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한국어 학습자의 이해를 위한 『훈민정음』 텍스트 분석 연구

        오필애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해례본》 하위 텍스트들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도표로 정리함으로써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해례본》의 내용 구성을 좀 더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훈민정음 이해의 첫 단계는 ‘문자’와 ‘책’의 구별에서 시작된다.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는 문자 ‘훈민정음’인 한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책 『훈민정음』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책으로서의 『훈민정음』에는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언해본》과《해례본》이 있는데, 《언해본》은 15세기 국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고, 《해례본》은 한문으로 설명하고 있어 외국인 학습자들이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언해본》과《해례본》의 이러한 특징들은 『훈민정음』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해례본》의 가치와 우수성을 알리는 데는 『훈민정음』 한문본에 대한 해석이나 원문이 함축하고 있는 음운론적 지식 혹은 제자 원리와 관련된 성리학적 배경 등의 교수 내용도 중요하지만, 이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이 고급 단계 이상일 경우 가능하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런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철학적이고 음운론적인 접근 방식보다는 『훈민정음』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해례본》의 <예의>와 ‘5해 1례’는 <정인지 서문>에서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略揭例義(간략하게 예의를 들다)’와 ‘詳加解釋(자세하게 해석을 더하다)’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어 두 텍스트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들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그러나『훈민정음』 텍스트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국어학계나 국어 교육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학계에서는 그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훈민정음』을 통해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와 관련된 교수 내용보다, 『훈민정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한 교수 방법에 중점을 두고, 《해례본》 텍스트의 내용 분석과 텍스트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텍스트 간의 비교 대조 방식은 대등한 방식으로 기술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텍스트 설명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해례본》 하위 텍스트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부분의 텍스트 상관분석이 이루어진다. 첫째 <어제 서문>과 <정인지 서문>의 상관성, 둘째 <예의>와 ‘5해 1례’의 상관성, 셋째 ‘종성부용초성’과 ‘팔자가족용’의 상관성 등이다. 특히 이 세 가지 중에서 두 번째인 <예의>와 ‘5해 1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5해 1례’의 텍스트 구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원인이 《해례본》을 편집한 8인의 집현전 학사들의 공동작이라는 점에 있음을 추정하여 관련 자료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텍스트 간의 유사한 설명이 반복되는 문제점과 초성, 중성, 종성처럼 같은 층위의 텍스트들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의 범위가 제각각이라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원인에 대해서는 ‘5해 1례’의 각 텍스트를 8인의 집현전 학사들이 분담하여 작성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제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초성, 중성, 종성을 설명하고 있는 세 텍스트를 <제자해>와 <합자해>로 재배치하였으며, 그 결과로 얻어진 ‘2해 1례’의 구성으로 <예의>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5해 1례’의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는 《해례본》을 한국어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Haeryebon》is the only heritage in the world that records the background of Hangeul's creation and how to use letters, and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1997 in recognition of its value. Therefore,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elements for foreign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to know the 《Haeryebon》, which record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Hangeul, whatever their reason f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texts of the 《Haeryebon》 and arranging the results in a chart, it was intended to help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understand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Haeryebon》 more easily. The first step in understanding Hunminjeongeum begins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letters’ and ‘book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atic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on Hangeul, which is the letter ‘Hunminjeongeum’, but proper education is not being conducted on the book 『Hunminjeongeum』 . As is well known in 『Hunminjeongeum』 as a book, there are 《Eonhaebon》 and 《Haeryebon》, but 《Eonhaebon》 is explained using the Korean language of the 15th century and 《Haeryebon》 is explained in Chinese,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access. These characteristics of 《Eonhaebon》 and 《Haeryebon》 are a major factor in which 『Hunminjeongeum』 is not properly taugh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inform foreig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of the value and excellence of 《Haeryeb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inese text of 『Hunminjeongeum』 , phonological knowledge implied in the original text, or the Neo-Confucian background related to the principle of discipleship, etc.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is is possible only if the foreign learner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s above the advanced level.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ways of learning methods that can help easy understanding of 『Hunminjeongeum』 rather than approaching it in philosophical and phonological perspective. As pointed out in the <정인지 서문>, the <예의> and the '5해 1례' of the 《Haeryebon》 are the meanings of '略揭例義' (to show politeness briefly) and '詳加解釋 (to add detailed interpretation)'. Since there is a correlation, studies that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ext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However,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the text analysis of 『Hunminjeongeum』 are conducted in the Korean language academia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cademy, and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cases in the Korean languages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cadem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teaching method on how to understand 『Hunminjeongeum』 rather than the teaching content related to what to teach through 『Hunminjeongeum』, and looked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 of 《Haeryebon》 and the text. The comparison and contrast method between texts has a structural feature of being described in an equivalent way, so it can be said to be a text explanation method that foreign learners learning Korean can understand more easily.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sub-texts of the 《Haeryebon》, this study conducted a text correlation analysis of three par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어제 서문> and <정인지 서문>,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예의> and '5해 1례', and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종성부용초성' and '팔자가족용'. In particular,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cond of these three, <예의> and '5해 1례', problems in the text structure of '5해 1례' could be identified. Regarding the cause of the problem, I looked at the related data by assuming that it i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a joint work of scholars in Jiphyeonjeon. As a result, the problem of repeating similar explanations between texts was identified. Also the different range of content explaining the text of same level such as the initial consonant, the middle consonant, and the final consonant was turned out to be a problem. I made a judgment in that those problems were caused by the fact that each texts of '5해 1례' was divided and written by 8 scholars in Jiphyeonje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raised, the three texts explaining the initial consonant, neuter, and final consonant were rearranged into <제자해> and <합자해>. As a result, the correlation with <예의> was examined with the composition of ‘2해 1례’. Through this process, I was hoped that Korean learne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Haeryebon》 which is a complex composition of ‘5해 1례’, more eas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