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니어모델 교육프로그램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경빈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시니어모델 교육프로그램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 김 혜 경 패션미디어 & 스타일링 전공 유 경 빈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모델 교육프로그램 학습자들의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참여지속의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참여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만족도는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시니어모델 학습자의 모델교육프로그램 참여지속률을 향상시키고, 시니어모델 교육프로그램 운영 활성화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동기(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 중 어느 요인이 교육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참여동기 중(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 어느 요인이 참여지속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육만족도(프로그램 만족도, 강사 만족도, 직원 만족도, 물리적환경 만족도) 중 어느 요인이 참여지속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참여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만족도는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에 소재하고 있는 시니어모델 교육관 시니어모델 교육프로그램 학습자 500명을 대상으로 참여동기, 교육만족도, 참여지속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주요 변수들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기술통계량 분석,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설문 문항의 내적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신뢰도 분석, 분석할 모든 변수 간 상관관계의 수준 및 방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변수들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참여동기와 참여지속의도 간의 교욱만족도의 매개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동기가 프로그램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학습지향형과 목표지향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참여동기 중 학습지향이 프로그램 만족도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만족의 하위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프로그램 만족의 학위 요인인 강사만족에서 학습지향형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참여 동기가 직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역시 학습지향형이 직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학습지향형은 물리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 중 학습지향형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만족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프로그램만족도와 강사만족도, 직원만족도 및 물리적환경만족도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 관계에 있었다. 넷째, 참여동기 중 학습지향형이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프로그램만족도가 각 변인간의 부분매개역할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프로그램만족도가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관계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위 요인 중 강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강사만족도는 부분매개역할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강사만족도가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관계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시니어 모델교육 참여동기가 주관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

        유경빈 동덕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n subjectiv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caused by participation in senior model education. With the recent senior model craze around the world, New Senior Life, which is located in Korea, has opened senior model education cours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ince 2007, and 1,400 senior models aged over 50 have completed this course. The average age of these senior models is 65. The growth of senior model market is mainly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society, Present day,. the rise of senior model is unavoidable reality and should become a part of our culture. However, none of the study of senior model has been done until recently, so this study is aiming at understanding the senior models' subjectiv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through senior mode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92 senior models resid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ged over 55 who have completed or are currently attending the Senior Model Academy,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from this survey,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achieved. First, the participation in senior model education effects positively (+)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seniors. Second, the participation in senior model education effects positively (+) on the quality of life of seniors. Considering the significant result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the senior model education has function of enhancing subjectiv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of seniors as well as the function of education itself. In addition, it is distinguishable to the previous educations. The senior model is a trend due to rapid aging population and economic growth, it is expected the senior model can motivate seniors to have 2nd career beyond the activities for just hobby or leisure.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 모델교육 참여를 통하여 주관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시니어모델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2007년 시니어모델 교육을 시작한 ‘뉴 시니어라이프’를 통해 50세 이상의 시니어모델이 1.400명 이상 탄생하였다. 이들의 평균 나이는 65세이다. 이처럼 성장세를 보이는 시니어모델의 증가라는 사회적 현상 뒤에는 고령화라는 사회적 현상이 있다. 이러한 시니어모델의 증가는 피할 수 없는 현실로 점차 부각될 것이다. 그러나 시니어모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시니어모델 교육 참여자의 동기가 주관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니어모델 아카데미를 수료하였거나, 현재 수강 중이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19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방식으로 연구를 하였다.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 모델교육 참여동기가 시니어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시니어 모델교육 참여동기가 시니어들의 삶의 질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시니어의 모델 교육 참여 동기는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질에 유의함을 알 수 있다. 기존에 실시하던 노인교육과 차별화를 이루는 시니어모델 교육은 새로운 트렌드를 떠오를 만큼 많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여가뿐 아니라 직업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을 주며 제2의 삶을 위한 교육으로 확산되리라 기대된다.

      •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 속박감에 의해 조절된 반추의 매개효과

        유경빈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450 early adult males and females between the ages of 19 and 35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moderated by entrap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NSSI(Non-Suicidal Self-Injury). 320 data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2.0 program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4.0 developed by Hayes (202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NSSI.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positiv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NSSI, NSSI did not increase even if rumination increased, proving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se relationships.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rumination on NSSI was found to change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entrapment thus,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apment was confirmed in these relationship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high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NSSI increasing by rumination was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ntrapment.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moderated by entrap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NSSI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ladaptive perfectionism can be a useful personality trait in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NSSI.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rumination and entrapment, which are cognitive factors, can play a major role as risk factors of NSSI. Most of all, interventions that reduce entrapment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and preventive intervention for NSSI.

      • Blue의 상징성을 주제로 한 도자 조형 연구 : Blue Memory

        유경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구자의 내면에 눈물을 통해서도 해소되지 못한 우울한 감정이 쌓여 이를 받아드릴 수 있는 한계에 맞닥뜨렸음을 인식하고 연구 과정을 통해 우울한 감정을 마주하고 조형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이 감정들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에게 파랑은 유년시절 파란색을 좋아했던 친구와의 갑작스러운 이별에 대한 기억과 함께 슬픔의 첫 인상으로 남겨졌다. 또한, 성장하면서 배우고 깨닫게 되는 여러 가지 경험을 통하여 파란색은 연구자에게 우울함 그 자체의 색으로 고정되어 인식되었다. 따라서 연구자의 감정적 내면을 탐구하고자 이를 바탕으로 색채가 주는 감정적 의미를 고찰하고 색채 가운데 파란색이 내포하고 있는 역사적, 상징적 의미, 감정적 표현 등을 이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조형 예술을 통해 내면의 감정을 우울한 Blue를 사용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파란색이 가진 역사적 가치 변화와 여러 가지 다양한 상징적 이미지를 탐구하여 파란색에 대한 이해를 더 넓히고자 하였고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와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의 색채론을 통해 파랑의 우울함, 차가움, 어두움과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에 대한 근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자와 같은 우울한 감정의 색채로써 파랑을 사용한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와 연구자와 다른 의미로써 파랑을 사용한 이브 클랭(Yves Klein)의 작업을 분석하여 연구자에게 고정된 파랑에 대한 인식을 변화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작업에서 파랑은 우울함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내는 상징이며 모든 작업에서 나타난다. 연구자는 작업의 후반 과정에서 점점 파란 색채 자체를 우울함의 덩어리로 인식하면서 형태가 흘러내리는 액체상태로 변화한다. 변화된 액체 형태의 파란 덩어리는 연구자에게 눈물, 독, 흘러나오는 감정을 나타내는 형상이 되었고 연구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수단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마음속에 남겨진 우울하고 부정적인 감정들을 인식하고, 흙을 매체로 조형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내면의 우울한 감정을 Blue라는 색채를 상징적으로 사용하여 가시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recognizing that depressed emotions that could not be resolved through tears have accumulated inside the researcher. She has encountered limitations in accepting and expressing these emotions through the molding process. For the researcher, blue was left as the first impression of sadness with a memory of a sudden breakup with a friend who liked blue as a child. In addition, through various experiences learned and realized while growing up, the researcher recognized blue as the color of depression itself. Therefore, to explore the researcher's emotional inner side, the emotional meaning of color is considered based on this. The historical, symbolic, and emotional expression of blue among colors examined theoretically to express inner emotions using gloomy blue. Based on this, we explored the changes in historical value and various symbolic image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blue. Moreover, explore the sources of negative images such as blue depression, coldness, and darkness through the color theory of Johann Wolfgang von Goethe and Wassily Kandinsky. In addition, we tried to change the researcher's perception of blue by analyzing the work of Pablo Picasso and Yves Klein. Picasso used blue as a color of negative emotions as the researcher, and Klein used blue differently from the researcher to change the perception of waves fixed to the researcher. In the researcher's work, blue is a symbol that reveals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ppears in all works. In the later part of the work, the researcher gradually recognizes the blue color itself as a lump of depression and changes into a liquid state in which the shape flows. The blue lump in the form of a changed liquid became a shape that showed tears, poison, and flowing emotions to the researcher and became a means of directly revealing the researcher's emotion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ims to be meaningful to recognize the depression and negative emotions left in her mind and to express the inner depression symbolically by using the color Blue to work on the soil in a visible form.

      • 감각유산 체험성향에 따른 미식관광동기와 러브마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제주도지역 방문자를 중심으로

        유경빈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물질 풍요의 세상 속에서, 현대인들은 단순한 관광이 아닌 정신적인 안위와 치유를 원한다. 오감을 회생할 수 있는 감각유산 체험성향과 미식관광동기 또한 감성을 자극하는 여행지의 러브마크 인식 정도가 클수록, 그 여행지에 대한심리적인 만족도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통해, 장기지향적인 관광객의 감성과 관광지의 러브마크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지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관광지에서 느꼈던 감각유산체험성향 (시각, 소리, 향기, 감성, 정취, 미각, 촉각)과, 미식관광동기 ,러브마크(친밀, 신뢰, 감성, 신비, 평판, 성과)가 관광객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목적을 토대로 하였다. 국내-외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에 의거하여, 감각유산체험성향, 미식관광동기, 러브마크간의관광만족도 선행연구를 정리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의 완성과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에 기초한 실증분석으로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들이 느끼는 만족도와 상기 세 가지 요소의 영향관계를 관광산업에 바로 활용 할 수 있는 경험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문화관광지의 차별화 전략과 효과적인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유산 체험성향의 인식이 높을수록 러브마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관광객이 제주 지역 감각유산으로부터 느끼는 감각적인 반응이 그 지역에 대한 열렬한 사랑의 러브마크 관계로 이어지는 이론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감각유산 체험성향의 인식이 높을수록 미식관광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며, 현대사회에서 미식은 단순한 여행의 기초 동기 이상의 의미로 인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식관광동기와 러브마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하여 미식관광동기는 모두 높은 유의적인 결과를 도출하였고 러브마크의 경우 감각, 성과, 신비감의 부분적인 요소들이 충족될 때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식이 주는 만족감을 극대화 하고 관광지에 대한 환상과 감각적인 요소, 체험의 성과가 충족 될 때에 관광지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이론적인 결과로 예상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감각유산체험성향인식이 관광지 러브마크와 미식관광동기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점이 주는 긍정적인 만족도를 지속적인 관광지 발전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제주지역의 관광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러브마크가 높은 제주도 고유의 감성적인 감각유산을 제주음식관광의 중요요소들과 엮어 체험관광산업의 콜라보를 통한 장기적인 정책수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핵심용어 감각유산체험성향, 러브마크, 미식관광동기, 만족도 Today, in the materialistic world, people desire something beyond plain sightseeing experience. For instance, people would seek experiences of spiritual comfort and restoration. Places that provide sentimental heritage experience, gourmet tourism and lovemark can revitalize the five senses and stimulate sentiment will enable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us, further study focusing on emotional sensibility of travellers who are long-term oriented and lovemark of sightseeing would be critical.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Korean travellers who have visited Jeju Island. The purpose is to examine potential positive influence of sentimental heritage experience (sight, sound, smell, emotion, mood, taste, touch), gourmet tourism, and lovemark (intimacy, trust, emotion, mystery, reputation, outcome) on satisfaction level of tourists.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this research aggregates and analyzes preced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on sentimental heritage experience, gourmet tourism, and lovemark satisfaction.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complet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o verify how aforementioned three factors affect satisfaction level of tourism. In addi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the study recommends a way ahead for how to implement the impact of the aforementioned tri-factors--sentimental heritage experience, gourmet tourism, and lovemark satisfaction--to the tourism industry and how to apply lessons learned for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site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Higher sentimental heritage experience tendency leads to significant impact on lovemark. The theoretical result demonstrates how the sensory experience on Jeju local heritage sites leads to the creation of strong lovemark relationship between Jeju travellers and Jeju Island. Furthermore, higher sentimental heritage experience tendency affects gourmet tourism. This suggests gourmet lifestyle can be understood as something more than one of many motives for travelling but indeed a key factor in the modern world. The assessment on how gourmet tourism motive and lovemark affect the level of satisfaction shows high correlation between gourmet tourism and satisfaction; and demonstrates correlation between lovemark and satisfaction can stand when sensory, achievement, and mystery aspects are fulfilled. The theoretical outcome implies the satisfaction of tourist sites rely on maximization of gourmet experience and fulfillment of sensory experience.   This study indicates that sensory heritage experience tendency does affect lovemark and gourmet tourism motive. And, it offers a strategic perspective on utilizing these factors to increase positive satisfaction that would eventually lead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tourist sites. In order to enhance brand value of Jeju Island as a tourist destination, it is essential to form a tourism policy that could devise a long-term formula composed of local sensory heritage sites and unique food experiences.

      • LaGaO3계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La0.2Sr0.8TiO3 대체 연료극 특성 : La0.2Sr0.8TiO3 as an Alternative Anode for use in LaGaO3-based Solid Oxide Fuel Cell

        유경빈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Solid Oxide Fuel Cell (SOFC) is an electrochemical device that converts the chemical energy of combustible fuels into electrical energy. Since a SOFC employing YSZ (Yttria Stabilized Zirconia) requires high operating temperature (7501000oC), much efforts have been concentrated on finding electrolyte materials having high oxygen-ion conductivity to lower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SOFC. LaGaO3, doped with Sr for A-site and Mg for B-site, typically La0.9Sr0.1Ga0.8Mg0.2O3-δ (hereafter referred to as LSGM) is a promising material that serves such a need. The typical anode materials are Ni-based anodes where Ni is mixed with an electrolyte material, such as YSZ or Gd-doped ceria (GDC). Although this Ni-based anode shows good performance in H2, it has many operational problems that impedes its utilization. A critical problem is the deactivation of Ni-based anode by carbon deposits when exposed to hydrocarbon fuels. The Ni-based anode activate hydrocarbon cracking and facilitate the formation of carbon-carbon bond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solid carbon deposits. In addition, Ni-based anode has poor tolerance to small amounts of H2S in the fuel. Ni-based anode also has the sintering problem of Ni particles and the Ni-NiO volume-change problem during the redox cycling at SOFC operating temperature. Most of all, the interfacial reaction between Ni and LSGM results in a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 For example, the formation of an insulative-phase LaSrGa(Ni)O4-δ and LaNiO3 was reported under high temperature sintering (>1350oC). A La-doped SrTiO3 is a candidate as an alternative anode material to solve the problems of Ni-based anode. La-doped SrTiO3 has many advantages as an anode material such as good chemical stability, high electronic conductivity under reducing conditions, strong carbon deposition resistance, and high tolerance of sulfur in the fuel.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of La0.2Sr0.8TiO3-δ(LST) was selected due to its high electronic conductivity under low PO2, redox-cycle stability and TEC compatibility with electrolyte materials. Thus, LST was applied on the LSGM electrolyte in this study, and its possible usage as an alternative anode material for intermediate temperature SOFCs has been studied.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LST-based anode was optimized by the controlling parameters (ex. composite ratio, weight of impregnated-Ni, heat schedule of impregnation, doping ration of acceptor, and etc.). A single-phase LST and an LST-GDC composite were tested as the possible anodes on LSGM electrolyt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anodic performance, Ni was impregnated into the LST-GDC composite anode. The performance was examined from 600oC to 800oC by measuring impedance of the electrolyte-supported, symmetric (anode/electrolyte/anode) cells. The polarization resistance (Rp) of LST-GDC anode was much reduced from that of LST anode. When Ni was impregnated into LST-GDC composite, the Rp value was further reduced to ~10% of the single-phase LST anode. Furthermore, LST–GDC anodes of various compositions (LST/GDC ratios) were evaluated in order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composite anode. A LST30-GDC70 (LST:GDC = 30:70 wt%) composite anode showed the lowest polarization-resistance value at 800oC (Chapter 3, 4). In order to improve the anodic performance of LST, Co (1, 2, 4, 8 mol%) was doped. The Rp of anode was minimum for 2mol% Co-doped LST (LSTC2) at 600oC in 5% H2+95% Ar. While the Rp of LST anode rapidly increased with time, e.g., ~1.6 times after 8 h, the Rp of 1 or 2 mol% Co-doped LST was relatively stable with time (Chapter 5). Ni was impregnated into LST anode with various Ni-weight ratios since impregnated-Ni weight was not optimized to show the best anode performance. When the impregnated Ni-contents in anode was over 19 wt%, it was shown that the good performance of Ni-impregnated anode was stabilized. This result was comparable with the Ni-percolation study shown in porous GDC bulk. The maximum power-density (MPD) of cell with Ni-impregnated LST anode was 460 mW/cm2 at 800oC (Ni-contents: 37 wt%, thickness of electrolyte: ~500㎛) (Chapter 6). The long-term stability of SOFC performance using the LST-based anode in H2 and CH4 fuel has been investigated. The stability were tested on two single cells with different anodes; La0.6Sr0.4Co0.2Fe0.8O3-δ (LSCF, cathode) / LSGM / Ni-GDC (anode), and LSCF (cathode) / LSGM / Ni-impregnated LSTC-GDC (anode). The performances of two single cells were compared for 30 hours in H2 and CH4. In H2 fuel, the performance of cell with Ni-GDC anode was almost stable. However, the MPD of cell with LST-based anode increased from 638 to 924 mW/cm2 at 800oC during 30 hours (Ni-contents in anode : 19 wt%, thickness of electrolyte : ~ 250㎛). From the impedance analysis, the increase was due to the decrease the Rp of anode. In CH4 fuel, while the cell performance with Ni-GDC decreased ~25% during 30 hours, that with LST-based anode was relatively stable during 30 hours. In this study, LST-based anode exhibited good tolerance to hydrocarbon fuels compared to conventional Ni-based anode (Chapter 7).

      • 통근시간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유경빈 고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사회자본이 취업, 빈곤, 사회문제, 경제발전, 민주주의 등과 관련하여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아래 이러한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통근시간을 설정하여 통근시간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도시의 팽창으로 인해 직주불균형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사람들은 장거리 통근과 장시간 통근을 하게 되고, 이것은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시간 통근이 사람들이 참여하고 형성하는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는 2014년에 수집된 <서울시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다. 결론을 요약하면, 직장인들의 사회자본은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자본을 측정하는 변수인 호혜성과 결사체 참여, 신뢰를 살펴보면, 호혜성과 결사체 참여는 통근시간이 증가하면 호혜성과 결사체 참여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혜성은 통근을 하면서 마주치는 기부 캠페인이나 대중매체를 통한 기부에 대한 광고 등을 접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호혜성도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결사체 참여가 증가하는 것은 통근시간이 길면 통근여정 사이에 다른 일을 할 여지가 통근시간이 짧은 직장인에 비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신뢰는 낮아지는 것으로 보이는데 한국사회가 기본적으로 신뢰가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신뢰가 낮은 한국사회에서 통근시간이 길어지면 신뢰가 더욱 낮아지는 악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신뢰의 감소는 사회자본을 측정하는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뢰가 낮아진다는 것은 호혜성과 결사체 참여도 시간이 흐를수록 낮아지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사회에서 사회자본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통근시간의 증가를 유발하는 측면이 제고되어야 한다. 서울은 직장과 거주지가 분리되어 있어서 통근시간이 늘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고 직주근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들의 사회자본은 감소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