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회내 교회교육전문가 제도정착과 수용에 관한 연구

        옥창원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를 통하여 지금까지 교회내 교회교육전문가 제도정착과 수용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교회교육전문가는 교회공동체에 있어서 교회교육을 위해서 꼭 필요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등한시되고 소외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한국교회공동체가 관습적으로 시행해오던 비전문가인 목회자 견습생(신학대학원 재학생)에게 교회공동체의 교육에 대한 전권을 부여하는 잘못된 관행이 결국 교회교육전문가인 교육사 제도를 발목을 잡고 딜레마에 빠지게 만드는 그 원인이 되고 말았다. 신학대학원 재학생인 교육실습생에게 교육전도사라는 이름으로 교회헌법에도 없는 직제를 만들어 관행처럼 되어온 제도가 순수한 의도에서 교육을 생각하고 교육철학을 가지고 제도화하려는 교육사제도가 현실의 벽에 부딪쳐 결국 사문화 규정이 되었다. 하지만 교회교육전문가는 역사적인 정당성과 기능적인 정당성을 통해 교회공동체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며 교회공동체에 구심점의 역할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였던 것이 역사적 정당성을 통해 밝혀졌다. 교회공동체에서 교회교육전문가는 기능적으로 유기적인 관계성을 가지고 지체 간에 연결하고 통합화하고 교육을 통하여 교회다운 교회공동체로 이끄는 견인차역할을 한다. 기능적인 고찰을 통해 살펴본바와 같이 교회교육전문가는 교회공동체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한 요소로서 교회공동체의 지체이고 몸의 일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교회공동체는 여전히 비전문가가 교육을 담당하는 역행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교회교육전문가는 교회교육에 있어서 전문가로서 교회 내에서 역사적으로 이미 정당하게 존재하였으며 기능적으로 항상 존재해야할 필요성이 교회공동체에서 요청이 되어왔다. 교회교육전문가에 대한 유형과 각 나라별 이해를 보더라도 독일의 경우, 미국의 경우에서 살펴보았듯이 교육사제도는 그 분명한 자리매김과 제도권내 잘 정착을 하고 있었음을 볼 수가 있었다. 독일은 아예 공교육 제도권 안에 존재하여 독일 바이마르 헌법이 이미 종교교육을 교육적인 가치로 국가가 보장하였으며 공교육 종교교사가 그 교육적 임무를 수행하고 직접 관장한다. 교회제도권내에 심지어 공교육제도권내에도 잘 정착하고 있는 교회교육전문가의 유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독일과는 약간 다른 출발을 하고 있지만 미국은 정교분립으로 말미암아 기독교교육의 중심이 제도권 공교육에서 다시 교회공동체로 환원되었고, 교회공동체는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교회공동체의 교육관중심으로 기독교교육을 위한 교회교육전문가로서 교육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것이 미국 교육사제도의 모토가 되고 그 태동의 한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각 유형과 그 이해를 살펴보더라도 교회교육전문가는 교회공동체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불가결한 존재라는 것을 그 유형과 이해를 통해서도 증명되기도 하였다. 반면에 한국의 교육사제도는 교단별로 많은 관심과 열정을 과시하는 듯 하였지만 결국 끓는 냄비에 불과했던 것이 1990년대의 일이 되었다. 현재 교회교육전문가로서 교육사제도는 과거의 역사 뒤안길로 들어가고 교육사제도는 마치 시체나 다름없는 식물상태가 되었다. 다른 유형의 나라에서는 교회교육전문가로 교육사가 아직도 건재하고 계속 융성하게 발전하는데 한국의 교회공동체의 입장은 그렇지 못하다. 교육사제도가 이제 사문화규정이 되어버리고 교단적인 관심도 없고, 더더욱 교회공동체에서는 아예 이름조차도 회자되지도 않는 천덕꾸러기 신세가 되어버렸다. 10년 동안 교육사제도를 계속 연구도 하지 않고 문제점 진단과 해결 노력도 하지 않은 기독교교육학계의 책임도 어쩌면 일말의 책임도 없지 않아 있겠다. 이제 교회교육전문가로 교육사가 다시 부활하려면 제도적인 정비가 요청된다는 것이다. 개별교단 중심으로 되어 있는 직제를 기독교교육연합회 내지 기독교교육학회 중심으로 교회교육전문가로서 교육사에 대한 선발, 감독, 교육, 자격인증제등을 협회에서 그 고유한 권한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집행해야 할 당위성을 가진다. 그렇게 되었을 때, 기독교교육학을 전공하는 전문가 집단이 생존하는 한 방법이 되기도 한다. 만약 교육사제도가 다시 잘 정비되고 정착된다면 해당학과도 존립되고 교회공동체도 교육적인 질적 향상으로 이바지할 좋은 양분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당면한 과제는 결국 교회교육전문가로서 교육사제도의 활성화일 것이다. 교육은 100년의 미래를 내다보듯이 교회교육을 염두에 두는 교회공동체 역시 그 100년 이상의 미래를 위해서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고작 10년 만에 패착이 되어서는 결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제 무덤 속에 있는 교육사제도를 끌어내고, 원기를 넣고 회복케 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당면과제이고 활성화의 방향이 되어야한다. 막연한 기대감에 그냥 둔다는 것은 교회교육에 대한 의무를 너무 소홀히 여기며 비겁하고 무책임한 행동이겠다. 교육사제도의 부활을 위해서 기독교교육학과, 기독교교육학회, 긍정적으

      • 한국교회(1890-1907) 교리교육의 기독교교육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

        옥창원 고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사 통찰과 함께 한국교회 초기 교리교육문헌을 통해 한국교회 교리교육의 교육학적인 가치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주제의 논의를 위해 필요한 출발점으로서 초대교회 교리교육 문헌들이 왜 프락시스적인 가치, 곧 교육적 가치일 수밖에 없었는가에 대하여 그 배경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초대교회 교리교육문헌에 나타나는 교육내용과 교육활동은, 교리신학적인 목적의 이론적 의도가 없지 않았으나, 성격상 ‘프락시스적인 교리교육’이었다. 이 논문이 집중적으로 분석한 한국교회(1890-1907)의 경우도 초대교회와 비슷한 배경에서 교리문헌들을 작성하여 활용하였으므로 교육적 가치가 주된 것이었다. 본 연구는 “프락시스로서 교리교육문헌”이 교육적 기능을 발휘하여 신앙의 기준과 삶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초대교회에서 사도들이 하나, 둘 순교하고, 복음서가 기록될 때에, 교리교육문서도 병행하여 만들어졌다. A.D. 100년경 시리아지방의 시골교회에서 교회규범서로 만들어진「디다케」는 그 부제가「열두 사도들의 가르침」이었다. 디다케는 예수님의 어록인 마태복음을 기초로 만들어진 교리교육서로서, 간단명료하게 핵심적인 신앙내용을 진술하는 방법으로 작성되어 반복하고 암송하기 좋은 교리교육서였다. 시리아교회는 당시대 박해 상황에서 교회를 위한 표준적인 교리교육서의 필요를 절감하였으므로 교육의 내용으로 구성된「디다케」가 만들어졌다. 디다케는 신학적 교리문서보다 선행된 문서로서, 실천적인 요소로서 잘 만들어진 교리교육서였다. 신학적 교리문헌 작성이 A.D. 3세기에 “논쟁의 역사”에서 시작되었다면, 프락시스로서의 교리교육서는 “교육의 내용”으로서 신자들에게 꼭 필요한 자료로 간주되어 복음서가 기록되던 A.D. 1세기에 만들어졌다. 초기 한국교회(1890-1907)에서도 초대교회와 같은 교리교육서가 존재하였다. 그것은 언더우드가 번역한 「성교촬리(聖敎撮理)」였다. 성교촬리는 한국 개신교 교리교육문서의 효시로서, 특히 교육적 가치가 내포된 의미 있는 교리교육서였다. 개신교선교사들은 당시까지도 박해를 받았던 천주교를 반면교사를 삼아 정교분리원칙을 기반으로 한 선교방침을 정하였고, 조선 정부에 대하여는 간접선교방법으로 온건하게 접근하였다. 그 접근방법은 ‘교육과 병원사업’을 통한 선교였다. 본 논문의 주된 관심은 초기 선교사들이 문서선교방법으로 시도한 교리교육적 접근의 문서들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첫 번째의 문서가 「성교촬리」였다. 「성교촬리」는 단순하고도 명확한 신앙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하나님의 존재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길에 대하여 교육하는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접근하였다. 이 문서에 비추어볼 때 선교사들은 처음부터 교리를 신학 곧 “논쟁의 역사”의 맥락보다 “교육의 내용”으로, 곧 “프락시스적인 교리교육서”를 발간하였다. 그래서 이 문서는 기독신자들에게 꼭 필요하고 중요한 교육의 내용으로 구성된, 교과서와 같은 필독서였다. 교육적인 동인과 교육적인 가치 때문에 만들어진 교리교육서는 항상 원테오리아(Original Theoria)인 성경을 지향한다. 성경의 내용을 기초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하였으므로 성경의 근원에서 출발한다. 신학적 교리는 ‘사상의 논쟁’으로 출발하였다면, “프락시스로서 교리교육서”는 ‘교육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다. 교리교육서는 성경 본문내용을 중요시하고, 성경말씀을 본질적인 요소로 간주하므로 성경을 중요한 원천으로 삼는다. 교리교육은 공통의 분모인 교의신학과 기독교교육학의 기초 위에 세워지지만, 그 실제적 위치는 기독교교육학의 영역이다. 기독교교육학은 교의신학에 종속되지 않고, 교의신학과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신자들에게 접근한다. 학문의 발전에 따라 관심이 확장되어 기독교교육학은 교육학과 상담학 등을 포함한 광의적인 접근을 시도하기도 한다. 교리교육학은 교육학의 요소와 신학적인 요소의 양면을 통합한다. 처음부터 교리교육은 그 통합적인 의미로 기독교육학의 자리에 있어왔다. 교리교육은 처음부터 지성적이고 논리적인 구성방법을 따른 것이 아니었다. 사변으로 흐른 교리는 딱딱하고 경직된 면이 있었지만, 교육의 내용으로 접근한 교리교육서는 단순하고 쉽게, 그리고 암송하기 좋은 자료였다. 기독교의 기본 진리를 단순한 논리에 따라 가르침으로써 어렵지 않은 교과서였다. 「디다케」의 “두 가지의 길”은 너무 깊이 생각할 필요가 없는 단순한 명제이다. 가볍게 읽을 만한 내용이었고, 누구나 읽을 수 있는 쉬운 교재였다. 어거스틴의 「신앙교리교육론」도 마찬가지이다. 쉽게 읽을 수 있는 성경의 내용을, 스토리텔링 방법으로 시작하여 생각의 틀을 넓히고, 신앙의 결단에 이르게 하는 대단히 유용한 교리교육서였다. 한국교회에서 「성교촬리」도 마찬가지이다.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교리교육적 가치를 가진 교리교과서였다. 교리교육 교과서는 누구나 읽을 수 있고, 쉽게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신자들은 이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nd discuss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Korean churches’ catechism education through the early Korean church’s catechism education literature along with the insight of church history. What was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of this topic was to discuss the background and meaning as to why the early churches’ catechism education literature had to have the value of praxis, that is, the educational value. Although what has been revealed as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early church catechism education literature did not intend not to have theoretical intention for the purpose of doctrinal theology, yet in its characteristic, it was a ‘catechism education textbook as praxis.’ Since the case of the Korean church (1890-1907) that this research had analyzed with focus had utilized by producing doctrinal literatures in the similar background with the early church, the educational value was the main purpose. The current research demonstrates that “Catechism education textbook as praxis” had suggested the standard of faith and life direction by exercising the role of education. When in the early church the apostles were being martyred once and again, and when the Gospel books were being recorded, they had produced catechism education literature as well. Didache which was created as a church guidebook in a country church in Syria around A.D. 100, its subtitle was the Teaching of the Twelve Disciples. Didache, which is a catechism teaching material based on the gospel according to Matthew which is a verbal record of Jesus, was a good catechism teaching material which was produced with a method of explicating the central contents of faith in a simple and clear way, which made it easier to repeat and memorize. Syrian church that felt the dire need for the standardized catechism teaching material in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ry persecution produced Didache that is composed of educational content. Didache was a publication that precedes theological catechism literature, and it was a well-made catechism educational teaching material composed of practical elements. Considering that the beginning of debate in the third century A.D. had started the formulation of theological doctrine literature, then, it was in the first century A.D. when the gospel was written that they had produced their catechism teaching material as praxis and as “educational contents” considered an essential material for the believers. In the early Korean church also (1890-1907), there existed catechism education publication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the early church. It was Sung Gyo Chual Lee that Underwood had translated. This is the very first beginning of the Korean Protestants’ catechism teaching literature, and it was a meaningful catechism education publication that had contained a special educational value.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ut of their reflection on the Catholic Church that had been persecuted until then had chosen a mission policy based on the separ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church, and they approached in a mild way with indirect mission strategy toward the Chosen government. Their method of approach was a mission through ‘education and hospital business.’ The main interest of this research is the literature of catechism education approach that was tried by the early missionaries as a literature mission strategy. Its first applicable literature was Sung Gyo Chual Lee. Sung Gyo Chual Lee contains simple and clear contents of faith. They approached to people through education on the way of salvation through the existence of God and through Jesus Christ. In the light of the said literature, the missionaries had published “educational contents,” that is, “catechism education textbook as praxis” rather than the context of theology, that is, “the history of debate” from the beginning. Therefore, this material was a required reading material, like that of a textbook, which was composed of necessary and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Christians. Catechism teaching material created out of educational motivation and educational value always seeks the Scripture, which is Original Theoria. With the composition of its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Scripture, it starts from the origin in the Bible. If we consider that theological doctrines started with ideological debates, “catechism education textbook as praxis” is produced with the found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ince catechism education material considers the contents of the Biblical texts important and considers the Word an essential element, it regards the Bible as an important source. Even though catechism education is built upon the base of common denominator, that is, systematic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yet its practical location is in the realm of Christian education. Christian Education does not belong to a systematic theology, but it approaches to the believers with the complementary perspective of systematic theology. Due to the expansion of interes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holarship, Christian education at times makes comprehensive approach including the discipline of education and counseling. The scholarship of catechism education synthesizes both aspects of the element of education and the element of theology. From the beginning, catechism education out of its synthesized meaning has stood its ground in the realm of Christian education. Catechism education did not adopt intellectual and logical system from the beginning. Although speculative doctrines have aspects of hardness and stiffness, yet catechism education material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approach had proved to be a good material that was simple, easy and good for memorization. It was a textbook in which one could teach the basic truths of Christianity through a simple logic. “The Two Ways” of Didach

      • Solely transformer based variational auto encoder for language modeling

        옥창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자연어 처리(NLP)에 있어서, 트랜스포머(Transformer)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언어 모델, 요약, 분류 등의 많은 영역에서 최고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그리고 변분 오토 인코더(Variational auto encoder, VAE)는 인코드된 표현을 딥러닝을 통한 통계적 추론을 함으로써 표현 학습에 있어서 우수하고 효과적인 생성 모델이다. 그러나 VAE를 자연어 처리에 활용할 때, 사후 붕괴 또는 KL 소멸과 같은 많은 실제적인 문제가 뒤따라 온다. 이 문제를 줄이고, 언어 자료의 병렬 처리를 효율적으로 증대하기 위해, 우리는 서로 다른 딥러닝 모델인 트랜스포머와 변분 오토 인코더를 결합한 새로운 언어 모델을 제안한다. 우리는 이 제안된 모델을 기존에 존재한 모델인 VAE와 RNN을 결합한 모델들과 비교할 것입니다. 우리 실험은 4가지의 실제적 데이터를 활용했고, KL 완화란 사후 붕괴를 감소하기 위한 기술을 함께 활용했습니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트랜스포머 기반 방식이 RNN 기반의 방식보다 재건축 그리고 표현학습에 능하고, 제안된 모델의 인코드된 표현이 다른 실험된 방식들의 표현보다 더 높은 수준의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을 보였습니다.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Transformer is widely used and has reached state of art in many fields, such as language modeling, summarization, classification and so on. Moreover, a variational auto encoder (VAE) are an efficient generative model in representation learning, combining deep learning with statistical inference in encoded representations. However, the use of VAE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ften brings forth practical difficulties such as a posterior collapse also known as KL vanishing. To reduce this problem and enhance the parallelization of processing language data, we propose a new language model, as an integration of seemingly two difference deep learning models, that is a Transformer model solely coupled with variational auto encoder. We compare the proposed model with existing previous works, a VAE structured with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Our experiments with four real-life datasets show our implementation with kl annealing reduces posterior collapse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posed Transformer model outperforms RNN-based models in reconstruction and representation learning and that the encoded representations of the proposed model are better informative than other tested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