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서장애아동의 대인관계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인천시 한 지역의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오종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정서적인 문제를 갖고 있으면서도 일반 아동들 가운데 방치되어 소외되거나 또래와 어울리지 못하는 정서장애 아동들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문적이며 소 집단적인 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출발하게 되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다한 업무와 일대 다 인원의 학생수의 문제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정서적 문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현실 속에서 또래 집단기의 정서장애 아동들은 적절한 사회적응 교육을 받기 어렵다. 또한 이들은 앞으로 건강한 청소년과 성인으로 성장하지 못할 위험이 크다는 점에서도 심각한 문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집단 미술치료가 정서장애 아동의 주요한 특성인 사회성 부족이라는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 집단미술치료의 단점을 극복하고 대인관계에 중점을 둔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이를 위해 본인은 정서장애 아동의 개념 및 사회적 특성을 고찰학, 집단미술치료와 대인관계 증진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후에, 정서장에 아동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사은 인천시 한 지역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도시 증류층 아동들로, 본인이 5개 초등학교에 협조를 구하여 모집된 아동들과 이 지역 학부모로부터 N복지관의 미술치료실로 의뢰된 9세에서 11세 아동들이다. 본 연구는 이들 중에서 치료자와의 면담(어머니와 함께)을 통해 정서장애의 특성에 해당되며 특히 학교에서 부적절한 대인관계를 보이는 아동 7명을 선별하여 1997년 7월 13일부터 11월 9일까지(주1회, 총 16회, 1인당 90분 정도)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대상의 표집에 있어 일반화시키기에 무리가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미술활동의 진행과정을 상세히 서술하고 분석하였으며, 초기·중기·말기로 나누어 단계별 대인관계 변화를 관찰·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검사결과 및 개별 변화를 분석하고 사례연구에서 나타난 대인관계 증진 요인을 분석한 후에 앞으로의 집단 미술치료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장애 아동의 대인관계 향상에 집단미술치료가 효과가 있으며, 정서장애아동의 특성인 정서불안과 위축, 열등의식, 고립에 완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집단을 구성하는데 있어 개별적인 성향과 인지를 고려해야 하며, 개별치료와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 개별 성향과 수준에 따른 프로그램과 가족 치료적 접근의 필요성, 치료자의 태도적 측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started by recognizing the need of professional and small-sized group treatment as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who have emotional problems and are left out of normal children or do not get together peers, increase gradually. These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in peers cannot receive appropriate social adaptive education, becau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not respond to their emotional problems properly by their excessive tasks and numbers of students like a teacher against multiple students. In addition, in may be a serious problem, as they may not grow into healthy adolescents and adults. Therefore,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group art treatment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personal relations ability like lack of sociality as a main characteristics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reatment program, which resolves demerits of group art treatment and focuses on personal relations. I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social features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researched relationship between group art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personal relations, presented a program to improve personal relations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then performed a case study. I researched the urban middle-class children of a local elementary school in Inchon. These children are ranged from 0 years old to 11 years old and consist of children collected from 5 elementary schools and sent to the art treatment center of N welfare office by parents in this region. I selected 7 children who have emotionally handicapped features and inappropriate personal relations in school by interview with treaters (including their mothers). And I applied group art treatment from Jul. 13 to Nov. 9 in 1999 (approximately, once a week, 16 times totally, and 90 minutes at a time). On the basis of this case study, in chapter 3, I described and analyzed in detail process of art activities. And I observed and analyzed changes in personal relations by stages like first stage, middle stage, and last stage. In chapter 4, I analyzed test results and individual changes and causes of improvement of personal relations in the case study, then suggested a future plan of group art treat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group art treatment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personal relations for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may help reduce features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such as emotional uneasiness and withering, inferiority complex, and isolation. I suggested the followings in making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individual intention and recogni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and programs by individual intention and levels and treatment by family are required, and the aspect of treater's attitude should be considered.

      • 기업의 경영윤리 제고를 위한 방안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오종은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기업의 가장 큰 목적은 기업 활동을 통한 회사의 이윤의 추구에 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기업의 이익은 결국 그 기업이 속한 사회의 이익으로까지 확산되어 사회와 국가의 이익에까지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개별 기업의 이윤 추구 목적은 개별 기업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아가 사회적 정당성을 요구하게 된다. 기업이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기업의 윤리가 요구된다.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되, 그 이익을 내는 데에 있어서 사회적인 윤리의 기준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이 적극적, 주체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서 기업의 경영윤리경영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기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는 기업윤리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함으로써 기업윤리와 기업과의 관계를 정립하였다. 또한 기업윤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사례기업의 윤리경영 수행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여 점을 찾아봄으로써 윤리경영의 수행에 대한 당위성을 찾아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따라 이론적 배경 및 사례를 바탕으로 윤리경영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윤리경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The primary purpose of a company is to maximize the profit. However, a business activity affects the benefit of the entire society. So, the moral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while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 company is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guideline that enhances the ethics management. In order to figure out the guideline, I analyze prior literatures and cases dealing with the business ethics and I set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any and the business ethics. Consequently, I find that the moral management can be achieved by the resolution of the executives. In order to realize the efficient moral management, it is necessary for a company to design a fine system of practice. Also, corporate culture plays a significant role to improve transparency in management and to adapt moral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providing a useful guideline to achieve the goal of moral management.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strumental analysis is missing and empirical analysis might cover the limitation in the future.

      • 실물옵션 모형화를 통한 MVNO 제도도입의 기술 경제적 효용성 연구 : 한국의 3G 이동통신 산업 및 정책 사례연구

        오종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소비자의 후생을 위해서나 기술적 진보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면서도 사업자간에 이해충돌 결과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확신이 서지 않는 제도가 있을 때 국가는 어떠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가? 본 논고는 이러한 의문에서 시작한다. IT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자유로운 컴퓨팅 환경을 보장 받고,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개인에게 맞는 무한한 컨텐츠를 제공 받게 될 차세대 인터넷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유무선 통합이다. 유무선 통합은 더 이상 논의가 필요 없는 흐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유무선 통합에 있어서 기존 기간통신사업자와 새롭게 진입하려는 사업자 사이에 적절한 상호 접속 체계나 규제가 불분명한 것이 현재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유선통신 사업자의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제도를 통한 시장진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선진국에서도 도입하는 추세에 있으나 현재 한국에서는 MVNO 제도를 도입해야 할 것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상반된 의견이 맞서고 있다. 유선 사업자들은 계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무선망에 대한 진출을 원하기 때문에 제도의 도입을 반기는 반면 무선통신 사업자들은 망 투자 유인 감소를 이유로 3사에 의한 독점형태의 유지를 원하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단순 접속료 산정이나 시장집중도의 변화 측정을 통해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상황 정도를 파악하고 MVNO 제도 도입의 필요성 여부를 논의했다. 따라서 제도 도입 후의 이동통신 시장의 상황 변동과 정책의 변화, 그리고 그에 따른 무선 시장의 가치의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본 논고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제도 도입후의 불확실성을 실물옵션 모형화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과거 한국 이동통신 시장의 데이터의 확률과정을 파악하여 미래의 변동성을 예측하고 이를 실물옵션 모형화에 적용시켜 MVNO 제도 도입을 위한 최적 시점을 파악하고, 제도가 가지고 있는 가치를 찾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제도 도입이 가져올 불확실성으로 인한 정책결정의 보류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Increasingly, several issues have converged to cause significant reconsiderations of how radio frequency spectrum is managed. For several years, the spectrum has been treated and recognized as a technic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scarce resource, which leads to the problems of excessive costs. It has been on-going debate worldwide whether or not the traditional system of governmentally-allocated spectrum rights would lead to innovation and competition. In recent Korean wireless PCS industry, the 3G wireless spectrum policy issue has been a big debate along with the potential adoption of 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In this paper, we conducted an empirical case study of dealing with such adoption policy of market-based spectrum management for the future Korean 3G markets using real-option modeling. In the developed real-option model, we used parameters for the individually specialized uncertainty characteristics for MVNO policy, spectrum regulation, inter-operator interconnection and access charges, and market prices for 3G mobile services in service-based competition environment based on an on-going Korean 3G policy procedural and regulation information and market data. Using the real-option model, we present empirical economic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for MVNO adoption policy with various competition scenarios.

      •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종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pathic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oblem behavio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436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ongyeong, Gyeongsangnam-do. As an analysis metho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 was used,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analyzed. In addi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empathic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oblem behavior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Baron & Kenny (1986), and lastly,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check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path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it turned out that the more ope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the lower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became. Next, their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s, to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and it turned out that the more ope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the lower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became.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the more ope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the higher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became. Next, it turned out that their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emotional empathic ability, and the more ope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the higher their emotional empathic ability became. Third, it turned out that the children's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e higher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the lower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became. Next,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 higher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the lower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became. Fourth,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the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on their problem behaviors and empathic ability, it turned out that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on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on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This means that their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directly affect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but communication with father has an impact on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in an indirect path as well, and open and positive communication with father had positive impacts on the development of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and this means that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reduce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Like this, this study verified what impacts of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had on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mediated by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and has a significance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valuable basic material in seeking educational,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measures for their problem behaviors.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아동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통영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4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방법과 변인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아동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 (1986)의 단계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매개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아동의 내재화 문제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외현화 문제 역시 부적상관 관계를 나타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외현화 문제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인지적 공감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인지적 공감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정서적 공감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동의 외현화 문제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문제행동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직접적으로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에 간접경로로도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아버지와의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면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 정서적 공감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렇게 형성된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동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아동의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혔으며,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육적, 예방적, 치료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귀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는데 의의가 있다.

      • 이웃도어스포츠 용품업체가 후원하는 국토대장정 서비스품질이 참가만족도와 스폰서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오종은 한국체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의 목적은 국토대장정의 참가만족도와 스폰서 기업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품질의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6년 7월 9일부터 23일까지 제4회 엄홍길 대장과 함께하는 DMZ 평화통일대장정에 참가하여 완주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10명의 참가자들을 비확률표집(non-probability sampling) 방법인 군집표집(cluster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방식을 이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자료 중 실제로 분석에 사용된 유효한 자료 103부에 대해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한 설문 자료는 SPSS 21.0 Version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 절차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국토대장정 서비스품질이 참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 행군코스, 제도, 숙영지, 참가결과, 식사&간식, 팀구성, 진행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토대장정 서비스품질이 스폰서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사&간식, 참가결과, 행군코스, 운영, 숙영지, 팀구성, 진행, 제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만족도가 스폰서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아웃도어스포츠, 국토대장정, 서비스품질, 참가만족도, 스폰서십, 기업이미지

      •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의 관계

        오종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에서의 초기 적응간에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닌지 3주된 1, 2세 영아 40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와의 애착 안정성은 이 영, 박경자, 나유미(1997)의 한국판애착 Q-se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린이집에서의 초기 적응을 평가하기 위해서 신학기가 시작한지 3주 지났을 때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주교사가 영아의 적응 질문지를 적응정도에 따라 평정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t 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 취원하고 있는 1, 2세 영아의 애착안정성 점수의 평균은 .38이었고 연령과 성에 따른 애착안정성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있어서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감정, 또래관계, 자아강도, 일과에 대한 적응에서는 성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있어서 2세아가 1세아 보다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감정, 또래관계, 자아강도, 일과에 대한 적응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넷째,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 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1세의 경우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 적응간에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ttachment security and early adjustment in day car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one- to two-year 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The Attachment Q-set was administered to the mothers individually to measure infant's attachment security. Early adjustment in day care was rated by caregivers using The Infant Day Care Adjustment Questionaire after three weeks of enrollment in day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attachment security scores of the infants was .38. There was no age and sex difference in infant's attachment security scores. Second, two year olds were rated to show more prosocial behaviors than one year olds. There was no significant age difference in positive affect, peer competence, ego strength, adjustment to day care routines. Third, girls were rated to show more prosocial behaviors thanboys.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positive affect, peer competence, ego strength, adjustment to day care routines. Forth, attachment security score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early adjustment in day care among one-year-old infants.

      •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오종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to validat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for depression and anxiety on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14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178 general youths were selected. Their environments,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degrees with violence behaviors, and their anger expression typ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that are manifested in the path of violent act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youths are verified.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when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youth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ore divorced or separated parents among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than general youths. Also, the group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had lower economic status and experienced more domestic violence. However, in terms of witnessing violence of paren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degrees with violence behaviors, and anger expression type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youths, it was found that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had lower level of depression and higher level of anxiety than general youths. They showed more responsive violent behaviors than initiative violent behaviors. This suggests that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displayed more impulsive and defensive violent behaviors than intentional violent behavior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had lower anger control skills than the group of general youths. Thir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violence behaviors in both groups. It can be postulated that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do not recognize their depression and instead act out as violent behaviors. Additionally, it means that general youths do not engage in violent behaviors even when they are depressed. Fourth, for both groups, the same path of violent behavior (through anger-in and anger-out) was followed: youths repress anger when they have higher anxiety, and when this becomes too much, anger-out increases, which results in more violent behaviors. Such path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mediating effect of all violent behavior paths in both group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youths. Against our general belie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t behaviors and anger expression, this finding shows that on the other side of anger-out, there is the element of anger-in. Fifth, the level of anxiet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makes direct effects on responsive violent behaviors while the level of anxiety of general youths does not make direct effects on violent behaviors. It can be interpreted that general youths do not engage in violent behaviors, even when they have high level of anxiety, while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engage in violent behaviors more often if their anxiety becomes high. It shows the abilit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to distinguish the emotional system of anxiety from violent behaviors is low compared to that of general youths. Sixth, although anxiet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may increase violent behaviors through the paths of acting-in and acting-out, violent behaviors can be reduced through reducing anger-out. It explains the reason why there has been inconsistency between the previous studies on anxiety, one that argues that anxiety increases violent behaviors and the other stating anxiety reduces violent behaviors. This study confirms that according to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there are different results in terms of the effects of anxiety on violent behavior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of all, to reduc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they need to receive professional anger expression education. It is becaus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diation of anger expression types. The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youths lies in anger control capabilities rather than in anger experiences themselves. Therefore, to reduce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those who repress their anger due to anxiety need to be intervened; and professional education is required for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to help them with anger control. Finally, we need to support single-parent children to reduce violent behaviors of the youths. More cases of divorced or separated parents were found among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If there is a continuing support is made to single-parent homes for raising children and for their welfare, we may have a long­term solution to reduce school violence. Additionally,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given to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only should be expanded to their par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t with violence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studies on this topi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understanding on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mediating methods on violent behavior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가해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노표현 양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 처분을 받은 청소년 114명과 일반청소년 178명을 대상으로 환경 및 우울, 불안, 폭력행동, 분노표현양식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폭력행동 경로에서 나타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환경차이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가해청소년은 일반청소년에 비해 부모가 이혼 및 별거중인 경우가 더 많았고, 생활수준은 낮고 가정 폭력 경험은 더 많았다. 그러나 부모 폭력을 목격한 경험은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폭력행동, 분노표현을 비교·분석한 결과, 가해청소년은 일반청소년에 비해 우울은 낮고, 불안은 높으며, 주도적 폭력행동보다 반응적 폭력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이는 가해청소년이 의도적인 폭력행동보다 충동적이고 방어적인 폭력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은 일반청소년에 비해 분노조절을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모두에서 우울과 폭력행동의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가해청소년이 우울한 감정을 잘 지각하지 못하고 폭력행동으로 표출하는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일반청소년은 우울하다고 해서 폭력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불안은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을 매개로 하여 폭력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은 불안이 높으면 분노를 억제하게 되고, 억제된 분노가 과도하게 되면 분노표출이 증가하면서 폭력행동을 많이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로는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폭력행동 경로 모두에서 가장 주된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폭력행동과 분노표출의 관련성만을 예상하지만, 분노표출의 이면에 분노억제의 영향이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한 것이다. 다섯째,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불안은 반응적 폭력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청소년의 불안은 폭력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즉, 일반청소년은 불안이 높아진다고 해서 폭력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해청소년은 불안이 높아지면 폭력행동을 하는 것이다. 가해청소년은 일반청소년에 비해 불안의 정서체제를 폭력행동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해청소년의 불안이 반응적 폭력행동에는 영향을 주었지만, 주도적 폭력행동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것에서 폭력행동의 유형에 따라 불안의 영향력이 달라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섯째,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불안은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을 매개로 하여 폭력행동을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분노표출을 감소시켜 폭력행동을 감소시킬 수 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불안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보고가 일치하지 않는 원인, 즉 불안이 폭력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것과 불안이 폭력행동을 감소시킨다는 상반된 보고의 원인을 설명해줄 수 있다. 이로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적 역할에 따라 불안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가 달라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먼저 가해청소년의 폭력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문적인 분노표현 교육이 필요하다. 가해청소년의 폭력행동은 일반청소년에 비해 분노표현양식의 개입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차이는 분노경험 자체보다는 분노를 조절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해청소년의 폭력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불안으로 인해 분노를 억제하는 청소년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가해청소년에게 분노조절을 위한 전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가해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한 부모 가정 자녀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가해청소년은 일반청소년에 비해 부모가 이혼 및 별거중인 경우가 더 많았다. 만약 한 부모 가정에 대한 양육 및 복지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지원 된다면, 학교폭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가해청소년에게만 실시되는 가해조치교육을 부모에게까지 확대 실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청소년 대상의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학교폭력 가해처분을 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폭력행동 연구를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해청소년에 대한 실제적 이해와 폭력행동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신경망 최적화를 위한 적응형 초모수를 갖는 3항 확률적 켤레 기울기 방법

        오종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인공 신경망은 함수 추론, 회귀 분석, 분류, 인지,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머신 러닝의 학습 모델로서 널리 사용된다.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정확한 인공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모델을 구성하는 가중치의 결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최적화 방법 중 하나인 확률적 경사하강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결정한다. 확률적 경사하강법은 매 반복에서 전체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구하기 때문에 탐색방향은 불확실성을 갖고, 초모수를 고정된 값으로 사용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모델이 복잡해지면 계산 비용이 급격하게 커지기 때문에 2차 미분 정보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1차 미분 정보를 활용하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알고리즘들은 1차 미분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탐색방향의 수렴 성능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탐색방향과 관련된 초모수는 여전히 고정된 값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알고리즘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색방향의 수렴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1차 미분 정보를 이용해 2차 미분을 근사하고, 2차 미분 근사 정보를 활용하여 준뉴턴법과 유사한 성능을 내는 3항 탐색방향 갱신 규칙을 제안한다. 또한 최적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매 반복마다 초모수 값을 적절하게 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사전에 결정되어야 하는 탐색방향의 초모수 개수를 줄인다. 최종적으로, 인공 신경망 최적화를 위한 적응형 초모수를 갖는 3항 확률적 켤레 기울기 방법을 제안한다. 수학 예제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한 수렴 성능과 안장점 회피 성능을 확인하고 타당성을 입증한다. 또한, 볼록 및 비볼록 특징을 갖는 인공 신경망 모델의 최적화 문제를 통해 기존의 방법과 제안하는 방법을 비교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 및 우수한 수렴 성능을 확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