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색의 심미적 감성에 대한 보편성과 독특성 기제

        원선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design, its realm is being expanded increasingly by being responsible for the social communication using the appealing point which compromised between reason and emotion, target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vision, and by having the connection with all human activitie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value of life. In this situation of the time when the plans are made through a medium of design, images get to be increasingly in charge of important role. The images in design are the practical shapes delivered through the visual sensation. Among many elements composing these images, colors are the important variables controlling the sensitivity, and especially, the coloration, delivering the aesthetic impression through the harmony of more than two colors, plays a role to increase the effects of affluent and various sensitive experience and memory, beyond the design function. The aesthetic impression is an important function which could not be ignored in design area. Based on this importance of colors, the investigation on aesthetic sensibility has to begin through the consilient approach with the studies in other fields, as well as the design approach. Thus, this study would attempt to examine the sensitivity mechanisms of th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n the aesthetic impression appearing in colorat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neuroaesthetics’ that the specific brain region may be involved in the aesthetic judgment when accepting the images and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es. Through this, I am going to present the new perspective in expressing and interpreting the colors in the design area, through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essence on visual perception mechanism of colors and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n aesthetic impression of coloration, in images, by connecting them with the brain functions. The first study problem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n the aesthetic universality of coloration, and in contrast-similarity colorations, the conditions in neighboring and separating colorations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preference between both coloration conditions as a dependent variable. At this moment, both cases were analyzed independently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universal aesthetic impression might be different between the neighboring coloration and separating coloration, and also, 2 and 3 coloration conditions were analyzed additional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difference mechanism on the aesthetic uniqueness of coloration, the second study problem, after the 5 factors of individual difference, such as gender, brain hemisphere dominanc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major, and ordinary color interest degree,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contrast-similarity coloration preference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by considering it as the unique aesthetic impressio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ccordingly, examining the identified results in this study, in the universal aesthetic impression appearing in coloration, the usage of similar colors was proved in the condition where two colors were separated. This principle could be considered as the result where Gestalttheorie, that the human vision will increase the perceptual effect though grouping the objects to perceive in the certain space and this perceptual principle can get the satisfactory aesthetic sensibilities, also, was identified in the coloration principle. In other words, in the separating coloration, the universal preference appeared as a visual mechanism of grouping, with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groups, through which I could see that it was involved deeply with the universal aesthetic impression. As for the unique aesthetic impression of coloration, the brain preferenc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results of preference coloration based on majors appeared as the most remarkable features. Through this result, I could confirm that a variety of personal conditions have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coloration preference. According to the neurological research, the brain structure would change along with it due to the various environmental effects when the brain develops, which appears as the personal attributes, and it could be analyzed as it would be the result of study which confirmed that the value relation of coloration also might be changed based on each person. This study on the aesthetic sensibility of coloration tri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universal or unique double sensibility structure appearing to human beings through neuro-esthetic approach, starting from investigating the human neuro-physiological structur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visual and color perceptions, and accordingly, by providing more substantial base line data on the aesthetic color perception, tried to approach the expressions matching with the functions in utilizing the coloration, the fast element for information delivery,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aesthetic sensib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of colors through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in various areas,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importance in modern society, beyond the design field. 디자인은 시각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목적으로 이성과 감성을 절충한 소구점을 활용해 사회적 소통을 책임지고, 삶의 질적 가치향상을 위한 인간의 모든 활동과 관련성을 가짐으로써 그 영역이 점점 더 확장되고 있다. 디자인을 매개로 설계되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이미지의 소통은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디자인에서 이미지란 시감각을 통해 전달되는 실질적 형상이다. 이러한 이미지를 이루는 많은 요소들 중에서 색채는 감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특히 두 색 이상의 조화를 통해 심미성을 전달하는 배색은 디자인의 기능을 넘어 풍부하고 다양한 감성적 경험과 기억의 효과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심미성은 디자인에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기능이다. 이러한 색채의 중요성을 기반으로 심미적 감성에 대한 탐구는 디자인적 접근뿐만 아니라 타 분야의 학문과 통섭적인 접근을 통해서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지를 받아들일 때 미적 판단에 대해 특정 뇌 영역이 관여한다는 ‘신경미학neuroaesthetics’의 해석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배색에서 나타나는 심미성에 대한 보편성과 독특성의 감성 기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미지에서 색채의 시지각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본질과 배색의 심미성에 대한 지각적 특징을 뇌의 작용과 연결시켜 이해하는 시도를 통해 디자인 영역에서 색채를 표현하고 해석하는 데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배색의 심미적 보편성에 대한 기제를 알아보는 것으로, 대조–유사 배색이 근접, 분리 배색에서의 조건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두 배색 조건에서의 선호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였다. 이때, 근접 배색과 분리 배색에서의 보편적 심미성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 하에 두 가지 경우를 독립적으로 분석하였고, 2배색과 3배색 조건에 대해서도 추가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배색의 심미적 독특성에 대한 개인차 기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뇌반구 우세성, 성격특성, 전공, 일상적 색 관심도 등의 다섯 가지 개인차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대조-유사 배색 선호도는 독특적 심미성으로 간주하여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설문을 통해 연구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면 배색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심미성에는 두 색이 분리되어 있는 조건에서 유사색의 사용이 입증되었다. 이 원리는 인간의 시각은 일정한 공간 안에서 지각 대상들을 그룹화 하는 것으로 지각 효과를 높이고, 이러한 지각원리는 만족스러운 심미적 감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게슈탈트 법칙이 배색의 원리에서도 확인된 결과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분리배색에서는 연구 집단 간의 차이 없이 보편적 선호가 그룹화라는 시각기제로 나타나 보편적 심미성에 깊게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색의 독특적 심미성에 관해서는 뇌선호성과 성격 특질, 그리고 전공에 따른 선호배색의 결과가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의 다양한 조건은 배색선호와 상관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경학 연구에 따르면 뇌 구조는 뇌가 발달할 때 다양한 환경의 영향으로 함께 변해 개인적 특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배색의 가치관계 또한 개인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 결과라 분석되어 진다. 배색의 심미적 감성에 대한 본 연구는 시지각과 색채 지각의 이해를 기초로, 인간의 신경 생리적 구조를 알아보는 것으로 시작해서 신경미학적 접근을 통해 인간에게 나타나는 보편적이거나 독특적인 이중적 감성구조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로서 심미적 색채지각에 대한 좀 더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정보 전달의 가장 빠른 요소이자 미적 감성을 책임지는 배색의 활용에 있어 기능에 맞는 표현에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색채의 활용은 디자인 분야를 넘어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 확장에 따른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 효과적인 판매촉진을 위한 쇠고기 브랜드 연구 : 수입 쇠고기 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원선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information and capitals are circulating fas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apitalistic market, market competition among products are increasing intensely. To cope with the competition, market participants are developing brands for their products. With a brand, producers can enhance the recognition of their products and receive a good price, and consumers can buy high?quality, safe and reliabl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For these advantages, local self?governing bodies and individual farms throughout the country are introducing brands as a strategy for advertising their locality and thus raising their income. The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 brands as a means of protecting and maintaining the domestic agricultural and stock raising industry and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However,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livestock product brands are limited to wide?area brands in the unit of city or province centering on local self?governing bodies and the Korea Federation of Livestock Cooperatives. This situation has a revers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livestock product brands and shows many problems and limita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the markets of all livestock products have been opened and it is exposed to compete with low?price and high?quality imported livestock products, domestic products cannot survive in the livestock product market by insisting on Korean native products and developing wide?area brands (Korean native cattle brands). Rather, it is necessary for companies to operate fattening farms and to select and accept products guaranteeing safety and quality among imported livestock products. For the development of wide?area brands, it is urgent to develop business management?oriented integrated livestock product brands that allow the import of livestock products through safe routes and distribution networks in the domestic livestock product market. Thu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brand development of beef, an item that fell behind in the business management?oriented development of brands among domestic livestock produc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ompetitive brands for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livestock farmers, meat wholesalers and meat processing companie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domestic livestock product marke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livestock product brands and surveyed related cases, identified problems in the livestock product brands, and suggested practical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is study made a business management?oriented beef brand with BI. In addition, based on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of existing livestock product brands and literature review, we developed a specific livestock product brand identity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activating the brand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a brand platform.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a brand and its value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vision of the brand should be presented to consumers. For this, we need to analyze consumers, markets, industries, and competitors, to identify unsatisfied desires and contemporary trends, to reflect the brand company’s philosophy and mission, and to form the brand identity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Second, there should be a brand identity manual system. In developing a brand, we should develop various visual identity elements constituting the brand image including brand name, logo, character, package design and slogan. Third, the brand identity established based on the company’s philosophy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unified concept of all components and activities at contact points with consumers. Only the steady and thorough management of the identity can move consumers’ mind. When these directions for activation are observed continuously, the company will not only attain survival and prosperity but also raise profits and furthermore enhance the company’s brand value. Moreover, the company should survey consumers’ preference for the brand through periodical brand research. The company should be aware of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s and trends of the market. A limitation of the present case study on livestock product brands is that it covered only domestic literature, researches and cases and did not include foreign cases in concert with today’s globalization of the livestock product market. In this research, our effort was limited to brand development for survival in the domestic livestock product market but we expect the development of brands to be highly competitive in the world market. We also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materials in developing other brand identity of livestock products and that the importance of and people’s concern over the brand identity of domestic livestock products may be extended further. 자본주의 시장 원리에 따라 정보와 자본의 소통이 원활해지면서 제품 간 시장 경쟁이 심화될수록 제품의 브랜드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산자는 상품의 인지도를 높여 보다 좋은 가격을 받을 수 있으며 소비자는 질 좋고 안전한 농·축산물을 믿고 살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농가 개별적으로도 지역 홍보와 함께 소득증대 전략으로 브랜드를 도입하고 있다. 이후 국내 농·축산업의 보호와 유지 및 경쟁우위를 지키기 위한 대처 방안으로 정부에서도 농·축산물의 브랜드화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국내 축산물 브랜드화 현황은 지역자치단체와 축협을 중심으로 한 시·도 단위의 광역브랜드로만 제한되어 있다. 이는 국내 축산물 브랜드 발전에 역효과를 주며 많은 문제점과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사실 모든 축산물이 개방되어 저가의 품질 좋은 수입 축산물과의 경쟁이 불가피 한 시점에서 우리 것만을 고집하며 광역브랜드(한우브랜드) 개발만으로는 축산물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오히려 기업들이 중심이 되어 비육성농장을 운영하며 경쟁력 있는 브랜드를 갖추고 수입 축산물 중에서도 안전하고 품질 보증된 제품을 선별하여 받아드려야 할 것이다. 광역브랜드 발전의 필요성만큼 국내 축산물 시장에서 안전한 경로와 유통망으로 축산물을 수입할 수 있는 기업경영 중심의 축산물 통합 브랜드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국내 축산물 브랜드 중에서도 기업경영 위주의 개별브랜드 발전이 취약한 쇠고기 브랜드를 중심으로 개발·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급변하는 국내 축산물 시장의 환경 속에서 축산업체와 그에 따른 식육도매회사 및 육가공 회사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브랜드 구축이 절실하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축산물 브랜드화의 현황 및 특징을 분석하고 그 사례를 조사 연구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여 그 개선방안을 실무적인 차원에서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판매촉진을 위한 수입 쇠고기 브랜드를 BI로 제작하였다. 또한, 기존 축산물 브랜드의 사례조사와 문헌을 통해 얻은 자료를 토대로 구체적인 축산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여 그 활성화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브랜드 플랫폼을 가져야 한다. 브랜드의 존재이유와 존재가치를 정립하여 소비자들에게 기업의 브랜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소비자, 시장, 산업, 경쟁사를 분석하고 미 충족 욕구와 시대적 트렌드를 파악하고 기업의 철학과 미션을 반영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체계적으로 또한 지속적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 매뉴얼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브랜드 이미지를 구성하는 브랜드 네임, 로고, 캐릭터, 패키지 디자인, 슬로건 등 브랜드 개발에 시각아이덴티티 요소를 보다 전략적으로 세밀하게 갖추어야 한다. 셋째, 기업의 정신을 바탕으로 정립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소비자와 만나는 모든 접점에 연관된 모든 구성요소 및 활동들이 하나의 컨셉으로 통일되어 지속적인 일관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아이덴티티의 꾸준하고 철저한 관리만이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활성화 방안이 성실하게 잘 지켜질 때, 기업의 생존과 번영은 물론 기업의 이윤 창출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며, 더 나아가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은 향후 정기적인 브랜드 리서치를 하여 소비자가 브랜드를 얼마만큼 좋아하는지 선호도를 조사해야 한다. 소비자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시장의 변화와 흐름이 어떠한지를 기업은 작은 부분까지도 인식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축산물 브랜드의 사례연구는 국내의 문헌과 연구, 그 사례만을 다루었는데, 현재 축산물 시장의 세계화 추세에 맞춰 국외의 사례를 다루지 못한 것이 이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은 국내의 축산물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브랜드 개발에 그쳤지만, 앞으로 세계시장에서도 우뚝 설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브랜드의 개발을 기대해 본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들이 축산물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시 기초 연구 자료가 되길 바라며, 국내 축산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요성과 관심이 확대되기를 바란다.

      • GB理論에서의 空範疇原理

        원선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Chomsky의 통사이론은 현대언어이론에 큰 혁명을 가져왔다. 표준이론(ST)과 확대표준이론(EST), 수정확대표준이론(REST)을 거쳐, 최근에는 지배와결속이론(Government and Binding Theory)으로 발전해 왔다. 지배와결속이론(GBT)에서는 종래의 변형규칙들이 Move-a로 통합되었고 문장내의 어떤 요소가 Move-a의 적용을 받아 이동할 때 이동해가기전의 자리에는 흔적(trace)이 남게 되는데 Chomsky(1981)는 이를 공범주(empty cagetory)라 설정하고 공범주는 특수지배(proper government)를 받아야 한다는 공범주원리(Empty Category Principle)를 제안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B이론에서의 규칙체계(rule system)와 원리체계(principle system)내에서 Move-a의 결과로 발생하는 공범주의 종류와 그들의 특성을 규명하고 공범주의 분포를 설명해 주는 공범주원리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먼저, Chomsky의 통사이론의 변천과정을 간단히 정리하였고, 지배이론(government theory), 제한이론(bounding theory), 결속이론(binding theory), 통제이론(control theory), 격 이론(Casetheory), 의미역 이론(0-theory)등 GB이론에서의 6개의 원리체계(principle system)들이 서로 밀접한 관계틀 유지하며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토해 보았다. 또한 수동태구문과 주어상승구문에서의 명사구이동(NP-movement)으로 생기는 NP-trace와, 의문문에서의 의문사구이동(WH-movement)딘로 생기는 WH-trace, 부정사구문에서의 의미상 주어인 PRO로 공범주를 분류하고, PRO는 지배되지 않는다는 특성으로 다른 공범주(NP-trace, WH-trace)와 구별됨을 분석해 보았다. 끝으로 앞에서 분석한 공범주를 바탕으로 흔적은 특수지배(proper government)되어야 한다는 Chomsky의 공범주 원리를 예문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특수지배를 어휘지배(lexical government)와 선행사지배(antecedent government)로 규정하는데서 오는 Chomsky의 공범주원리의 문제점을, 어떤 요소가 이동할 때 모든 이동 영역(Domain)은 특수지배되어야 한다는 Huang(1982)의 추출영역조건(Condition on Extraction Domain)이 보완해 주고 있음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Huang의 CED는 주어나 문장주어영역으로 부터 어떤 요소도 추출이 볼가능 하며, Adjunct절이나 Adjunct PP와 S Adjunct(비교량동사구문)밖으로의 추출도 금지하였고, 또한 CED는 LF층위에서 생성되는 공범주에는 어떤 영향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Noam Chomsky's syntactic theory has made great innovations in modern linguistic theory, especially with its progress and refinement in The Lectures in Government and Binding theory(1981). It has brought about an important change in the development of his recent syntactic theory . This thesis examines Empty Category Principle in the GB theory in close connection with some syntactic constraints and conditions which have been proposed to restrict the power of transformational rul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empty categories and Chomsky's(1981) Empty Category Principle in the GB theory. Especially it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homsky's(1981) Empty Category Principle and the theory of Hunag's(1982) Condition on Extraction D on am. Chapter 2 provides an outline of the subsystems of principles in the GB theory:bounding theory, government theory, binding theory, control theory, Case theory, and S-theory. This outline serv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ubsequent discussions of Empty Category Principle. Chapter 3 surveys ECP, that is, the properties of PRO and trace as empty categories and also reviews that PRO is ungoverned and traces are properly governed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examples. The rule'Move-a'always leaves a trace. PRO, however, is not created by Move-a but is generated directly in the base under the extended projection principle. As a result, empty categories are divided into two, traces created by the movement rule and PRO generated in the base, and traces again divided into NP-traces created by NP-movement and WH-traces created by WH-movement according to their properties. Chapter 4 deals with Chomsky's(1981) ECP and Huang's(1982) CED as the main body of this study It is discussed that the explanatory effects of Chomsky's(1981) ECP neatly explains the phenomena connected with the subject and object asymmetry. A subject phrase or clause is not properly governed since INFL(AGR) in English is not a proper governor. Thus, the ECP accounts for the fact that extraction of any element properly contained in a subject or sentenital subject is banned. The Superiority Condition may fall under the ECP, exhibiting the same subject and object asyrnnletry under the abstract wh-moverment in LF which moves WH-in-situ. However, one of the problems with the ECP is that it cannot distinguish between a subject domain and an object domain. Conserluently, the Subject condition and the Sentential Subject Constraint may not be subsumed under it since it applies to any trace,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of, namely the domain from which extraction takes place. The ECP re(luires either lexical proper government or antecedent proper government, but it is not absolutely adequate to explain all the bans on extraction, though the traces in a sentence are all properly governed. It is the fact that the Subjacency Condition applies at S-structure and the Empty Category Principle applies at S-structure, or LF level. It is shown that the phenomena accounted for by Chomsky's ECP can be explained by Huang's CED, too. Huang's CED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domain' from which extraction takes place at S-structures, but not at Lf levels. This condition is applicable in terms of an argument maximal projection such as NP, 5 or PP. The CED accounts for the argument and adjunct asymmetry. It clearly accounts for the impossibility of extraction from subject or sentential subject domains because they are not properly governed. Therefore, the Subject Condition and the Sentential Subject Condition can be subsumed under it. As subjects are not subjcategorized, any extraction from a subject domain would violate the CED. The main idea behind the condition is that only complements can be extracted. The effects of the CED do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empty categories formed at LF levels. In conclusion, this thesis shows that Huang's CED is so perior to Chomsky's ECP, though CED itself has a few problem s.

      • 주거권 실현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법제 정비방안

        원선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거권은 ‘물리적·사회적 위험으로 부터의 보호’와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인간다운 주거생활’을 향유할 권리로서 헌법의 인간다운 생활권(제34조 제1항), 사회보장수급권(제34조), 환경권(제35조)과 같이 적극적 지위를 보장하는 기본권으로서 생존권적 성격의 사회권적 기본권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경제적 약자와 소외계층, 특히 산업사회가 성립하면서 대량으로 발생한 무산근로대중의 생존을 보호하고 정의로운 사회·경제질서를 확립하려는 복지국가원리는 부동산정책의 이념적 기초가 된다. 주거권의 실현은 우리나라 시장경제질서인 사회적 시장경제를 구체화하는 실현수단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국가가 적극적으로 서민주거 안정에 목표를 두고 있는 것은 사회적 약자로서의 서민 또는 무주택자를 보호하려는 국가의 사회적 의무이행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편적 주거복지실현을 위해서는 공공임대주택의 확충과 관리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공공임대주택 정책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재원상의 한계로 공공임대주택의 건설 및 유지에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므로 재원조달이 핵심적인 문제이다. 둘째, 수혜자 선정의 문제를 들 수 있다. 공공임대주택은 주거복지차원에서 공공의 재원을 투입하여 임차인에게 저렴한 대가로 임대되고 있다. 재원이 한정되어 있어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공급되지 않고 선별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이 결과 혜택은 수혜자에게 집중되고 나머지 다수의 사람에게는 아무런 혜택이 없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수혜자 자격에 대해서 합리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셋째, 공공임대주택의 관리와 사회적 통합의 문제이다. 공공임대주택단지는 저소득층이 몰려 사는 빈민가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주변지역과의 교류가 단절되는 사회적 문제 등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공공임대주택 관련 법제 정비방안은 모색되어야 한다. 제2장에서는 헌법상 주거권의 의미와 복지국가원리와 사회적 시장경제질서가 주거권 실현을 위한 이념적 기초임을 설명하였다. 주택의 공공재적 성격에 비추어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공공임대주택은 주거복지 차원에서 공급‧관리 되어야 한다. 제3장은 주거권 보장을 위한 현행 개별 법제를 중심으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 다른 주거복지체계와 주거급여제도와의 상호 연관성을 연구하고, 주거권 보장을 위한 헌법상 국가의 보호의무를 살펴보았다. 제4장은 공공임대주택의 유형과 공급현황 및 관리실태를 조사하고, 공공임대주택 법제의 문제점을 서술하였다. 제5장에서는 현행 공공임대주택 법제의 전반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