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래핀 기반 플렉시블 전송선로의 손실 특성에 관한 연구

        오현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기판 위에 화학적으로 처리한 그래핀을 이용하여 전송선로를 만들고, 전송선로의 RF 손실 특성을 연구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송선로는 다른 그래핀 기반 전송선로에 비해 손실이 적었다. 구체적으로 그래핀/실리콘 구조는 1 GHz에서 -24 [dB] ~ -33 [dB]의 삽입손실을 보인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그래핀/PET 구조는 같은 주파수에서 -0.773 [dB]에 불과했다. 하지만 gold-Ti/PES 구조에 비교하면 손실이 큰 편으로 나타났다. Gold-Ti/PES 구조에 비하여 손실이 큰 이유를 연구한 결과 그래핀의 전도율이 gold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결과를 종합하면, 그래핀/PET 구조는 플렉시블 RF 소자에 쓰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지체장애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오현수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lot of difficulties and problems are at han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of special schools only for Physical Disability. Thus, the research study ought to be made on primary curriculum applicable and practicable in schools only for Physical disability, where the depts for academic subjects will be created, and academic subjects and their operation systems capable of delivering and dealing with relevant curricular contents, adequately, will be mad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thesis is going to make the analytic researches on the majors course/ operation methods/ and improvements of special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along with the correlations between majors course,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sorts, and demands of majors and non-built schools, in an effort to collect basic data necessary for improving the academic majors course of special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and curriculum/ deciding on kinds of vocation related to vocational training and operating majors and proces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raised as follows. a) How are the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of special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and operation methods and its improvement conducted and required? b) How are correlated between the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between special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sorts related to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c)How do teachers respond to the demands for the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of special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and non-established school? The research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the four schools under the operation of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in special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and teachers in 11 local special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where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were created, and then analyzed the results.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thesis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the first place, new ways should be sought regarding education and employment, so that the relevant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and their operation could be successful. In the aspects of cooperation links between school parents and the local community, it is imminent to build the cooperative systems between governmental institutions, local autonomous agencies, school parents and the local community. Taking active measures for them is inevitably required. Second, it is expected to decide on and educate about academic majors and sorts of vocational training appropriate for the extents of physical and mental disorder state, and the local community attributes. And, it is deemed to increase employment rates by enhancing vocational competence through field training process. Lastly, as to outcomes of the demands by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where seem to have the potentiality to be newly built in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it was analyzed that the establishment of what's called special care work shop-based depts of majors was expected in schools wished. The proposals on the upcoming subsequent research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two. One is that the survey limited to teachers, concerning the study on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subjects, and their operation methods failed to understand needs among school parents and students. Therefore, the subsequent researches are required to conduct the study on needs among school parents and students as well as those among teachers. Another is that whereas preceding researches focused on transitional education program relevant to special schools for mental retardation and their operation methods, the fields of any other disorders than mental disorders lack preceding research data. Thus, it is expected that any other researches on fields on any other disorders will be steadily made.

      • 국제이주의 기제에 관한 국가 비교 연구 : OECD 9개 국가를 중심으로

        오현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적 지구화로 인하여 초국가적 인구 이동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한국사회 역시 국제이주민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국제이주의 역사가 짧아 이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부족한 상황하기에 한국사회에 비해 먼저 국제이주가 활성화된 국가들의 경험을 통해 국제이주를 올바르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국제이주민의 정착과 재이주의 원인을 임금 수준, 이주정책, 사회참여 기제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신고전주의 경제학의 기반에서 국제이주를 논의하는 연구들은 임금을 국제이주의 주요 기제로 상정하고 있지만, 실제 관측된 사례들을 설명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경제사회학적 관점에서 기존의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후, 이주정책으로 차별∙배제 모형을 활용하는 국가들에 거주하는 이주민들의 재이주가 다른 이주정책에 비해 많을 것이며, 선거권 제도를 통해 사회참여의 권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게 되면 재이주가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가설을 국가수준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OECD의 자료를 바탕으로 벨기에, 덴마크, 핀란드, 일본,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영국 등 9개에서 발생한 국제이주의 인과기제를 분산분석, 상관분석, 통합 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방식을 통해 파악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정책으로 차별∙배제 모형을 활용하는 국가들에서 이주민의 재이주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다. 둘째, 이주민들에게 지방선거권을 허용하는 국가들에서 재이주가 감소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이주민들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이주민의 사회적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이주 후의 환경에 대한 이주민의 사회적 효용이 충족되지 않는 차별적인 상황에서, 최소한의 개인적 효용인 임금에 만족할 수 없다면 이주민의 정착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이는 이주에 대한 개인적 효용인 임금 상승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주 후의 환경에 대한 사회적 효용이 충족된다면 이주민의 정착과 사회적 적응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연구는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의 국제이주를 이해하고, 정책적으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언을 도출하였다. 국제이주를 논함에 있어 한국사회는 이주정책의 정비가 불충분하고, 외부인에 대한 개방성이 높지 않으며, 이주민 중 혼인이주여성의 비중이 높다는 특수성이 발견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특수성을 경제사회학적으로 이해하는 동시에, 이주정책의 토대 및 정책적 기조를 확립하고, 이주민의 사회참여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책의 확충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일반 내담자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오현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study on clients’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of seeking professional counseling. This study aims to generate a substantial theory which is to define and to explain the experiences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seeking professional counseling.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researcher h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fteen clients who had received counseling in the past or were seeing a counselor at the time of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face‐to‐face interviews for the first session and face‐to‐face or phone or email interviews for the following two sessions, and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 Strauss and Corbin's(1998)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analysis brings out a paradigm model of decision making process of seeking professional counseling, its three stages, and its core categ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lients turned out to make up their minds to seek professional counseling out of severity of complicated or recurrent problems and subjective pains. Prior to turning to a professional counselor, they showed a tendency to look out for non‐professional or professional helps but usually ended up acknowledging limitations of such helps. They finally looked for a professional counselor with expertise who was capable of understanding and diagnosing their problems from an objective viewpoint and, at the same time, they expected to establish a personal relation with the counselor for receiving emotional support. As for those who were unaware of or denied the seriousness of their problems, they were also persuaded to look for counseling by others’ recommendations or their counseling requirements. At times, external demand of counseling made some clients come to be aware of problems that they had avoided or denied. Some clients, however, made a decision of receiving counseling out of curiosity about counseling itself or about the counselor without recognizing their problems. The core phenomenon that clients had experienced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seeking counseling turned out to be ‘a pursuit of a life better than now.’ The research shows that those who decided to seek professional counseling were inclined to pursue growth and change unceasingly toward the goal of self‐realization, that is, becoming ‘a fully functioning person.’ It is indicated that clients went through decision making processes, including recollection of counseling‐related memories, approach-avoidance conflicts while predicting benefits and risks of counseling, and self‐soothing and self‐talking about their final decision of receiving counseling. It turns out that crucial factors affecting the approach‐avoidance conflict either promoted or disturbed client's decision making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very factor that made a fundamental effect on the clients’ approach‐avoidance conflict was their knowledge and perception of counseling.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depending on the dominancy of promoting and disturbing factors for counseling, the participants either sought professional counseling, or postponed their seeking, or declined counseling even after their looking for one. The most evident factor of making a professional counseling seeking turned out to be the clients' expectation and hope for counseling. The expectation and hope meant that they anticipated the solution of their problems, emotional support, and better life than now. Yet, in some cases, clients had not only hope, but also anxiety about counseling. This study reveals that the core category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seeking professional counseling was ‘exploring for efficient professional help in order to pursue a better life’. It signifies tha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seeking a professional counselor is a process of searching for professional and effective helps for solving immediate problems and achieving self‐growth. Moreover,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is based on the participants’ inner desires for growth and change from the present ‘perceived pathology’ to ‘perceived healthiness’ and eventually to ‘perceived paranormality.’ 본 연구는 일반인 내담자들이 상담을 요청하기로 결정하게 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심리적 경험을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미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현재 상담을 받고 있는 내담자 1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상담요청 결정 과정을 심층면접으로 탐색함으로써 그 경험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자료수집 과정은 1차 직접 심층면담을 시작으로 2차, 3차 직접면담이나 전화 또는 이메일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를 근거이론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근거이론의 3단계 코딩작업을 통해 상담요청 결정과정의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함으로써 일반 내담자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의 패러다임 모형과 상담요청 결정의 3단계를 도출해내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핵심범주를 발견해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내담자들은 복합적이거나 반복적인 문제의 심각성과 주관적 고통감으로 인해 상담요청을 결정하게 된다. 이들은 상담요청하기 전 비전문적인 도움이나 전문적인 도움의 형태에 의지해보기도 하지만, 그런 도움의 한계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원하는 것은 자신의 문제를 객관적인 시각으로 이해하고 진단해줄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출 뿐 아니라 정서적 지원이 가능한 인격적인 관계를 기대하면서 전문 상담자를 찾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자각이 부족하거나 부인하는 경우도 외부의 상담권유나 상담과제를 통해서 수동적인 상담요청을 결정하게 된다. 외적인 상담에 대한 요구는 그동안 회피하거나 부인해왔던 문제의식을 활성화시키기도 하지만, 문제의식이 활성화되지 않은 채 상담이나 상담자에 대한 궁금함이나 호기심으로 상담요청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상담요청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일반 내담자들이 경험하는 마음의 중심 현상은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상담요청을 결정하는 사람들은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라는 자아실현의 목표를 향하여 끊임없이 성장과 변화를 추구하는 과정지향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상담요청 결정함에 있어서 상담 떠올리기, 상담의 이득과 위험을 예측하면서 접근-회피 갈등하기, 자기위로와 결단의 혼잣말을 통해 상담요청 결단하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접근-회피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은 상담요청 결정을 촉진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들로 구분될 수 있다. 상담요청 결정에 대한 접근-회피 갈등에 근원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참여자들의 상담에 대한 지식과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요청을 결정한 참여자들은 상담에 대한 촉진요인과 회피요인의 영향력의 기울기에 따라 상담요청을 하기도 하고 상담요청을 지연하기도 하고, 상담요청 후 포기하기도 하였다. 가장 분명하게 나타나는 상담요청 결정의 결과는 상담에 대한 기대와 희망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기대와 희망은 문제가 해결되고 정서적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은 기대, 지금보다는 더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담에 대한 두려움이나 낙인에 대한 두려움 등 상담요청의 방해요인의 영향력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상담에 대한 희망과 함께 불안이 공존하는 결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일반 내담자들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의 핵심범주는 ‘더 나은 삶 추구를 위한 효율적인 전문적 도움 모색’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상담요청 결정과정이란 참여자들이 당면 문제해결과 자기성장을 이루기 위해 여러 도움의 형태 중에서도 전문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도움의 형태를 모색하는 과정이었음을 의미하고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상담요청 결정과정은 현재의 ‘지각된 병리성’에서 ‘지각된 건강성’으로, ‘지각된 건강성’에서 ‘지각된 초정상’으로의 성장과 변화를 지향하려는 밑마음에서 비롯된 것임을 시사한다.

      • Ludwig van Beethoven의 Vioiln Sonata No.8, No.30, No.3에 대한 연구 분석

        오현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 역사상 고전파 음악의 대표적 작곡자인 동시에 낭만파 음악의 선구자로 꼽히는 Ludwig van Beethoven(1770-1829)은 그의 생애를 통해 10곡의 Violin Sonata를 남겼다. 그 중 Op. 12~Op.30 까지의 8개 작품은 1798년부터 1802년 사이에 작곡되었다. 이 시기는 Beethoven 작품시기 구분상 제 1기, 즉 모방시기에 해당하며 Violin Sonata No. 8, Op. 30, No. 3 G 장조는 1801년에 시작하여 1802년에 완성된 3개의 Violin Sonata중 3번째 작품이다. 이 작품은 3악장 구성으로 제 1악장은 전형적인 Sonata 형식, 제 2악장은 제1주제와 제2주제가 대조적인 리듬과 선율을 갖고, 제 3악장은 빠른 템포로 구성된 2부분으로 된 론도형식이다. 이 곡은 Violin과 Piano가 대등하게 취급되었으며, 이 전에 쓰여진 7개의 다른 Violin Sonata에 비해 Violin 선율이 더욱 화려해지고 음역이 확대되는 등 성숙된 기법으로 쓰여졌다. 본 논문에서는 Beethoven Violin Sonata No. 8, Op. 30, No. 3의 분석을 통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그의 전반적인 음악세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Luduig van Beethoven (1770-1829) who represents the Classical music and the Romantic music composed 10 violon sonatas throughout his life. Among them, 8 pieces were composed from 1798 to 1802, which cornesponds to his first period of music. The violin sonnata No, 8, Op. 30 no. 3 in G major which he began to compose in 1801 and completed by 1802 was the third of his violin sonatas. This piece has three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shows a typical sonata form, the second movement is ternary form whose middle part is reduced with irregular structure and the third movement which consists of 2parts with quick tempo has a rondo form. Compared with the other 7 violin sonatas, this piece shows more iuxurious violin melodies and expandedded range as well as mature thchniques. This study was aimed at analgzing Beethoven's violin sonata No, 8, Op. 30 no. 3 in overall stracture form, his general musical world.

      • 유아의 신체활동이 정서지능과 운동적성에 미치는 영향

        오현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습이나 생활자체로 얻어진 유아기 신체활동은 일생동안 운동능력 뿐 아니라 자신의 내면적인 상상의 세계와 일상에서 느끼는 문제나 갈등, 느낌을 표현하는 수단이며 모든 것이 담겨질 수 있는 매체로서 유아기 발달에서 갖는 의미가 크다. 최근 知 · 德 · 體 전 인격적 발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유아교육에서 신체활동과 더불어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적절하게 조절, 통제, 평가하여 성취도 높은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능력인 정서지능(E.Q)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정서지능은 I.Q와는 달리 환경과 노력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발달시키는데 필요한 교육학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신체활동과 주관적인 개념의 정서변화 또한 꾸준히 연구되어졌다 (Berger & Owen, 1983 ; Hardy & Rejeski, 1989). 그러나 신체활동과 정서지능의 관련성을 객관적으로 밝힌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에 대한 신체활동 교육이 자신감과 적극성, 창의력을 발달시키고 사회성과 인지능력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교육에서 움직임에 따른 기술 습득과 인지적, 정서적 측면을 함께 발달시킬 수 있는 균형적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신체활동이 정서지능과 운동적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체활동프로그램 참여집단, 비참여집단 각각 20명씩 각각 20명씩 총 40명을 선정하여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을 하위요인으로 한 정서지능(E.Q)을 검사하고 유연성, 평형성, 순발력, 근지구력, 민첩성등 운동적성을 측정하였다. 참여집단은 주 5일 1회 1시간 30씩 총 7주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동일시간의 영지교육을, 비참여집단은 신체활동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 유치원교육을 주 15시간씩 7주간 제공하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정서지능(E.Q)과 운동적성을 측정하여 두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절차로 얻어진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서지능은 신체활동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간 비교에서 이러한 차이는 정서인식능력과 감정이입능력에서 두드러졌고 정서조절능력에서도 차이를 보여 결과적으로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운동적성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평형성, 순발력, 근지구력에서 두드러졌고 유연성에서도 약간의 차이를 보여 결과적으로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유아의 운동적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아들에 대한 신체활동교육은 유아의 정서발달 뿐 아니라 운동적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들의 신체활동은 유아들에게 효과적으로 정서를 활용하게 함으로써 창의력, 자신감 및 적극적인 태도를 갖게 하며 사회성 발달과 인지지능 발달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고 전인적인 발달에 기여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아들의 정서지능과 운동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현장에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hysical activities of pre-school children, which are achieved from educations or daily lives, have very important meanings during infant development as a sort of media containing everything & expressional means of problems, conflicts or feelings as well as sports capability of whole life time. Nowadays, the concept of E.Q(Emotional Quotient), which enable someone to conduct high social life through proper control or management of others' emotions, has been emphasized in the recent children educational trend of entire personality development with respect to intelligence, morality and health. Unlike I.Q.(Intelligent Quotient), E.Q. can be improved by environmental factors or degree of personal endeavors, and general educational researches for this subject & suhjective emotional change have been being progressed gradually(Berger & Owen, 1983 ; Hardy & Rejeski, 1989), however the objective stud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E.Q. appears to be not proved yet enough. In this situation, physical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should be conducted with well-balanced program which is able to improve sports technical understand and intelligent/emotional aspects together, considering that physical education develops self confidence, positive mind & creative talent, and helps in view of socialization & capability of intelligen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E.Q. test, which includes the items of emotional awareness, reading emotion & managing emotion, has been done for total 40 children, 20 each of participant & non-participant groups, and also evaluation for motor fitness, which includes the items of body flexibility, balance capacity, sports endurance & promptitude, has been conducted for each of two groups. For participant group, 7.5hrs´ physical educational program and 7.5hrs´ ordinary kindergarten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parallel for a week, otherwise for non-participant group, only 15hrs´ ordinary kindergarten education program has been applied in the same period. After this application for each group, the E.Q. test & evaluation for motor fitness has been conducts and the results have been analyzed by T-test method.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is research, based on above test procedures, are as follows. 1. Outstanding difference has been found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E.Q., after participation of physical educational program. And such a difference was much more remarkable in the capability of emotional awareness, reading emotion & managing emotion. Consequently regular physical activities has dominant affect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E.Q. 2. For the aspect of motor fitnes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has also been found. The result shows that capability of balance, promptitude & endurance get to have remarkable differences and for body flexibility there is slight difference. Therefore this regular physical activities work positively on motor fitness of pre-school childre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is and ealier studies, the education of physical activities for pre-school children appears to give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motor fitness as well as emotional development. The physical activities of children help them to take fully advantage of their endowed emotions and to get more creative senses. self confidences & positive minds. After all. those positive influences shall contribute to develop entire humanity such as socialization, capability of intelligence. Therefore,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is able to improve sports cap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is required to be studied gradually and to be provided to the educational fields.

      • 직무불안정과 성과보상연계성이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 개인주의의 조절효과

        오현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Performance Contingent Reward on Quiet Quitting: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s a Mediator,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as a Moderator Oh Hyunsoo Advisor : Prof. Cho Yoon-hyung, Ph.D. Department of Business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main antecedent variables of quiet resign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quiet resignation that has recently emerged among MZ office workers. In addition, the process (parameter) and context (control variable) were also refl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e connection between job instability and performance compensation was set as the main antecedent variabl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set as the mediating variable, and individualism tendency was set as the moderating variable. A survey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to prevent the problem of uniform method bias. At the first time point, job instability, performance-reward linkage, and individualistic tendencies were measured, and at the second time point,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quiet resignation were measured. The target group was MZ office workers, and a total of 313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rough this study, w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quiet resignation by organizing the concept of quiet resignation and identifying the antecedent variables that influence quiet resignation among MZ office workers. It also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through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control of individualistic tendencies. Key word: Quiet Quitting, Job Insecurity, Performance Contingent Rewar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 중학생의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이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오현수 광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회복탄력성과 그릿이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관한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연령과 성별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그릿이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G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607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그릿,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관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은 창의적 사고, 실천적 사고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은 실천적 사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은 창의적 사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1학년이 2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은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독립 변인 중에서 회복탄력성보다 그릿(GRIT)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성별, 학년별로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관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성별, 학년별로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이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필요한 요인을 파악하여, 학교에서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장기간에 걸친 목표를 세워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적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