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

        우성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유단백질을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 후 저분자 peptide를 ABTS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유단백질 유래 저분자 peptide의 항산화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chymotrypsin처리 한 유청단백질의 가수분해도가 가장 높았으며, 유청단백질의 lactalbumin및 lactoglobulin이 분해되어 분자량 20 kDa 이하의 저분자 단백질이 생성된 것을 전기영동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유단백질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casein의 항산화 활성이 유청단백질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단백질을 효소에 의하여 가수분해 시 항산화 활성이 증가 하였으며, casein 가수분해물이 whey protein 가수분해물과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이 더 높았으나. 가수분해도와 항산화 활성도의 관계는 일치하지 않았다. trypsin에 의한 casein 가수분해 물의 항산화 활성이 80.7%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chymotrypsin과 trypsin에 의한 분자량 3 kDa의 케이신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유청단백질을 trypsin으로 분해 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Summary This study is measured an antioxidative activity of hydrolyzed milk protein's low molecular peptide by ABTS metho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Whey protein is treated by chymotrypsin, the degree of hydrolysis is the most high, According to the SDS-PAGE pattern confirmed Lactalbumin and Lactoglobulin are hydrolyzed. 2.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ilk protein hydrolysate were compared with trolox. In case of hydrolyzed milk protein, Casein was higher than whey protein. 3. the tryptic digested casein antioxidant activity is the most high as 80.7%. hydrolyzed milk protein was isolated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 4. Casein hydrolysate passed through a membrane with molecular weight cut-off (MWCO) 3kDa was shown the strongest antioxidative activity.

      •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 대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우성호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 대상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연구 및 실행되고 있지만, 저소득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지역아동센터의 욕구에 맞추어 한 회기 당 50분씩 주 4회,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1회기에서는 ‘내 마음의 별빛 조각’이라는 제목으로, 2회기에서는 ‘지피지기’라는 제목으로, 3회기에서는 ‘SWOT?!’이라는 제목으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의 가치관, 성격유형, 강점 그리고 기회 등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객관적 시선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4회기에서는 ‘소원을 말해봐~’라는 제목으로, 5회기에서는 ‘마음에 비가 와’라는 제목의 회기를 통해 현재 자신이 지닌 스트레스와 목표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며 변화에 대한 준비를 지도하였다. 6회기에서는 ‘Pick Me Up’라는 제목으로, 7회기에서는 ‘나만의 내비게이션’이라는 제목의 회기를 통해서는 자신의 진로, 흥미를 찾아보며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강화시켜 집단원 스스로 변화 동기를 이해하며, 최종적으로 8회기에서는 ‘변화, 그 위대한 첫걸음’이라는 제목으로, 9회기에서는 ‘We can do it!’, 10회기에서는 ‘도전! 그리고 성공!!’이라는 제목의 회기를 통해 변화를 시도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중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에 신청한 청소년 20명(실험군, 10명, 통제군,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및 학습동기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 진행 전, 실험군과 통제군 청소년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실험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습동기는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서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셋째, 통제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는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 진행 후, 실험군과 통제군 청소년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가 일반 청소년들에 비해 낮은 저소득 청소년들의 정서적 안녕과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함을 통해 저소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桑심子추출물의 Peroxynitrite 억제 및 염증 촉진 인자 제어 효과

        우성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Mori Fructus on the generation of peroxynitrite (ONOO-), nitric oxide (NO)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O2-) in the endothelial cells of rat vessels. The effects of Mori Fructu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NF-κB (p50, p65), COX-2, and iNOS,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ting. Methods : For this study, the fluorescent probes, namely dihydrorhodamine 123 (DHR 123), 4,5-diaminofluorescein (DAF-2) and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were used.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using anti-NF-κB (p50, p65), anti-COX-2, anti-iNOS respectively. Results : Mori Fructus inhibited the generation of ONOO-, NO and ?O2-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endothelial cells of rat vessels in vitro. Mori Fructus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OX-2 and iNOS genes by means of decreasing the NF-κB activation. Conclusions : hese results suggest Mori Fructus is effective on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ONOO-, NO and ?O2-, and that therefore it might have a potential role as a treatment for the inflammatory process and inflammation-related diseases.

      • 債權者取消權에 관한 硏究 : 본질 및 취소소송을 중심으로

        우성호 淸州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Korea suffered the crisis of relief loan by IMF in 1997, considerable debt could not be repaid owing to bankruptcy of enterprise and collapse of individual economy, thereby compelling surety or joint surety to wholly bear the debt of main debtor. Such background of the age encouraged debtor, surety or joint surety to conceal their property or to assign it to the third party in disguise. As the lawsuit related to Creditor's revocation right sharply increased, the meaning of Creditor's revocation right was highlighted as a chance to accumulate many judicial cases. Creditor's revocation right protects debtee from the fraudulent act committed by debtor, beneficiary and subsequent purchaser. Namely, debtee has to be satisfied with the general property of debtor, unless his credit is secured by material collateral. Notwithstanding, debtor converts his general property into money by sales contract with the 3rd party or unfairly reduces the responsible subject property by providing material collateral to avoid the repayment of debt, an act that harms debtee. Negating the effect of debtor's reducing property to restore the diverted property to debtor, debtee has the right to preserve general collateral of credit. This right is Creditor's revocation right. In a sense, the system of Creditor's revocation right seriously affects debtor and the 3rd party, bearing high risk to jeopardize the stability of transaction. Thus, it is against the safety of transaction and judicial idea that has been emphasized since recent times. Therefore, there are still many points to consider, namely, to which extent should debtor be free in the activity of property, to which extent should the transaction of beneficiary and subsequent purchaser be protected, how can the interest of beneficiary or subsequent purchaser be adjusted, how to adjust the harmony with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debtee, etc. While Creditor's revocation right is derived from actio pauliana in Roman law, its legal provision, Article 406/407 of our Civil Law merely stipulates general principle quite simply, thereby raising problem in the composition and interpretation of diverse legal principles. Unlike the German system that has detailed substantive enactment to regulate by special law besides Civil Law, the Creditor's revocation right in our Civil Law merely adopts French Civil Law that has 1 and 5 provisions in general rules and individual rules without unified system. Thus, substantive enactment is simple and Civil Proceedings Act has no particular provision for this matter. As a result, the detailed operation largely depends on doctrine and judicial case as a matter of fact. Since many interpretations and judicial cases on the Creditor's revocation right collide between legal principles which are still applied to specific cases, however, we need new interpretation on Creditor's revocation right that is comprehensively applicable to each type of act. The doctrine on Creditor's revocation right is not yet unified on legal quality, that is, whether it is formation right, claim or the right composed of both. Especially, the relative ineffective theory that bears the position of common view and judicial case stipulates that the effect of cancellation does not reach debtor, but fails to theoretically explain that the object of fraudulent act is restored to debtor so as to be enforced for debt in the name of debtor. While the effect of cancellation by decision does not reach debtee who is not a party of the lawsuit, it is difficult to legally explain Article 407 of Civil Law stating that cancelling fraudulent act is effective for the interest of all debtee. Taken by common view and judicial case, the relative ineffective theory raises the issue of compulsory execution procedure for returned property in the relation of Article 406 of Civil Law and the issue of relation with debtee who is not a party of the lawsuit in the relation of Article 407 of Civil Law. Like this, it includes theoretic contradiction, but doctrine and judicial case fail to explain it clearly in reality. As prerequisite to solve these issues, this thesis investigates a series of doctrine related to the legal ground of Creditor's revocation right and quality theory and compares to the legislation case of foreign countries. In the light of the intention that Creditor's revocation right is expressly stipulated in the provisions of Article 406/407 of Civil Law to eventually protect debtee, the objective of study is a try to settle Creditor's revocation right as effective system that can protect debtee more faithfully (original objective of the system) by overcoming theoretic problem of requirement and exercise related to lawsuit for canceling fraudulent act that debtee should raise against beneficiary and subsequent purchaser and providing unified legal principle. With respect to the scope of study, the doctrine on Creditor's revocation right in Korea mainly discusses the legal character of Creditor's revocation right, the issue of substantive law around the requirement and effect of exercising Creditor's revocation right, the form of lawsuit in realizing Creditor's revocation right through lawsuit procedure, eligibility of plaintiff, eligibility of defendant, responsibility to verify fraudulent act, the intent of claim and text of decision, the scope of materielle Rechtskraft, the issue of procedural law around compulsory execution. Since mentioning all these discussions on Creditor's revocation right would be excessively vast work without focus, this thesis will preferentially mention legal ground and character, the issue of substantive law, check the process to adopt Creditor's revocation right in Korea and the legislation case in main countries, investigate Creditor's lawsuit for cancellation based on Article 406/407 of Civil Law and presen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legislative solution. The methodology of study mainly depends on studying literature. Analyzing div

      • 수산물의 잔류 동물용의약품 시험법 검증 및 모니터링

        우성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목: 수산물의 잔류 동물용의약품 시험법 검증 및 모니터링 최근 우리나라의 수산물 양식에 대한 의존도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수산물에 대한 동물용의약품의 잔류허용기준 및 시험법을 신설하여 동물용의약품 사용에 대한 안전성 확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수산물에 대한 린코마이신과 콜리스틴에 대한 잔류허용기준 및 시험법이 신설됨에 따라 시험법 검증 및 모니터링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시험법 검증은 Codex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험실내 validation으로 실시하였으며, 검증결과 Codex에서 요구하는 상관계수, 회수율, 변동계수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다. 또한, 광주/전남, 부산/경남, 대전/충남지역을 대상으로 넙치, 조피볼락, 돔, 민물장어, 새우, 꽃게 등 6종의 수산물 140건을 수거하여 린코마이신, 콜리스틴에 대한 잔류량을 L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전/충남지역에서 수거된 민물장어에서 린코마이신이 1건 검출되었으나 잔류량은 0.02㎎/㎏으로 잔류허용기준치 이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내 유통되는 수산물에 대한 린코마이신, 콜리스틴의 사용은 매우 안전한 단계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고, 앞으로도 꾸준한 모니터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Verification of experimental method on the residues of medicines for animals in aquatic products and monitoring As domestic consumption of fisheries products is increasingly dependent on farming of aquatic products,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KFDA) raised the food standard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limit of residual veterinary drugs, such as lincomycin and colistin to aquatic products. In this study, the verification of experimental method and investigation based on monitoring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an acceptable level of residual lincomycin and colistin in aquatic products in 2008. The verification of experimental method was conducted according to Codex guide. Consequently, all coefficient of correlation, recovery rate from sample spiked,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satisfied. Also, we investigated the residues amount of 2 veterinary drugs, lincomycin, colistin in 140 samples collected from Gwangju/Jeonnam, Busan/Gyeongnam, Daejeon/Chungnam including flatfish, jacopever, seabream, fresh-watereel, shrimp and blue crab.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LC/MS. Lincomycin was only detected from the fresh-water eel which was collected from Daejeon/Chungnam region. However, the amount of the residue was not exceed MRLs.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s that veterinary drugs have been properly controled with regard to currently circulated aquatic products. Also,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aquatic products should be continually administered for safety.

      • 초등학생의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인형극 프로그램 실행 연구

        우성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말하기 불안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방안으로써 인형극을 채택하여 수업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그 적용 결과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현대 사회에서 말하기의 중요성은 점점 부각되고 있고, 그만큼 말하기 불안도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말하기 불안은 모든 의사소통 상황에서 느끼는 지속적인, 그러나 극복 가능한 불안 증세로 정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말하기 불안은 어린 시절부터 형성될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 시기에서부터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교육하고 해소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초등교육에서는 말하기 불안에 대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기계적인 말하기 연습의 반복 수준에 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불안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인형극’을 활용하고자 한다. 인형극은 무대 위에 인형이 배우로 등장하는 극적 활동을 의미하는데, 인형에게 시선이 집중된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말하기 상황에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인형은 그 자체로 학생들에게 훌륭한 동기 유발의 수단이 되어 다른 학생들을 집중하게 할 수 있고, 인형이 주는 환상성을 통해 학생들의 다양한 생각을 창의적이고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인형극을 만드는 과정에서 다른 학생들과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하게 되고, 발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성공적인 말하기 경험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인형극의 장점을 활용하여 말하기 불안을 극복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액션 리서치(Action Research)의 방법으로 설계되었다. 즉, 1차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생들과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진행 과정에서의 문제점이나 개선점을 찾았다. 그리고 이를 수정·보완한 2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진행하면서 인형극을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말하기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행 연구, 방법, 제한점 등에 대해 정리하였고, 2장에서는 말하기 불안과 인형극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했다. 3장에서는 지금까지 말하기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연구 프로그램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인형극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4장에서는 두 차례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을 관찰하고, 사전·사후 설문 결과 및 여러 정성적 자료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5장에서는 인형극 프로그램의 효과 및 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고 이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서술하였다. 두 차례의 인형극 수업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에게서 말하기 불안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는 말하기 불안을 일으키는 내적 요인을 자기 효능감의 부족, 말하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 과도한 긴장감, 말하기 기술의 부족의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학생들은 이 네 가지 측면에서 설문 조사의 결과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불안을 느끼는 정도가 낮아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높은 수준의 말하기 불안을 느끼는 관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관찰일지, 면담일지, 소감문을 분석했을 때도 유의미한 발전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인형극을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이 말하기 불안을 해소하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활용한 프로그램을 간단히 정리하여 ‘1. 인형극 세계에 입문 → 2. 인형 제작 및 인형에 생명 불어넣기 → 3. 연극 놀이를 통해 인형과 친해지기 → 4. 인형을 활용하여 인형극 제작하기’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용하여 말하기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how Communication Apprehension appea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lan a class program by adopting puppetry as a way to effectively solve it, and check the application results. In modern society, the importance of speaking is increasingly being emphasized, and communication cpprehension is also becoming common. Communication cpprehension can be defined as persistent but surmountable anxiety symptoms felt in all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is formed by the complex action of various factors. Since this communication apprehension can be formed from childhood,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solve it in an proper way from elementary school. However, education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is not effectively conducted in elementary education at present, and it is only a repeating level of mechanical speaking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use ‘puppetry’ to effectively teach commun -ication apprehension. A puppetry is a dramatic activity in which a puppet appears as an actor on the stage, and it can give students a sense of stability in speaking situations in that their eyes are focused on the puppet. The puppet itself can be a great motivator for students to focus on other students, and it can creatively and effectively express various ideas of the students through the fantasy provided by the doll. In addition, students naturally communicate with other students in the process of making a puppetry, and they can have a successful speaking experienc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resentation. In order to construct a program to overcome communication apprehension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se puppetry, this study was designed by the method of Action Research. In other words, the first program was formed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the students, and problems or improvements were found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 secondary program that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is was constructed and conducted, and it was checked how the class program using the puppetry affected the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is study is composed of a total of five chapter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methods, and limitations are summarized, and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peech anxiety and puppetry is summarized. In Chapter 3, several research programs to overcome speaking anxiety were reviewed, and a puppetry program was designed to relieve speaking anxiety. In Chapter 4, students were observed through two programs, and their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the results of pre- and post- survey and various qualitative data. Chapter 5 presents the effects of the puppetry program and the model of the program, and describe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conducting two puppetry class programs, it was possible to observe positive changes in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the students. In this study, the internal factors that cause communication apprehension were set into four categories: lack of self-efficacy, negative perception of speaking, excessive tension, and lack of speaking skills. In these four asp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anxiety was lowered as a significant result in term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addition, significant progress was also found when analyzing observation logs, interview logs, and testimonials for observational students who felt high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ss program using the puppetry had a positive effect on resolving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addition,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briefly summarized in ‘1. Introduction to the world of puppetry → 2. Making puppets and giving life to puppets → 3. Getting to know puppets through play play → 4. Making puppetry using puppets’ model was present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to overcome communication apprehension by modifying this study in various ways will continue.

      • 귀농·귀촌 결정요인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6개 시.군을 중심으로

        우성호 영남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귀농・귀촌 준비과정, 귀농・귀촌의 의사결정 요인, 귀농・귀촌의 지역결정요인, 그리고 귀농・귀촌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6개 시・군(영주시, 영천시, 상주시, 의성군, 청도군, 봉화군)을 공간적 범위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Limde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요인에 대한 인식 및 지역별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귀농・귀촌을 활성화 정책에 대한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각 차원별 요인들을 살펴보면, 귀농・귀촌인의 준비과정은 정보수집요인, 환경적 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귀농・귀촌 의사결정 요인은 도시압출요인, 농촌흡인요인, 정책적 요인, 귀농・귀촌 지역결정 요인은 생활여건 요인, 영농여건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귀농・귀촌 만족도는 영농만족도, 귀촌만족도, 정책만족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귀농・귀촌 유형별로는 I턴형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J턴형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국토연구원(2008)의 연구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귀농・귀촌의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보수집 요인, 환경적 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정보수집 요인 중에서는 인터넷이나 기관방문을 통한 정보수집, 귀농・귀촌인의 조언이, 환경적 요인 중에서 자녀 교육문제 고려, 정책적 요인 중에서는 전문적 영농교육의 이수가 준비과정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지역선택의 예측력에 있어서는 I턴형의 예측력이 73.1%로 가장 높았고, J턴형 50.0%, U턴형 30.0%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귀농・귀촌의 준비과정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본 결과, 영천시의 경우는 자녀교육과 전문적 수준의 영농교육, 상주시는 기존의 귀농・귀촌자들로부터의 조언과 관련 연수 및 세미나에의 참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귀농・귀촌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시압출요인, 농촌흡인요인, 정책적 요인의 세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압출요인에 의한 이주보다는 우수한 자연환경과 생태적 삶에 대한 기대 혹은 건강에 대한 기대 등과 같은 농촌흡인요인이 보다 크게 작용하여 귀농・귀촌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도시압출요인 중에서는 환경오염(평균 3.09), 인간관계(평균 2.99), 퇴직(2.47)이 이주를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농촌흡인요인은 쾌적한 자연환경(평균 4.22), 건강에 도움(평균 4.13)이 선정되었다. 그러나 정부에서 귀농・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추진하는 각종정책은 귀농・귀촌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지역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여건요인, 영농여건요인, 정책여건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조사응답대상자들의 지역결정요인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생활여건 2.41, 영농여건 2.34, 정책여건 2.27). 생활여건요인 중에서는 자연환경이나 풍수, 주택 및 토지가격의 적정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식(평균 3.69)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의료시설이나 교육시설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농여건에서는 농지가격이나 기후 및 토양 혹은 지역영농유형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정책여건에서는 교육훈련이 도움되었다는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생활여건 관련 변수 중 대도시접근성이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로 선정되었다. 귀농귀촌에 대한 만족도를 귀촌만족도, 영농만족도, 정책만족도로 구분하여 분석해본 결과, 귀촌만족도 2.61, 영농만족도 3.08, 정책만족도 2.54로 영농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귀촌만족도 중에서는 자연환경과 주택 및 이웃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영농만족도에서는 영농활동과 작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의 다양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정책에 대한 만족수준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귀촌자들은 자연환경이나 교육여건, 주택 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영농만족도는 가구소득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책적인 여건 중에서는 정착지원이나 교육훈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선택의 예측수준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귀농·귀촌 지역결정단계에서 선택한 지역을 실제로 선택할 확률은 상주 80.0%, 영주 74.1%, 봉화 71.7%, 영천 63.2%, 순이었으며 전체적으로는 64.3%에 달하여 지역결정요인과 지역선택과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부지역 3개 시군은 수도권으로 부터, 남부지역 3개 시군은 대구경북권 및 부산경남권으로 부터 주로 이주해 오고 있어 중력모형이 확연히 적용되고 있었다. 둘째, 의사결정요인 중 도시압출요인보다 농총흡인요인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고 있어 기존의 압출흡인이론과 일치하였다. 셋째, 지역결정요인은 자연환경이외에는 전반적으로 소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의료여건 및 교육여건에 대한 인식이 특히 부정적이었다. 넷째, 귀농·귀촌 결정과 관련해서 정책요인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측면에서 유의미한 인식이 없었다. 귀농·귀촌 정책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가 요청된다. 다섯째, 귀농 선호지역과 귀촌 선호지역이 지역 특성에 따라 확연히 구분되고 있었다. 그중에서 귀촌 선호지역은 수도권으로 부터의 접근성이 좋은 북부의 상주, 영주와 대구광역시 인근의 청도이며 귀촌가구가 귀농가구를 상회하였다. 여섯째, 귀농·귀촌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는데, 영농 만족도 중 영농활동 및 작목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하나 소득에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 귀농증가 추세의 지속성에 의문점을 제기하고 있다. 일곱째, 귀농인보다 귀촌인의 정책만족도가 저조하여 귀촌정책 보완방안이 검토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여덟째, 귀촌인 중 예비귀농인의 비율(62%)이 높으므로 이들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아홉째, 농촌 지방자치단체의 열의와 자세에 따라 귀농·귀촌 성과에 차이가 있었다. 농촌 지방자치단체를 비교하면, 상주, 봉화, 영천은 귀농·귀촌 수요흡수에 적극적,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에 비하여 영주, 청도는 이에 대조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시군간의 이러한 결과적 차이는 지역 그 자체의 특성에도 일부 기인하고 그 지역 귀농인협회 등 민간부문에서도 기인하지만, 상당 부분은 해당 시군의 열의와 자세에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농촌 지방자치단체로서는 귀농·귀촌 수요를 여하히 흡수하는 것이 그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수도 있는 만큼 여타 시군의 우수한 사례를 지역 특성에 맞게 본받아 귀농·귀촌을 지역발전의 디딤돌로 삼으려는 자세가 요청된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된 2011년 이후 귀촌인의 증가는 폭발적이다. 2012년의 경우 귀촌가구수가 귀농가구수를 상회하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향후 지속될 전망이다. 귀촌인들의 농촌지역사회에 대한 잠재적 기여가능성이 큰 만큼 귀촌정책 수립의 시급성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귀촌정책의 객관성과 적실성이 요구된다. 농업정책으로서의 귀농정책 못지않게 농촌정책의 일환으로 귀촌정책의 중요성이 적지 않은 만큼 귀촌정책의 적극적 추진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귀농·귀촌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노력만 가지고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다양하고 복잡한 귀농·귀촌 유형들을 효과적으로 풀어내기 위해서는 민관 협치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상주시는 귀농·귀촌정보센터 운영으로 도시민 유치 및 정착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고 있으며, 봉화와 영천에서는 귀농인협회를 중심으로 효율적 대응을 하고 있었다. 특히 봉화는 전국귀농운동본부와 연계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귀농・귀촌인의 만족도 수준이 저하되고 있는 만큼, 귀촌 현상을 다루는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현재 대부분의 정책은 단순히 도시민 농촌유치에 있어서 양적확대에 치우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질적인 수준으로의 확대를 위하여 유치 후 정착에 대한 관심 및 지원, 철저한 농촌이주 준비를 위한 내실있는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과 작목 선택이 중요하며 이주에 수반되는 소요자금 마련이 관건이라 할 수 있어 이주 관심단계의 교육훈련에서부터 이점에 대한 충분한 주지가 있어야 할 것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시기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일본의 경우와 같이 장기적 관점의 정책대응 방안이 요청된다. 그리고 미국의 사례와 같이 선택적 거주이전 현상에도 대응할 정책적 대비가 필요하고, EU의 경우와 같이 젊은 도시민의 취농을 촉진하고 장려하는 방안 마련 또한 요구된다. The study analyzed preparation for returning to farm, determinant factor on deciding to return to farm, determinant factor on selecting local areas for returning to farm, satisfaction for returning to farm and derived policy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returning to farm. For this, six cities and counties with abundant population who returned to farm in Gyeongsangbuk-do were selected for its locational scope. First of all, reviewing factors by each stage and dimension, preparation for returning to farm were divided into collecting information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policy factor and determinant factor on deciding to return to farm were classified into factor to push from city, factor to absorb to rural area, policy factor and determinant factor on selecting local areas for returning to farm were sorted to living condition factor, farming condition factor and policy factor. And satisfaction for returning to farm were categorized to farming satisfaction, returning to farm satisfaction and policy satisfaction. In the analysis,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 on each factor and affecting factors for variables for each factor by area were verified.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and 280 copies in total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type of returning to farm, I-turn was most frequent and it was different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by the KRIHS(2008) that had the highest rate of J-turn. As the result to classify factors on preparation for return to farm into collecting information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policy factor, collecting via internet search or visiting to institutes and advices by people who already returned to farm of collecting information factors, consideration of education for children of environmental factors, completion of professional farming education of policy factors were affecting, respectively. For prediction of selecting local area, that of I-turn was highest with 73.1% and then J-turn(50.0%) and U-turn(30.0%) followed, respectively.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significantly preparation of returning to farm by area, in case of Youngcheon, education for children, farming education in professional level had influences while in case of Sangju, advices from existing people who already returned to farm and participation in the related training and seminar were affecting factors. Determinant factor on deciding to return to farm were classified into factor to push from city, factor to absorb to rural area, policy factor.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actor to absorb to rural area such as expectation for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 ecological life and health were more affecting than migration through the factor to push from city. Specifically, of factors to push from city, environment(3.09), human relationships(2.99) and retirement(2.47) were those to prompt migration while factors to absorb to rural areas included comfortable natural environment(4.22) and helpfulness for health(4.13). However, various governmental policies to invigorate returning to farm did not have influences on deciding to return to farm. Determinant factor on selecting local area for returning to farm were sorted into living condition factor, farming condition factor and policy condition factor.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erception of th participants on factors to select local areas were low(living condition 2.41, farming condition, 2.34 and policy condition 2.27, respectively). However, natural environment, feng-shui, and appropriateness of price of house or land were positively perceived(3.69) while perception on medical or educational facilities were negative. For farming conditions, perceptions on land price, climate, soil or local farming types were relatively high and for policy conditions, education and training were relatively well-perceived. For determinant factors on selecting local area by area,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sults, assessment of metropolis area of living conditions was the most affecting variable. Satisfaction for returning to farm were categorized to satisfaction for returning to rural area, farming and policies, respectively. Satisfaction for returning to rural area was 2.61 and those for farming and policies were 3.08 and 2.54, respectively with relatively higher result for farming satisfaction. Of satisfaction for returning to rural area, those for natural environment, house and neighborhood were higher and for farming satisfaction, those for farming activities and types of crops were higher. However, in spite of various governmental policies, satisfaction for policies was quite low. Since 2011, the genuine starting point of retirement of baby boomers, increase of population to return to farm has been explosive. In 2012, population to return to rural area was more than that to return to farm and then this tendency is expected to last from now on. As potential contribution on rural local societies by population to return to farm is big, urgency and significance of establishment of policies on returning to farm are stressed. Accordingly, objectivity and sincerity of policies on returning to farm is required. In order to support policies for returning to farm, the current efforts of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are not enough and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should be established. As seen in the study, Sangju City succeeded in inducement and settlement of urban population through information center for returning to farm and Bonghwa and Youngcheon had effective measures with the lead by Association of Returned Farmers. In Particular, Bonghwa shows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ionalwide Returning to Farm Movement Office. Currently, most of the policies are inclined to quantitative expansion to attract urban citizens to move to rural area. Therefore, to expand it qualitatively, it is necessary to concern and support settlements after inducement and to educate substantially them for thorough settlement in rur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