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f noticing formulaic sequences before and after a strategic intervention among L2 elementary school students

        올리버 숙명여자대학교 TESOL·국제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examines the noticing of formulaic sequences by 5th grade EF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participating in an 8-week strategic treatment aimed at increasing learner noticing. Data in the form of a recognition task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re/posttests that bookended the treatment. Following analysis, results were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current research that describes formulaic sequence acquisition within second language learning settings. Several observations were made in relation to how noticing changed across the course of the treatment. Generally, students appeared to positively benefit from the treatment, increasing the number of sequences identified and alignment with expert rater formulaic sequences. Further, changes in sequence boundaries across the pre- and post-test by some participants were witnessed, suggesting self-correction and tuning of sequence representations. Some of the psycholinguistic challenges faced by participants are also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given.

      • Bridging epistemic contexts using entity realism and the causal theory of reference

        올리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Sabina Leonelli’s “Data-Centric Biology” expands the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al view of data from theory-ladenness in the context of production, to socially impacted and theory laden in the process of data travel and interpretation. The de-contextualisation and re-contextualisation of data undermines its utility to support scientific conclusions, thereby undermining its evidentiary value. The assessment of data according to evidentiary value motivated Leonelli’s relational view of data. In this view, the meaning of data is fundamentally entwined with its theoretical and social surroundings, such that its evidentiary value qua meaning is not a value-neutral truth in the way assumed by data representationalists. Leonelli argues that, following the example of data curators in biology, these social and theoretical realities should follow the data through data journeys through encoding this information into the metadata. However, I will argue that this approach has three limitations. 1) The metadata will also be susceptible to this. 2) Interpreting the metadata becomes increasingly challenging the more theoretically distinct one is from the context of production. 3) The total meta data information requirement is practically unachievable. I present an alternative approach immune to these issues by suggesting a propositional view of scientific data. Data in Leonelli’s use refers to data as an artefact as opposed to data as matters of fact about the world. Data in this sense information encoded and given some scientific form, representing propositions about the matters of fact of interest. The representational view sees these as corresponding to matters of fact. Leonelli’s argument suggests that data travel influences undermine this correspondence, undermining its evidentiary value. However, referential continuity can be achieved by utilising entity realism and the causal theory of reference. Entity realism posits that causal manipulation of entities provides justification of their existence. According to the causal theory of reference, entity real terms refer directly and, as I will argue, this reference can be shared directly between contexts by encoding entity realness into the metadata. The propositions in both contexts refer to the same object meaning propositions in all contexts refer to the same referent. One limitation of this particular approach is that it provides no grounding for property ascriptions. However, it does provide a pathway to such a whole solution in a fundamental way. This approach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the evidentiary value of cross context research such as AI data analysis, in particular for climate science. Keyword : relational vs relational view of data, data decontextualization, metadata, causal theory of reference, entity realism, propositional view of data. 사비나 레오넬리의 "데이터 중심 생물학"은 데이터에 대한 전통적인 표상 관점에 대한 도전을 데이터 생산 맥락의 이론 적재성에서, 데이터 이동과 해석 과정에서의 사회적 영향과 이론 적재성으로 확장한다. 데이터의 탈맥락화 및 재맥락화는 과학적 결론을 뒷받침하는 데이터의 유용성을 약화시킴으로써 데이터의 증거적 가치를 약화시킨다. 증거적 가치에 따른 데이터 평가는 데이터에 대한 레오넬리의 관계적 관점에 동기를 부여했다. 이 관점에 따르면, 데이터의 의미는 근본적으로 데이터의 이론적, 사회적 환경과 얽혀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증거적 가치는 데이터 표상주의자들이 가정하는 방식으로 가치-중립적 참이 아니다. 레오넬리는 생물학 분야의 데이터 큐레이터의 예를 들어, 이러한 사회적, 이론적 현실은 메타데이터에 이 정보를 인코딩함으로써 데이터 여정을 통해 데이터를 따라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나는 이 접근 방식에는 세 가지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1) 메타데이터도 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2) 메타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은 데이터 생산의 맥락에서 이론적으로 더 멀어질수록 점점 더 어려워진다. 3) 전체 메타 데이터 정보 요구 사항은 실천적으로 충족 불가능하다. 나는 과학적 데이터에 대한 명제적 관점을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 대안적 접근을 제시한다. 레오넬리가 사용하는 데이터라는 용어는 세상에 대한 사실로서의 데이터가 아니라 인공물로서의 데이터를 가리킨다. 이러한 의미에서 데이터는 인코딩되고 과학적 형식을 갖춘 정보로, 관심의 대상인 사실에 대한 명제를 표상한다. 표상적 관점에서는 이를 사실에 대응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레오넬리의 논증은 데이터 이동은 이러한 대응을 약화시켜 데이터의 증거적 가치가 약화됨을 시사한다. 그러나 지시적 연속성은 존재자 실재론과 지시에 대한 인과 이론을 활용함으로써 성립할 수 있다. 존재자 실재론은 존재자들에 대한 인과적 조작이 그것들의 존재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한다고 상정한다. 지시에 대한 인과 이론에 따르면, 실재하는 대상에 대한 용어는 직접적으로 지시하고, 내가 앞으로 주장할 것인데, 이 지시는 존재자의 실재성을 메타데이터에 인코딩함으로써 맥락들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공유될 수 있다. 두 맥락의 명제는 동일한 대상을 지시하므로 모든 맥락에서 명제는 동일한 지시체를 지시한다. 이 접근 방식의 한 가지 한계는 속성 귀속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접근 방식은 근본적인 방식으로 전체적인 해결 방안으로 가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 접근 방식은 특히 기후 과학과 같은 분야에서 AI 데이터 분석과 같은 맥락 교차 연구의 증거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키워드: 데이터에 대한 관계적 관점, 데이터 탈맥락화, 메타데이터, 지시에 대한 인과 이론, 대상 실재론, 반실재론.

      • 한자어 'ᄅ' 뒤의 경음화 현황 분류와 수량적 연구

        올리버 몽힛 한양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8

        한국어는 음운 변화가 많은 언어이다. 그 중에 하나는 바로 경음화이다. 한국어의 경음화 현상은 여러 가지 조건으로 발생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한 가지 경음화 현상만 분석하도록 한다. 즉 '발달', '물가'처럼 한자어에서 나타나는 'ㄹ' 뒤의 경음화를 중심으로 한다. 'ㄹ' 뒤의 경음화는 어떤 음운 조건에서 일어나고 한자 또는 음절의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이 음운 변화는 어떤 영향을 받았고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검토하도록 한다. 따라서 『표준국어대사전』을 이용하여 종성 'ㄹ' 있는 한자어를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총 27,200개 단어들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ㄹ' 뒤의 경음화가 나타나는 음절과 한자는 사용빈도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반면에 'ㄹ' 뒤의 'ㄷ', 'ㅅ', 'ㅈ' 경음화 미발생 현상은 해당 음운 변화의 확산과 연결하였다. 즉 'ㄹ' 뒤의 경음화 현상은 상용 한자까지 확산되지 않아 이 음운 변화는 여전히 진행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단어들은 화석화로 된 단어로 여길 수 있다. 경음화 발생 단어와 비교하면 'ㄹ' 뒤의 'ㄷ', 'ㅅ', 'ㅈ' 경음화 미발생 단어는 13%를 차지하고 있어서 이 음운 변화는 완성되지 않았음을 해석하였다. 한편, 'ㄹ' 뒤의 경음화 발생 여부에 대한 현상과 음절 수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3음절부터 올라가면서 'ㄹ' 뒤의 'ㄷ', 'ㅅ', 'ㅈ' 경음화가 나타나지 않은 단어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어서 어휘확산가설(lexical diffusion hypothesis)을 반영하고 있다. 'ㄹ' 뒤의 경음화 현상이 발생하는 고유어를 살펴보면 'ㄹ' 뒤의 경음화 현상은 고대 중국어와 상관없이 한국어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외부적 영향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는데 본래 중국 중고음 시기에 종성 '-t' 입성자들을 표시하기 위해 以影補來라는 방식이 사용되었다.『東國正韻』 서문 후반부를 근거하여 'ㅭ' 표기는 음운론적 성격 즉 후두긴장을 표시하고 있다 (차익종 2021). 'ㅭ'로 표기된 사잇소리와 관형사형 어미 ㄹ 뒤에서도 경음화가 나타났으므로 'ㅭ'로 표기된 한자음 뒤에도 경음화가 일어났다는 것은 의외의 현상이 아니다. 따라서 한자어 'ㄹ' 뒤의 경음화는 내부적 영향이 더 강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종성 'ㄹ' 뒤에 'ㄷ', 'ㅅ', 'ㅈ' 소리들은 경음으로 되고 'ㄱ' 과 'ㅂ' 소리들은 유성음으로 나타난다. 이 현상은 공명도위계순위로 설명하였지만 'ㄷ', 'ㅅ', 'ㅈ'의 경우에는 공명도보다 [+coronal] 특징이 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유성음화보다 경음화가 더 많이 발생한다. 한자어 'ㄹ' 뒤의 경음화는 단지 한글 표기만에 의존하면 언제 나타나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이 연구 결과는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교사와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또 한자어에 대하여 별도로 연구해야 한다는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한자어는 고유어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을 수 있어서 언어학계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 대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한자어는 끊임없이 한국어의 여러 가지 특징을 수용하고 있어서 국어학과 국어사에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韩语的紧音化现象发生的条件有很多种,但本文只分析一种条件下出现的紧音化现象,即围绕발달 (发达)palttal, 물가 (物价) mulkka等之类汉字词中出现的辅音韵尾-l后的紧音化现象展开讨论。本文要探讨该现象在什么样的音韵条件下产生,并且是否受到了汉字或音节的影响。还要讨论该语音变化是受到了什么原因的影响,以及影响的过程如何实现。通过对韩国《标准国语大辞典》收集词语的调查,发现具有辅音韵尾-l的汉字词有27,200个,可以被归为三类。 本文认为,出现该语音现象的音节和汉字与其使用频率有关。但是辅音韵尾-l后的 t-, s- 和j-未发生紧音化现象,则与该音韵变化的扩散度有关,即辅音韵尾-l后紧音化现象未扩散到常用汉字,该音韵变化仍在进行中。否则这些词可被视为已固化的词。 与出现辅音韵尾-l后紧音化现象的词相比,辅音韵尾-l后的 t-, s- 和j-未发生紧音化的词占13%,意味着该音韵变化还没有完成。另外,关于辅音韵尾-l后紧音化现象是否与音节数有关的问题,从3音节起随着音节数的增加,辅音韵尾-l后的 t-, s- 和j-未紧音化的词数比例也同时增加,反映了词汇扩散假说(lexical diffusion hypothesis)。 从出现辅音韵尾-l后紧音化现象的韩语固有词来看,本论文主张辅音韵-l尾后紧音化现象与中国古音无关,而起源于韩语本身。关于受到外部影响的可能性,本研究也提到了一种表记中古汉语-t韵尾的入声字的方式叫做“以影补来”。根据『东国正韵』序言后半部分, 'ㅭ' 表示一种音韵性质,即喉头紧张 (Cha 2021). 如果考虑到表记为'ㅭ'的中间音 (사잇소리saissori)和冠形词形- l也都发生紧音化,汉字词出现辅音韵-l尾后紧音化现象就不是一个意外的现象。因此,汉字词辅音韵尾-l后紧音化现象受到的韩语内部影响比来自中国古音的影响更多。 最后在辅音韵尾-l后面, t-, s- 和j-一般变成紧音,k- 和b- 则变成浊音。该现象虽然以共鸣s度大小来解释,但对t-, s- 和j-而言,由于与共鸣度相比[+coronal] (舌冠音)的特征是重要要素,所以相对浊音化,紧音化更容易发生。 此研究结果将对韩语学习者、韩语教师以及研究人员有所帮助。此外,本论文也强调了对汉字词专门研究的重要性。因为韩国汉字词可能会有不同于韩语固有词的特点,所以语言学界应该多关注这个领域。尽管如此,韩国汉字词仍然不断地吸收韩语的语言特征,它在韩语语言学与韩语史上发挥重大作用。 Tensification in Korean occurs in different environments, but this research is only focused on post-lateral tensification in Sino-Korean e.g., 발달 (發達palttal) and 물가 (物價 mulkka).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 what kind of environment it occurs and if it is correlated with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or syllables used. What kind of influence has affected this sound change and in what kind of process it manifested will also be investigated. 27,200 Sino-Korean words with an -l coda were collected from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syllables and Chinese characters that show this phenomenon can be attributed to their usage frequency. Meanwhile, the resistance to tensification of the t-, s-, and j- sounds in the post-lateral position is connected to the diffusion of this sound change. It is argued that this change is still happening as it has not yet fully spread to frequently used Chinese character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se words are already fossilized. When compared to words that showed tensification, words with no tensified t-, s-, and j- sounds in the post-lateral position accounted for 13%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is phonological change is not yet complete.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ccurrence of post-lateral tensification and the number of syllables, it is presented that as the number of syllables increases from three, the number of words with no tensified t-, s-, and j- sounds in the post-lateral position also increases. After examining the occurrence of post-lateral tensification in native Korean words, it was argued that post-lateral tensification happened internally without any relation to historical Chinese phonology. With regards to the possibility of any external influence, a method called 이영보래 (以影補來Iyeongborae) was used to mark the -t ending of entering tones in Middle Chinese. According to the latter part of the introduction of the 동국정운 (東國正韻 Dongguk Jeongun), the 'ㅭ' digraph signifies a phonological feature, i.e. laryngealization (Cha 2021). The marking of the compound noun tensification (사잇소리saissori) and the adnominal ending -l with 'ㅭ' which also exhibited tensification is a kind of evidence to show that the emergence of tensification in Sino-Korean words which were also transcribed with 'ㅭ' is not unexpected. Thus, the influence from the Korean language itself is more evident than the external influence from Chinese in the development of post-lateral tensification in Sino-Korean. Lastly, the t-, s-, and j- sounds in the post-lateral position usually change into tensified sounds, while the k- and p- sounds become voiced sounds. This phenomenon was explained using the sonority scale, but the [+coronal] feature of the t-, s-, and j- sounds is stronger than their sonority. Thus, tensification happens more with these sounds than voic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learners, teachers, and researchers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also stressed that research solely dedicated to Sino-Korean phonology is necessary as it may posses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re important in the study and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