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oxoplasma감염 가토의 임파구 아세포화 반응에 대한 연구

        오창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lymphocyte blastogienic responses in rabbits infected with Fukaya and Me49 strain of Toxoplasma gondii. Rabbits were subcutaneously inoculated with mouse brain emulsion containing 500 cysts of each strain of Toxoplasma gondii. A total of 9 male rabbits was used. From the 1st week after inoculation, blastogenic responses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treated with concanavalin A(Con. A, 10.0㎍/㎖), lipopolysaccharide(LPS, 25.0㎍/㎖) and Toxoplasma lysate(20.0㎍/㎖) respectively were examined by [methyl-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at 1 week interval for 8 week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lastogenic responses of the Con. A-treated and Toxoplasma lysate-treated lymphocytes from rabbits infected with Fukaya and Me49 strain of Toxoplasma gondii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declin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ol rabbits(p<0.05).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the blastogenic responses of the experimental group each other. 2. The blastogenic responses of the LPS-treated lymphocytes from rabbits infected with Fukaya and Me49 strain of Toxoplasma gondii respectively were not significantly declin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ol mic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the blastogenic responses of the experimental group each oth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blastogenic responses to Con. A, LPS and Toxoplasma lysate of each strain of Toxoplasma gondii infected rabbits. But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significant depression in blastogenic responses to Con. A and Toxoplasma lysate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 상사의 일터영성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상사신뢰의 조절효과

        오창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 of voice behavior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voice behavior. Workplace spirituality of leader was presented as the predictor of promotive and preventive voice behavior, and self-efficacy was presented as the mediat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of leader and promotive and preventive voice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also tried to verify the moder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ader trust. The survey responses of 322 employees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3.4. The analysis result can be summarized as three things. First, the direct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leader with promotive voice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efficac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of leader and preventive voice behavior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efficacy. Third, when the level of leader trust was high,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 trus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of leader and promotive, preventive voice behavior,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also significant. Overall,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the workplace spirituality of leader on voice behavior and its mechanis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인 의도를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건설적 제안인 발언행동의 예측변수 및 발언행동을 시행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이다. 발언행동의 하위개념인 촉진적 발언행동과 예방적 발언행동의 예측변수로써 상사, 즉 리더의 일터영성이 제안되었으며, 리더의 일터영성과 촉진적, 예방적 발언행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매개변수로는 자기효능감을 제시하여 검증하였다. 이에 더해, 상사신뢰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검증하였다. 국내 직장인 322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SPSS PROCESS Macro 3.4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일터영성이 촉진적 발언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둘 간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여 해당 관계가 완전매개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리더의 일터영성과 예방적 발언행동의 경우 직접효과뿐 아니라 둘 간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해 해당 관계가 부분매개됨을 밝혔다. 셋째, 상사신뢰의 수준이 높을 때, 리더의 일터영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효과가 유의했으며,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리더의 일터영성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오창진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and also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path that internalized shame mediates speech anxiety.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223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ungcheongnam-do. Measurement tools include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s, internalized numerical value, speech anxiety scale,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3.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speech anxiety, and maladaptive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strategy. The adaptive strateg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and speech anxiety,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maladaptive strateg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internalized shame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Thir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daptive strategy, which is a sub-factor of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speech anxiety was found to be different, but the maladaptive strategy showed no moderating effect.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adaptive strategy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intervention direc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발표불안을 매개하는 경로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남, 녀 22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발표불안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였으며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3.4.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발표불안, 부적응적 전략은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적응적 전략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적응적 전략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발표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전략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 요인인 적응적 전략의 수준에 따라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 크기가 달라지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나 부적응적 전략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적응적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되는 개입 방향,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오창진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on the impact of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school life adaptation, self-control ability, self-efficacy, and smartphone addiction depending on gender?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self-control ability, self-efficacy,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does self-contro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Fourth, does self-efficac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04 students (97 males, 107 females) attending a middle school located in H-gun, Chungcheongnam-do. The research tools for this study were smartphone addiction, school life adjustment,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scales. This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rom April 3 to April 14, 2023.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included frequency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naging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emotional anxiety in order to help students with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addiction adapt to school life, and provide physical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It seems necessary to structure appropriate subjects such as activating activities. Second, specialized programs for emotional stability must be developed and actively operated so that students can be satisfied with their classes and school life and have smooth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Third,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and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ensure hygienic use of smartphones for mental health reasons.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many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school life adapt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In the future, research on the latter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is should also be actively conducted in parallel. Second, it is believed that developing and distributing a program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by improving their sense of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will be of most practical help. Third, as a way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it is necessary to guide programs for correct smartphone use, develop and distribute counseling programs and youth mind-body training programs, develop various media that can stimulate educational interest in youth, and train related experts. It is believed that The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we examined smart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school life adaptation,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but we believe that various in-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research are also necessary. In addition, because the sampling area is limited, it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by expanding the sampling area of the study subject in follow-up studie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ought ways to improve school life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smartphone addiction,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I hope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for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for healthy school life and prevention of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 key words: Smartphone addiction, school life adaptation, self-control, self-efficacy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자 기통제력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통제능력, 자기효능감 및 스마트 폰 중독에서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통제능력, 자기효능감 및 스마트폰 중독과의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학교생활적응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자기통제력이 조절하는가? 넷째, 학교생활적응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가? 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남도 H군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204명 (남;97명, 여;10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 학교 생활적응,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설문지는 2023년 4월 3일 부터 4월 14일까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변량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 해서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하여 학생들 의 학교적응과 정서적 불안에 대한 관리의 중요함을 인식하고, 학교교육과정에서의 체육활동 활성화 등 적절한 과목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생들이 수 업과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할 수있도록 정서적 안정 을 위한 전문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정신건강상 위생적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하여 적절한 보건 교육 및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의 상당수가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둔 반면, 학교생활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향후 후자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되 어야 하며, 이에 대한 질적 연구도 병행하여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중학생의 자기통제감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학교생활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스마트 폰 중독 예방을 위한 방안으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 안내, 상담 프로그램 및 청소년 심신수련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청소년에 대한 교육적 흥미 를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 개발, 관련 전문가 양성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본 논문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바탕으로 중학생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중독,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등을 살펴보았지만 다양한 심층면담과 질적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표본추 출 영역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표본영역을 확대하여 연 구결과를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들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학교생활 적 응과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가 학 생지도 및 상담 등에 활용되었으면 좋겠다. 아울러, 건강한 학교생활과 학교생활 부 적응 예방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 다. 주제어: 스마트폰 중독, 학교생활적응,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 기존 도로 조명을 LED 조명으로 교체에 따른 성능시험 및 에너지 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오창진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즉시 사업화 가능한 사업모델을 실제 환경에 구현하여 향우 민간 주도의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확산할 수 있게 유도하고 있으며 구심점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의 일환으로 기존 도로 조명을 LED 조명으로 교체에 대해 교체 전후를 분석하고 성능 및 에너지절감 효과에 관해 연구를 해보았다. 또한 기존 도로조명 가로등 및 보안등을 LED조명으로 교체했을 때의 효율성 및 타당성 조사·분석하기 위해 4가지 방법으로 평가해 보았다. 현장 실증 분석, 안전성, 성능 및 내구성, 에너지 절감 효과와 같은 평가 방법들로 교체 타당성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은 향후 기존 도로 조명을 LED조명으로 추가 교체하는데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 립맨(Matthew Lipman) 어린이철학에 대한 비판적 분석

        오창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give a critical analysis on philosophy for childern of Matthew Lipman to moral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e philosophy for children is enabling children to think on their own. The teaching method is conversational method based on Socratic dialogue and in order for this teaching method to work, it needs a community of inquiry. The theoretical premise of the community of inquiry in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is the critique against a individual constructivism called the congnitive-morality development, which is linked to Piaget-Kohlberg. In addition, Lipman bases his psycho-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his philosophy for children on Vygotsky. Lipman gives evidence for his assertion of community of inquiry on the notion that one's development is facilitated by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rather than a person developing oneself. Lipman's community of inquiry is one that combines inquiry and community concepts. First, one can find Lipman's origin of inquiry in C.S. Peirce. In short, the purpose of the inquiry is a settlement of opinions. However, the concept of inquiry is different from that of Dewey's in that Dewey doubts reality itself. Dewey's inquiry is on person's freeing from and solving the unpredictable , uncertain world and problematic situations that humans live in. In this respect, Lipman's inquiry theory was greatly influenced by Dewey. Lipman's inquiry is on 'self-correcting practice.' For Kohlberg, a justice community serves as a means to attain person's moral development. It means that the justice community acts as a tool for person's high moral inference. However, Lickona critiques autonomous moral judgment and emphasizes moral education. Lickona's moral community is not different from strengthening of virtues-centeredness. But, in Lipman's community of inquiry person's autonomous judgment and community are related organicall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First, Lipman's thoughts could make diverse patterns of speculative fixated. That is because his thought is based on the American philosophy that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logical reason of rationality; and this would result in overlooking the presence of other speculative's patterns. Second, there are political implications that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has. In Lipman's program of philosophy for children, there is a lack of questions on diversity of political agenda and on program's political background. Despite these limitations,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is positively significant as an alternative to moral education. It poses an alternative even to non-organic combination between an autonomous judgment and community. If we were to overcome limitations of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it could be an alternative to our moral education. 본고의 목적은 도덕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써 어린이철학의 비판적 분석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철학의 주요 목적은 어린이들이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교수법은 소크라테스적 대화법인데 이러한 교수법을 위해서는 탐구공동체가 필요하다. 립맨 어린이철학의 탐구공동체의 이론적 전제는 우선 피아제-콜버그로 이어지는 인지-도덕성 발달이라는 개인적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그리고 립맨은 그의 어린이철학의 심리적 이론적 배경으로 비고츠키에 기대고 있다. 개인이 스스로 발달하기 보다는 개인들간의 상호작용이 발달을 촉진한다는 것이 립맨이 탐구공동체를 주장하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립맨의 탐구공동체는 탐구와 공동체 개념이 합져진 것이다. 먼저 립맨의 탐구의 기원은 퍼스에게서 찾을 수 있다. 즉, 탐구의 목적이 의견의 정착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탐구의 개념은 듀이와는 다른데, 듀이는 실재 자체를 의심하기 때문이다.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성의 세계, 문제 상황에서 살아가는 인간이 그것을 벗어나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듀이의 탐구이다. 이런 맥락에서 립맨은 자신의 탐구 이론을 듀이에게서 많이 영향을 받았다. 립맨의 탐구는 ‘자기 수정의 실천’이다. 콜버그에게 정의공동체는 개인의 도덕 발달을 위한 수단으로 취급된다. 정의공동체가 개인의 높은 도덕적 추론의 도구로 여겨지는 것이다. 반면 리코나는 자율적 도덕 판단을 비판하면서 인격 교육을 강조한다. 리코나의 도덕공동체는 덕목주의의 강화와 다르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립맨의 탐구공동체는 개인의 자율적 판단과 공동체가 유기적으로 연결지어진다. 그러나 립맨의 어린이철학에는 한계가 있다. 첫째, 어린이철학에 대한 립맨의 생각은 다양한 사유의 패턴을 고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성의 논리적 사유를 중요시하는 미국의 철학에 기반한 것으로써 다른 사유 패턴이 있음을 간과하는 결과를 낳게 한다. 둘째, 립맨의 어린이철학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 함의이다. 립맨의 어린이철학 프로그램에는 정치적 의제의 다양성과 프로그램의 바탕에 있는 정치적 배경에 대한 의문이 부족한 것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립맨의 어린이철학은 도덕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써 긍정적 의미로 다가온다. 자율적 판단과 공동체에 대한 비유기적인 결합에도 대안이 되는 것이다. 립맨 어린이철학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면 우리 도덕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급성 톡소포자충 감염 마우스에 있어서 비장세포의 기능적 평가 및 조직내 B1 gene의 발현 양상

        오창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Toxoplasma gondii shows a strong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and this response is mediated by various cells, mainly T cells. When T cells are activated by antigens or mitogens, they proliferate the cells and produce the cytokines. The profile of their cytokine synthes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immune response and determining the resistance or susceptibility to disease. To assess the splenic T cell immune response as well as expression of antigens in the tissues during acute toxoplasmosis, inbred C57BL/6 mice were orally infected with 76K strain of T. gondii. Mice were sacrificed on day 0(before infection), 1, 4, 7, and 10 postinfection and collected the spleen, and analyze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proliferation assay as well as expression of IFN-r and IL-10 mRNA by RT-PCR or ELISA. C57BL/6 mice were very susceptible against the 76K strain of T. gondii, and histopathologic changes have been shown from day 1. They showed the follicular hyperplasia, infiltration of histiocytes, macrophages and apoptotic bodies in order. Splenic proliferation were severely suppressed at day 7 and 10,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IFN-r in their culture supernant were high. The expression of IFN-r mRN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day 1 and maximum at day 7. IL-10 mRNA expression was also increased from day 1 and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day 4. The B1 gene of Toxoplasma was detected on day 4 at lung and liver, and this antigen was found in brain, intestine, liver and lung from day 7. From the above data, infection with T. gondii induces enough IFN-r and sufficient IL-10 production in splenocytes as well as expression of Toxoplasma specific antigen in various tissues, which induces pro-inflammatory response and immunosuppression of spleen tissue,

      • 동결건조법을 이용한 폴리디페닐아세틸렌의 나노섬유 제조 및 폭발물 감지센서응용

        오창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역계 형광 고분자를 이용하여 나노섬유 제조에 관한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으나 동결건조법을 통한 공역계 형광 고분자 나노섬유 제조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분자량과 고유의 낮은 극성으로 인해 전기방사법을 통한 나노섬유 제조가 힘든 공역계 형광 고분자인 PTMSDPA를 동결건조법을 이용하여 균일하고 가는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얻어진 섬유의 모폴로지에 미치는 고분자 용액의 농도와 동결시 급냉 온도의 영향을 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나노섬유를 이용하여 TNT 유도체에 대한 형광감응성을 조사하였다. 동결건조법을 이용한 PTMSDPA 나노섬유는 초감응성 폭발물 감지 센서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