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search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hina's Textile and Garment Industry

        우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nalyze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hina’s textile and garments industry. China is the world's largest production and processing base of garment industry, and is also the world’s largest consumer of clothing industry. Textile and garment industry has great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China's national economy. Textile clothing industry has brought the opportunity for China, but also poses challenges at the same time. The data spans from period 2004-2014 and this paper uses three commonly use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valuation models (International export market occupancy (IMS), net export ratio, and symmetrical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to analyze China’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n textile and garments industry. The result of my research showed that the textile and garment product of China owns a big shar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mainly exports outside, and occupies a big share in the domestic export, showing the international market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중국에 있는 의류산업의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이다.중국은 세계 최대의 의류생산국, 의류소비국, 가공기지로 사람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의류산업이 중국의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의 경제발전에 기회와 도전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세 자기 국제경쟁력 평가지표( 국제수출시장점유율, 순수출비율 그리고 대칭현성비교우위지표를 보함)를 사용하여 중국의 의류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중국의 의류산업이 수출을 주위로 했다.둘째, 중국의 의류산업이 국제시장에서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셋째, 중국의류산업이 중국시장에서 큰 비울을 차지하였다. 세 가지 지표를 결합하고 분석하면 중국의 의류 산업이 국제경쟁력이 있다는 것 판단할 수 있다.

      • 동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우혜 대불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은 한국과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한류와 한국과의 교류 확대로 인해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어에 때한 학습 욕구도 날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최근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 여러 가지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외국인 초급 학습자는 동요를 배워서 쉽게 따라 할 수 있고 의사소통 능력도 배양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동요를 교육적으로 활용한 학습지도 방안 모형의 연구에 이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특히 외국어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존의 문법 위주의 교육에서 포함해 실용성을 중시하여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내는데 역점을 두었다. 또한 한국어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 전달할 수 있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이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어떤 방법으로 이용해서 잘 지도할 수 있는지 본 연구자는 동요를 활용한 학습은 강한 자신감을 가지고 한국어를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도와준 방법을 찾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요와 중국인 초급 학습자 의사소통 중심으로 동요의 교육적 활용한 학습지도 방안모형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육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동요의 특징과 교육적 의의, 동요를 활용한 학습 지도 방안을 살펴보고, 교육적인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히 한국 동요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한 학기 15주의 동요에 관한 구체적인 지도안 모형을 작성하여 지도하도록 보았습니다.15주의 동요에 관한 지도안 연구를 통해 동요를 활용한 의사소통 능력 형상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어 학습에서의 동요의 활용은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생들이 직접 학습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해당 언어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은 자신감과 성취감을 안겨주고 그것은 바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연결된다. 둘째, 동요의 가사는 실제 언어생활의 자료가 될 수 있다.반복적이고 간단하고 쉽게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기초적인 발음 학습부터 시작하여 학습자들이 어휘와 문법 등 여러 가지 표현을 습득할 수 있는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앞으로 외국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현장에서 더욱 다양한 교수법과 교과서 및 교구 제작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우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배경: 유전성 대사질환에서 확진 방법으로서의 분자유전학적 검사의 유용성은 해당 유전자에서 질병의 원인 돌연변이의 분포에 대한 지식에 따라 좌우된다. 각 변이가 질병의 원인 돌연변이인지 다형성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돌연변이의 분포는 인종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전성 대사질환의 원인 돌연변이의 분포를 분석하고 새로이 발견된 변이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2002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유전성 대사질환이 의심되어 이의 진단을 위해 분자유전학적 검사가 의뢰된 비혈연관계의 한국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총 356명의 환자에서 분자유전학적 검사결과 및 임상적 생화학적 검사결과 자료가 수집되었다. 탄수화물 대사 장애에서는 11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었고, 지방산 대사 장애에서는 4개의 질환에서 5개의 유전자, 아미노산 대사 장애에서는 18개의 질환에서 20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리소좀 및 페록시좀 축적병에서는 25개 질환에 대해 15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었고, 핵산 대사 장애와 포피린 및 헴 대사 장애에서는 각각 1개의 유전자, 중금속 대사 장애에서 3개의 유전자, 호르몬 관련 대사장애에서 2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어, 총 58개의 유전성 대사질환의 원인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각 유전자에서 발견된 변이의 돌연변이 여부를 판단하였고, 이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결과: 191명의 환자에서 164개의 돌연변이를 284개의 대립유전자에서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돌연변이의 분포를 다른 인종 및 기존 한국인에서의 보고와 비교하였을 때, 다른 인종과는 구별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게 관찰되었다. PAH 유전자의 경우 인트론 4번 및 엑손 6, 7, 11번에서 돌연변이가 흔하게 관찰되었고, ASS1 유전자의 경우 Gly324Ser, 1128-6_1188dup67 돌연변이가 흔하게 관찰되었다. 반면, IDS 유전자의 경우 한 인종에서도 돌연변이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였다. 추가적으로 33개의 유전자에서 65개의 새로운 변이를 73개의 대립유전자에서 발견하였다. 새로운 변이가 발견된 각 개인에서 돌연변이의 존재를 확인하고, in silico analysis 및 기존 대규모 연구에서의 보고여부를 확인하여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적어도 44개의 새로운 변이가 돌연변이일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에서 돌연변이와 새로운 변이의 보고를 통하여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정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의 연장으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을 대상으로 한 돌연변이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은 분자유전학적 연구 및 진단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 부산 지역 화자들의 모음 음운현상 연구 : 10대와 60대 화자를 중심으로

        우혜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A regional language refers to a language used in a specific region. As Busan became a metropolis, the Busan regional language was more influenced by standard languages and other regional languages than befor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peech of teenagers, representing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and the speech of those in their 60s, representing the elderly, to find out how much the Busan regional language has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especially focusing on the vowel phonological phenomena. First, in Chapter 1, the background of the study was reveal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ing aspects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the Busan regional langu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changes over time. In Chapter 2,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Busan region, which will be covered in this paper, was established, and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were examined. 19 consonants, 7 vowels, and 9 double vowels were set. Then, Monophthongization, Labialization, and Umlaut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which were cover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were examined. Chapter 3 analyzed the words uttered by informants in the Busan region through the research data to find out the realization of the vowel phonology phenomenon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In this study, among the vowel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Monophthongization, Labialization, and Umlaut were subdivided and studied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system set in this paper. Spee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ata reading and speech induction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system set above, Monophthongization selected nine words containing each of the nine double vowels, and asked informants to read the sentences containing the corresponding words. The words are 'gyehoek, gyeongnyeok, gyuje, pyohyeon, gyaut, twigim, dwaeji, gwolli, gwaja'. After examining Monophthongization, the realization aspect of Labialization and Umlaut was analyzed. First, First, the words that occured Labialization and Umlaut were selected from the research of Kim Young-sun (2001) and Choi Hyun-jeong (2012) and the speech of Busan people. The selected word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pronunciation heard in the recording and the vowel formant analysis data through Praat while inducing informants to speak naturally. Labialization selected 'dudeurida, bappeuda, meogeora, deowora', and Umlaut selected 'geoda, danggida, ganda, jogeum, nupyeora' as investigative words. Fiv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teens and five females in their 60s from the Busan area were selected as informants. The gender of the informant is all female, and neither the informant nor the informant's parents have lived in another area for more than two years. The teenage informant was a student in high school. After collecting the data, I listened to how the utterances sounded, wrote down the pronunciations, and obtained the vowel formants through Praat. Speech was analyzed through data obtained from pronunciation and vowel forma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studied the location and pronunciation of articulations uttered by each informant. Based on the research data, the speech of teenagers and those in their 60s were compar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standard speech and informants' speech, 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speech between those in their 60s and those in their teens. 지역어란 특정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부산 지역어는 부산이 대도시화되면서 표준어와 타 지역어의 영향을 이전보다 더 많이 받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젊은 세대를 대표하여 10대의 발화와, 노년층을 대표하여 60대의 발화를 비교하여 부산 지역어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많이 변했는지 그 실태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특히 모음 음운현상 중심으로 부산 지역어 음운현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1장에서 연구의 배경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본고는 부산 지역어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게 되었다. 부산 지역어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서 부산 지역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모습이 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장에서는 본고에서 다룰 부산 지역의 음운체계를 설정하고, 부산 지역어의 음운현상을 알아보았다. 하였다. 자음은 19개, 모음은 단모음을 7개, 이중모음을 9개로 설정하였다. 그 다음에는 기존 논의에서 다룬 부산 지역어의 단모음화, 원순모음화, 전설모음화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은 조사한 자료를 통해 부산 지역 제보자들이 발화한 단어를 분석하여 부산 지역어의 모음 음운현상의 실현 양상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지역어의 모음 음운현상 중 단모음화, 원순모음화, 전설모음화를 본고에서 설정한 음운체계에 따라 세분화시켜 연구하였다. 발화 자료는 자료 읽기와 발화 유도 대화를 통해서 수집하였다. 단모음화는 앞서 설정한 음운체계에 따라 9개의 이중모음이 각각 들어가는 단어를 9개 선정하였고, 해당 단어가 들어가는 문장을 제보자들에게 읽도록 하였다. 해당 단어는 ‘계획, 경력, 규제, 표현, 갸웃, 튀김, 돼지, 권리, 과자’이다. 단모음화를 살펴본 후에 원순모음화와 전설모음화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김영선(2001)과 최현정(2012)의 연구와 부산 사람들의 발화에서 원순모음화와 전설모음화가 일어나는 단어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단어를 제보자들이 자연스럽게 발화하도록 유도하면서 녹음에서 들리는 발음과 Praat를 통한 모음 포먼트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원순모음화는 ‘두드리다, 바쁘다, 먹어라, 더워라’, 전설모음화는 ‘(~하는) 거다, 당기다, 간다, 조금, 눕혀라’를 조사 단어로 선정하였다. 제보자는 부산 지역 출신의 10대 여자 고등학생 5명과 60대 여자 5명으로 하였다. 제보자의 성별은 모두 여성으로, 제보자와 제보자의 부모님 모두 2년 이상 타 지역에 거주한 적이 없다. 10대 제보자는 고등학교 재학 중인 학생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를 수집 후 발화가 어떻게 나는지 청취하여 발음을 적고, Praat을 통해 모음 포먼트를 구하였다. 발음과 모음 포먼트를 구한 자료를 통해 발화를 분석하였다. Praat은 음성 분석 프로그램으로, 포먼트를 분석하여 조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제보자들이 해당 모음을 어느 위치에서 어떤 발음으로 발화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한 자료를 토대로 10대와 60대의 발화를 비교하여 표준 발화와 제보자들의 발화 차이, 60대와 10대의 발화 차이 유무를 알아보았다.

      • 현행 고등학교『중국어Ⅰ』교과서의 중국문화 내용의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의 중국문화 내용의 연구 우 혜 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지 도 교 수 서 유 원 외국어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원활한 의사소통이다. 그러나 언어는 그 언어를 쓰는 사회 집단의 문화와 전통의 총체이기 때문에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것이다. 즉, 그 나라의 문화의 이해 없이 정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은 실로 중요하다 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화를 언어재료의 한 영역으로 분리하여 제시함으로써 문화교육의 비중을 높여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또한 2007년 2월에 발표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보다 중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필요성이 한층 강조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문화교육의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현행 교육과정의 의미와 문제점을 찾아보고, 또한 현행 중국어 문화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각종 고등학교 교과서를 종류별로 그 구성과 내용을 분석 하였다. 교과서의 분석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출판된 5개 출판사의 『중국어Ⅰ』 교과서 6권을 대상으로 하였고, 교과서 내의 범위는 본문과 ‘문화란’을 중심으로 하였다. 교과서 본문은 소재와 문화의 배경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문화란’은 소재와 본문과의 연관성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현행 교과서의 문화 소재는 대체로 일상문화 소재에 편중되어 있었고, 내용의 배경 역시 국적이 나타나 있지 않은 일상적인 내용에 치중되어 있었다. 또한 ‘문화란’은 비교적 중국문화에 관하여 다양한 소재를 다루고 있었으나, 본문과의 연관성이 적어 중국어 수업시 간과될 여지가 있으므로 내용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성공적인 문화교육을 위하여 체계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과서의 꾸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교사 역시 정확한 문화지식을 가지고 학습자에게 올바른 전달을 하기 위하여 항상 노력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 참취 분획물이 항산화활성과 세포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Aster scaber,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replacement natural antioxidant. The total phenolic content in Aster scaber fractions ranged from 34.3 to 491.0 mg G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Aster scaber fractions ranged from 36.4 to 155.4 mg/g. Also, in the carbohydrate assay, ethanol fraction was the highest as 248.3 mg/g. In the α,α-diphenyl-b-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ethanol fraction of Aster scaber,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fraction, showed 61.2, 49.8, 11.6% at 100, 50, 10 ug/ml, respectively. Also, ethyl acetate fraction of Aster scaber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both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valu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Cell viability was not seem to be affected for Aster scaber fractions concentration up to 100 ug/ml, as observed with an MTT assa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Aster scaber on the inhibitory of NO in LPS-activated Raw264.7 cells. The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ccurred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10 ug/ml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NO. In the influence of immune activity of murine splenocyte, the result indicated the ethanol extract of Aster scaber was able to increase the proliferation B and T cells. In this study, the Aster scaber was measured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ter scaber could have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s a functional food in future and it will contribute to freshness. Therefore, more research of Aster scaber is needed in the future study, such as the mechanism and immune activity. 최근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식품의 영양학적 측면에서 노화억제 및 건강유지를 위한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 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식생활습관 및 환경오염 등으로 인한 만성질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유지를 위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수준도 매우 높아지고 있다. 활성산소종 (ROS)은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내 기관의 정상적인 대사 및 일부 효소 등과 같은 내인적 요인들에 의한 자연적 생성과 자외선, 담배, 환경오염, 방사선 등과 같은 외인적 요인에 의해서도 생성 된다. 과량의 활성산소종 (ROS)은 산화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며, 세포사멸이나 조직 손상을 유발 한다.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종 (ROS)과 산화 방어 시스템의 불균형으로 발생하게 되며, 심각한 산화 스트레스는 암이나 관상동맥 심장병과 같은 만성 질병을 유발 한다. 따라서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의 복잡한 생활 속에서 더욱 효과적인 식이성 항산화제의 필요가 절실해지고 있다. 합성항산화제는 우수한 효과와 저렴한 가격 때문에 tocopherol이나 vitamin C보다 널리 이용되었으나 지질변화 및 발암 독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 할 천연 항산화제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채는 비타민, 무기질 및 섬유소가 풍부하고 지방과 단백지의 함량은 매우 낮은 식용 작물로서, β-carotene, ascorbic acid, 무기질 및 섬유소가 풍부하며, 그 특유의 맛과 향, 식생활 습관, 계절감 등 다양한 이유로 부식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산채는 그 동안 영양적인 면이나 기호적인 면에서 중요성이 인식되지 않았으나 차나 채소류에서 항산화성, 항암성, 항진균성 등의 기능성이 알려짐에 따라 식품 뿐 아니라 야생 산채에 대해서도 기능성의 측면에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국내 자생 산채류 중 하나인 참취는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참취가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참취는 플라보노이드와 사포닌, 쿠마린, 알칼로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산채류 중 하나인 참취의 항산화 효과를 관찰하고 천연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한편, LPS로 자극된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을 이용하여 참취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건조된 참취를 감압․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얻었으며, 70% 에탄올 조추출물을 용매 분획 하여 hexane, butanol, chloroform, ethyl acetate, water 분획물을 얻었다. 각각의 추출물 및 분획물은 100, 50, 10 ug/ml의 농도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취 분획물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각각 491.0 mg GAE/g과 155.4 mg/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총 당 측정결과에서는 ethanol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DPPH를 제외한 FRAP value SOD 연구 결과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각각 75.7, 72.3, 16.6%로 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세포 독성 실험 결과, 모든 농도에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생리활성으로부터 참취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고등학교 법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PBL)을 이용한 교수-학습 설계방안 : 법과 사회 과목을 중심으로

        우혜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고등학교 법교육에 있어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수업 설계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법교육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화와 더불어 인터넷을 통한 지식과 정보의 확산은 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메커니즘을 요구했고 이에 부응한 문제중심학습법(이하 PBL)의 출현은 시초가 된 의과대학뿐만이 아니라 많은 전공영역에서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구성주의의 학습이론 중 하나인 PBL의 활용은 기존의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법지식의 획득을 지양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 학습과 협동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새로운 문제접근방법을 제시해 줄 것이라는 전제하에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법과 사회 과목이며 연구방법은 기존 선행연구 분석 및 문헌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학습이론을 적용하였다. 이후 PBL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를 만든 이후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수업과정안을 설계하였다. 그러나 현재 고등학교 법과 사회 교과서는 검정교과서가 한 권으로 연구의 범위가 다소 제한적이고 법과 사회 과목이 대학입시 수학능력시험에서 선택과목으로 지정되어 입시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만큼 많은 시간을 요하는 PBL을 적용한 수업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수업 뿐 아니라 수행평가나 계발활동의 일환으로 적용을 해보는 시도도 역시 법교육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 new model using a plan for law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 The model is developed from the plan for class using Problem Based Learning. According to globalization and expansion of internet usag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radically increased so new mechanism of education is needed to keep step with the change of the society. In this circumstance, PBL is demonstrating its effect in many fields of study such as medicine and science. Therefore, the practical use of PBL which is one of the learning theories in Constructivism not only sublate the unflexible and fragmentary acquisition of knowledge but also stresses the need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ooperative study. Besides, it is expected to present a new way to solve many problems of contemporary educa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textbook of 'Law & Society' in Korean high school and the methods of the study is application of new learning theory which is from many treatises about PBL. Then, specific schedule for class is presented after making "Problem" tha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BL. However, "Law & Society" textbook which is authorized by the government is just one so the materials for study are not sufficient, and it is hard to make a class using PBL in the subject of 'Law & Society'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s than using in other subjects. In addition, this problem is related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and the subject of 'Law & Society' is appointed as elective subject for the test. Therefore, there is no time to spare for testing of new learning style in the subject. For these reasons, attempting to adopt PBL to the subject of 'Law & Society' through other ways of education such as evaluation of achievement and students development activity will be more helpful to maintain the diversity of education of law.

      • 실측 에너지 데이터를 통한 건물 에너지 소비 패턴 분류에 관한 연구

        우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For energy savings in the building sector, there is a need for management of existing buildings, not just new buildings. In analyzing the energy of existing buildings, Data-driven method to utilize the actual measured energy data is determined to be valid. When predicting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savings, it shows a high accuracy compared to the analytical method simul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facilitate the analysis using actual energy data, and proceeds to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It is impossible to classify building energy pattern in the absolute standard due to appear divers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n every buildings. In this study, to derive the pattern by comparing the properties in the building itself, and this was classified. In this case, to find the pattern form the raw data, using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 influential factor of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 As classified by the type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electing a target Retrofit building from a number of building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material for make a schematic plan. 건물 분야에서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신축건축물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를 분석함에 있어서는 실측에너지 데이터를 활용하는 Data-driven method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실측에너지를 기반으로 건물 에너지를 분석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량 및 절감량을 예측함에 있어 분석적 방법인 시뮬레이션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측 에너지 데이터를 통한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건물의 에너지 소비특성에 따른 분류를 진행하고자 한다. 건물의 에너지 소비 특성을 분류함에 있어 건물마다 가지는 특성 다양하게 나타남으로 절대적 기준으로 건물 에너지 분류가 불가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건물 자체에서 특성을 비교하여 패턴을 도출하고, 이를 분류하였다. 이때 원자료(Raw data)로부터 패턴을 도출하기 위하여 건물 에너지 소비의 영향력이 높은 인자인 외기온도를 기준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류를 통해 건물의 다양한 특성을 유형화함에 따라, 다수의 건물로부터 Retrofit 대상 건물을 선정하고, 개략적인 계획을 세우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합창공연활동이 청소년기 정서순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우혜 韓南大學校 社會文化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American personality psychologist Allport called the adolescent period 'the age of renewed exploration of self', and the German scholar Erikson who is known for the theory of ego identity stated that the adolescent period is the 'crucial period for constructing ego identity' and also the 'period of ego identity crisis'. Even so the adolescent period is called 'a time of storm and stress' because juveniles experience the time of turbulence full of anxiety, conflict, and worries. They get easily excited and agitated and act according to their impulsive feeling. Especially this is a period when they like to deny and resist to those who try to judge and interfere them because they insist on independence of their mind. Most of juveniles adopt well to many changes they encounter but still many juveniles fail to do so which result in their misbehavior and mental depression. There can be many ways to provide young people peace of mind. Sports, music and art activities as well as volunteering are great ways to do so. Among musical activities, choir music is considered to be an independent musical activity which cannot be achieved individually but within a group. Considering this, one can establish peace of mind and ego identity through music that does not concern individualism but which will help develop one's social nature. In this research, consider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juveniles, the influence of choirperformance activity to juveniles' emotional development was examined as wellas the applications, expectation, and possibilities of integration with other areas of interest. First, the history and setting of choir music is mentioned. Second, many characteristics and the artistic value of choir music, which are provided by inclusive dimensional understanding, are analyzed. Third, the adolescent period is a time when all developmentis completed. There is a sudden growth in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sense of morality, laws, and political attitude. Fourth, the main theme of this thesis that is the importance of the juvenile choir music education will be discussed. Juvenile period requires a growth in both the body and mind up to a certain level. As well as the growth of the body,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growth have to happen simultaneousl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rt and music education cannot be excluded among other education. More importantly, choir training is one of the educations which will help develop personal independence and peace of mind. Fifth, general reaction to youth choir activity has been examined. Adolescents undergo emotional refinement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mong their experiences, choir performance activity has been a great help to build their emotional character. Finally, the public view and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attitude toward accepting choir as 'entertainment' and 'education' has been derived through the alternative implication. Based on these statements so far, a survey was given to 300 students who are currently involved in choir activities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Daejeon as well as to 20 teachers and conductors who have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in musical field. Also, in order to produce more persuasive research outcome, 20 parents of youth choir members of 'Daejeon Civic Youth Choir', one of the professional choirs in Daejeon, were questioned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ir kids' mind developing. Among many questions that were given to the young people, when they were asked what the most favorable thing was about the choir activities, their answers were the 'enjoying singing' and the 'satisfaction they achieve from their practice and performances'. However, their unsatisfactory came from having to spend too much time in their choir practice. Most of the students are pleased and want to enjoy participating in theirchoir acticities, however, many young people are stressed out from the current public school system that highly emphasize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Many adolescents try to release their pressure and stress through 'listening to music' and 'talking to their friends' The conductors and teachers who are directing the choirs had 100% satisfaction. Choir training seems to be sufficient for guiding adolescents to their 'self realization'. To the question that asks if the choir performance activity had influence to adolescents'emotional development 70% answered yes, and 30% were positiveup to certain extent. In conclusion, for the fact that there was no one who said 'no' to the question, one can learn that choir performance activity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adolescents' emotional development. Also, more details were pointed out, in which all felt necessary to improve, such as 'financial insufficiency for educating talented youth', 'lack of opportunity to perform', 'securing sufficient practice time', and 'providing positive motive for pleasurable and instructive choir activity', One thing that is notable from the rest is that although parents felt that the choir practice often interfered with their child's school courses they would still support their kids to continue their choir activity as long as they are willing to pursue it. The parents felt that their kids found peace of mind and their personalities developed to adopt better to their social circumstances. Following details can b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through choir music. First, parents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get all the family members to sing together which will help create warmer family atmosphere. School teachers should focus more on the students'mind developing though communication rather than putting emphasis on university entrance exam. Under the circumstances given at the moment,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is inevitable, more studies and effort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children's life. Also, more adolescents who want to become creative should be encouraged to come forward, and for that, activities such as choir training which helps one to become unified within a group through mind developing and communication, should lead and help young people in making their adolescent period profitable. Rather than maintaining the current university entrance system, students who are capable of being creative and outstanding in art and music should be beneficia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new system that will initiate reforms in our current system has to be introduced, which will maximize juveniles'talent and passion rather than solely depending on their school grades in order to enter university. Furthermore, art and music performing organizations such as choirs that are poorly supported should be newly approached and supported well so that people who are neglected and trouble adolescents should be beneficial through social caring and acceptance. Choir performance activity would have great amount of positive impact on adolescents, and if they are instructed in better circumstances, it would help young people achieve peace of mind and constructtheir adolescent period more profitab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