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우은주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cor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ir peer competence. Research issues have been setting up according to its purpose are same as follows. First, what relations are existed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competence? Second, what influences are affected to peer competence from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having been recognized by young children’s teacher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young children of 3,4,5 year-old in full in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D City,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350 teachers, and 290 sample data among them was used for its research and analysis. There are several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e survey; the test tool developed by Lee Byungrae(1998) was used for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art; and the pro-social behavior testing scale, developed by Kim Youngok(2003) and reconstituted by Seo Sojung(2006) was used for th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part. Also a questionnaire written by Lee Jinsook(2001) who translated, corrected, and supplemented Pianta(1991)’s test tool, was used for measur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Juhui and Lee Eunhae(2001) was used for measuring peer competence. Next are several programs used for researching and analyz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rried out to search for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earch for the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ir peer competence. The results ane as follows. First, positive (+) correlations appeared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 appeared each other. Though self-recognition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little lower correlations than other variables, self-regulation, other-awareness, other-regulation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s significantly. Besides, pro-social behavi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otal variables such as leadership, helping,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sharing etc, and intimacy, conflict, dependence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Secon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peer competence. Other-regulation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 pro-social behavior, helping, sharing, conflict of teach-child relationship were turned up to affecting influences to peer competence of children, and was displayed as affecting the highest influences to peer competence of children in case of leadership. From comprehensive research results, an implication could be known such like emotional intelligence ability by which young children aware, regulate oneself and others, pro-social behavior by which young children participate in social interaction actively through cooperative play and various activities, teacher-child relationship which young children have with teachers as alternative care-giver affect to peer competence of children very greatly and importantly. This finding would be helpful in doing related researchers with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 및 또래유능성 간의 상관관계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3,4,5세 유아이며 이들의 교사 350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중 290명의 표본자료가 연구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와 분석에 쓰인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정서지능 영역은 이병래(1998)가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영옥(2003)이 개발하고 서소정(2006)이 간편형으로 재구성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유아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Pianta (1991)가 개발하고 이진숙(2001)이 번역,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또래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와 분석을 위해 사용된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정리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 또래유능성은 서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인식이 다른 변인들보다 다소 낮은 상관을 나타냈으나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은 유의하게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은 지도성, 도움주기, 감정이입과 조절, 나누기 등 전체 변인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교사-유아관계는 친밀감, 갈등, 의존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는 또래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지능에서 타인조절, 친사회적 행동의 지도성, 도움주기, 나누기, 교사-유아관계의 갈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도성의 경우 또래유능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고 조절하는 정서지능 능력, 유아가 협동 놀이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친사회적 행동, 그리고 유아가 대안적 양육자로서의 교사와 가지는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중요하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증진을 위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와 관련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韓·美 高等音樂敎育의 現況 : 교육제도에 대한 비교·분석 및 제안

        우은주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9

        1. 교육제도의 바람직한 교육과정에 대한 시안 및 대책 1) 바람직한 교육 개편의 방향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전체적민 시각에서 보면 연주행위가 음악의 전부일 수는 없는데 많은 사람들이 연주, 또는 음악으로 생각하여 연주교육의 문제만 해결하면 음악계의 둔제는 다 해결 되리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우리 음악계에는 세계적인 연주가 발굴에 앞서서 음악의 학문적 연구의 필요성을 대학교육 과정에서 새롭게 인식시키는 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기 위해서는 앞에서도 살펴 보았듯이 연주자를 희망하는 학생, 학자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 교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 모두를 섞어 놓고 특징없이 교육시키는 예를 우리 사회 통념에서 하루 속히 버리고 특정한 교육기관을 만드는 것이 매우 시급한 일이라 생각한다. 음악학자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에게는 음악전반에 걸친 깊이 있고 전문적인 내용의 교육을 받게하고, 교사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에게는 선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며, 연주자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에게는 실기 능력을 중점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정이 마련되고 각 인력의 특징에 맞는 교육의 분화 및 전문화가 요청된다. 이렇게 음악교육이 세분화 된다면 지금처럼 훌륭한 학자나 교육자가 되고 싶은 사람이 실기 때문에 고민 하지 않아도 될 것이며 진짜 연주가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만 연주자의 길을 걷는 풍토가 조성되리라고 본다. 그러나 위와 같은 윤리가 아무리 좋은 결과를 낳더라도 음악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면 바람직한 음악문화에 큰 장애요소가 될 것이다. 음악은 각 분야간에 연계성이 중요한 학문이므로 서로의 문제를 절충시켜야 할 것도 큰 과제라 하겠다. 이에 음악원, 음악대학, 음악과에 맞추어 다음의 예를 들어본다. (1) 음악원 음악원이란 음악교욱기관은 전문실기를 위한 기관이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진 시작 단계이나 학생스스로나 교수들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과거 우리나라 음악교육기관이 음악원 체제를 지나지 못한 이유들 중의 하나는 대부분의 음악교육제도가 학력인정을 받기 위해 음악대학으로 승격되었기 때문이다. 현 상황에서도 이 문제는 중요하다. 기존의 음악원의 자격증이 대학의 학력에 밀려 다시한번 우리에게 주어진 좋은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또 중요한 것은 국가적 차원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음악원은 전문 음악인 양성을 목적으로 하여 나이와 상관없이 능력 중심의 개별 성장에 개념을 둔 교육과정이므로, 장기교육을 받을 수 있게 국가적 차원에서 국민학교부터 대학 수준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연계시켜야 한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의 대부분의 음악원 과정은 영재 교육부터 그 과정을 두고 있다. 현재 대학 음악교육기관을 개개인의 역량과 여건에 따라 차둥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막대한 예산과 노력을 들여 만들것이 아니라 시설면이나 교수확보면에서 어느정도 갖추어진 음악 대학을 활용하여 운영하는 것이 오히려 미래 지향적인 장점을 다지고 있으리라 본다. 즉 음악대학 제도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해주며 같이 존재하는 학제가 필요하다고 본다. 물른 교육과정의 성격은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것을 허용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음악대학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음악교육기관이 '음악대학'의 체제를 지니고 있다. 음악대학 체제는 각각 분야의 '전문인력을 구분하여 양성한다',기보다는 종합적으로 양성하는 다목적 전문적 전문 교육 형태를 띠고 있다. 앞에서 미국의 교육기관과 비교하면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실정에선 음악원, 음악대학, 음악과를 선택할 만큼의 다양한 폭이 적다. 이상과 같은 음악대학의 단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숨쉬게 하기 위해서는 음악교육과의 질적이고 획기적인 개혁이 사회, 학생, 교수모두 필요시 된다. 먼저는 학업 연안을 분할하여 2년 정도씩의 기본과정을 두어 이 과정을 마친 학생들의 의사에따라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활발하고 세밀한 교육으로 나눈다. 또한 전공실기를 중점으로 하는 학생, 음악교육을 희망하는 학생, 음악학을 즘 더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학생으로 나뉘어 이에 따라 나머지 학업 연안과 다양하게 교과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그 방법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이론 위주 교육 - 음악학과·서양음악 이론 전공 ·국악이론 전공 ② 교사양성 교육 - 음악교육과 ·유아교육전공 ·초등교육전공 ·중등교육전공 ·고등교육전공 ③ 실기위주교육 - 기악과·건반악기 전공 ·현, 관, 타악기 전공 ·국악기 전공 성악·서 양음악전공 ·국악전공 작곡과·서양음악작곡전공 ·국악작곡전공 ·실용음악작곡전공 ·지휘전공 위와 같은 체제로 제도 개선을 한다면 음악대학은 음악에 관련된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다루게 되어 음악인력을 고루 배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악이라면 우린 서양음악만을 떠올리고 우리의 전통국악을 뒷전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 앞에 제시한 체제의 특징은 바로 이런 양악, 국악의 양분화를 보다 포괄적인 시각으로 묶어서 보았다. 둘째는 교육과정을 대학의 자율에 맡기어 모든 영역별을 가장 효과적이고 전문적으로 교육 하도록 해야한다. 현채 교육과정은 교양, 전공실기, 전공 등의 학점 배분으로 되어 있어 각 전공이 원하는 교육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해 3가지를 나누어 제안 해 본다. ① 실기 위주 교육은 교수와 학생이 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작품을 창조해 내는 이러한 교육을 즘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여러 가지 여건 조성이 요구된다. 한학기에 2학점에 불과한 전공실기 배점시간을 몇 배 더 늘이고 실기 향상에 도움을 주는 체계적 교육내용이 이룩될 때 흘릉한 연주가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② 실기 위주 교육에 밀려 우리 사회에서 인식되지 못했던 이론 위주 학과의 교육과정을 본다 즘 더 폭 넓게 교육과정을 이룩하기 위해서 종합대학의 장점을 이용하여 다른 타 대학의 전공 영역과 합동 설치하여 음악을 학문으로 정립시키는데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음악학자를 비롯하여 음악정책을 체계적으로 논할 수 있는 음악 상담가, 행정가, 요법사(치료사)등 사회 요소로 요구되는 음악인을 많이 길러내록 제도적 됫받침이 되어야 한다. ③ 음악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학과의 교직과목을 보면 거의 교육 학과의 일방적인 주관하에 이루어 지기 때문에 음악 교사가 되는데 주는 도움은 극히 적다. 교직과목 중 교육행정, 교육철학과 같은 교과목은 교사의 의식과 사명 정립에는 도움을 주겠지만 음악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에는 미흡하다고 본다. 이렇게 교육과정의 문제점이 개선될 때 우리사회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뿐 아니라 우리의 음악 문화도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해 가리라 생각한다.

      •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우은주 건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usical drama program to promot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to apply this program to discover its effects.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guide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musical drama program to promot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1-1. What are the purpose and goals of this program? 1-2. What is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is program? 1-3. What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used in this program? 1-4. How is this program evaluated? 2. What are the effects of applying the musical drama program to promot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2-1. What effect does this program have on children’s cognitive self-regulation? 2-2. What effect does this program have on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To develop this musical drama program, relevant Korean/international literatur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the literature review phase, after which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The program’s purpose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 were set during the program design phase. Program suitability was verified by three experts (a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 children’s music expert, and an on-site teacher), who also confirmed its content validity. During the draft proposal stage, a draft proposal for the program was created, after which the program was applied on-site, reviewed, and modified. The final program was then determined after a review by the experts to assure the validity of its content system and activities. The effects of this musical drama program were also examined.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5 five-year-old children from the public/private S Day Care Center located at district M of Seoul,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5 five-year-old children from Y Day Care Center. The program was taught through 24 sessions over 12 weeks from May 29 to August 18, 2015.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verified using a mixed method design. The results of one research metho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nother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Pre- and post-evaluation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examine the effect of program application. Covariance analysis(ANCOVA) was performed using the pre-test results from collected data as a covariate and the post-test results as the dependent variable. Children’s respons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the researchers’ participatory observation during program application. Creswell(2002) concurrent triangulation design was used to mainta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search processe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Nvivo 10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effects of program application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post-test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program application. In particular, the results for planning, checking, and evaluating within cognitive self-regulation were all significant, with overall scores also being significant. For emotional self-regulation, emotional coping and emotional inhibi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Although no significance was observed with emotional awareness,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overall score. The results of analyzing children’s response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musical drama program showed cognitive awareness, process checking, planning adjustment, goal-oriented behavior, process evaluation, and autonomous decision-making within the cognitive regulation response category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rule compliance, positive coping, awareness of others’ emotions, sup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and self-awareness within the emotional control response category. In other words, children had varying responses related to cognitive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with the musical drama program to promote self-control. This suggests that this musical drama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o promot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1-1.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어떠한가? 1-2.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1-3.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1-4.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2.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는 어떠한가? 2-1.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에 따라 진행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의 문헌분석 단계에서는 국내외 관련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한 후 전문가 협의를 거쳐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설계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구성,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 및 전략, 평가방법을 설정하였고, 유아교육 전공교수 및 유아음악전문가, 현장교사 2인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시안 구성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시안을 먼저 구성한 후 이를 기초로 현장에 적용하여 검토, 수정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내용체계 및 활동 구성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아교육 교수 및 전문가와 현장교사에 의한 검토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M구에 위치한 국·공립 S어린이집의 실험집단 만 5세 유아 25명과 Y어린이집 비교집단 만 5세 유아 25명이었으며 2015년 5월 29일부터 8월 18일까지 12주 동안 24회 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통합방법설계(mixed method design)를 통해 한 연구방법의 결과를 다른 연구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여 양적인 분석과 질적인 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적용 후 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 전과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결과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연구자의 참여관찰을 통해 유아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Creswell(2002)의 동시적 삼각측정설계(concurrent triangulation design)를 통해 자료수집과 자료분석의 연구과정이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적용 후 나타난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적용 후 집단 간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성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인지조절능력에서는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하기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전체점수에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정서조절능력에서는 정서 대처하기, 정서 억제하기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정서 인식하기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점수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극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인지조절의 반응범주로 인지 인식하기, 수행과정 점검하기, 계획조정하기, 목표 지향적 행동하기, 수행과정 평가하기, 자율적 결정하기가 나타났으며, 정서조절의 반응범주로는 인지적 정서조절하기, 규칙 순응하기, 긍정적 대처하기, 타인정서 인식하기, 부정적 감정 억제하기, 자기인지 인식하기가 나타났다. 즉,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에서 인지 및 정서조절능력과 관련하여 유아들의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음악극 프로그램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오디오 스타일변환 기반 음성 변환을 이용한 고령 화자의 음성 데이터 전처리 기술에 관한 연구

        우은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CUI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란 오랫동안 진행된 인간과 기계 상호작용의 결과로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모방하여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이는 특히 전자기기 작동에 익숙지 않아 쉽게 사용을 할 수 없는 고연령층을 위한 기술이다. 한국은 2018년 65세 이상인 고령 인구의 비율이 14%를 넘어가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이러한 사회 현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고령화자 음성의 특성과 그의 개선 및 복원에 관한 연구는 다른 나라에 비해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 고령화자 음성은 그 소리가 작고, 발음이 부정확하여 젊은 층의 표준발음을 기준으로 하여 만든 일반적인 음성 인식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고령 화자의 음성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오디오 스타일변환을 이용해 고령 화자의 음성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 노인성 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등이 사용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인식 성능을 높여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단순한 잡음 감쇄, 정규화 등의 전처리 효과만으로는 원본 데이터에 없는 새로운 데이터를 새로 생성할 수는 없는 기존 음성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국립국어원에서 보급한 서울말 낭독체 발화말뭉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데이터 중 음성의 질이 가장 떨어지는 고령 화자를 성별로 각각 한 명씩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한 68세 여성, 71세 남성 화자의 음성 데이터 33개를 음성 변환을 수행하였다. 오디오 스타일변환에 사용한 스타일 음성은 일본 나고야 대학에서 개발한 SPRocket의 결과물이다. 이를 사용하여 원시 화자를 고령화자, 목표 화자를 20대의 젊은 화자로 하여 음성 변환시킨 결과물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딥러닝 알고리즘은 2D Random CNN을 두 번 훈련하는 것으로 구성된 SeniorCNN이다. 노인 음성에 SPRocket으로 음성 변환시킨 음성의 스타일을 입히는 용도로 설계한 SeniorCNN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의 스타일 음성이 필요하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GMM 기반의 전통적인 음성 통계학적인 기법을 사용한 일반 음성 변환 결과를, 두 번째 단계에서는 보코더 없이 변환한 음성의 음성 변환 결과를 스타일 음성으로 사용하였다. 음성 변환의 결과 분석을 위해 SeniorCNN 훈련을 거친 음성 데이터를 ETRI에서 공개한 음성인식 API에 인식시켜 음성 변환 작업 단계별 단어 오류율을 비교하였고, 음성품질 평가의 객관적인 척도로 사용되는 PESQ와 이를 변환한 MOS 값을 이용하여 SeniorCNN의 결과 음성을 SPRocket의 결과 음성과 원래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성인식 성능을 측정하였다. 단어 오류율은 SeniorCNN의 두 단계를 모두 통과시켰을 때 전반적으로 3% 정도 증가하였으나 ETRI 음성인식 결과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해 API에서 인식시킬 때마다 항상 일정한 텍스트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고 젊은 화자의 음성도 단어 오류율이 10% 정도인 것을 참작하여 결과를 분석해 보니 SeniorCNN 훈련 전 원래 고령 화자의 음성에서 인식하지 못한 단어와 어구들을 SeniorCNN의 훈련을 통과한 음성으로 음성인식 시켰을 때는 정확한 단어와 어구로 인식하기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환한 음성별 PESQ와 이를 MOS로 변환한 값을 구해 분석한 결과 SPRocket으로만 음성 변환한 값보다는 이를 스타일 음성으로 사용하여 SeniorCNN으로 훈련한 음성 데이터의 PESQ, MOS 모두 더 큰 값을 나타냈다. SeniorCNN 훈련결과는 첫 번째 CNN 훈련만 통과시킨 중간 결과 음성이 두 번째 CNN까지 통과시킨 것에 비해서 단어 오류율과 PESQ, MOS 모두 더 우월한 수치를 나타내어 CNN 훈련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CNN 훈련 시 사용하는 활성화 함수에 따라 최종 결과 음성의 품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가장 많이 쓰이는 활성화 함수 ReLU와 ReLU에서 파생된 활성화 함수 Leaky ReLU, ELU 이렇게 세 개의 활성화 함수를 이용해서 SeniorCNN 훈련을 수행한 결과 ELU를 사용하여 훈련 시킨 음성파일이 남성, 여성화자 모두 WER이 가장 낮고 PESQ와 MOS가 가장 높게 나왔다. 이것으로 보아 노인 화자의 음성 강화 및 복원을 위한 SeniorCNN 훈련에서는 활성화 함수 ELU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CUI) is a new paradigm that interacts with computers by mimicking the natural conversations of people as a result of long-standing human-machine interactions. This technology is especially for elderly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cannot use them easily. In 2018, more than 14% of the Korean population aged 65 or older: Korea entered full-scale aging society. In spite of these social phenomena,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voices and their improvement and restoration are hardly conducted in Korea. The aging voice is small, the pronunciation is inaccurate and it is not suitable for the general speech recognizer made based on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the young. In consideration of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peakers, this study improves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used by elderly people who are uncomfortable and elderly speakers who suffer from senile voice diseases by preprocessing the voice data of the elderly speakers using audio style transfer.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simple preprocessing effects, such as noise reduction and normalization, have been made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voice technology, which cannot generate new data that is not in the original data.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a Seoul speech reading corpus suppli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05. Among the data, one elderly speaker with the lowest voice quality was selected per gender. 33 speech data of 68-year-old female speaker and 71-year-old male speaker were subjected to voice conversion. The style voice used for audio style transfer is the result of SPRocket developed by Nagoya University in Japan. The result of voice conversion was made by selecting source speaker as aging speaker and target speaker as young speaker in 20s. The deep learning algorithm proposed in this study is SeniorCNN, which consists of training 2D Random CNN two times. Two style voices are required to operate SeniorCNN designed to apply the style of voice converted into SPRocket to voice of elderly voice. In the first step, general speech conversion results using GMM-based traditional speech statistical techniques were used. In the second step, vocoder-free-based speech conversion results were used as style speech. This result data was recognized by ETRI's public speech recognition API to compare WER (Word Error Rate) for each voice conversion task step. We compared the results of SeniorCNN's speech with the quality of SPRocket's speech and the voice data itself, and the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data. WER increased by 3% overall when passing both steps of SeniorCNN, but the result of ETRI voice recognition does not always output a constant text every time whenever the spee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ognized by the API. Given the Just only WER,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absolute performance of SeniorCNN. For this reason, the results of the speech recognition showed that there are cases that the words and phrases that were not recognized in the voice of the old aged speaker before the SeniorCNN training were recognized as the correct words and phrases when they were recognized by ETRI API after SeniorCNN trai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SQ for each voice and the value converted to MOS, the value trained by SeniorCNN using the style voice was higher than that of SPRocket. However, I could confirm that the results of SeniorCNN training are superior to both WER and PESQ-MOS, compared to the intermediate CNN passing only the first CNN training to the second CN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repeating CNN training several times did not necessarily indicate good result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how the final result voice quality varies according to the activation function used in CNN training. The most commonly used activation functions, ReLU and ReLU-derived activation functions, Leaky ReLU were used. SeniorCNN training by using these three activation functions showed that for both male and female speakers, the voice files trained using ELU had the lowest WER and the PESQ and MOS were the highest. This suggests that the activation function ELU is most suitable for SeniorCNN training for speech reinforcement and reconstruction of elderly speakers.

      • 형식주의를 바탕으로 한 도자조형연구

        우은주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의 미는 수수함, 단아함, 소박미, 해학미, 자연미 등 여러 가지의 용어들로 표현되어 지고 있다. 한국미에 대한 공식화 되어버린 위의 단어들은 현대미술의 시각으로 볼 때 어떠한 조형적 요소들로 인해 특징지어져 있는가 하는 물음을 갖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목가구가 갖고 있는 한국적 미를 현대 미술이론의 큰 흐름으로서 예술작품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있는 형식주의이론으로 살펴보고 본인의 도자조형연구에 적용하고자 한다. '미적 aesthetic'이란 개념은 '바라봄 looking' 혹은 '지각 perception'을 가리키며 '예술 art' 과 '미 beauty'의 의미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조화 harmony'는 '미적'이라는 용어를 정리하기 위해 생겨난 정의로 사상가들과 시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 왔으며 모든 미적 대상들에 공통되는 특성으로 제시되어 왔다. 따라서 특정 양식이나 시대의 '취미 taste'에 맞는 예술이 모든 미적 가치 원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양식들이 발전하게 되고 '취미 taste'라는 개념은 변화하게 된다. '관조 contemplate'는 과거의 '미적'특성을 아름다운 대상들로 인식한데 반해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지각에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들, 즉 비미적으로 여겨온 대상을 새롭게 미적대상으로 부각시킨 용어이다. 관조에 있어서 형식은 그 어느 것에 의해서도 객관화 될 수 없는 미적정서의 근원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로 인해 형식이 미적 대상에 있어 중요함을 인정하게 된다. 오늘날의 새로운 양식에 대한 취미, 즉 관조는 형식주의 미술이론의 근간으로 현대 미술이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고 변화하게 하였다. 형식주의 이론은 19세기 말부터 이론적 형태를 이루며 예술작품의 본질이 근본적으로 형식에 있다고 보는 미학이론이다. 이 이론에서 미적정서는 예술가 자신의 지각에 의해 형식적 요소들이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므로써 어떠한 조형성을 이루어낼 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미적정서의 요소는 선, 양괴(입체성), 색체 그리고 공간과 빛을 그 형식요소로 한다. 19세기 말의 C.벨과 R.프라이의 형식주의 미술 비평은 고전 작품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디자인의 원리를 찾아 현대 미술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후기인상주의 미술을 대중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해 형식주의의 미적 이론을 세잔, 고흐 그리고 고갱의 작업들을 통해 되짚어 보았다. 한국적 정서를 특징으로 한 전통 목가구는 이미 예술적 가치가 인정되어 연구되어왔고 한국적 미를 담고 있는 대상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전통 목가구의 취미에 따른 미적 정서와 '관조'의 개념, 즉 형식주의의 이론을 통한 전통가구의 적극적인 접근은 미학이론에서도 이론적 근거로 중요시하고 있는 미적 공감대에 대한 인식을 주목하게 한다. 미적 공감대에 대한 적극적인 바라봄은 본 연구의 기본적 자세가 되었으며 초기 C.벨과 R.프라이의 후기인상주의 미술비평을 근거로 하여 전통가구의 다양성을 발견하고 보여줌으로써 선과 양괴에 대한 미적 탐구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beauty of Korea is expressed by various words like neatness, refinement, simplicity, a touch of humor and naturalness. The formally approved words mentioned above raise the question: "What kind of formative factor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words make from the point of view of modern art?" This study's objective is to look into the beauty of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with respect to the formalism theory, which is an influential movement in the modern art, and to attempt a new explanation. Furthermore, the author hopes to incorporate the research into his own the plastic ceramic study. The concept of 'aesthetic' indicates 'looking' or 'perceiving' and includes the meaning of both 'art' and 'beauty'. 'Harmony' gave birth to the word 'aesthetic'. It has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by thinkers of various era and presented as common characteristic of every aesthetic object. Therefore, an artharmonized with specific form or taste of ages was regarded as an archetype aesthetic value. However, new forms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as the concept of taste varied. The term 'contemplation' brings to light matters regarded worthy for perception vastly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that is objects seen with no aesthetic value before are now perceived as the 'new' aesthetic,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aesthetic character as beautiful object.The form in contemplate is the origin of aesthetic sentiment that objectifiesanother thing. That is why the form is important in an aesthetic object. Today's new mode-contemplation- based on formalism art theory and made modern art move into a different direction. Formalism, which originated in the late 19th century, is an aesthetic theory that defines the essence of art as the form. From this theory, aesthetic sentiments originate from various factors harmonized by the perception of artist to a formal design. The elements of aesthetic factors consist of line, volume, color, space and light. Art Criticism of Formalism by C. Bell and R. Frey in late 10th century tackled mainly the designs commonly found in classical works of art and defined one standard in explaining modern art. It focused, especially, to define post expressionism to the public and attempted to discuss formal aesthetic theory through the works of Cezanne, Van Gogh, and Gauguin.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which figures mostly in Korean sentiment, has been studied for the artistic value is already proven and has been regarded as an object that expresses the beauty of Korea. The aesthetic sentiment and the concept of contemplation as expressed intraditional wooden furniture, which is the positive approach through formalism theory,takes notice of the perception of aesthetic sympathy as the theoretical basis. Positive approach on aesthetic sympathy is the focus of this study. Furthermore, it attempts to define the meaningas found and shown by the varietyof traditional furniture based on art criticism in post-impressionism by C. Bell and R. Froy, and to develop aesthetic exploration on line and volume.

      • 사회적 기억 속에 내재한 카운터 모뉴먼트의 시민참여 지향성 연구

        우은주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It can be said that the 19th-century memorial sculptures in Korea played a role as a means of political power control and a political tool, and the method of creating and installing the memorial sculptures that continued this tradition has been introduced into Korea and the form and expression methods have been followed up to the present day. The memorial sculptures were questioned about the acts of commemoration in the memorial sculptures, as it can be seen that the decline, destruct-ion is repeated by the contradiction, originating, creating, and develo-ping according to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hegemony of the times. The act and memorial media are not permanent, and the memorial/memory itself speaks to the aspect that needs to be demanded as a social building space through regeneration and change from'regeneration' and 'recovery'. It was judged that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a new monumental style was being raised as my work. This study aims to study new memorial sculptures in the memory and space domain, and this study aims to compel patriotism under the military power system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emorial sculptures as the main objects of national representatives, patriot governors, and independence activ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memorial sculptures that have been fixed by examining the cases of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which have a purpose of personality and various attempts for memory and participation. The research method can be seen as a change of direction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monument,'mourning, memorial, recollection','voluntary participation', and'direct participation in speech and production'. To analyze the social role of expression method. Specifically, 12 representatives of each of 4 locations in France, Germany, and Korea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destinations for the monument, and the counter monument was a total of 13 German monuments, 2 in the United States, and 5 in Korea, mentioned by James Young, a German case. Select a place and analyze the change of memory according to the media and the role of society through examples. In addition, by implementing, perceiving, and perceiving the Monument and Counter Monument in the'components of social memory' framework, a survey was conducted for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Give directions. In the future, public art activities involving citizen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memory is remembered because it gives the space as a place of exchange by giving the time to touch, walk, read, see, and feel the media in order to experience each person's private and public experiences. It should be planned for this reproduction. Second,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Counter Monuments is their mutual relationship, which can be said to be influenced by the ability of public institutions to select and plan,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members such as the general public. There fore, now, the field of memory and memorial arts needs to be specialized in order to operate continuously. Third, various reproduction media should be tried. This means that the medium must be reproduced in a flexible, diversified, temporary, and temporary form in the midst of acceleration. In addition, the use of storage media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useful way to restore publicity. It remains unfortunate that we have not ye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t being diverse in domestic cases, but we expect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conducted with media and activities to contain social memories in the future. 국내의 19세기 기념조형물은 정치권력 통제 수단과 정치적 도구로서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전통이 그대로 이어진 기념조형물 제작 설치 방식이 국내에 그대로 유입되었고 현대까지 형식과 표현 방법이 그대로 답습되어 오고 있다. 기념조형물은 시대적 헤게모니의 필요·요구에 따라 기원·생성·발전되며, 다시 그 모순에 의해 쇠퇴·파괴됨이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듯이 기념조형물에서 기념하는 행위에 의문을 제기하였는데, 그 의문은 기념 행위와 기념 매체로 인해 영구적이지 못하고, 기념·기억 자체도 ‘재생’과 ‘회복’에서 재생과 변화로 사회적 구축 공간으로 요구되어야 하는 측면을 이야기하며, 기념조형물은 집단기억과 의식에 변화를 이끌어내는 작품으로 새로운 기념비 양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기억과 공간 영역에 있는 새로운 기념조형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며, 이에 본 연구는 국내는 건립 당시 군사 권력체제 아래에 애국심을 강요하는 성격의 한 목적성을 지니고 있는데 기억과 참여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독일과 미국의 사례를 고찰하여 고착화된 기념조형물의 문제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기념비의 본래의 목적인 ‘애도·추모·회상’,‘자발적 참여’, ‘발언·제작에 직접 참여로 방향성이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를 모뉴먼트와 카운트 모뉴먼트의 사례 조사를 통해 사회적 기억, 표현 방법의 사회적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뉴먼트의 대표적인 대상지로 프랑스·독일·한국의 각 4개소씩 12곳을 선정하고, 카운터 모뉴먼트는 독일 사례인 제임스 영이 언급한 독일 기념비 사례 6개소, 미국 2개소, 한국 5개소의 총 13곳을 선정하여 매체에 따른 기억의 변화와 사회의 역할을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그리고 모뉴먼트와 카운터 모뉴먼트를 ‘사회적 기억의 구성 요소’ 틀에서 실천· 지각· 인지를 도출하여, 분석틀에 의해 시민참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 결과를 토대로 매체의 공감· 매체 · 기억 세 가지 방향성을 제시한다. 향후 시민이 참여하는 공공 예술 활동은 첫째, 사회적 기억은 개개인의 사적·공적 경험하기 위해 매체를 만지고, 걸으며, 읽고, 보고, 느끼는 시간을 부여함으로써 일정 공간을 교류의 장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므로 기억이 재생산 할 수 있게 기획되어야 한다. 둘째, 카운터 모뉴먼트의 가장 큰 특징은 상호 관계성으로 공공기관의 선별능력과 기획력, 일반인 등 구성원의 이해 정도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기억·기념 예술 분야도 지속해서 운영되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화되어야 한다. 셋째, 재현 매체가 다양하게 시도되어야 한다. 이는 가속화되고 있는 속에서 매체는 유연성·다변화 ·임시적· 일시적인 형태로 재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억 매체의 활용이 공공성 회복위한 유용한 방법으로는 변화 시켜 나가야 한다. 아직은 국내 사례가 다양하지 않다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사회적 기억을 담기 위한 매체와 활동이 향후 영역에도 심화 시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 Terra-cotta의 實用的 意義

        禹銀珠 충남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and food habit of the pubertal female students living in rural areas where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standards are relatively low. The second objective of study wa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food suppling method and nutritional status. The subjects were 447 9th grade female students living in KangKyung Yeon Mu, and No Sung.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5, until September, 15, 1983. The questionnaries were used for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s using random sampling and the 24-hr recall method were used for food and nutritional status after subjects training by eye-measurement. The direct measurement were used for the status of physical development.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based on percentage, the chi-square test and t-test 1. Biographical information 1) 50.5 percent of the selected student are 14 years old, and 63.6 percent of all the students had more than 4 brothers and sisters. 2) The average student was often skipped breakfast and lunch were less satisfied than those usually ate, most of the students(91.6%)having breakfast kept lunch time The students skipping lunch had usually bread as their snacks. 3. Food and nutrient intakes 1) The total food intakes of the students were 978.8 grams per day and 9.6 percent of the total intakes were animal food. 2) The average amounts of the students' daily nutrient intakes were lower than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except thiamin and ascorbic acid. Calcium and vitamin A were most the lowest nutrients. 3) The ratio of carbohydrate to profein to fat were 76.4:12.3:11.3 4) The supper provided the largest amounts of most nutrients, the breakfast the least. 4. The relation between food suppling method and nutritional status The subjects suppling food in market took more profein, fat, calcium than self-supporting subjects. Also the ratio of animal source of the above three nutrients and iron were higher in the former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