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지은의 졸업 작품 「20’s」 해설

        오지은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My 20‘s」라는 큰 주제를 토대로 창작하여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4개의 작품을 해설한 것이다. 누구나 20대를 보내면서 경험하게 되는 꿈과 사랑에 대한 감정 변화를 담은 작품으로 곡의 형식과 악기 편성 및 화성 구조를 통해 작곡가의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해설하고자 한다.

      • 선의 교차와 방사의 조형미를 응용한 가구디자인연구

        오지은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디자인가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구디자인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디자인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건축의 구조물이나 회화의 구성, 디자인 요소 등을 가구에 적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 중 선은 가장 기본적인 조형요소이며 최소한의 디자인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나타낸다. 선은 방향, 속도, 힘, 장단, 굵기, 조밀, 굴절 등의 변화에 의해 무한한 표현이 가능하며, 이러한 선의 다양한 이미지를 응용한 디자인은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다양한 선의 조형미를 평면에서 입체까지 가구에 적용한다면 독창적인 가구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미적욕구를 충족시키고자 선의 조형미를 가구에 적용하여 디자인하고, 교차되거나 방사된 선의 형태가 주는 조형성과 추상성을 가구에 적용하여 다양한 가구를 디자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조형요소로서의 선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하고, 선의 조형미를 적용한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선의 다양한 조형성 중 방사와 교차를 응용하여 길이, 굵기, 방향 등의 형태의 변화는 물론, 색채의 대비, 재료의 대비를 통해 더욱 부각시킨 디자인을 선재와 면재(면과 면사이의 틈, 홈)로 전개, 콘솔, 테이블, 조명, 선반, 서랍장, 거울 등의 아이템에 적용하여 제작 완성하였다. 시제품 제작을 통해 선의 반복, 변화, 방사와 같은 디자인 요소를 가구에 적용하여 전개함으로써 시각적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었고, 기본적인 요소인 선의 변화와 재료, 컬러의 대비를 통해 좀 더 조형성을 살릴 수 있었다. 또한 선을 평면적, 입체적으로 가구에 적용함으로써, 공간감을 형성하고 조형성을 가진 가구디자인을 전개할 수 있었다. 앞으로 선의 조형성을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가구에 적용한다면, 소비자들의 개성을 살리고 미적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demand for design furniture has been increasing to widen the area of furniture design. As the scope of design expands,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 or composition of paintings and design factors to design is being extended. Among them, the line is the most basic formative factor and gives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design. The line can create infinite expression by changes of direction, speed, strength, length, thickness, density and refraction and design applying various images of the line can be easily found around. When the formative aesthetics of various lines is applied to furniture from the plane to the solid, creative furniture design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design a variety of furniture from designing by applying the formative aesthetics of the line to furniture and applying formativeness and abstract of the spun types of the line to furniture in order to satisfy the aesthetic desire of users. This study produced and completed consoles, tables, lighting, shelves, drawers and mirror from general examination on the line as a formative factor and various design cases that apply the formative aesthetics of the line and application of spinning and interaction among the a variety of formativeness of the line and development of design that is more emphasized through not only the change of shapes such as length, thickness and direction but also color contrast and material contrast to the line and the surface(face, gap between faces, groove). Through sample production, design factors such as repetition, change and spinning of the line were applied to furniture so that visual variety could be pursued and formativeness could be emphasized through line changes as the basic factor, material and color contrast. In addition, the line was applied to furniture two-dimensionally and three-dimensionally and a sense of space was formed and furniture design with formativeness could be developed. If the formativeness of the line can be applied to furniture in more various methods from now on, the design to emphasize the individualities of consumers and satisfy their aesthetic desire can be created.

      • 시각인지에 따른 브랜드 아이덴티티 가치향상에 관한 연구 : 도시브랜드 상징적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오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는 인류 역사와 함께 하였으며, 언제나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도시는 그에 속해 있는 다양한 환경들과 요소의 유기체에 의해 변하게 된다. 도시 발전과 성장에서 도시의 브랜드이미지는 정체성 확립은 물론 가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가운데 도시브랜드 상징적 표현 요소들이 도시 이미지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그 중요성이 크다. 도시브랜드 상징적 디자인요소들은 투자자와 방문객은 물론 거주자에게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 감정을 형성하거나 자극하는데 중요한 매개체가 되고 있다. 국내는 물론 세계의 각 도시들이 상징적 도시브랜드디자인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도시브랜드의 상징적 디자인은 관광객 증대나 상업적 매출, 수익증가에 기여하며, 도시이미지 마케팅의 대표적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효율적 브랜드 상징디자인을 통해 경쟁도시와의 경쟁력 확보나 차별화를 통해 거주자는 물론 방문자의 호감, 선호도를 높일 필요성이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도시의 상황과 발전 단계에 따라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만들어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하고, 둘째, 시각인지론을 바탕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도시브랜드의 가치향상에서의 영향력을 알아보고, 셋째, 효율적인 도시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는 상징 표현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은 도시의 시대적 정의와, 학자들의 연구내용에 따른 정의 등 이론적 고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특히 시각인지가 도시브랜드의 상징과의 관계성과 영향력을 파악보기 위하여 시각의 역동적 특성과 물리적 측면에 대하여 살펴보고, 시각 정보처리과정을 알아보았다. 인간은 시각인지의 흐름에 따라 대상을 인지할 수 있다. 먼저 물리적 에너지를 통해 인간의 눈으로 대상이 전달되고, 눈으로 전달된 도시브랜드는 시각피질을 통해 도시브랜드의 각 구성요소를 파악하게 되며, 대뇌피질의 브랜드의 정보처리와 통합작용을 통하여 도시브랜드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인간이 어떠한 대상을 받아드릴 때 자신이 알고 있는 기본 지식이나, 기억 속에 잠재하고 있는 무언가를 연상하여 그 대상과 대응하여 받아드린다는 이론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인식 할 때 도시의 특징과 특색을 떠 올리게 되는 것과 관계를 지니고 있고 인지요소에 따라 도시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는 시각인지에 따라 도시브랜드 상징이 브랜드 가치를 향상할 것임을 제시하였으며, 이론적 내용과 조사 내용에 따른 설문지를 작성, 배포, 분석을 통해 시각인지에 따라 브랜드아이덴티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논하였다. 브랜드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도시브랜드의 상징적 표현요소, 시각인지 등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고찰과 시장 현황 등은 국내외 문헌 연구와 기존 유사 논제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실증적 분석은 국내 16개의 도시브랜드 상징을 기초로 로고, 슬로건, 컬러, 그래픽요소 등의 도시브랜드 상징의 구성요소와 도시의 이미지, 특징, 명소, 차별화, 비전 등의 도시브랜드 인지요소를 세분화 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시브랜드 상징을 고려한 도시인식과 고려하지 않은 도시인식의 차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와 인지요소에 따른 브랜드 아이덴티티 가치향상의 영향을 탐색하였다. 분석의 정확성을 위하여 거주자 및 방문자의 반응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방법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회귀분석, Paired Samples t-test, One-Way ANOVA 분산 동질성 검사 등을 통하여 분석내용을 입증하였다. 위의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 문제의 가설 검증은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시각인지에 따른 도시브랜드 상징은 거주자 및 방문자의 도시인식을 변화시킨다, 둘째, 도시브랜드 상징의 요소가 차지하는 중요도는 다를 것이다. 셋째, 시각인지에 따른 도시브랜드 상징의 인지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 가치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3가지이며, 연구 결과 요약하면 첫 번째는 사람은 도시브랜드 상징을 볼 때 브랜드네임, 로고, 컬러, 그래픽과 같은 도시브랜드 상징의 구성요소보다 도시를 표현 할 수 있는 도시의 특징, 명소, 비전, 이미지와 같은 인지요소를 먼저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인지는 어떠한 대상을 인지하는 과정에 있어, 대상을 통해 대응 되는 것을 연상하는 것이며, 도시브랜드 상징의 구성요소는 그 도시를 대표하는 요소로서 시각인지과정에 따라 도시브랜드 상징을 정립한다면 거주자 및 방문자는 도시에 대한 이미지를 구체화 시키고 도시에 대한 특징을 인식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각인지에 따른 도시 브랜드 상징은 거주자 및 방문자의 도시인식을 구체화 시킨다고 할 수 있겠다. 두 번째는 도시브랜드 상징요소의 중요도에서 유의 수준은 5%내에서 Sig값이 0.000으로써 도시브랜드 상징의요소가 차지하는 중요도는 모두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이는 거주자나 방문자가 시각적으로 도시브랜드를 인식 할 때 각 요소의 역할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증명 하였다. 세 번째는 시각인지 작용인<물리적 에너지→도시브랜드 상징의 구성요소→도시의 인지요소→도시브랜드인식>과 같은 과정에 있어 인지요소는 도시의 이미지, 특징, 명소, 차별화, 비전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도시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거주자 및 방문자에게 도시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거주자와 방문자의 인식도가 높아지면 사람들은 해당도시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며, 방문자 수의 증가로 유동인구가 확장될 것으로 이는 곧 도시의 가치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시각인지에 따른 도시브랜드 상징의 인지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 가치향상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각인지에 따른 브랜드아이덴티티의 가치향상을 연구하기 위한 논문으로서 거주자 및 방문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통해 도시 브랜드 가치향상에 있어 시각인지과정에 따른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가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브랜드 상징의 시각인지에 따른 발전 전략을 통해 거주자 및 방문자의 도시의 인식을 구체화 하고, 시각인지 과정의 인지요소 과정을 체계화 하여 도시브랜드 상징에 대한 명확한 이미지 구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할 것을 강조하는 바이다. 나아가 세계의 도시시장에서 국내 도시브랜드 점유율이 상승하도록 도시브랜드의 가치를 확장시켜 나가길 기대한다.

      • 대규모점포 입점이 주변상권에 미치는 영향 : 이랜드리테일 NC구로점을 중심으로

        오지은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이랜드리테일 NC구로점의 입점으로 인하여 반경거리별 상권의 업종별 경영 현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데이터에 기반한 공정한 관점에서 서울시 구로구 이랜드리테일 NC 구로점 신규 입점으로 인해 주변 상권에 미치는 업종별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대규모 점포가 입점하는 지역 상권에서 소상공인들과 함께 나아가야할 상생 방안 및 전략에 대하여 제안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현재 서울지역 대규모점포의 다점포화 전략 및 무분별한 입점에 따라 다자간의 경쟁 관계로 진입되며 유통기업 및 중소유통업체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지역유통환경 악화에 따른 지역경제침체 및 양극화현상이 가중되고 있음에 따라 통계청, 나이스지니데이터 카드사 데이터에 근거하여 서울지역의 대규모 점포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규모 점포의 입점 전후에 따라 업종별 매출액, 매출건수 등의 경영성과 등을 분석하여 향후 소상공인과 대규모점포, 지역상권의 유통업의 상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규모 점포의 입점 후 1년간 대부분의 업종에서 입점 이전 대비 경영성과의 악화가 발생하지만, 입점으로 인한 경영성과 하락은 초기 6개월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대규모 점포와 인근 상권 지역에서 영업 업종에 따라서도 영향력이 달라짐을 알수 있다. 최근에는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 대표적인 오프라인 유통은 침체되는 반면, 그 자리를 온라인 유통이 빠르게 점령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형유통사들은 오프라인 유통과 함께 온라인 유통을 결합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고 있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 대규모 점포의 입점이 전통시장에 국한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최근에는 전통시장을 포함한 인근지역의 골목상권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을 긍정적으로 타개하기 위해서는 민관차원의 상생 협력이 지속 되어야 한다. 지속적인 상생 활동에 대한 내부 인식을 높이고 성공사례를 만들어 점차 확산하는 전략이 유리하며 지원제도 효과 지속을 위해 사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협동조합 설립 등을 통해 자영업자 자력으로 지원효과를 지속할 수 있는 수익모델 발굴 및 지원 필요하다.

      • 강종에 따른 전기아연 도금층과 인산염층 조직의 내식특성 연구

        오지은 순천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Part 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corrosion-resistant characteristic of electro-galvanized layer by texture of substrate. To this end, specimen was manufactured with four types of steel (S1, S2 S3, and S4) that had different chemical components and annealing conditions as the galvanizing coating weight was set at 20g/㎡ and 60g/㎡ (two conditions) and the current density was adjusted to 40 ASD, 70 ASD and 100 ASD (three conditions). Optical image, pole figure and the ODF for the four types of steel were confirmed, the corrosion-resistant characteristic of steel surface was verified by examining potentioadynamic anodic polarization curve, and potential for electro-galvanization was confirmed by linear sweep voltage. In addition, SEM image was obtained to investigate microstructure of electro-galvanized layer for the four types of steel. And XRD analysis was made to verify preferred growth crystal plane of Zn while the corrosion-resistant characteristic of the electro-galvanized layer was confirmed by measuring AC impedan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corrosion-resistant characteristic of substrate iron surface increased in the order of S1, S2, S3, and S4. And in regard to potential for electro-galvanization, the overvoltage of -0.15V was applied to S2, S3 and S4 against S1.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S2, S3 and S4, compared to S1, contain a great quantity of chemical components such as Mn and Si that form oxidized layer on substrate surface in the annealing process more readily and the fact that S2, S3 and S4, compared to S1, have the higher share ratio of phase fraction of complex structure as confirmed in optical image. The preferred growth plane of zinc crystal grain in the electro-galvanized layer was for S1 but was changed to (0002) for S2, S3 and S4. In this case, the texture of substrate iron has no relation to epitaxial growth of zinc crystal grain. Rather, such results were attributable to the effect from corrosion-resistant characteristic of substrate iron surface, which means that overvoltage was applied to S2, S3 and S4 against S1 due to the effect from the oxidized layer that existed on pole surface of steel in the process of electric-galvaniz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coating layer increased for all of the four types of steel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coating weight and current density. In particular, under the conditions of the coating weight at 20 g/㎡ and the current density at 40 ASD, the corrosion resistance increased in the order of S1, S2, S3, and S4. This is because the preferred growth plane of zinc crystal grain for S1 had the high fraction, whereas the preferred growth plane of zinc crystal grain showed the increase in fraction (0002) in the order of S2, S3 and S4, as was confirmed by the zinc crystal grain shape in coating layer SEM image and by the XRD analysis results. Part 2 The phosphates of three elements, Nickel, Manganese and Zinc, were investigated for use in automotive body panel coatings in order to observe the adherence of the metallic elements through their reaction time and to study the change in corrosion resistance depending on the metal ion concentration. The phosphate reaction was found to be almost complete at about three seconds. At the very early reaction stage, the phosphate structures developed horizontally in regards to the Zn layer. As the reaction time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s then developed vertically. This may be due to epitaxial growth, which requires further study. It is thought that among the three elements in the phosphate solution, the Ni reacts first and adheres to the Zn layer, while inducing competitive reaction with the Mn all the while making no direct contribution to the Mn phosphate reaction. The corrosion resistance increased as the Mn concentration increased, but decreased when the Ni concentration increased.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n excessive amount of Ni included in the three elements phosphate solution induced a decline in the Mn phosphate reaction, decreasing the corrosion resistance for the Mn phosphate below its requisite level.

      • OECD 8개국 국가수준 유아 언어교육과정 비교분석

        오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national level languag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Eight OECD countries, Norway, New Zealand, Singapore, Ireland, Japan, Finland, Korea, and Australia. The research question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ructure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1-1. What are the age-specific and language related resources in each country's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1-2. What is the presented structural system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2. What are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2-1. What are the objectives and goal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2-2. What are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2-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based on the analysis tool that Kim Hye-Rim(2018) developed to analyze the national curriculum structural system. The selected analysis criteria is based on the interpreted language curriculum of the eight OECD countries and precedent studies whose subjects include objectives and goals,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of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structure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each country is composed of age-specific and language-related data, and that the structural types of language curriculum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Examining the age-specific structure revealed that the name and application period of the language curriculum differed in each country and the language curriculum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age. There are parental and teacher resources related to language education and they are different for each country. The structural system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each country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objectives and goal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The presented structural systems are presented integrally or specifically in the language are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structural component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the objectives and goal were comprehensively suggested considering verbal and non-verbal elements of communication, ultimately aiming to enhance communication ability. The contents showed a tendency to be inconsistent with the emphasis on objectives and purposes in some nations, but most of the elements were distributed evenly except for the non-verbal cu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presented a teacher's strategy and approach in all countries and most of them followed the integrated approach. Also, in some countries, the teaching method was presented based on age or was mentioned in relation to a literacy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of education is to check and reflect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also to develop children's language and evaluate environment. In some countries, evaluation index was provided in order to monito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expected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OECD 8개국의 유아 언어교육과정을 비교하여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구성 및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차이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구성은 어떠한가? 1-1.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연령별 연계 및 언어영역 관련 자료는 어떠한가? 1-2.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편성체계는 어떠한가? 2.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구성요소는 어떠한가? 2-1.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2-2.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내용은 어떠한가? 2-3.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노르웨이, 뉴질랜드, 싱가포르, 아일랜드, 일본, 핀란드, 한국, 호주 8개국의 유아교육과정에서 언어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의 구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김혜림(2018)이 국가별 교육과정 편성체계 분석에 사용한 도구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기 위하여 OECD 8개국의 유아 언어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언어교육 관련 선행연구에 제시된 언어교육의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을 기초로 분석기준을 선정하였고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의 구성은 연령별 연계, 언어교육 관련 자료와 언어교육과정 제시유형을 나타내는 편성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가마다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연령별 연계 구성을 살펴본 결과, 국가마다 교육과정에서 언어영역을 지칭하는 명칭과 언어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시기는 다르지만, 연령에 따라 언어교육과정이 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교육과 관련된 자료는 부모자료와 교사자료가 있으며 국가마다 제시 여부는 다르게 나타났다.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편성체계를 살펴본 결과, 크게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육평가 요소로 분류되었다. 편성체계에서 요소별 제시유형은 통합적으로 제시하거나 언어영역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의 구성요소를 살펴본 결과, 목적 및 목표는 의사소통을 이루는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지향하였다. 교육내용은 일부 국가에서 목적 및 목표에서 강조하던 부분과는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나 비언어적 단서 요소를 제외한 대부분 요소가 고르게 분포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모든 국가에서 교사의 전략 및 접근법을 제시하였으며 대부분 통합적 접근법을 따르고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연령을 구분하여 제시하거나 환경구성과 관련된 내용을 언급하는 국가도 있었다. 교육평가는 교육활동 점검 및 반영의 목적 외에도 유아 언어발달 및 환경을 평가하기 위해서도 이루어졌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교욱 목표 성취도와 예상되는 학습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평가지표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 생쥐에서 일주기 리듬과 행동특성 및 뇌조직 지질 과산화 정도의 관련성

        오지은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생쥐에서 여러가지 일주기 리듬의 지표, 즉 교란 방식과 회복 양상 및 안정화 정도와 인지 및 정서 지표의 관련성, 그리고 일주기 리듬의 지표와 뇌 조직의 지질 과산화 정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방법: 생후 4주령의 생쥐를 입고하여 2-3주 동안의 순화 기간을 거친 후, 10마리는 3일간, 다른 10마리는 7일간 일주기 리듬을 교란시켰다. 2주 동안의 일주기 리듬 회복기간 이후 인지, 불안 및 우울을 평가하기 위해 Y형 미로 검사, 십자형 높은 미로 검사, 꼬리 매달기 검사, 강제 수영 검사를 했다. 뇌조직에서의 지질 과산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대뇌 피질, 해마, 소뇌 조직에서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를 측정한 후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 값을 확인하였다. TBARS 측정 전 24시간 동안의 활동성-비활동성 리듬을 이용하여 일주기 리듬의 지표를 분석했다. 결과: 일주기 리듬을 교란시킨 후 본래의 리듬으로 다시 적응시켰을 때 회복기간의 중앙값은 3일군에서 5.5일이었고, 7일군에서는 4일로 차이가 있었다(p=0.004). 일주기 리듬의 7일 교란군 중에서 조기 회복군이 후기 회복군에 비해 해마에서의 MDA 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TBARS 측정 일주기 리듬의 안정화 정도와 MDA 수치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행동검사 결과는 일주기 리듬의 교란 기간이나 회복 양상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청소년기 혹은 초기 성인기 생쥐에서 일주기 리듬의 교란 방식과 회복 양상 및 안정화 정도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향후 일주기 리듬의 변화와 회복이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추가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지방정부의 감정노동 보호제도 확산

        오지은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기초 지방정부의 감정노동 보호 정책을 대상으로 정책확산 여부를 확인하고 정책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이 되는 감정노동 보호 정책은 감정노동 보호 조례로서 제도화된 경우로 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조례가 최초로 제정된 2016년부터 2022년까지로 설정하였다. 정책확산 여부는 조례의 누적 도입률에 대한 도표와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였고, 정책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지방정부가 감정노동 보호 조례를 도입함에 있어 사회적 요인, 행․재정적 요인, 정치적 요인이라는 고유한 속성에 영향을 받아 채택하는지 상위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여부, 타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여부 등 외부요인의 영향을 받아 정책을 채택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정책확산 연구에서 널리 활용되는 이산시간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 EHA)을 활용하였고 내부결정요인 모형, 지역확산 모형, 전국확산 모형이라는 세 가지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계량적 방법을 활용한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정노동 보호 조례를 도입한 각 기초 지방정부의 누적 도입률에 대한 그래프는 S자 형태를 나타내고 있기에 정책확산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감정노동 보호 조례 확산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내부요인 중 감정노동 보호 조례 제정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친 변수는 정치적 요인으로서 단체장의 정치 성향과 행․재정적 요인 중 하나인 지방정부 역량을 나타내는 인구수 즉 인구 규모이다. 반면 행․재정적 요인에서 지방정부의 재정자주도의 경우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으로서 여성인구 비율은 여성인구가 많을수록 감정노동 보호 조례 제정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일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외부요인에서 수직적 요인으로 설정한 상위 광역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여부, 수평적 요인으로 설정한 동일 광역 지역 내 기초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비중, 전국 기초 지방정부에서 조례를 제정한 비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광역 지방정부 17곳 중 16곳이 감정노동 보호 조례를 제정하였고 각 광역 단위별 평균 조례 제정률은 약 55%에 이른다. 결과적으로 감정노동 보호 정책은 내부요인에 의한 도입 가능성보다 상대적으로 외부 요인으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적인 분석 결과에 따른 연구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감정연구에서 자주 다루지 않았고 앞으로 연구가 필요한 감정노동 보호 정책에 관한 연구인 점이다. 둘째, 감정노동 보호 정책에 대한 제도적 이해를 높이고 감정노동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었다. 셋째, 정책확산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자주 다루어지지 않은 전국의 기초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계량적 분석을 진행한 연구라는 점이다. 넷째, 감정노동 보호 정책은 외부 요인으로 인한 도입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추가적으로 내부요인 중 단체장의 정치 성향이 진보적이고 인구 규모가 큰 지방정부일수록 도입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감정노동 보호 정책의 확산은 정치 상황 등 외부 환경적 조건으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으며, 정책수요자에 의한 도입 영항력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의 의의는 연구의 한계점을 고려해야 하며,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를 검토할 수 있다. 첫째, 감정노동 보호 조례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특히 정책수요자 집단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통해 정책 필요성에 대해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책확산에 대한 영향요인을 밝히는 데에서 나아가 감정노동 보호 정책의 실효성과 효과성에 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인과 기업에 미치는 정책의 영향 정도를 검증하거나 정책 실행 방식과 시행 기간에 따른 효과성을 검토하는 연구를 기대해볼 수 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confirm whether a policy, which focuses on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system in basic local governments, spreads as well and to verify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olicy spread. This study set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which was analyzed, as institutionalized cases under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This study set a data period from 2016 when the ordinance was first enacted to 2022. This study confirmed the policy expansion through charts and graphs of cumulative adoption rate of the ordinance. It verified factors to influence policy expansion by dividing them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is study tried to verify whether local governments are influenced by inherent attributes of social factor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actors, and political factors or they are influenced by external attributes of which upper local governments enact the ordinance or the other local governments enact the ordinance, when they introduce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As an analysis method, this study used Event History Analysis (EHA), which is widely utilized in policy expansion research, and it set three research models that are internal determinant factor model, a regional expansion model, and a national expansion model and then it analyzed influential factors.   This study, us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had major analysis results as follows. Since the graph of cumulative adoption rate of each local government introducing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showed S shape, this study could verify it is a policy expansion phenomenon. As a result of analyzing influential factors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the political factor is a significantly positive (+) factor to influence enact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among internal factors, which is a size of population that is the number of people, indicating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which is one of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a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actors, the financial independence ratio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 effect. When it comes to female population ratio as a social factor, this study expected that the more female population is the higher possibility of enacting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but as a result of analysis, it has partially statistically negative (-) effects. In terms of the external factors, they all have sta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hat the ordinance enact of the upper local governments, which is set as a vertical element, the ordinance enact of the other basic local governments in the same province, and the nationwide proportion of ordinance enact, which are set as horizontal elements. In addition, 16 provincial local governments out of 17 local governments set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In each province unit, the average proportion of enacting the ordinance reaches about 55%. Therefore, it could be verified that introduction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is more huge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than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by internal factors.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vered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which has not been frequently researched in prior research and is needed to be researched. Second, this study helps to improve institutional recognition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and interests in emotional labor. Third,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n nationwide basic local governments that prior research dealing with policy expansion has not covered. Fourth, it is highly possible to introduce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due to external elements. In terms of the internal factors, this study could find that it is highly possible to introduce the policy as the political ideology of heads of local governments is more progressive and size of local governments is larger. In other words, expansion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could be high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like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possibility is relatively low to introduce the policy depending on policy consumers.  However, limitation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regarding significance together simultaneously, and it is possible to consider follow-up research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ecessity of the policy through detailed review on policy consumers, which is an influential factor to expansion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the realization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along with identifying influential factors of the policy expansion. It could be expected that studies would verify effects of the policy on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by dividing it into public and private sectors or studies could review effectiveness of the policy depending on policy implementation methods and period.  Keyword : Emotional labor, Emotional labor protection system, Policy diffusion, Event History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