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험으로서의 산에 대한 심상적 표현 연구 : 본인작품 '영혼의 산'을 중심으로

        우진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기에 역사적으로도 인간이 지향하는 여러 가지 가치를 자연 안에서 찾아 왔고, 바로 그 가치는 자연 안에서 규명될 수밖에 없었다. 과학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인간은 살아가면서 접하게 되는 많은 삶의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과학에 의존하기 보다는 자연에서 찾으려 노력하는 예를 많이 볼 수 있다. 한편 우리민족의 문화적 특징을 역사적으로 고찰해 볼 때 자연주의라는 특성이 많이 나타난다. 자연에 동화되어 살아온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산이라는 존재가 주는 문화적, 종교적 영향은 매우 지대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인간이 자연의 일부라는 사상적 근거는 음양오행에 기초한 풍수지리사상으로서, 우리민족의 다양하고 독특한 자연관을 형성하였다. 자연은 인간과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 가지고 있으며, 자연이 주는 미적인 가치는 인간 삶을 아름답게 한다. 본인은 산을 통해 시각적인 예술적 표현에서도 그 대상이 주는 것이 하나의 ‘산’이라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산이 담고 있는 문화적 종교적 역사적 상징성의 힘으로 말미암은 인간의 신비롭고 신성한 내면의 세계까지 움직일 수 있는 조형적 의미를 담고 있다. 본인의 작업은 산을 오르고 내리며 삶에 대한 내면적 성찰을 하는 가운데 체험한 종교적 체험에서 시작되었기에 성서에서 조형언어에 대한 착안을 시작하였다. 시편121장의 성경구절에서는 산이라는 존재를 통하여 인간을 창조한 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시간과 공간인 산이라는 장소를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 인용한 산의 상징적 표현은 창조주에 대한 감사의 기도이다. ‘산’은 하나의 상징으로서 ‘산’을 통해 인간의 삶 속에 진정 중요한 것이 무엇이며, 무엇을 추구하며 사는지 되묻고 반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인의 작업에서 ‘산’이라는 주제를 선택하게 된 것은 오감이상의 체험에 대한 시각적 도상이며, 내면의 세계를 소통할 수 있는 상징적 이미지 인 것이다. 작품의 화면은 인간세계를 상징하였다. 여러 산들은 각자 개인이고, 우리나라 전국의 ‘산’이며, 세계 각 나라의 산이고, 인간 내면의 정서와 역사를 상징한다. ‘산’이 많음은 역사에 담겨 있는 선조들의 영혼도 많음처럼 겹겹이 쌓여있고, 단조로운 색은 무겁고 어둠을 나타내며, 힘들고 어려운 역경 속에서 희망을 찾아 긴 시간의 여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현란한 색을 절제하면서 단색조로 표현하여 정신적 깊이를 주고자 하였고, 표현의 재료는 표면 질감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석채를 가미하여 ‘산’의 웅장함을 표현하려 하였다. 산을 표현함에 있어서는 관조에서 오는 ‘산’의 감흥보다 체험을 통한 ‘산’이 주는 감흥은 내면적인 깊이를 고조시켜 어떠한 경지에 이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작품에 임하고자 하였다.

      • VRDS기반의 haptic knob를 이용한 차량내 디스플레이 장치 최적화 디자인 연구

        우진명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차량내 디스플레이 장치 가이드라인 및 중대형 햅틱차종에 연동되어 사용되는 차량내 디스플레이 장치 디자인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기본 설계 변수를 도출하고, 이에 따른 최적 설계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가상환경의 차량시뮬레이터에 햅틱디바이스를 장착, 차량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운전자 사용에 따른 디자인 설계시에 고려해야할 최적 설계 변수를 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수행시 secondary task를 이용하여 운전자 햅틱디바이스와 연동된 차량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에 따른 운전자 부하 분석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총 4회에 걸쳐 2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진행시 메뉴타입, 글자타입 변화에 따른 운전 부하를 정량적, 정성적인 방법으로 분석 최적화된 디자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정답율, 반응시간측정, 생체신호분석, 통계 분석, 설문지 분석등을 활용하였으며, 차량내 디스플레이 장치 디자인에 적용할수 있는 최적 설계 변수(메뉴 선택 방식/문자 입력 방식, 글자색, 폰트 종류, 폰트 사이즈, 입체 효과)를 선정하고, 최적의 설계 변수가 적용된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이때, 메뉴선정에 따른 방식은 메뉴타입1의 세로줄 선택 방식, 글자선정에 따른 방식은 글자타입1의 세로줄 선택 방식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햅틱 장치 사용을 위한 화면 설계시 위의 종합 분석된 결과를 반영하여, 차량내 디스플레이 장치 디자인을 설계한다면 좀더 운전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시인성이 높으며, 운전 부하가 적은 화면 설계를 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ptimal design of in-vehicle display for haptic device i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The haptic devices are getting popular for medium and large size sedans, and the design of the related in-vehicle display is an important issue. In order to verify the optimal design of the display, the developed haptic device system and the display is installed in the full size driving simulator KAAS system. 25 subject drivers were participated in four sets of experiment. The design parameters studied in this research includes menu selection method, character inputting method, font colors, font types, font sizes and menu bar shape. A analysis program that can change the design parameters is developed for the experiment. During the experiments, the secondary task method is used,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s, cognition and reaction time, bio signals including EMG, ECG and GSR are measured. The experimental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the participated subject drive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vertical bar selection type menu1 and the vertical selection type character1 are optimal for the in-vehicle display connected to the haptic device. The design and analysis methods developed in this research will help the design of the in-vehicle display and haptic de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