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들의 성에 관한 지역간 실태 연구

        오희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성교육실태, 성지식, 성의식과 성태도, 이성 교제 실태를 조사하여 지역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각 지역에 알맞는 성교육 및 생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 전남 지역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며 설문 조사 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학교 성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광역시 학생들은 관련교사의 수업으로 비디오 시청을 통해서 받고 있으며, 전문강사에 의한 성교육을 원하고 있으며, 도시학교는 관련교사의 수업으로 강의식이며, 보건교사에 의한 성교육 실시를 희망하고, 군 지역 학교는 보건고사에 의해 강의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성지식 정도는 지역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지식의 경로는 광역시 학생들은 친구를 통해서, 도시 학생들은 교사를 통해서, 군 지역 학생들은 교사와 TV를 통해서 얻고 있어 지역에 따라 달랐다. 중학생의 성의식과 성태도의 조사 결과도 지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많았는데, 성에 대한 느낌을 조사한 결과 도시학생들은 부끄럽다는 응답이 많은 반면, 광역시와 군 지역 학생들은 흥미롭다는 응답이 많았다. 도시 51.7%, 군 지역 44.7%의 학생들이 성충동을 자주 느낀다고 응답했으며, 자위 행위는 광역시와 군 지역 학 생들이 각각 15.3%, 21.1%, 도시학생들은 6.1%가 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교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94.8%이었고, 지역 간 차이가 없었다. 낙태에 대한 생각은 지역간에 다른 견해를 보였으며, 육체적 순결은 남녀 모두 지켜야 한다는 의견에 일치했고, 순결을 지켜야 하는 이유로 군 지역 학생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임신 성병의 예방차원이라는 현실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성고민 해결 에서도 광역시 학생들은 친구와 도시 및 군 학생들은 부모님과 상의하여 지역 간 차이가 보였다. 성 고민 내용은 지역 간 차이가 없이 생리현상, 신체 발달 정도 등으로 조사되었다. 부모님이 자녀의 성문제에 관심이 있는가에 대해 군 지역 학생들은 관심 없다에 52.5%, 광역시와 도시학생들은 각각 44.8%, 41.4%가 응답하여 지역 간 차이가 있었다. 대상학생 중 18.9%가 이성친구가 있고 35.9%가 이성교제를 원하며,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성교제 실태는 이성교제 정도, 이성교제가 필요한 이유에서만 광역시, 도시, 군 지역간에 차이가 있었고 세 지역 모두 부모님과 이성문제에 대해 상담한 적이 적었다. 도시의 경우 광역시나 군에 비해서 이성에 호감을 갖는 학생이 많았다. 위에서 살펴 본 절처럼 광역시와 도시, 군 지역 학생들의 성교육실태, 성지식 경로, 성의식, 성태도, 이성교제실태는 달라서 지역에 맞는 지도와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대상 학생의 확대 및 표준화된 문항의 개발과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bout a survey on sex education, knowledge about sex, consciousness of sex, attitude towards sex and the actual state of going on dates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alyzing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among megapolis, other cities, and some counties, I make an attempt to get the basic materials for the right sex education and the right guide for students based on this survey and analysis. The objects of this survey are the third year students in megapolis and Jeonnam. The result from surveying and analyzing is like these.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areas on the actual state of sex educaion;the students in megapolis who got sex education from teachers in charge of sex education through watching video want to get sex education from professionals;the students in other cities who got sex education from teacher related to sex education by way of lecturing want it from nurse teachers;those in counties got sex education from nurse teachers by way of lecturing. There's no difference among areas on knowledge about sex;the students in megapolis got to know about sex from their friends, the ones in cities from teachers, and the ones in counties from teachers and TV.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areas on consciousness of sex and attitude towards sex;the students in cities feel shy;those in megapolis and in counties feel interested. 51.7per cent in cities and 44.7 per cent in counties often feel sex impulse 15.3 per cent in megapolis, 21.1per cent in counties and 6.1 per cent in cities do masturbation. There's no difference;94.8 per cent have never done sexual intercourse. There are some differences about abortion among areas. They unanimously agree with having to deep thier virginities;the reason they keep their virginities to the students in counties is realistic;prevention from having a baby and diseases related to sex. There's difference in solving worries from sex;the students in megapolis talk wiith friends;those in cities does with parents. What they are worried are their physiologies and the degree of their physical growths. 52.5 per cent of parents in counties, 44.8 per cent in megapolis and 41.4 per cent in cities aren't interested in their kids' worries about sex;there are some differences. 18.9 per cent of the students have boy or girl friends and 35.9 per cent want to go on dates;there's no difference. In the actual state of going on dates,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areas only in the degree of going on dates and the reason they want to go on dates. All the students among areas haven't hardly talked about the opposite sex with their parents. Compared with other areas, more students in cities have good feeling toward opposite sex. To generalize my result of survey, more students questioned and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questions and systematic research are needed.

      • 학습몰입과 여가몰입이 중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오희숙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습몰입과 여가몰입이 중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 소재하는 S중학교, S여자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 · 녀 학생 396명이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여가몰입 척도, 학습몰입 척도, 주관적 행복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각 독립변수가 행복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단계선택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여가몰입과 학습몰입은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여가몰입의 하위영역인 인지몰입에 의해 설명되고 있으며, 중학생 전체의 주관적 행복감이 학습몰입에 의해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은 학습몰입과 여가몰입에 의해 행복감이 증진되는 것으로 여겨지며, 여가몰입에 비해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더욱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오늘날의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행복감을 인식시킬 수 있는 몰입교육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earning flow and leisure flow upon middle school students' happiness. The subjects were 396 boys and girls attending S middle school and S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Seongju, Gyeongsangbukdo. Three measures - leisure flow, learning flow and subjective happiness -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to 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Pearson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n, to explain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upon happin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isure flow and learning flow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ubjective happiness had meaningful an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students’ subjective happiness was influenced by cognitive flow which was the subordinate territory of leisure flow, and the whole students’ subjective happiness was also affected by learning flow. Third, students' happiness seemed to increase with learning flow and leisure flow.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efforts and concerns about flow education are needed in order to prevent maladjustment of the teenager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raise awareness of happiness.

      • 초등영어 학습부진아에 대한 사례연구 :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어휘학습을 중심으로

        오희숙 부경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A Case Study on Elementary School English Underachievers: Focusing on Self-Directed Vocabulary Learning Using SMART Applications Hee Suk Oh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school English underachievers learn English an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compared to achievers. It also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ir SMART vocabulary learning experiences using English learning applications based on SMART devices. For this purpose, 587 students enrolled at local elementary schools in Busan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five English underachievers also participated in a case study. As a main tool of inquiry for the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classroom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s well as vocabulary tests. The qualitative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by NVivo 10.0. The participants were supposed to study vocabulary using 17 applications thre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over the period of 20 weeks. They were encouraged to write about their feelings, advantages, and challenges while they were studying vocabulary using SMART applications in their reflective journals. The researcher herself observed their learning process and recorded her impressions or thoughts in the field notes. In addition,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SMART learning and the participants' homeroom teachers to obtain data saturation.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the study, the prolonged engagement, persistent observation, triangulation, peer debriefing, negative case analysis, and member checks were conducted throughout the research perio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nderachievers in the study disliked English most and their onset of learning English was much delayed than the achievers. In addition, they spent much less time studying English and took extra supplementary classes after school. However, learning tools such as SMART devices or the Internet were not used often for the underachiever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underachievers possessed low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an the achievers, but both groups of students showed interest and fondness in using SMART devices in their English learning.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appeared to feel motivated and be engaged in the SMART vocabulary learning more actively with a positive attitude. These SMART vocabulary learning experiences were provided through sufficient practice opportunities, audio-visual language input and prompt feedback. Although each participant gained a different level of achievement in the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tests, all of them had experience in using divers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reflecting their own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effective learning methods and tools need to be used for English underachievers to improve their interest and self-confidence. Given that SMART devices including ubiquitous characteristics can provide diverse multi-media language input and prompt feedback to support learner-centered interaction, the use of SMART devices in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should be considered and explored actively by more English teachers.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오희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김아영(2002)의 『학업동기 표준화 연구』에서 제작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에 대한 구성개념관련타당도와 준거관련타당도의 증거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동기 척도가 이론적으로 가정하는 요인구조모형의 일반화가 가능한가? 둘째, 각 동기 척도의 하위요인들을 구성하는 문항들은 내적인 합치도를 나타내는가? 셋째, 두 동기 척도의 하위요인들의 상관은 수렴 및 변별의 관련성을 나타내는가? 넷째, 각 동기 척도와 하위요인들이 외적준거변수인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와 어느 정도의 관련성을 나타내는가? 다섯째, 각 동기 척도는 외적준거변수인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용한 변수인가? 여섯째, 각 동기 척도의 하위요인들은 외적준거변수인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용한 변수인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김아영(2002)의 『학업동기 표준화 연구』에서 규준제작을 위해 사용된 590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자료는 전국을 대도시, 광역시, 중소도시로 나누어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대학생까지를 대상전집으로 하였으며, 성별을 구분한 후 개별학교를 표집 단위로 하여 수집된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동기 척도와 준거변수인 학교생활적응 척도가 이론적으로 가정한 요인구조 모형이 일반화 될 수 있는 모형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검증모형이 좋은 부합지수를 나타내어 각각의 척도가 3요인, 3요인, 4요인 구조로 일반화될 수 있었다. 따라서 각각의 척도들은 그들이 측정하는 구성개념을 나타내고 있으며, 척도에서 얻어진 점수들은 바로 각 하위척도가 나타내는 심리적 속성의 정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동기 척도의 각각의 하위요인들을 구성하는 문항들이 내적인 합치도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척도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일차원성 가정이 검증되었다. 내적합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위요인의 총점과 문항간 상관분석 및 Cronbach의 알파값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두 척도는 물론 준거변수인 학교생활적응 척도에서도 문항-총점간 상관 및 알파값이 높게 나타나 각각의 하위요인들은 높은 내적합치도 지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위요인에 대한 높은 내적합치도 지수는 하위요인내의 각 문항들이 해당되는 하위요인을 측정하며, 이는 문항들이 동질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 셋째, 두 개의 동기 척도의 하위요인간 상관분석 결과, 유사한 하위요인간에는 보통 정도의 상관이, 이질적인 하위 요인들간에는 낮은 상관이 나타나 수렴과 변별타당화의 증거를 보여주었다. 넷째, 각 동기 척도와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 점수와의 상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또한 실질적으로도 높은 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각 동기 척도가 외적준거변수인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용한 변수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척도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결과 두 척도 모두 유의미하게 준거변수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각 동기 척도의 하위요인들이 외적준거변수인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용한 변수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 결과 각 척도의 하위요인의 고유한 설명변량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alidat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Scale by accumulating construct-related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evidence. This study reutilized data which Kim(2002) had collected to standardize student motivation scales. It was constructed for four school-level groups across female and male groups which consisted 5905 responses total. Its sampling unit was individual schools from all regions throughout the nation. Construct-related validity evidence was obtained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Criterion-related validity evidence was obtained from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cores and school adjustment scale scores as the criterion measures. In conclusion, the six results prov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Scale properly measure theoretically assumed constructs and significantly predict external criterion variables.

      •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및 간호업무성과

        오희숙 군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hat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and nursing performance who were working at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For this study, 5 institutions were selected from 34 through random sampling. And 150 nurses who are working at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28th March to 8th April, 2016 and analyzed a total of 134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1. Nurse’s self-efficacy was 3.71 point in average (scale range 1-5),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37 point in average (scale range 1-5), Customer orientation is 3.74 point in average (scale range 1-5), Nursing performance is total 87.06 point in average (tool range 23-115) . 2. The study participants statistical differences of self-efficacy is age (F=0.41, p=.014), marital status (t=0.30, p=.001), years worked as an RN (F=0.26, p=.013), years worked as an RN on current unit (F=0.52, p=.025). 3. The study participants statistical differ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ge (F=0.48, p=.015), marital status (t=0.27, p=.015), years worked as an RN (F=3.79, p=.025), years worked as an RN on current unit (F=2.79, p=.043). 4. The study participants statistical differences of customer orientation is age (F=0.37, p=.007), marital status (t=0.24, p=.003), years worked as an RN (F=0.23, p=.012), years worked as an RN on current unit (F=0.52, p=.005). 5. The study participants statistical differences of nursing performance is age (F=4.02, p=.004), marital status (t=8.67, p<.000), years worked as an RN (F=6.44, p=.003), years worked as an RN on current unit (F=14.20, p<.001). 6.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nurses’ self –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and nursing performance. 7. The factors that affect the nursing performance of self-efficacy (β=0.25), organizational commitment (β=0.17), and customer orientation (β=0.37), in that order,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55% of the nursing performance. Conclusion : We found that nurses’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r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s who were working at regional public hospitals. Nurses’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are influential factors on nurse performance. Thus we make a develop the program which adopt by nurses’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and nursing performance. 목적: 본 연구는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고객지향성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와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국내 34개 지방의료원 중에서 5개의 지방의료원을 무작위로 축출 후 5개의 지방의료원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인 일반간호사이다. 최소 표본 수로 123명이 산출되었고 탈락률을 고려하여 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5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불충분한 16부를 제외한 총 13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간호업무성과의 정도는 평균,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간호업무성과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셋째,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간호업무성과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넷째,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1~5점 범위에서 평균 3.71이었고, 조직몰입은 1~5점 범위에서 평균 3.37점, 고객지향성은 1~5점 범위에서 평균 3.74점, 간호업무성과는 23~115점 범위 에서 총점 87.06(평균3.79)점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연령(F=.407, p=.014), 결혼상태(t=.304, p=.001), 총 임상근무경력(F=.258, p=.013), 현 근무경력(F=.521,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은 연령(F=.475, p=.015), 결혼상태 (t=.273, p=.015), 총 임상근무경력(F=3.786, p=.025), 현 근무경력(F=2.787, p=.04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객지향성은 연령(F=.372, p=.007), 결혼상태 (t=.244, p=.003), 총 임상근무경력(F=.226, p=.012), 현 근무경력(F=.520, 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연령(F=4.02, p=.004), 결혼상태 t=8.67, p<.000), 총 임상근무경력(F=6.23, p=.003), 현 근무경력(F=7.428,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간호업무성과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네 변수는 모두 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7.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인자로는 자기효능감 (β=0.25), 조직몰입(β=0.17), 고객지향성(β=0.37)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예측인자들은 간호업무성과를 55%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간호업무성과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방의료원 간호조직에서는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 본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 아로마 손마사지가 말기 암환자의 스트레스, 수면만족도 및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

        오희숙 대구가톨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stress, sleep satisfaction and death anxiety in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 :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 experimental study with the pre and post design of non-equival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35 in the control group. As for experimental treatments, the experimental group went through aroma hand massage with blended oil-a mixture of Lavender, Rosemary in the ratio 1:1, which was diluted 1% with sweet almond carrier oil 50ml-on each hand for 5 minutes for 7 days. However, those in control group had not received any intervention during study perio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by SPSS/WIN 12.0. Results : 1. Aroma hand massag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than control group supporting hypothesis 1 (F=23.34, p=.000). 2. Aroma hand massag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eep satisfaction than control group supporting hypothesis 2 (F=23.55, p=.000). 3. Aroma hand massag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ath anxiety than control group supporting hypothesis 3 (F=20.13, p=.000).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aroma hand massage had a positive effect on hospic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s stress, sleep satisfaction and death anxiety. Key words : Aroma Hand Massage, Stress, Sleep Satisfaction, Death Anxiety, Terminal Cancer.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 자기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희숙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기는 미래의 직업에 대한 진로계획 및 진로탐색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진로준비를 하는 시기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착과 자기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진로준비기에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여 고등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283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성별로는 남학생 138명, 여학생 145명이 분석 대상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대상자인 남·여 고등학생들의 부모애착, 자기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성별간 차이,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착과 자기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 자기인식,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모애착, 자기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준비행동에는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 하지 않았다. 또한 일반계 여자고등학생들에게 모애착이 중요한 변인이며 부애착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둘째, 부모애착, 자기인식,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세 가지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니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 자기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자기인식도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자기인식이 높아지며 진로준비행동 수준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은 부모와의 안정된 애착관계가 진로를 탐색하고 진로정보를 수집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자기 자신과 다른 환경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직업탐방 및 진로체험으로 미래의 직업을 위한 진로준비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래의 바람직한 사회인이 되도록 청소년기의 부모와의 안정된 관계와 올바른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진로지도와 상담에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 節齋 김종서 장군 관련 콘텐츠 활용 방안

        오희숙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종서 장군은 조선왕조 5백 년 충의의 상징이며 문무겸전(文武兼全)의 인물이었다. 특히 세종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으면서 성장하여 벼슬은 좌의정까지 올랐으며, 당대 최고 학자군인 집현전 학사들을 이끌고 1449년 지춘추관사로서 󰡔고려사󰡕, 󰡔고려사절요󰡕, 󰡔세종실록󰡕의 편찬 책임을 맡기도 하였다. 또 세종의 명을 받아 1433년 함길도(咸吉道) 관찰사(觀察使)와 함길도 도절제사(都節制使) 직책을 역임한 절재는 이후 1400년까지 약 8년 여 간 북방을 평정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때 그가 주축이 되어 개척한 영토가 지금까지도 대한민국의 동북방 경계가 되고 있다. 이와 함께 중요한 것은 절재가 공주에서 태어나 공주에 묻혔다는 사실이다. 절재의 탄생지는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 천태산 남쪽 끝자락에 있는 마을로, 이곳이 조선후기에는 충청도 공주목 요당면 비계곡[비계리]이었다. 절재 김종서가 태어나고 묻힌 공주에는 생가지가 있으며, 그의 선영과 묘소·묘비가 있다. 조선 후기에 김종서가 신원 복관 된 후에 그를 제향하기 위해 세워졌던 요당서사 터와 숙모전도 있다. 현재 김종서의 묘역은 장기면 소재지의 국도변으로 약 2.5km 정도 떨어진 장기면 대교리 밤실마을 산 45번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1977년 1월 6일 충청남도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16호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유적지에는 김종서의 충의의 정신이 면면히 배어 있다. 공주에서는 김종서의 충의 정신을 선양하고 이를 계승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허를 정비해 백제의 고도인 공주가 역사문화도시로 브랜드 가치를 드높이고 고도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4대에 걸친 왕을 보필하고 충절을 바쳤던 절재의 충직한 기상을 계승·발전시키는 역사 및 사회교육의 거점으로 활용해 문화재의 사회적 의미와 활용도를 제고해야 할 때가 됐다. 시는 매달 공주의 중요한 역사인물을 조사·연구해 선정하고 있다. 또한 역사인물에 대한 학술세미나, 추모제향, 유적정비 등을 후속하여 공주가 역사적으로 이름을 떨친 선조를 우대하고 추모하는 전통을 가진 역사문화도시임을 보여주고 있다. 공주시는 2006년 정비기본계획을 바탕으로 김종서유허지 종합정비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세종시도 김종서장군 묘역 역사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