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콩쥐 팥쥐』에 나타난 모성 콤플렉스와 개성화 과정에 대한 연구

        오진령 평택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콩쥐 팥쥐』이야기를 통해 주인공 콩쥐가 새엄마와의 관계에서 겪는 모성 콤플렉스 과정을 보여준다. 콩쥐는 부정적인 모성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새엄마와 팥쥐를 통해 자신의 그림자를 보게 되고, 감사를 통해 내면의 반려자인 아니무스를 경험하게 된다. 부분인격인 자아가 무의식을 포함한 다른 내적 인격들과의 조화를 이룸으로써 콩쥐는 자신의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여성성을 회복하는 자기 실현의 과정을 겪는다. 연구자는『콩쥐 팥쥐』분석을 위해 융이 꿈분석에 적용한 연상, 적극적 상상, 확충법을 해석학적 도구로 사용한다. 동화분석을 통해 우리는 개인적 심리세계 뿐만 아니라, 보편적이며 원형적인 정신세계를 경험하게 된다. 본 논문은 모두 5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목적과 방법론을 서술한다. 동화연구의 목적은 동화에 드러난 무의식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융의 꿈분석 방법론과 심층심리학적 해석학을 연구방법론으로 채택한다. 제2장에서는 콤플렉스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콩쥐 팥쥐』이야기의 핵심을 이루는 모성콤플렉스와 개성화 과정을 정리한다. 제3장은 본 논문의 핵심 영역인 동화분석을 분석심리학 차원에서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심리적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결핍의 원인과 보상과정, 그림자와 콤플렉스의 인식, 아니무스 경험과 개성화 등의 주제를 다룬다. 제4장은 상담사례를 통해 분석심리학적 동화분석이 임상현장에서 활용되고 적용된 과정을 소개한다. 제5장 결론에서는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정적인 모성콤플렉스가 여성성 회복과 개성화에 끼친 영향을 기술한다.

      •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정체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오진령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experimentally the effects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on self-identity and self-esteem for college students.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of P university in Pyeongtaek-si, Gyeonggi-do gathered to participate as experimental subjects. Twenty-two students were chosen randomly,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Eleven students were classified randomly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eleven as the control group.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operated twice a week for four weeks in a total of eight sessions. The pre- and post-observation result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studied through comparison. In the analysis of results, the use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serv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measurement of "self-identity and self-esteem"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Package, with the confidence level on sub-items scaled using Chronbach's alph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post-experimental level of self-identity for the bibliotherapy program experimental group has seemingly improved compared to the record taken prior to the experiment. Second, the post-experimental level of self-esteem for the bibliotherapy program experimental group has seemingly improved compared to the record taken prior to the experiment. Upon observation of the sub-items of improved parts, records of self-identity in terms of subjectivity, self-acceptance, confidence-about-future, goal-oriented character, and initiative character were found to have improved; ditto for records of self-esteem in terms of common self-esteem and family-related self-esteem. This study sought to prescribe the bibliotherapy program as a curative means and a precautionary measure for college students to help them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college curriculums and human relations and aid in curing discord in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as well as for students in the developmental stage. The bibliotherapy program will help improve the self-identity of young college students and aid in the self-conquest in the self-identity crisis of actually troubled students and in their positive thought and upright development in the process.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들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선정을 위해 평택시에 소재하고 있는 P대학교 재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임의로 모집된 22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실험집단에 11명, 통제집단에 11명을 배치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매주 2회씩 4주간 총 8회기를 진행하였다.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투입여부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자아정체감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사전·사후 실험검사에서 얻어진 자료에 대하여 SPSS 15.0 패키지 분석을 실시하였고, 하위문항 신뢰도는 Chronbach 𝑎계수를 산출하였다.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에서 자아정체감 검사의 사후점수는 자아정체감 검사의 사전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에서 자아정체감 검사의 사후점수는 자아존중감 검사의 사전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향상된 부분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자아정체감에 있어서는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 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에서 자아정체감의 점수가 향상되었고,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생활의 적응과 대인관계에서 겪는 어려움 그리고 이성 관계에서 오는 갈등의 혼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고, 발달상에 있는 대학생들에게 치료 뿐 아니라 예방의 차원에서 자아정체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를 처방하고자 한다. 이러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청년기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향상에 도움을 주고, 현실적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대학생들에게 자아정체감의 위기를 극복하고 긍정적인 사고와 올바른 성장을 돕기 위함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