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교과내용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한 교과이론학의 지식을 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중등 국어 교사의 다문화 교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제안하며 중등 국어 교사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예비 국어 교사는 국어과 핵심 역량을 인지하고 학습하여야 한다. 특히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은 다문화 시대 속에 국어교육과 국어교사가 나아가야 할 궁극적인 능력이자 필수 역량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문화적 교수 학습 방법과 과목에 대한 이수를 강화해야한다. 셋째, 교육 실습 및 교육봉사활동은 이수학점을 유지하면서 학교 차원의 효과적인 지도와 더 나아가 국가적인 차원의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기존의 교육 실습 활동에 더하여 교사 인턴제 도입 등을 고려해야하며 기존의 4주 교육실습 기간은 학년별로 적합한 실습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실습시간 분리제가 필요하다.

      • DSP를 이용한 단상 인버터 제어에 대한 연구

        유동호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single phase full bridge inverter with DSP controller has been researched. A 1kW single phase full bridge inverter operation with 100KHz switching frequency was designed, programmed, and implemented. The control method of the inverter was determined by PI control loop with inner control loop, and the control algorithm was programmed by DSP. Inverter operation and control algorithm of DSP are verified by experimental results. 본 논문에서는 DSP를 이용한 단상 풀 브리지 인버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상 인버터 시스템은 인버터 출력이 50 VAC, 60 Hz, 1kW의 전력을 갖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인버터 출력전압의 제어방식은 출력전압에 대하여 PI (Proportion and Integration) 제어방식을 사용하고, 인덕터 전류의 내부 제어 루프 (Inner loop)를 갖도록 설계 하였으며 제어알고리즘은 DSP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하였다. 제작된 풀 브리지 인버터에 대한 실험 결과는 인버터의 출력전압이 60Hz의 교류 전압으로 적절하게 제어됨을 보여준다.

      • 국내ㆍ외 일괄입찰제도의 비교분석을 최적화방안 연구

        유동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서 론 최근의 국내 건설산업환경을 보면 엄청난 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건설의 질적수준은 국민여망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 건설시장 개방시 외국업체와의 경쟁에서 생존하기 어려운 전망이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정부발주공사의 경우 정부는 기본적인 수요 또는 기준만 제시하고 민간기업이 설계부터 공사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시공 일괄입찰을 활성화하는 정책을 추진중에 있다. 2. 이론적 고찰 2.1 연구의 목적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계․시공 일괄입찰제도에 대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일괄입찰에 참여하는 업체의 성공적인 기업 활동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국내 연구기관 및 학계의 논문, 연구자료 등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선행연구들과 두산중공업의 일괄입찰공사의 성공사례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2.1. 연구현황 국내ㆍ외의 일괄입찰 분야에 대한 연구현황을 알아보기 일괄입찰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관한 연구문헌들을 조사하였다. 3 . 본 론 3.1 일괄입찰제도의 정의 및 발주추의 엄밀히 말해 턴키제도는 설계.시공 일괄입찰 공사의 특별한 계약으로서 일괄입찰 공사의 도급자가 건설공사에 관한 모든 서비스를 발주자를 위하여 제공하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즉 도급자가 공사의 자금조달, 토지구매, 설계와 시공, 시운전 등의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 후 시설물이 완전한 상태로 발주자에게 인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턴키제도는 흔히 일괄입찰 제도와 혼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본 연구에서는 편의상 일괄입찰 제도와 턴키제도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자 하며 해외의 경우에는 프로젝트 성격상 일괄입찰로 표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아 턴키로 표기하며 국내의 경우에는 일괄입찰로 표기하고자 한다. 3.2 일괄입찰제도의 장점 일괄입찰 공사의 긍정적인 효과로는 설계와 시공을 동일한 도급자가 함께 수행함으로서 예상되는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예상할 수 있다. (1) 시공자의 설계참여 기회가 확대되어 시공성을 고려한 설계, 과다한설계지양 등으로 공사 진행을 위한 설계와 시공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2) 신규공사의 경우 발주자는 공사계획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 낙찰자 선정 과정에서 다양한 대안을 검토할 수 있다. (3) 공사수행의 각 단계 사이에 발주자의 개입이 최소화되어 발주처의 업무가 감소된다. (4) 하나의 주 계약에 의하여 공사가 발주됨으로써 공사 전반에 관한 책임한계가 명확해 진다. (5) 설계와 시공의 조직이 동일하여 공사기간 중 신공법의 적용 또는 공법 변경 등이 용이하다. (6) Fast-track 을 이용하면 실시설계 완료 이전에 착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3.3 일괄입찰제도의 단점 일괄입찰 공사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설계가 확정되기 이전에 도급자와 낙찰금액이 확정됨으로써 발생하며 이로 인한 주요 단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있다. (1) 일반적인 단점 - 실시설계 완료 이전에 낙찰자가 선정될 경우 정확한 공사금액의 책정이 어렵다. - 공사의 품질과 성능보다는 업체의 이윤 추구를 위한 설계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단정은 특히 공익성이 요구되는 공사에서 문제시될 가능성이 크다. - 공공 공사인 경우 결과물의 공익성에 배치되게 도급자가 영리를 추구할 가능성이 있다. (2) 발주자 측면의 단점 - 기본적으로 공사수행의 모든 책임을 도급자에게 위임함으로써 발주자의 참여 폭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발주자의 설계 및 시공과정의 체크가 소홀해진다. - 일반방식의 공사발주에 비하여 발주에 장기간이 소요된다. - 입찰업체가 제안한 설계대안에 대하여 그 타당성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기술적인 능력이 필요하다. - 한번 발주된 공사의 내용에 대해서는 변경이 곤란하다. (3) 업체 측면의 단점 - 설계안의 미확정으로 인하여 공사범위가 모호하며 착공 이후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위험부담이 커진다. - 설계도서를 작성하여 입찰함으로써 입찰부담이 증가한다. - 일반적으로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능력을 갖춘 대형업체에 유리하여 중소기업 및 신규업체의 참여가 제한된다. 4. 일괄입찰제도의 문제점 분석 국내 일괄입찰제도의 문제점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매우 다양하게 제기되었다. 특히 입찰자 평가방법, 입찰안내서, 낙찰자 선정방식, 입찰기간 등이 특히 높은 비중의 개선항목으로 지목되었으며 기타 문제점의 개선도 일괄입찰 제도의 시행절차의 거의 전과정에 걸쳐서 요구되고 있다. 4.1 발주기관 측면의 문제점 (1) 발주절차의 번잡성 현행 일괄입찰 공사의 발주를 위한 설계지침서의 심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입찰은 현실적으로 복잡하여 발주기관이 일괄입찰 공사를 기피하는 주요 이유가 되고 있다. 특히 거의 유사한 프로젝트의 반복적인 설계지침서 심의는 그 효용성이 작은 것으로 판단되어 경우에 따라 심의생략이 가능하여야 할 것이다. (2) 발주 소요기간의 장기화 일괄입찰 공사는 그 채택여부를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서 심의하고, 재무부에서 이를 공고한 후(3월 말)에야 비로소 설계가 착수되므로 1월 말부터 설계착수가 가능한 일반 공사에 비해 발주가 지연되며 적정공기를 확보하는 데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발주 소요기간이 약 240 일 (실적 예 : 140 - 260일 소요) 이 소요되어 적정 시공시기인 3월 - 10월을 입찰 및 계약 절차에 소모하므로 연도 말 계약을 할 수 밖에 없어 예산 이월 및 공사기간의 부족이 우려된다. (3) 적격업체 선정에서 발주기관의 의견반영이 미흡 현행 적격업체 선정방식은 공공기관 발주공사일 경우에는 시행기관의 자체 계약에 의해 수행되므로 발주기관 해당부서의 검토가 가능하지만, 중앙관서에서 발주하는 공사일 경우 설계평가는 중앙위원회에서 실시하고, 계약은 조달청에서 위임받아 이행함으로써 실제 시행기관 또는 사용자인 발주기관의 자체 검토 및 의견 반영이 미흡하다. (4) 낙찰자 선정방식 현행 낙찰자 선정방식인 (총공사입찰금액 ÷ 설계점수) 의 최소업체에 낙찰은 기술과 가격을 동시에 고려한 낙찰자 선정방법이 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설계절수가 70 - 80 점에서 결정되는 현실하에서는 저가낙찰자에게 유리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부실업체의 저가투찰을 조장할 수 있어 기술경쟁을 유도한다는 일괄입찰 공사의 취지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다. 4.2 입찰참가자 측면의 문제점 (1) 입찰 참여업체의 설계부담 과중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2회 입찰 후 낙찰자를 선정하는 입찰방식은 낙찰자가 아닌 입찰 참여업체에게 과도한 설계비 부담을 주게되어 입찰의욕을 저하시키고 우수업체간의 경쟁을 유도하는데 미흡하다. 이를 비용 측면에서 분석하여 보면 90년 공사실적 평균 200억원을 기준으로 볼 때 기본설계비용 약 1.9억원 (개략공사비의 0.96 %), 실시설계비용 약 5.8억원 (개략공사비의 2.89 %) 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또 일괄입찰공사에서 실시입찰에 의한 낙찰자 선정은 도급자 책임하의 설계와 시공이라는 일괄입찰공사 본래의 취지와 배치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2) 설계기간의 부족 일괄입찰 공사의 입찰을 위한 설계기간은 대형공사의 현장설명 (입찰공고 후 최소 7일) 과 30억원 이상 공사의 견적기간(최소 30일) 의 적용을 받는 외에 별도의 규정이 있어 적정한 기준이 미비하며 통상적으로 30 - 40일의 짧은 입찰기간은 부실 설계의 우려가 크며 특정업체를 대상으로 설계기간을 설정한다는 오해의 소지가 크다. (3) 실시설계 완료이전에 조기 착공 불가 실시설계 완료 후 낙찰자를 선정하는 것은 원래 일괄입찰 공사의 주요 장점인 설계 완료 이전 착공 (Fast-Track) 에 의한 공기 단축의 효과를 원천적으로 포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3 심의기관 측면에서의 문제점 (1) 일괄입찰 방식 채택 기준의 불분명 일괄입찰 제도는 실시설계 완료 이전에 낙찰자가 선정되어 정확한 공사금액의 책정이 어렵고, 공사의 품질과 성능보다는 업체의 이윤추구를 위한 설계가 될 가능성이 있는 점등의 본질적인 단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일괄입찰 방식의 선정시에는 그 사업의 유형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이에 비하여 현행 특례규정에 의한 중앙위원회가 일괄입찰 방식에 의한 공사 발주가 적합하다고 의결한 공사는 일괄입찰 제도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준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2) 평가기준의 불합리성 현행 중앙위원회 운영규정에 의한 설계평가의 배점기준은 공사를 일괄입찰로 발주하는 주 목적이 되는 일괄입찰대상 공종에 대한 평가항목이 확실하지 않고 신기술 및 신공법의 적용에 의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데에 대한 배점이 고려되지 않아 입찰 참여업체의 기술개발을 유도하기에는 부적정하다. 또 평가항목의 배점기준을 토목, 건축, 기계/전기의 3개 분야공사로 일률적으로 분류라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 대상사업별 특성을 고려하여 배점표 작성이 가능하도록 배점기준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3) 설계심의위원 운영 설계심의위원의 구성은 전문분야별로 건설교통부의 전문가명부를 활용하여 20인 범위 내에서 선정하며, 점문분야별로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2인 이상 선정한다. 구성원은『표.3』참조 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항목의 비중에 격차가 있을 경우 심의위원 수의 배정이 불합리하다. 또 부적격 설계시 심의 위원의 보완사항 및 의견제출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 설계점수의 총합계만을 통보하게 되어 있어 심의위원의 주관적인 배점으로 치우칠 우려가 있다. 특히, 2003년 7월에 15~30명의 평가위원이 전문분야별로 평가하던 방식을 기술위원회와 평가위원의 역할과 같이 기술위원회와 평가위원회로 이원화하여 운영한다. (건설기술개발 및 관리등에관한 운영규정 제21조 2의3항 건설교통부 훈령) (4) 심의 대상공사의 과다 현행 일괄입찰제도는 그 대상공사를 금액으로만 규정하고 있어 심의 대상공사가 과다하여 전반적인 심의의 부실화 우려가 있다. 현재의 심의위원회의 심의량은 89년 이후 급증하여 주 2 - 3회 (1회 심의 평균 4건) 의 심의로 연간 약 600 건 (약 300 여건의 입찰방법심의 포함)의 심의가 수행되고 있다. 또 심의담당 공무원의 절대부족 으로 시방서, 도면 등 일반적인 기술사항에 관한 자체 사전 검토가 거의 불가능하고 심의의원의 심의 (검토기간 3 - 4일) 에만 의존하게 되어 내실있는 심의에 의한 정확한 기술평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심의지적사항에 대한 사후관리가 소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심의대상 공사의 축소 및 심의담당 공무원의 인원 확충이 요구된다. 4.3 기타 문제점 그 외에 특히 업체 측에서 일관되게 제기되는 문제점은 계약금액의 조정에 관한 사항이다. 일괄입찰방식에 의한 대형공사 계약에 있어서 설계변경에 의한 계약금액의 증액은 대형공사 계약에 관한 예산회계법 시행령 특례규정 제15조의 규정에 의하여 정부의 책임있는 사유에 의한 때에만 가능하여 낙찰자 선정 후 발주자가 작성한 입찰안내서가 불완전할 경우 현실적인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는 업체측의 일괄입찰 공사에 있어서 위험부담이 일반공사에 비하여 높은 점을 감안할 때 낙찰자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 신공법의 개발 및 적용시 업체의 초기투자 부담이 커진다. 일괄입찰제도의 선행된 연구에서의 공통된 문제제기와 해결 방안을 보면 첫째, 턴키공사 선정업체와 시공업체간의 분담 이행방식의 입찰 , 입찰자들의 설계비 과중 및 설계비 보상비 미흡, 실액 조정곤란 등의 문제제기와 해결방안으로 건설업의 종합화와 유형의 다양화, 적정공사비 확보, 예비비제도의 도입, 설계․시공 공동이행방식 도입 등의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둘째, 일괄입찰안내서 상의 문제점으로는 안내서상의 내용에 대한 전문성의 부족, 계약조건의 불평등 내용 및 모호성, 설계기간의 절대적 부족으로 입찰자 비용 가중이 되었다. 해결 방안으로는 발주기관별, 공사특성별개정, 발주방식에 적합한 건설정보화 구축, 건물 특성별 적정한 설계기간의 확보, 공사의 한계구분, 공사 특성별 설계도서작성기준 표준화 등을 제안하였다. 7. 결 론 본 연구를 서술적으로 요약하며 설계․시공일괄입찰제 도의 개선방안을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일괄입찰공사의 유형을 설계․시공 일괄입찰 및 실시설계․시공 입찰의 두가지 유형만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어서, 실시설계․시공 입찰공사의 비효율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을 개발하여야한다. 일괄입찰 공사 발주시 공종특성보다 규모에 따른 일괄입찰 대상공사를 선정하여 불충분한 예산의 확보 및 수요기관의 의견반영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어서 100억원 이하의 소규모공사에서도 일괄입찰공사의 발주를 가능케 해야 한다. 일괄계약자의 구성방식에서 설계업체와 시공업체간 분담이행방식의 공동도급으로 인하여 문제점을 설계업체의 책임을 실시설계 이후의 설계변경 등으로 확대하고 감리업무까지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설계과정과 설계심의 과정에서 짧은 설계기간과 설계심의의 공정성에 대한 의혹, 설계비 보상의 미흡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격심사시 설계업체에 대한 심사가 필요하며, 낙찰 탈락업체라도 일정수준 이상의 설계에 대해 PQ실적을 반영해야 한다. 일괄입찰공사의 장점인 공기단축을 위해 기본설계입찰시 낙찰자를 선정하여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실시설계 이전에 착공이 가능하게 하며 기술과 가격의 분리입찰제도를 적용하여 기술위주의 경쟁을 촉진시켜야 한다. 입찰공고에서 계약체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일괄입찰공사의 특성상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의 조정혜택을 받기에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기산점을 계약일에서 입찰일로 변경되어야 하며, 발주자 귀책사유나 불가항력적인 경우 외에 계약금액의 증액을 허용해야 한다. 기술력과 자금력의 부족한 중소기업의 일괄입찰에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하도급 규제의 완화가 필요하다. 무엇 보다 설계심의(기술위원, 평가위원)의 자격기준에 관한 개선방안이 이루어 져야한다. 발주청에서 자격기준에 부합하는 기술위원 명부를 작성하여 운행하여야 한다. 기술위원 명부에 포함되지 않은 위원을 각 발주기관의 사업특성에 맞게 전문 분야의 기술위원을 확보하여 시행 하여야한다. 기술위원회 명부를 폐지하여 로비를 방지할 수 있다. 참여 업체의 기술력확보와 지속적이며 효과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에 앞서 기업 스스로 기술독립, 기자재의 국산화, 기술투자, 인재개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여야한다. 위와 같은 제도 및 업체의 개선을 통하여 일괄입찰공사제도의 내실화를 꾀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전문성과 공정성, 신뢰에 기반을 둔 건설문화의 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주자, 시공자, 설계자를 비롯한 건설주체 모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1. 건설교통부(2000) “턴키, 대안입찰제도 업무요령” ,건설교 통부 2. 김광인, 서용철, 현창택(2001) “국내 대형공사의발주방식 선정절차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 김동현(2003) “턴키입찰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안” , 대한건축학회지, 대우건설. 4. 김성관(2006) “설계․시공일괄입찰제도의 설계변경에 따 른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경상대학교 산업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훈 외(2005) “턴키입찰-운영상의 문제점 개선방안 없 나 ” 한국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6 김정현(2005) “턴키입찰-운영상의 문제점 개선방안 없나”한국건설산업 연구원. 7. 대한건축사협회(2006) “턴키제도의 현황과 대안모색” , 대한건축사협회 제47권 제2호 8. 박태권(1995) “설계시공 일괄계약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중앙대박사학위논문. 9. 백준홍(1995) “정부시설공사 입찰계약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연세대 산업기술연구소. 10. 박광재(2003) “설계․기송 일괄공사에서 설계평가방식 개선방향” , 대한주택공사 수석연구원. 11. 박준기(2007) “건설계약관리론” , 일간건설신문. 12. 유신영(1996) “국내 공공공사의 설계시공 일괄계약방식 운용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한국건설선업연구원. 13. 이복남, 이종수(2002) “ 공사계약일반조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4. 이상호(2005) “입낙찰제도의 선진화 방안”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5. 전성진 외(2003) “턴키 프로젝트의 주요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6. 전증식(2007) “공공건설공사 낙찰방법별 계약체결 및 설계변경 현황 분석에 관한연구” ,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종문(1998) “설계시고일괄입찰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연세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달청(2005) “시설공사 계약제도와 실부” , 조달청 19. 황재우(2007) “설계시공일괄입찰공사에서 설계변경 클레입요인의 분석에 관한연구” ,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종엽(2009)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설계시공 입찰 설계심의 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립대 대학원 석사논문

      • 부산 컨테이너터미널 최적 ERP 시스템 구축 방안

        유동호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세계화로 터미널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존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가 터미널의 경쟁력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부산 컨테이너터미널은 양적 확장에 치중한 반면 관리와 운영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다소 소홀히 해 왔다. 그리고 대부분의 컨테이너터미널은 자사 운영시스템을 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개발함으로써 컨테이너터미널마다 상이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컨테이너터미널 개발과 운영 자체가 사업화 되고 있기에 향후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시스템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그래서 컨테이너터미널마다 다른 운영시스템을 표준화하고 국제화한 ERP시스템 형태의 통합 운영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문형 방식에 의존하던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시스템의 고비용, 비통합화, 개발기간의 장기화 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컨테이너터미널 ERP시스템이란 새로운 개념을 제안한다. 이 컨테이너터미널 ERP시스템은 통합된 운영시스템 구축, 개발기간의 단축, 개발비용의 절감, 쉬운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해 컨테이너터미널의 글로벌 사업에 전략적 도구로써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re enterprise-wide system that covers all the business functions and information resources, integrated database, built-in best industry practice, packaged software and open architecture. ERP enables reduction of system development time, flexibility, standardization of workflow and effectivebusiness planning capability. ERP is mainly for manufacturing industry. However, the principles of ERP can also be applied to container terminal operating systems. This paper presents an ERP system for container terminal. We have clustered the workflow of container terminal, and analyzed the business process to generate the best workflows. The integrated database is designed to eliminate redundancy and keep integration. The core of ERP for Busan container terminal is the planning facility such as berth planning and yard planning The planning capability is very tightly coupled with data flow from client entities such as shipping companies. The ERP can handles the existing problems of Busan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that are mainly caused by lack of integration of whole of information resource in container terminal, ad-hoc and poor planning capability, disconnected and incorrect data from client companies. ERP approach not only van resolve the problems of container terminals but also promote adoption of information systems for container terminals in the world that have not yet implemented terminal operation systems.

      • 로열티 프로그램 내 하위등급 소비자 : 지각된 부러움의 유형이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동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로열티 프로그램은 기업과 소비자와의 관계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도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 기업들의 로열티 프로그램 성과는 그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재무적 관점에서 로열티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한 선행연구들은 그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연구들은 로열티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를 설명하는 선행연구들이 주로 혜택을 받는 소비자들만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로열티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의 등급이 다양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않아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로열티 프로그램 내 하위 등급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3번의 실험을 구성되어 있으며, 실험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위 등급 소비자와의 등급 차이가 클 경우 혜택의 차이는 하위 등급 소비자들의 기업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등급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상위 등급 소비자와의 혜택 차이가 작을수록 하위 등급 소비자들의 기업 태도는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의적 부러움과 악의적 부러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 2와 3은 실험 1의 결과가 등급부여 방식에 따른 불확실성 지각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위 비율과 같이 불확실성이 높은 등급부여 방식에서는 실험 1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즉, 소비자 등급 차이가 클 경우 혜택의 차이는 하위 등급 소비자들의 기업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등급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혜택의 차이가 작을수록 기업 태도는 더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방문 횟수(실험 2a, 3)나 구매 금액(실험 2b)과 같이 불확실성이 낮은 등급부여 방식에서는 실험 1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즉, 소비자 등급 차이가 클 경우 혜택의 차이는 하위 등급 소비자들의 기업 태도에 여전히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등급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혜택의 차이가 클수록 그들의 기업 태도는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실험 2b는 상위 등급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는 혜택의 희소성 수준 역시 하위 등급 소비자들의 가치 지각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로열티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혜택과 소비자 등급의 차이에 따라 하위 등급 소비자들의 태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효과적인 로열티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Loyalty programs are effective tools in marketing and in managing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however, the financial impact of many loyalty programs rarely meets expectations. In this regard, recent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prior studies describing the positive effects of loyalty programs had focused on consumers who receive benefits from such programs. Furthermore, existing studies have not sufficiently examined whether the effect of loyalty programs can be influenced by various consumer tiers.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impact of loyalty programs by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lower-tier consumers. This research is comprised of three studies. The major results of Study 1 are as follow. Firs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higher and lower consumer tiers was large, the difference in benefits did not affect the lower-tier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 However, when the tier difference was small, lower-tier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 became more positive in the small difference in benefits than in the large difference in benefits. Additionally, Study 1 discerned the mediation effects of benign and malicious envy. Study 2 and 3 showed that the results of Study 1 differed from the uncertainty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ier system. In the highly uncertain tier system such as top ratio, th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Study 1. When the tier difference was large, the difference in benefits did not affect the lower-tier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 And when the tier difference was small, lower-tier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 became more positive in the small difference in benefits than in the large difference in benefits. However, in the lowly uncertain tier system such as frequencies of visiting (Study 2a, Study 3) or purchase amount (Study 2b), Study 2’s findings were differed from Study 1. Specifically, when the tier difference was large, the difference in benefits did not have an impact on lower-tier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 But when the tier difference was small,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 become more positive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benefits. Additionally, the findings of Study 2b suggest that the scarcity level of benefits given to higher-tier consumers has an impact on the value perceptions of lower-tier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ifferences in benefits provided by loyalty programs and in consumer tiers affect the attitudes of consumers in the lower tier.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management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loyalty programs.

      • 식품관련 범죄의 양형기준제도 준수현황 및 개선방안 : 「식품위생법」 위반 범죄를 중심으로

        유동호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 발전에 따라 국민들의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이에 대응한 정부의 계속된 불량식품 근절 노력에도 불구하고 식품범죄는 여전히 줄어들고 있지 않고 있다. 법원의 온정주의적 판결과 비슷한 사안에 대한 법원별 양형편차에 그 원인이 있다는 비판에 따라 2011. 7. 1부터 식품보건범죄에 대하여도 양형기준을 시행하고 있다.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양형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려면, 양형기준이 얼마나 준수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면 알 수 있다. 그러나, 2014년 대법원 양형위원회 분석자료에 의하면, 다른 범죄군별 양형기준 준수율은 90.9%인 반면, 식품보건범죄 양형기준 준수율은 78.3%에 불과하다. 또한, 2014년 기준으로 식품보건범죄의 양형기준 적용대상 사건의 비율은 15.2%에 불과하다. 결국, 식품보건범죄에 있어서는 거의 양형기준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에 이러한 양형기준이 준수되지 않는 이유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양형기준에 대한 분석과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도 조사를 통하여 공정하고 객관적인 양형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대체로 법원의 처벌은 적정하지 않다는 의견이 더 많았고, 양형기준 대상범죄에 ‘허위표시’와 ‘유해식품’이외에도 ‘무허가 영업’, ‘영업자 준수사항위반’ 등의 범죄에 대하여도 양형기준을 적용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허위표시’와 ‘유해식품’에 대한 법정형에도 벌금형이 선택형으로 하고 있는 입법취지에 비추어 벌금형에 대하여도 양형기준을 수립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현행 양형기준의 문제점으로 관대한 양형기준, 양형인자의 부적절성, 양형기준의 구속력, 과도한 법정형, 제한적 대상범죄 및 벌금형 기준의 부재, 양형이유 기재의 의무화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양형기준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토대로 양형기준 전반에 대한 재검토와 수정이 이루어져 더 바람직한 양형기준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result of recent advancement of society, quality of the food became one of the primary concerns of the public, and despite the continuous effort to eradicate adulterous food, the government has not been successful in decreasing the (crime) rate of related crimes. Following the public criticism that the present state is mainly attributable to the court's generous sentencing and its failure to set uniform sentencing policy, Supreme Court of Korea started to apply sentencing guidelines to food and health related crimes since Jul. 1, 2011. One easy way to evaluat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present sentences is to calculate judicial compliance with the sentencing guidelines. Only 78.3% of food and health related crime cases observed the sentencing guidelines established for food and health related crimes, which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criminal cases. And as of 2014, sentencing guidelines are applicable only to 15.2% of all food and health related criminal cases. Thus reaching to the conclusion that food and health related crimes are substantially not subject to the present sentencing guidelines. In this study, I tried to come up with more fair and objective method to modify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s, through analysis of present sentencing guidelines and interview with professionals from related fields. According to survey results, many thought that the present sentencing of the court was improper(too generous), and insisted that sentencing guidelines should not only be applied to 'false labeling' and 'sale of harmful food', but also to crimes such as 'unlicensed business' and 'violation of the obligations of the business operator'. Many also insisted that since the food sanitation act includes fines as an optional punishment for crimes such as 'false labeling' and 'sale of harmful food', sentencing guidelines for fine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legislative intent. In the following article, I pointed out generous sentencing guidelines, inadequate sentencing factors, binding forces of the guidelines, low number of applicable crimes, absence of sentencing guidelines for fines and obligation to enter reasons for sentencing as the problems of present sentencing guidelines. I expect further examination and research based on detailed analysis of the present sentencing guidelines will result in establishment of more proper sentencing guidelines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