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세희 소설의 욕망 연구

        오현종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Previous scholarship on Cho Se-hee’s novels has largely dealt with his depiction of social classes such as the proletariat against the bourgeoisie, and/or of his depiction of imagined communities such as the dwarves against the giants. The deluge of scholarship following Cho’s publication of the first installments of 『A Dwarf Launches a Little Ball』(hereafter Dwarf) in the 1970s and the diversification of Cho-related scholarship in the 1990s have done little to introduce different perspectives. They may be the result of confining the piece to a realism/anti-realism perspective or regarding it as a “labor novel.” Whi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Cho Se-hee’s characters are assigned social class according to economic class, they also have desires that transcend class. Analyzing character behavior solely based on class may result in reducing the complexity of Cho’s characters and weakening the impact of the literary/formal structure of his novels. This thesis, thus, attempts to identify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fragmented desire that rescues the characters from a Möbius Strip-like world, and the moment of their ultimate redemption. Without overlooking the individual characters’ social status, this thesis strives to examine how personal desire that transcends class is manifested in Cho’s novels. Moreover, while previous scholarship on Cho Se-hee tends to focus on Dwarf, this thesis is a more comprehensive look at Cho’s oeuvre, as it also examines 『Time Travel』 and the unpublished manuscript 『White Chŏgori』. Cho’s earlier works play an integral role in the study of his works because the origins of recurrent themes/motifs in Cho’s novels, such as the Möbius Strip-like space, the desire to break free from a confining space, the death drive, and speech impediments can be traced back to his early works. This thesis argues that many of Cho’s characters are slaves of guilt, regardless of social class—an observation that leads to the analysis of the text from a polyphonic view. Kyŏng-hun, identified in pervious scholarship as the archetypal bourgeoisie, is ostensibly at odds with Yŏng-su, the eldest son of the dwarf. However, closer examination of his subconscious as revealed through his self-contradictory and ironic stream-of-consciousness shows split-personality character traits created by ambivalence. Kyŏng-hun and Yŏng-su are, then, doubles trapped in the same infernal Möbius Strip, each suffering in his own way. Another motif of note in Cho Se-hee’s works is death. A character chooses to take his own life, or harbors homicidal thoughts toward others that sometimes lead to murder. Suicidal and homicidal characters represent two sides of a coin. Furthermore, the space of death and space of life are not easily separated. Oppressed characters who have been robbed of everything including the desire to express their despair and aggressiveness via their death drive end up accepting the violent reality. Laborers fighting for mere survival, however, are no the only ones giving into the cold “mechanical cit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borers’acquiescence to reality and that of the bourgeoisie is that the latter, denied the right to live like human beings, make up for it through the desire for material goods and power. Personal desire in Cho’s works is typically represented by the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 expressing desire and the one oppressing it. One trait often found in Cho’s characters is the inability to speak. Some remain silent by choice, others have speech impediments, and still others are forced to keep quiet. The eternal struggle between the desire to speak and the desire to silence, portrayed in the early works, is a persistent, recurring theme in Cho’s later works. While previous scholarship regards Cho’s characteristic narrative style and the speech impediment in Dwarfas aphasia, this thesis examines the process through which characters who are denied the basic human right to speech find their outlet in text. Another notable trait in Cho Se-hee’s novels is the recurrence of identical character names, physical attributes, and family tree as well as similar incidents over time and space. It is clear that the repetition stems from the author’s sincere desire to rewrite what he has written and his anxiety that history is repeating itself rather than progressing. Through analysis of Cho’s early works, one can observe that the main motif and its variations are repeated endlessly without the distinc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like a Möbius Strip. Characters who pursue dreams beyond their means or who experience oppression and symptoms of split-personality disorder under the violence of a reality that crushes desires instinctively yearn for an escape. When their attempts to break free are thwarted, those who survive the failure try something else. It appears that the despair of each character, trapped in his own space, indicates they live in a wasteland. However, the author suggests through the symbol of the Klein Bottle that the “land of death” is not one devoid of hope but “filled to the brim with something precious.” This thesis ultimately concludes that Cho Se-hee’s provocative novels depict the struggle between those who are capable of regret and those who are not, or those with desire and those without, rather than the proletariat and the bourgeoisie. This perspective diverges from the limiting view of Cho’s works as “labor novels” problematizing a social issue of previous generations, and imbues them with new meaning for contemporary scholarship. 지금까지 대개의 선행연구에서 조세희의 소설은 노동계급/자본계급, 난장이계층/거 인계층 등으로 계급성에 의거해 분석되어져 왔다. ‘난장이’ 연작이 발표된 1970년대부터 다수의 평문이 쏟아져 나오고, 또 1990년대부터 논의를 다각화해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조세희 소설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평론에서 언급했던 관점을 반복하고 있다. 이것은 지나치게 사회학적 상관관계에 초점을 두어 ‘노동소설’의 범주로만 인식하거나 사실주의/반사실주의라는 틀에 맞추어 해석해왔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조세희 소설의 인물들이 경제적 위치에 따른 계급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제각각 계급성을 뛰어넘는 욕망 또한 갖고 있다. 인물의 행동 양상을 오로지 계급성만을 기준으로 삼아 분석하는 독법은 자칫 작품의 입체성을 축소시키고 내적 개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파편화된 욕망이 뫼비우스의 띠와 같이 구조된 세계 속에서 인물을 탈주시키는 동력이 되는 지점, 다시 말해 궁극적인 구원으로 이끄는 순간까지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등장인물이 발 딛고 있는 계급적 위치를 간과하지 아니하되, 개개인이 계급을 뛰어넘는 욕망을 발현하고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의 논의 대상 역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본고는 조세희의 작품집『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과 『시간 여행』에 수록되지 않은 등단작부터 미출간작인 장편『하얀 저고리』까지 총체적으로 조망하였다. 그간의 연구에서 논외로 되어온 초기작이 조세희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는 까닭은 ‘뫼비우스의 띠(Möbius strip)’처럼 안팎을 구분할 수 없는 공간성, 닫힌 공간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욕망, 죽음충동, 발화 장애 등에 대한 성찰이 이때부터 싹 틔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 따르면 조세희 소설의 등장인물 다수는 계급과 무관하게 죄의식의 노예이며, 이들의 분열적 목소리는 그의 소설을 다성성(多聲性)의 차원에서 논의하게 만드는 요소가 된다. 선행연구에서 자본계급의 가장 전형적인 인물로 명시되었던 ‘경훈’은 표면적으로 난장이의 큰아들 ‘영수’와 대극(對極)에 놓여있다. 하지만, 경훈의 이중적이고 반어적인 내적독백을 통해 일그러진 무의식까지 분석한다면, 그를 양가감정(兩價感情)에 의해 분열하는 인물로 예시할 수 있다. 고통의 방식만 다를 뿐 같은 지옥에 존재하는 경훈과 영수, 두 인물은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없는 ‘뫼비우스의 띠’에 갇혀있는 ‘짝패’이다. 한편, 조세희의 소설에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죽음’이란 모티브가 유독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점이다. 등장인물이 자살을 선택하기도 하고, 타인에게 살인충동을 느끼기도 하며, 실제로 살인을 행하기도 한다. 타인을 살해하려는 욕망을 가진 인물과 자신의 목숨을 끊으려는 인물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닮아 있다. 또한, 죽음의 공간과 삶의 공간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좌절감과 공격성을 죽음충동으로 발현할 욕망조차 억압당한 인물은 폭력적 현실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냉혹한 ‘기계 도시’에서 살아남기 위해 순응하는 이는 다만 생존의 극한에 몰린 노동자에 국한되지 않는다. 자본계층의 순응 양상이 노동계층의 그것과 다른 점이라면, 인간다운 삶에의 욕구를 억압당하는 대신 물질과 권력에 대한 욕구로 상쇄시킨다는 사실이다. 소설 속에서 개인의 욕망은 흔히 욕망을 발현하는 자와 억압하는 자의 갈등으로 표출되곤 한다. 조세희의 소설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인물 유형 가운데 하나는 말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는 인물이다. 자의에 의해 침묵을 지키기도 하고, 혀가 말을 듣지 않는 장애를 겪기도 하고, 타인의 강제에 의해 말문이 닫히기도 한다. 초기작에서부터 발아된, 말하고자 하는 욕망과 그것을 억압하는 현실에 대한 천착은 이후의 소설로 집요하게 이어진다. 선행연구에서 조세희 특유의 문체와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발화 장애를 일종의 ‘실어증’ 증세로 간주해왔다면, 본고는 인간다운 삶의 기본 조건인 ‘말’을 억압당한 인물이 ‘침묵’을 넘어 ‘문자’의 세계로 이동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세희의 소설에서 주목할 만한 양상은 등장인물의 이름과 신체 표징, 가계의 반복을 비롯해 유사한 사건이 시간과 공간을 달리해 소설적으로 반복된다는 사실이다. 자신이 쓴 것을 다시 쓰고자 하는 간절한 욕망, 그리고 역사가 진보하지 않고 순환되고 있다는 데 대한 불안감은 소설 속에서 반복성을 이끌어내는 원인이 되었음이 분명하다. 조세희의 전작을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원형(原形)이 되는 이야기가 안도 바깥도 없이 끝없이 순환하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인물과 시공간을 변주해가며 반복된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 주어진 사회적 위치를 뛰어넘는 욕망을 추구하고, 또 폭력적 현실에 의해 욕망을 억압당하거나 분열을 겪은 인물들은 제각각 내재적 탈주를 꿈꾼다. 닫힌 공간을 떠나 열린 세계로 향하려는 인물의 행위가 실패로 끝날지라도 살아남은 인물은 또다시 제 나름의 방식으로 탈주를 꾀한다. 저마다 닫힌 공간 안에서 절망하는 인물들의 모습은 그들이 발 딛고 있는 세계가 “죽은 땅”임을 확인시켜주는 듯하다. 그러나 죽음이 만연한 이 땅이 완전히 희망이 사라진 곳은 아니라는 사실을 작가는 “병 가득히 소중한 것”이 채워졌을지 모를 ‘클라인씨의 병’의 상징을 통해 암시한다. 궁극적으로 조세희의 소설은 무산계급과 유산계급의 대결이 아니라 세상에 대해 회의할 수 있는 자와 회의할 수 없는 자의 갈등, 혹은 세상을 개선하려는 욕망을 가진 자와 욕망을 가지지 못한 자의 갈등을 그려낸 문제작으로 요약된다. 본고의 이러한 인식이 조세희의 소설을 산업사회를 문제화한 ‘노동소설’, 혹은 지난 세대의 문제작으로만 한정 짓는 틀에서 벗어나 현대적 의미를 획득하게 하는 새로운 지점이 되리라 기대한다.

      •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 설계

        오현종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his book, "The Third Wave," Alvin Toffler predicted the third wave to be the information revolution which will follow after the agricultural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As his prediction, the modern time is the era of information, and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revolution has already become a daily life cannot be denied. Due to the inevitable results from such information revolution, our society has entered the knowledge based society where the knowledge information forms the foundation in overall areas of culture, economy and life. Thu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prodigy who will lead such knowledge based society of future has become the matter of interest from the government level resulting in the gradual increase in the ratio of recipients who are subjected to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Because the knowledge based society is a society which produces and utilize them with the foundation of vast information, the inevitable increase of recipients who can receive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field can be predicted. Therefore, the program which can discover such prodigies and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coherent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s to realize the talent of gifted children in information science are urgently required, and the results from studies are also needed in abundance. The significant reason for studying information science lies in the efficient resolution of various problems which can arise in actual life. Consequently, algorithm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the information science and plays a great part in helping to enhance the creative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to improve the programming ability. However, the current algorithm education at an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has inadequate systematic quality and is only treated as a part of programming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carried out following studies in order to design the algorithm education for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prodigies. First, the core educational contents was selected by extracting the common elements from existing books related to algorithm education, common study contents on algorithm lesson websites and the study area of ACM's computer algorithm. Second, using the development criteria and selected educational contents, the educational theme for the 16 week load was set. Additionally, the algorithm educational contents were designed for the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prodigy based on such theme. Third, the activity site for the use of prodigy educational institute was developed with the backgroun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prodigy. Fourth, the Delphi analysis technique was used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contents and activity site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carried out in 2 separate processes where the first process verified the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second process verified the appropriateness of developed activity site. Through this study, the algorithm educational contents were designed for the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prodigy. The algorithm educational contents designed with the focus on the concrete problems which can be observed in the real life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he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prodigy and to yield the anticipated improvements in the problem-solving ability, basic programming skills and creativity.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theme and problems differentiated from other prodigy courses, the unique area for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science prodigy was secured. However, since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the adjustments and supplementation of this study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are necessary in the future as the Delphi analysis technique was used. 앨빈 토플러는 그의 저서 ‘제 3의 물결’에서 농업혁명과 산업혁명 다음으로 찾아올 정보혁명이 제 3의 물결이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의 예견대로 현대는 정보의 시대이고, 이미 정보혁명은 일상이 되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한 정보혁명의 필연적인 결과로 우리 사회는 지식정보가 문화, 경제, 생활 전반에 있어 가장 밑바탕이 되는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했다. 그래서 이런 미래의 지식기반사회를 이끌어 갈 영재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은 국가 차원의 관심사가 되어 영재교육 대상자 비율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지식기반사회가 막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를 생산하고 이용하는 사회이기에 정보과학분야의 영재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 역시 확대됨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영재들을 발굴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보과학영재아들의 영재성을 일깨워주기 위한 교육과정 및 교육 내용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교육내용 개발이 시급하며 연구 성과들 또한 충분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정보과학을 공부하는 중요한 이유는 실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데 있다. 따라서 알고리즘 교육은 정보과학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 및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 하지만 현재 정보과학영재 교육원에서의 알고리즘 교육은 체계성이 부족하고 프로그래밍 교육의 한 부분 정도로 취급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을 설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기존 알고리즘 교육과 관련한 서적, 알고리즘 강좌 홈페이지의 공통 학습내용, ACM의 컴퓨터 알고리즘의 학습 분야의 공통 요소를 추출하여 핵심 교육내용을 선정하였다. 둘째, 개발기준과 선정한 교육내용으로 16주 분량의 교육주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을 설계하였다. 셋째,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영재교육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넷재, 본 논문에서 개발한 내용과 활동지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델파이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2차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1차는 교육내용 설계에 대한 검증으로 진행하였고 2차는 개발한 활동지의 타당성 검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을 설계하였다.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구체적 문제를 중심으로 설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이 초등 정보과학영재에게 적합하고 문제해결력, 프로그래밍 기초능력, 창의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다른 영재 교과와 차별화된 주제와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정보과학영재교육만의 고유 영역을 확보하였다. 하지만 실제 적용상에 어려움이 있어 델파이 분석 방법을 쓴 만큼 향후 본 논문에 대한 실제 적용에 따른 수정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전략적 불확실성과 관리회계시스템의 적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吳炫鍾 인천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업에서 관리회계시스템은 기업이 선택한 경영전략의 수행을 위한 하나의 도구이다. 따라서 관리회계시스템은 기업의 전략적 선택 결과로 나타나는 불확실성에 따라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략적 불확실성으로부터 비롯된 관리회계시스템의 다양성이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에 있다. 조사는 기업수준에서 지각된 성과와 실제로 보고된 경제적 성과를 함께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두 가지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 분석에서는 관리회계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와 전략적 불확실성간의 적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였다. 두 번째 분석은 결합된 구성요소들 즉 관리회계시스템 전체와 전략적 불확실성간의 적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였다. 첫 번째 분석에서, 관리회계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과 전략적 불확실성의 적합이 보다 나은 성과를 가져온다는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재무적 성과를 이용한 검정에서 보고의 빈도와 전략적 불확실성간의 양(+)의 상호작용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가통제시스템과 전략적 불확실성 사이에 존재하는 음(-)의 상호작용이 ROA와 ROE 및 ROI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보고의 범위와 전략적 불확실성 사이에 음(-)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했고 이것은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서, 참여예산시스템 및 성과평가시스템과 전략적 불확실성 사이에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 전략적 불확실성과 관리회계시스템 개별 구성요소들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몇 가지 추가분석이 실시되었다. 기업의 규모 기업의 자금조달방식 등에 따라 표본을 분할한 추가분석에서는 위의 결과가 주로 대기업과 공개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보고의 범위와 보고의 빈도를 세분하여 실시한 추가검정에셔는 보고의 빈도와 불확실성 사이의 양의 상호작용은 주로 내부보고의 빈도에 의해 주도되고 보고범위와 불확실성 사이의 음의 상호작용은 외부상황정보와 불확실성간의 양의 상호작용과, 생산정보 및 시장정보와 불확실성간의 음의 상호작용이 결합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분석에서는 예산시스템, 보고의 범위, 원가시스템 및 성과평가시스템 등에 의해 측정된 관리회계시스템이 시스템과 전략적 불확실성 사이의 적합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사했다. 여기에서는 적합도와 성과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기업의 관리회계시스템이 이상적 프로필로부터 벗어날수록 성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상적인 유형에 가까울수록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이론에 근거한 이상적 프로필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실증적 결과에 근거하여 이상적 프로필을 사용했을 때 더욱 강력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는 관리회계시스템의 효과적인 설계가 조직의 경제적 성과를 이끄는 정도에 관환 중요한 증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경영통제시스템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MAS) serve as one of the important informational sources to help managers control activities and cope with uncertainty so that organizational objectives can be achieved successfully.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is commonly followed by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information processing.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help an organization overcome its problems of adaptation, the design of MA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degree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formance implication of the fit between strategic uncertainty and MAS. Two sets of regressions are implemented using perceived performance and actually reported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s. In the first analysis, I test the effects of fit between components of MAS and strategic uncertainty on corporate performance. Components of MAS consists of scope of internal reporting, frequency of internal reporting, budgeting system, cost accounting system,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second analysis,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of fit between MAS as a whole system and strategic uncertainty are examined. In the first set of analyses, I find that the fit between each components of MAS and strategic uncertainty has interaction effects on performanc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frequency of reporting and strategic uncertainty has positive effects on financial performance. Negative interaction between cost accounting system and strategic uncertainty has positive effects on ROA, ROE, and ROL I also find that negative interaction between scope of reporting and strategic uncertainty has positive effects on financial performance. But I cannot find evidence that supports the assertion that participative budget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as interaction effects on performance. In the second set of analysis, I find that fit between MAS as a whole system and strategic uncertainty has significant implication to the performance. The distance score between firm's MAS and its ideal profile is regressed on the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a high misfit score is associated with lower performance and a low misfit score is associated with higher performance. This association is stronger in the analysis using the ideal profile that is measured based on empirica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provided important evidence about the extent to which the effective design of MAS led to organizational economic performance. For practition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n additional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 Effects of Exercise Addiction on Stress, Depression and Musculoarticular System in Collegiate Men

        오현종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eople may experience depression owing to excessive stress, unexpected events or accidents, or even for no particular reason. Specifically, the level of stress and depression among the young population is seemingly serious. College students take part in physical activities or exercise programs to eliminate such stress or depression. On the contrary, indulging in excessive exercise may bring about adverse effec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addiction on stress, depression, and the musculoarticular system in collegiate men. Materials and Methods: 40 male subjects (mean 20.52 ± 1.15 years) who participated in regular physical activities or exercises programs with intentions to alleviate stress or depressive feeling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ercise addiction group (n=24) and control group (n=16). The participants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ere chosen using the criteria of previous studies (Kang, 2009; Allegre et al., 2006; Hausenblas and Symons Downs, 2002; Taranis et al., 2011; Thompson and Pasman, 1988). The stress and depression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referred to Kim (2001) and Jeon and Lee (1992), respectively. Moreover, the isokinetic machine was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musculoarticular system, which tested elbow and knee joints at 60°/se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software. All data are repor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both groups were evaluated with the non-parametric analysis (Mann-Whitney U test). The between-group factor was the study groups (i.e. exercise addiction group vs control group).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analyses was set a priori at p ≤ .05.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te of exercise addiction through instruments provided for each examination of exercise addiction, exercise dependency, and exercise obligation except for the one examined the exercise compulsion. The state of exercise addiction was distinguished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Second, although the stress levels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rd, the muscle mass and basal metabolic rate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ereas, percent fat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musculoarticular functionality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represented through measurements of peak torque, work per repetition, and total work exerted from both elbow flexor and extenso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ogether with similar measurements of isokinetic variables exerted from flexor and extensor of knee joints. Conclusion: The subjects in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ere thought to be psychologically addicted to exercise, however, they actually exhibited less depression and higher physical functionality in their musculoarticular system seemingly due to the positive effects attained from exercise addiction. The amount of time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as involved in exercise was 5.08 ± 4.11 yea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사람들은 누구나 과도한 스트레스에 의해, 예측하지 못했던 사건이나 사고로 인해, 심지어 아무런 이유 없이 우울증을 경험한다. 특히, 인간의 발달 단계상 가장 활발하고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해야 할 청년층에게서 이 우울증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청년층 대학생들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우울증을 해결하기 위해 신체활동이나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규칙적인 운동이 신체의 건강증진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등의 정신적•심리적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제공하지만, 그것을 즐기는 것 이상으로 생활의 중심이 되는 과도한 운동 즉, 운동에 중독되어 역효과를 일으키기 쉽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운동중독이 과연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우울증 및 근관절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연구에 착수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총 40명 (20.52 ± 1.15세)으로 규칙적인 운동이나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자들이었으며 주로 스트레스나 우울증상 등을 해소하기 위해 운동에 참여했다고 밝힌 사람들만을 대상자들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운동중독집단 (n=24)과 통제집단(n=16)으로 나누어 연구에 임하였다. 운동중독집단에 포함된 참여자들은 선행연구 (Kang, 2009; Allegre et al., 2006; Hausenblas and Symons Downs, 2002; Taranis et al., 2011; Thompson and Pasman, 1988)에서 제시한 설문지를 통해 선별하였다. 한편, 스트레스 수준과 우울증 정도는 Kim (2001)과 Jeon & Lee (1992)가 보고한 설문지를 참고로 하였다. 운동중독에 따른 근관절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등속성 장비를 이용하였으며 60°/sec에서 경첩관절인 주관절과 슬관절의 근기능상태를 평가 및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두 집단 간의 변인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비모수에 의한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으며, 검정 결과에 대한 유의수준은 p ≤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본 연구에서 선별한 운동중독집단은 운동중독, 운동의존, 의무적 운동 설문지에서 운동중독자들로 판명되었으며,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강박적 운동 설문지를 제외하고는 세 가지 설문지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운동중독집단의 스트레스수준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울증 수준은 운동중독집단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중독집단의 근육량과 기초대사량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체지방율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중독집단의 근관절계의 기능 상태를 평가하고자 한 주관절 굴근(flexor)관 신근(extensor)의 최대회전력 (peak torque), 반복횟수 당 일량(work per repetition) 및 총일량(total work) 등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슬관절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 참여한 운동중독집단은 운동기간이 5.08 ± 4.11년으로 그리 길지 않았고, 통제집단과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미뤄보아 심리적으로는 운동에 중독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은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운동을 통해 낮은 우울증 수준과 높은 근관절계 기능 상태를 보여 운동중독의 부정적인 효과보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서기원 초기소설의 갈등 양상 연구 : 타나토스를 중심으로

        오현종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서기원 초기소설의 갈등 양상을 타나토스(thanatos), 즉 죽음본능을 중심으로 해석해보았다. 황폐화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인간군상의 미묘한 심리를 그려내고 있는 서기원의 초기소설에는 자살, 살인, 강간, 새드-매저키즘으로 왜곡된 인간 관계 등 허무적인 분위기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 양상이 등장한다. 상식과 윤리가 존재하지 않는 현실 속에서 부유(浮游)하는 젊은이들에게는 본능만이 존재한다. 전후라는 시대적 상황이 인간을 삶을 향한 본능보다 죽음을 향하는 본능으로 이끌고 있기에 그들은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의 소설 속 인물들은 줄곧 죽음 충동에 사로잡혀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 타나토스는 서기원 소설에서 강렬함을 낳는 핵심 요소이다. 세밀한 심리묘사를 중심으로 한 서기원의 초기소설을 전쟁이라는 시대적 배경과 전후 이데올로기에 의해서만 해석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서기원의 초기소설이 심리묘사를 통해 남다른 개성을 발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전후소설’이라는 한정된 시각에 의해 주로 분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서기원의 초기소설 속에서 쉽게 동기가 드러나지 않는 여러 가지 갈등 양상을 타나토스라는 개념을 통해 해석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서기원 초기소설의 갈등 양상을 첫째, 자살충동, 둘째, 살인충동, 셋째, 새드-매저키즘으로 왜곡된 인간 관계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서기원은 다수의 평론가들에 의해 지적인 작가라 일컬어지고 있으며, 그의 소설은 냉소적인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그의 소설은 때때로 읽는 이에게 감상적으로 느껴진다. 이는 타나토스에 의한 자살충동이 빈번하게 등장하기 때문이다. 서기원 초기소설의 주인공들은 그 계보로 따지자면 이상(李箱) 소설의 주인공과 그 계열을 같이하고 있다. 자살하고 싶다는 말을 되풀이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하는 이상(李箱) 소설 속 인물들의 특질을 서기원의 초기소설 속에서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李箱)의 단편소설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여자 공유하기’와 같은 파괴적 에로티즘의 요소 역시 한 여자와 두 남자의 기묘한 동거를 그린 서기원의 「암사지도」를 비롯한 몇몇 단편에서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서기원의 초기소설에서는 새디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 살인충동 역시 빈번하게 등장한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서기원이 전후소설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 시점에도 비틀린 인물들을 통한 살인충동이 변함 없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서기원의 초기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기묘한 관계 속에서 다른 인물들을 증오하거나 가해하거나 강간한다. 더불어 자학을 하듯 자신에게 스스로 고통을 주기도 한다. 이 같은 새드-매저키즘적 인간 관계는 서기원의 대표작인 「이 성숙한 밤의 포옹」 마저도 작품 내부의 필연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등장인물들의 행동은 새드-매저키즘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그 개연성을 쉽게 납득할 수 없을 만큼 왜곡되었다. 서기원 소설의 경우 타나토스에 의해 분출된 충동들이 작품 내부에서 해결점에 이르지 못한 채 열린 결말을 맺는 경우도 없지 않으나, 대부분의 경우 타나토스에서 에로스로 향하는 가운데 갈등의 해소를 암시하며 결말을 맺는 다. 자신, 혹은 타인의 죽음이 죽음, 및 의사(擬死)죽음이라는 형식으로 통과의례 역할을 하여 작중인물을 구원으로 이끄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타나토스적 충동들이 죄의식으로 변화되어 중심인물의 내면에 갈등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렇듯 중심인물의 내면에서 고통을 유발하고 새로운 세계로 넘어서는 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는 죄의식을 뛰어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바로 ‘죽음’이다. 파괴적인 충동에 휩싸인 비극적인 인물들은 타나토스에서 에로스로 향하는 과정을 거치며 혼돈에서 벗어나고 있다. 뛰어난 심리묘사와 세련된 문체로 동시대의 작가들과 다른 개성을 보여준 서기원의 초기소설은 50년대 소설에서 60년대 소설로 넘어가는 신호탄이 되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후작가로 인식되었던 서기원 소설의 남다른 의미를 획득할 수 있는 지점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appearance of conflict in the early novels of Seo Gee-Won with emphasis on Thanatos, Death Instincts in particular. In the early novels of Seo Gee-Won which describe the delicate mentality of human beings in devastated times, there are various conflicts caused by nihilistic atmosphere such as suicide, murder, rape and relationship juggled with sade-masochism. Only these instincts exist in young people who float in realities without common sense and ethic. They cannot be free from death because the age of post-war leads them to death instincts rather than to the instincts for life. The characters seem to be seized with the urge to die. In other words, Thanatos is the key element that brings intenseness to the novels of Seo Gee-Won. It is not easy to interpret the early novels of Seo Gee-Won which focuses on the delicate description of the state of mind only by the periodic background and the ideology of post-war. Although they show marked individuality through psychological description, the early novels of Seo Gee-Won have been analyzed by a limited view of post war novel. To overcome the tendency, this study tried to interpret several conflicts whose motives were not readily apparent through the concept of Thanatos. This research discussed the conflicts with emphasis on the suicide drive, murder drive and the human relationship distorted by sade-masochism. Seo Gee-Won is called an intellectual writer by the critics and a cynical point of view is maintained in his novels. Nevertheless they are sometimes sentimental because of the frequent appearance of suicide impulse by Thanatos. The heroes are similar to those of Lee Sang. These characteristics also appear in Lee Sang's novels,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existence by repeating that they want to suicide. The element of destructive erotism like 'sharing a woman' which appears frequently in Lee Sang's also affected several short stories including 'Amsajido' describing strange cohabitation of a woman and two men. The murder drive arisen from Sadism shows repeatedly. One remarkable thing is that the murder drive of distorted characters still appears when Seo Gee-Won was getting out of the post war novel. Meanwhile the characters hate, do harm or rape other characters in the weird relationship. In addition they torture themselves. This kind of sade-masochistic relationship brought his masterpiece 'The Embrace of this Mature Night' much criticism for its lack of inevitability. The action of people was so distorted that it was not easy to understand without the comprehension of sade-masochism. Sometimes the drives from Thanatos was not solved in the novel and the novel has an open ending. In most of the cases the conflict is hinted to be solved while change undergo from Thanatos to Eros. The death of oneself and other people or pseudo death as an epiphany, lead the characters to salvation. The drive from Thanatos change to sin consciousness and initiate the conflict in the mind of characters. The 'Death' makes it possible to overcome the sin consciousness which brings pain and works as an obstacle crossing to the new world. The tragic characters with destructive drive escape from chaos through the process from Thanatos to Eros. The early novels of Seo Gee-Won showed uniqueness with an excellent description of mentality and refined style and was a signal of appearance of 1960 novels. This is the point for the novel of Seo Gee-Won generally recognized as post-war writer to achieve a special meaning.

      • (A) comparative analysis on conversion factor models of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system : Policy implications focusing on primary care

        오현종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ealthcare industry today is exposed to a variety of environmental chang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With this taken into account, a variety of healthcare institutions such as clinics and hospitals are experiencing managerial difficulties in Korea. More specifically, primary care institutions are constantly reported to be in critical situation today. Although primary care sector takes up the majority of healthcare supply, its importance has been surprisingly overlooked. Clinics which represent primary care in Korea are running into a dead end, no effective counter mechanisms have been clearly identified. Collapse of primary care in Korea is due to many factors acting comprehensively with irrational reimbursement argued to have the most negative effect. In this study, popular conversion analysis models used in the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system, which are earnings and expenses ratio, cost, and sustainable growth rate analyses, are compared and specific reimbursement rates are calculated in order to propose policy implications fit for primary care in Korea which may contribute to alleviating the current managerial issues. For comparative analyses on conversion factor models of healthcare reimbursement system, 1,008 clinics in Korea were initially selected. Because of the nature of conversion factor analysis, financial statements were requested to these organizations. Among the 1,008 clinics 112 clinics agreed with this research and provided the statements, and thus the data from these 112 were finally used for comparative conversion factor analyses in this study. As a result, conversion factor models using earnings and expenses ratio analysis and cost analysis were simple and convenient to calculate and deduce appropriate reimbursement rates for clinics. Since these methods are, however, dependent on internal data of individual clinics, and thus the results from them were shown to have low reliability and credibility by the public. On the contrary, conversion factor model using the sustainable growth rate analysis was difficult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reimbursement rates for clinics due to multiple procedures within the relevant functions. However, sustainable growth rate analysis is based on various national indices, and thus the results from such analysis can be trusted by the public as well as health insurance payers. Because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concerns multiple level stakeholders including healthcare providers, health insurance payers, and general public, the policy makers must be careful when deciding which conversion factor model to use for deducing appropriate reimbursement rates for clinics. Among the many analytic methods for conversion factor model, sustainable growth rate analysis is recommended for the source data are reliable national indices which the majority of stakeholders can agree upon.

      • Outbound Expansion of Korean Medical Institutions and Economic Ripple Effects : Healthcare Globalization from a Quantitative Approach

        오현종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Driven by cross-border free trade agreements, today’s medical tourism , has gradually taken on a new aspect where more and more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strive to advance directly onto foreign healthcare markets and provide health services to local patients. In response to this phenomenon, Korean healthcare community has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pursuing outbound expansion. This study is conducted to secure a bridgehead for successful outbound expansion of Korean medical institutions by establishing effective measures for improving competitiveness and predict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s generated by the expansion program, and to contribute to enriching the currently insufficient research on outbound medical tourism and draw practical implications for domestic institutions searching for outbound expansion opportunities. This study 1) selected potential nation states for outbound expansion of Korean medical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m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2) established the expansion plans and scenarios based on the review; 3) conducted total balanc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plans over a 12-year period comprising three stages; and 4) investigated the economic ripple effects (indirect profit) from the expansion project. Four regions and 10 nation states were selected as target destinations for outbound expansion in this study including the Middle East region (UAE, Saudi Arabia, and Kuwait), CIS region (Kazakhstan and Russia), Asia region (China and Mongolia), and Southeast Asia region (Vietnam, Indonesia, and Thailand). Total balance from outbound expansion to these regions and nation states was analyzed and estimated under conservative scenario (A) and optimistic scenario (B). Total balance as the direct effect laid groundwork for analyz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s from outbound expansion. Economic ripple effects were broken down into three areas including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here coefficients of each of the inducement effects were deduced by using the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 i.e. input-output (I/O) table – by the Bank of Korea. As a result of total balance analysis, construction cost and medical revenue from inbound foreign patients care were shown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fitability of the overall expansion project. Outbound expansion of Korean medical institutions retained promising gain by investment regardless of the scenario applied. Also, from the quantitative approach adopted in this study toward deduc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s from outbound expansion of Korean medical institutions to selected foreign destinations, the expansion project was identified to have sufficient feasibility for implementation. Specifically, a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UAE, China, Kazakhstan, and Vietnam among the four regions for successful operations. Another aspect deduced in this study with great importance is the significant effect of medical revenue generated by inbound foreign patient care on total balance and ripple effects. One of the key functions of Korean medical institutions expanding abroad is referral of local patients with high severity and complications into Korea. The institutions must be sustainable in foreign locations, and, at the same time, be faithful to achieving its key functions so that their practice contributes to further growth of Korean national economy.

      • 풋살 동호인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오현종 우석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풋살 동호인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집단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오 현 종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풋살 동호인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민생활체육 전국풋살연합회에 등록된 동호인 3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결측치 10부를 제외한 300명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Ver.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풋살동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직업, 경력 요인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포지션과 팀규모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풋살동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학력, 직업, 경력, 포지션, 팀 규모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풋살동호인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사회응집력과 과제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풋살 동호인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높을수록 팀 응집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풋살 동호인 팀의 응집력과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ABSTRACT An Influence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Futsal Club Members on the Group Cohesiveness OH, Hyun Jong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 S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futsal club members on the group cohesivenes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screening was made on the subject of 310 club members registered on the National Futsal Alliance of Korea Council of Sport for All, and final selection was made for 300 persons with the exclusion of 10 responses that had insufficient response contents or missing out the contents. As for the measurement tool, the questionnaire was used and, for data processing, SPSS (Ver. 18.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implement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ormulate the conclusion. The result was shown, first, that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futsal club members had partial influence on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It was shown to influence in education, occupation and experience factors while it did not show to influence in age, position and team size. Second,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futsal club members influenced on the team cohesiveness. It showed the influence on all factors in age, education, occupation, experience, position, and team size. And third, the level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futsal club members was shown to influence on the team cohesiveness. The level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shown to influence on social cohesiveness and task cohesiveness. In conclusion, it was learned that, as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futsal club members gets higher, the team cohesiveness gets higher, and in order to enhance the team cohesiveness and outcome of futsal club members, the level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s to be improv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