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한국 대학생의 소음성 난청 캠페인 효과 비교

        위리쥔 우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음성 난청 예방 캠페인을 실시하고 캠페인이 중국-한국 대학생들의 건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중국은 최근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룬 동시에 일상생활에서 소음에 노출되는 비율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인들은 소음성 난청 예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중국인들에게 효과적인 소음성 난청 예방 캠페인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구 참여자는 대전 지역에 있는 한국으로 유학을 온 중국 대학생들과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캠페인을 실시한 후 중국-중국 대학생 각 48명, 100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29일에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캠페인은 건강신념 척도를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캠페인 실시 후 사전·사후 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한국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캠페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캠페인 내용 중 포스터 전시, 가상 난청 체험, 보청기 시범 착용, 인터뷰 영상, UCC 영상, 서약서 작성하기는 중국-한국 대학생들 모두 만족했다고 응답하였으며 한국 학생들보다는 중국 대학생들의 만족도가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캠페인 전·후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심각성 그리고 지각된 자기 효능감에서는 중국-한국 대학생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지각된 장애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캠페인 후 지각된 유익성과 자기 효능감 사이에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캠페인 전·후 중국-한국 대학생들의 건강신념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지속적인 캠페인을 통하여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기 위한 활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The Effects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Breathing Exercises on Respiration Function, Head Posture, and Cervical Range of Motion for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위리쥔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전방 머리자세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호흡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운동과 등뼈 폄 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을 적용하여 호흡기능, 머리척추각, 머리회전각, 목 관절 가동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 총 30명을 무작위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각 15명씩 배정하였다. 한 그룹은 호흡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을 하였으며, 다른 그룹은 등뼈 폄 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을 하였으며, 4 주간 운동 후 호흡기능, 머리척추각, 머리회전각 및 목 관절 가동 범위 변화를 다시 측정하였다. 호흡기능 비교에서 호흡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에 FVC, FEV1, PEF, FVC/VCmax%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등뼈 폄 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의 경우 FVC, FEV1, FVC/VCmax%만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두 그룹 간 비교해서 그룹 간 중재효과에 대해서는 등뼈 폄 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보다 호흡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머리자세 비교에서 호흡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과 등뼈 폄 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에 CVA, CRA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두 그룹 간 비교하여 그룹 간 운동효과에 대해서는 호흡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보다 등뼈 폄 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목 관절가동범위 비교에서는 호흡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과 등뼈 폄 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에 폄, 굽힘, 오른쪽 옆 굽힘, 왼쪽 옆 굽힘, 오른쪽 돌림, 왼쪽 돌림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두 그룹 간 운동효과에 대한 비교에서는 호흡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보다 등뼈 폄 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의 폄, 굽힘, 오른쪽 옆 굽힙, 왼쪽 옆 굽힘 높은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결과적으로, 자세정렬과 목 관절 가동범위를 위해서는 등뼈 폄 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을 추천하고, 자세정렬과 호흡기능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면 호흡운동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을 추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breathing exercises and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thoracic spine extension exercises on the respiratory function, head posture, cervical range of motion(ROM)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It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15 in each group. One group was asked to do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breathing exercises(CB) and the other group was asked to do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thoracic spine extension exercises(CT), and after four weeks of exercise, the changes of respiratory function, head posture, and cervical range of motion were measured again. The result of respiratory fun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B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of FVC, FEV1, PEF, and FVC/VCmac% (p<.05). The CT group on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FVC, FEV1, FVC/VCmac% after the experiment(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different values of FVC, FEV1, PEF, and FVC/VCmac%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B group compared to the CT group(p<.05). The result of head posture(CVA, CR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s in the CB group and CT groups(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different values of CVA and CRA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T group compared to the CB group(p<.05). The result of cervical RO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s in the CB group and CT groups(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different values of extension, flexion, right rotation, left rotation, right bending, and left bend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T group compared to the CB group(p<.05). As a result, to improve posture alignment and cervical range of motion,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thoracic spine extension exercises are recommended. And the purpose is to promote posture alignment and respiratory function,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breathing exercises are recommended.

      • The Effects of Cervicoscapular Complex Exercises with Jaw Exercises on Mastication and Cervical Muscles Biomechanical Properties and Head Posture for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위리쥔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combining cervicoscapular complex exercises with jaw exercises and performing cervicoscapular complex exercises alone on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head posture, range of motion of mouth open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astication and cervical muscle, pressure pain threshold, and muscle activity. The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The study included 34 subjects with FHP,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7 subjects who performed cervicoscapular complex exercises with jaw exercise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7 subjects who performed cervicoscapular complex exercises alone. Both groups had the same total exercise time. Measurements were taken for head posture, range of mouth opening, muscle properties, pressure pain threshold, and muscle activity. After a 4-week treatment period, all subjects underwent a follow-up evaluation conducted by the same examiner. Measurements were repeated for head posture, mouth opening range, muscle properties, muscle pressure pain threshold, and muscle activity. Subjects with FHP met specific criteria related to cranial vertical angle (CVA) and cranial rotation angle (CRA). The range of motion of the mouth opening was measured using an electronic digital caliper. Muscle properties (muscle elasticity, muscle tone, and muscle stiffness) were assessed using the Myoton device. Pressure pain threshold was measured using digital pressure algometer. Muscle activity was recorded using a wireless electromyography system.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asurement period and the group, as well as the intra-group effect across the measurement period, a two-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Bonferroni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and Bonferroni adjustment was applied to mainta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α<.025. For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Within-group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head posture, as measured by CVA and CRA,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exercises (p<.05). However,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05). Regarding mouth opening range of motion (ROM), including comfortable mouth opening (CMO), maximum mandibular opening (MMO), left lateral excursion (LLE), right lateral excursion (RLE), and protrusive excursion (PE),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observed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exercises (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the PE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Muscle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muscle elasticity, muscle tone, and muscle stiffnes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exercises (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the control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greater muscle tone and stiffness i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05). Additionally, the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muscle tone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muscle tone and stiffness in the masseter muscl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also had significantly greater muscle stiffness in the temporalis anterior muscl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Muscle pressure pain threshol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the control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pressure pain threshold i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upper trapezius muscl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05). During rest and movement, muscle activity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upper trapezius muscle, and temporal anterior muscle demonstrate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the exercis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the control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muscle activity i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upper trapezius muscl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05). During biting, the masseter muscle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fter the exercis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05). During rest, the masseter muscle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the exercis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05). As a result, cervicoscapular complex exercises, focusing on the cervical and thoracic regions, have demonstrated effectiveness in treating head postures, improving muscle pressure pain threshold, and enhancing muscle function in subjects with FHP. Moreover, for FHP subjects experiencing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incorporating jaw exercises into the cervicoscapular complex exercises has shown promise as an effective treatment approach to alleviating this associated symptom.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further research and studies are necessary to validate and explore the efficacy of these treatment methods in a larger and more diverse population. Additionally,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impact on FHP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is needed to optimize treatment outcome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턱 운동을 동반한 목 어깨 복합 운동을 결합하여 수행하는 것과 목 어깨 복합 운동만 수행하는 것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머리 자세, 입을 벌리는 범위, 저작근 및 목 근육의 기계적 특성, 압력 통증 역치 및 근활성도 등 다양한 매개변수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전방 머리 자세를 가진 34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실험 그룹은 턱 운동을 동반한 목 어깨 복합 운동을 수행하는 17명의 참가자로 구성되었고, 대조 그룹은 목 어깨 복합 운동만 수행하는 17명의 참가자로 구성되었다. 두 그룹은 동일한 총 운동 시간을 가졌다. 머리 자세, 입을 열 수 있는 범위, 근육의 특성, 압력 통증역치 및 근육 활동을 측정하였다. 4주간의 치료 기간 이후, 모든 참가자는 동일한 검사자에 의해 후속 평가를 받았다. 머리 자세, 입을 열 수 있는 범위, 근육 특성, 압력 통증역치 및 근육 활동에 대한 측정이 다시 이루어졌다.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참가자들은 두개 수직각과 두개 회전각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준을 충족하였다. 입을 열 수 있는 범위의 움직임은 전자 디지털 캘리퍼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근육 탄력성, 근육 긴장도 및 근육 경직도는 마이오톤 장치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압력 통증역치는 디지털 압력 알고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근육 활동은 무선 근전도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측정 기간과 그룹 간의 상호 작용 및 측정 기간 내 그룹 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이원 반복 측정 분산분석이 수행되었다. 사후 분석은 본페로니 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되었으며, 본페로니 보정이 적용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α<.025로 유지되었다. 두 그룹 간의 비교를 위해 독립 표본 t-검정이 수행되었다. 개입 전후의 그룹 내 차이는 대응 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는 운동 이후 실험 그룹과 대조 그룹 모두에서 두개 수직각도와 두개 회전각도로 측정된 머리 자세의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p<.05). 그러나 그룹간 비교에서 대조 그룹이 실험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5). 편안한 입을 벌림, 최대 입을 벌림, 왼쪽 측방 이동, 오른쪽 측방 이동 및 전방 이동을 포함한 입을 벌림 범위에 대해서도 실험 그룹과 대조 그룹 모두 운동 후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p<.05). 그룹간 비교에서 실험 그룹의 전방 이동은 대조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5). 근육 탄력성, 근육 긴장도 및 근육 경직도를 포함한 근육 기계적 특성도 운동 후 실험 그룹과 대조 그룹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p<.05). 그룹간 비교에서 대조 그룹은 실험 그룹에 비해 흉쇄유돌근의 근육 긴장도와 근육 경직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05). 게다가 대조 그룹은 실험 그룹에 비해 상부 승모근의 근육 긴장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 그룹은 대조 그룹에 비해 굴곡근의 근육 긴장도와 근육 경직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05), 그리고 실험 그룹은 대조 그룹에 비해 앞측두근의 근육 경직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05). 근육 압력 통증 역치는 실험 그룹과 대조 그룹 모두에서 운동 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그룹간 비교에서 대조 그룹은 흉쇄유돌근과 상부 승모근 근육에서 실험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근육 압력통증 역치를 보였다 (p<.05). 휴식 및 물어뜯기 동안, 흉쇄유돌근, 상부 승모근, 앞측두근의 활동은 운동 후에 실험 그룹과 대조 그룹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05). 그룹간 비교에서 대조 그룹은 실험 그룹에 비해 흉쇄유돌근및 상부 승모근에서 유의하게 높은 근육 활동을 보였다 (p<.05). 물어뜯기 동안, 굴곡근 활동은 운동 후에 실험 그룹과 대조 그룹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5). 휴식 중에는 굴곡근 활동이 운동 후에 실험 그룹과 대조 그룹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 (p<.05). 결과적으로, 경추와 흉추 지역에 중점을 둔 턱 운동을 동반한 목 어깨 복합 운동은 전방 머리 자세를 가진 환자의 머리 자세 치료, 근육 통증 한계 개선 및 근육 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대상자 중 턱관절 기능 장애를 겪는 대상자들에게 턱 운동을 동반한 목 어깨 복합 운동에 통합하는 것이 이와 관련된 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치료 접근법으로 보여졌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 방법의 효과를 더 크고 다양한 인구를 대상으로 검증하고 탐구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와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전방머리자세와 턱관절 기능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이해하여 치료 결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