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적 맥락을 적용한 문화 인큐베이터 계획안

        우광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근대주의자들에 의해 꿈꾸어졌던 기능만을 앞세운 절대적 건축물과 도시는 다원화되고 불확정적인 현대에 와서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주위의 환경과 무관한 건축물과 정체성 없는 도시들은 더 이상 하나의 환경으로써 의미를 찾기 힘들어졌으며 도시와 건축물과 내부 공간들의 관계성은 사라져 가고 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모더니즘의 재해석을 통해 현대 도시의 여러 문제점들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많은 건축가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가 가지는 정체성과 다양성을 유지하는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도시의 요소들을 일체화 시키거나 건축물과 밀착시킴으로써 도시의 연속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은 맥락주의적 관점에서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과거 시각적인 조화만을 모색하던 건축적 맥락에서 한발 더 나아가 건축물을 도시 안에서 움직이는 체계로써 규정한다. 맥락이란 하나 이상의 것들이 얽혀져 관계성을 갖고 이것이 공간적, 시간적 연속성을 띄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논문은 시각성에 바탕을 둔 유형적 맥락의 형성보다는 문화적이고 사회적인 무형적인 도시 맥락의 적용과 형성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 본 논문은 맥락주의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도시의 유형적, 무형적 맥락을 문헌과 관찰, 데이터 분석에 의해 도출 한 뒤 이를 맥락 주의적 관점에서 건축화 시켜 계획안을 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맥락 주의적 관점이란 경계의 재 정의를 통해 관계성을 회복하여 전체의 연속성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건축적으로 해석하자면 도시와 건축물, 건축물의 내, 외부 공간,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 가구와 건축물의 경계를 재정의한 후 도시에서부터 실내공간까지 도시적 맥락을 형성하는 것이다. 휴먼스케일을 고려해볼 때, 도시적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실내 공간이 도시의 맥락에 끼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실내 공간은 입면(Facade)를 통해 외부로 나타나기 마련이고 사람들은 도시의 밀도와 스케일상 이에 민감히 반응한다. 건축물의 용도 변경 주기가 짧아진 현대에 이르러서는 도시의 맥락과 실내 공간과의 관계는 더욱 더 중요해 지고 있다. 계획 대상지인 홍대 지역은 다양한 문화 예술의 인적 자원이 풍부한 곳으로 복합적인 문화 생산지로써 정체성을 가지며 독특한 맥락을 형성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지나친 자본화와 상업화에 의해 그 인적자원들이 점차 홍대지역에서 밀려나고 있기에 그들에 대한 보호와 육성, 교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지며 이를 위한 공간을 "문화 인큐베이터"라 칭한다. 따라서 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정, 조합 후 다음과 같은 디자인 개념으로 관계성을 형성한다. 1. 프로그램의 삽입 2. 경계의 재정의 3. 연속성 4. 매핑(MAPPING) 본 계획안은 프로그램의 선정에서부터 디자인까지 도시의 맥락을 적용한 하나의 체계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Buildings and cities emphasized only their function by Modernists, have shown their limitation as the present age has been becoming diversified and indefinite. These days, buildings have no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s and cities do not have their own identity. Therefore, buildings and cities cannot regarded as one environment any more and there are no correlation between them. Since 1990's, many architects have studied to find solutions to Modern cities' problems through reinterpretation of Modernism. There are movements to regain urban continuity by unifying its elements or kniting them together, on the basis of the paradigm preserving its identity and diversity. Although the new movements originated in a contextual point of view, they are against the past architectual context seeking visual harmony only And, they define that a building is a moving system in the city Context means that one or more things are mixtured and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ey show the continuity of time and space. And, the thesis gave priority to the formation of cultural, social and immaterial urban context over visuality- based material context. This thesis is aimed at making a plan applying urban material and immaterial contexts to buildings from a contextual point of view after getting them from literature, observation and data analysis based on theoriential study of context. A contextual point of view means that things have a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show the continuity as a whole by redefining the boundaries. Architecturally, this is interpreted as a formation of urban context between a city and a building, between interior space and exterior space, between interior spaces and between furniture and a building. Considering human scale, interior spaces have a strong influence on urban context in Korea whose urban density is too high. The building's interior is exposed to its exterior through facade. Also, the interrelation between urban context and interior space is growing important as the change cycle of intended usage of buildings are getting shorter in modern times. The planning site, the hong-ik university area is rich in human resources for various cultures and arts. As a complex culture producing center, this area has its own identity and makes a context. However, the human resources have been pushed out of the area due to excessive commercialization these d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d foster the human resources and activate interchanges between them, and the space for these activities is called "a Cultural Incubator" in the plan.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design concepts, this plan makes interrelations after selecting and composing the programs for "a Cultural Incubator". 1. Insertion of programs 2. Redefinition of boundaries 3. Continuity This plan is significant as a system applying urban context from exterior to interior space at every stage from selection of programs to a design.

      • 가출청소년 위기극복을 위한 목회상담연구

        우광진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청소년들은 실로 도처에 깔린 위험에 직면해 있다. 그들의 걸음은 마치 살짝 언 강물 위를 걷는 것과도 같다. 언제 그 얼음이 깨져 도도한 강물에 휩싸일지 모른다. 어른들은 그저 강가에 서서 청소년들이 그 아슬아슬한 순간을 무사히 넘기기만을 바랄 수밖에 없다. 어차피 그 강을 청소년 혼자서 건너야 하기 때문이다." 이 도도한 강물은 오래 전부터 내려온 유산일 수도 있고, 급격한 산업 사회로의 발전이 가져다 준 폐해, 혹은 불합리한 제도로 말미암은 인재일 수도 있다. 이 강물은 바로 위기인 것이다. 이 위기의 강을 청소년들은 어떻게 건널 것인가? 청소년 모두는 이 강을 건너야 한다. 너나 없이 모든 청소년들은 '입시의 강', '폭력과 약물의 강', '환락과 성의 강', '자살의 강' 이런 위험한 위기의 강을 건너야 한다. 그러나 이런 위기를 극복하는 일은 너무나 위험천만하다. 부모나 성인들은 그저 청소년 스스로가 무사히 건너기만을 지켜보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은 이런 위기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들의 주변에는 항상 위기가 놓여져 있고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를 고민하게 하는 요소가 즐비하다. 때문에 청소년들은 정신적으로 정서적으로 좌절과 혼란을 경험해야만 한다. 이렇게 청소년들에게 위기를 경험하게 하는 요인으로 현행 학교교육의 문제와 가정의 문제, 그리고 사회적인 문제를 들 수 있다. 청소년의 일탈, 비행의 원인에 대한 논의 가운데 주목할 만한 사실은 청소년 문제 발생에 있어서 학교교육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YMCA가 실시한, 중고등학생의 가출에 대한 설문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가출의 요인이 가정 문제와 퇴폐적 사회 환경이라고 응답한 것보다 입시위주의 학교교육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45.8%의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청소년들에게 가장 큰 위기로 다가오는 것은 바로 입시위주의 학교교육, 입시위주의 교육제도인 것이다. 따라서 거의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상급학교 진학에 대한 압박감, 성적저하에 따른 심한 스트레스를 느끼게 되는 것은 매우 보편적인 현상이다. 그들에게는 친구를 만난다거나 심신을 단련할 문화활동이나 체육활동을할 시간이 별로 없고 그리고 가정생활도 학교교육의 연장에 지나지 않아 학업에 따른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이런 교육적 병리현상의 결과로 자살, 가출 등 일탈행동에 빠지게 되기도 한다. 이런 혼란과 방황의 미로 속에서 출구를 찾는 자만이 우수하다고 평가되어지고 출구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게 되면 무능력한 자, 탈선자, 비행자로 낙인 받는다. 그러나 문제는 입시과목을 잘하는 학생은 훌륭하고 문제없는 학생이고, 공부 못하는 학생은 문제있는 학생으로 낙인찍히는 상황에서 공부잘하는 학생들도 성격적, 정서적 병리현상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는 데 있다. 청소년들은 이 위기속에서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사회적으로 성장하게 되며 이 위기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건강하게 성장하지 못하게 할 만큼 위협이 되고 있다. 그 성장은 바로 건강하지 못한 성장이 되는 것이다. 이런 위기속에서 나타나는 청소년 가출은 교육적, 가정적, 사회적 병리현상의 결과로 나타나는 한 단편적인 예인 것이다. 그러면 서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가출을 보는 시각에 대한 문제가 남는다. 가출에 대한 잘못된 시각은 청소년가출을 비행청소년이나 탈선청소년의 문제로 국한시킨다는 데 있다. 이런 관점은 성인 또는 지배층의 입장에서 일방적으로 규정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가출은 단지 비행청소년이나 탈선청소년에 국한시킬 문제가 아니라 모든 청소년에 해당되는 문제인 것이다. 다시 말해 청소년가출의 문제는 포괄적인 의미인 사회문제의 하나로서 "청소년에 관한 사회문제"라고 규정할 수 있다. 청소년가출은 이 시대의 사회적 사실이다. 청소년가출은 우리가 외면한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부모나 경찰이 잡아들인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모든 가출은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는 가출이다. 그 이유는 대단히 복잡하지만, 학교생활의 부적응, 가정과 부모에 대한 불만, 또래집단의 압력과 유흥업소의 유혹, 그리고 탈출의 의미인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 주된 요인이다. 이런 점에서 청소년가출에 대한 예방과 이미 가출한 청소년의 치유로서 목회상담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청소년의 위기가 사회화되었지만 문제가 해결되기도 전에 다시금 새로운 문제가 생겨나는 급변화하는 사회속에서 우리의 청소년의 위기는 관심 밖의 일이 되고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청소년의 위기를 치유하기 위한 목회상담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위기를 맞고 있는 청소년의 문제를 받아주고, 확신시키고, 들어주고, 찾아내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이런 위기중재와 치유의 목회상담은 오늘날 위기를 맞고 있는 청소년에게는 자신을 찾게하고 스스로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존재로서의 자신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기치유의 목회상담의 방법으로 정태기의 위기목회상담, 하워드 클라인벨의 성장상담 그리고 집단목회상담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 상담방법은 현재 위기를 당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위기를 치유할 수 있는 상담자의 기술과 역할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므로 목회자, 청소년 지도자들은 청소년을 이해하고 치유하는 입장에서, 상담을 통하여 그들을 치유하고 돌보고 보살펴야 하며 특히 목회자 및 교회 지도자들은 하나님의 사랑과 말씀을 통하여 그들을 건강하게 변화시키며 사랑으로 공감해 주어야 한다. 이것은 바로 청소년들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운 청소년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며 진정한 위기치유로서의 상담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