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적 차량터널 환기시스템 선택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 개발 연구

        오정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차량터널이 점점 장대화·복잡화되어 감에 따라 환경 및 보안 관련 규제 또한 관련 규제 또한 강화되므로 인해 환기 시스템의 최적화, 특히 최적 환기 방식 및 설비 선택, 설치에 관한 의사결정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어 복잡한 환기 시스템 관련 변수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경제성, 환경성, 안전성을 만족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 결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터널 환기 설계와 같이 최종 의사 결정 능력이 있는 전문가가 소수이며, 그 관련 변수가 방대하여 객관적인 판단이 어려운 분야에 전문가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고려하고자 하는 모든 면에서의 효율성이 극대화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미국 NASA에서 개발한 전문가 시스템 개발 도구인 CLIPS ver 6.0을 사용하여 환기 시스템별 장·단점을 분석하고, 각 환기 시스템별 설비, 비용, 환경, 안전에 관련된 지식과 규칙들을 지식베이스화 하였다. 그리고, 추론기관을 통하여 유도된 결론에 확신 정도를 나타내는 확신율을 고려하였고 적용 가능한 환기 방식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최적 차량터널 환기 시스템 선택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Recently as tunnel gets longer and complex, environment-related regulations are also strengthened. Therefore as the optimization of tunnel ventilation system, especially,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ventilation system and the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equipment get complicated, the study of economic, environment and safety aspects is needed by analyzing the related variables. Designing the optimal tunnel ventilation is laborous. The number of experts is limited and the optimal decision making is not straight forward due to the numerous variables. Expert system which generates the most efficient decision in every aspect. CLIPS ver 6.0, a tool for expert system development, was applied to analyze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each ventilation system. A knowledge base was constructed with knowledge and rules related to equipment cost, environment and safety. An expert system model was developed to choose the optimal ventilation method. Based on the certainty factor and inference engine, the model assigns the degree of preference to each applicable ventilation method.

      • 저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바이오 에너지 작물인 카멜리나, 유채, 자트로파의 원형질막 H+-ATPase의 발현과 활성의 비교 연구

        오정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Cold stress is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that limit plant growth, productivity and geographic distribution. Camelina, Rapeseed and Jatropha are well known as bioenergy crops and show different cold sensitivity. Various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leaf stomatal conductance,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electrolyte leakage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growth rate treated with cold (2℃) for 5 days. Leaves of three species were damaged from 1 day treatment, but Camelina and Rapeseed leaves showed a gradual recovery at day 3. Using a pH indicator, surface pH of Camelina, Rapeseed and Jatropha roots in control were strongly acidified only from the starting pH 6 in a time-dependent manner. However, H+-efflux of surface with cold treated roots changed in Camelina and Rapeseed, but did not change in Jatroph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d on plasma membrane (PM), H+-ATPase activity isolated from leaves and roots of three species were measured. There were an increase in the activity of leaves and roots in Camelina and Rapeseed treated with cold but not in Jatropha. The expression of PM H+-ATPase and 14-3-3 protein which participate in phosphorylation of PM H+-ATPase was induced in the presence of cold stress in the case of Camelina and Rapeseed, but not in Jatropha. Fusicoccin, an activator of the PM H+-ATPase, stimulated protein expression in Jatropha leaves, whereas vanadate, an inhibitor of the H+-ATPase, reduced protein expression in Camelina and Rapeseed roots.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expression of PM H+-ATPase and 14-3-3 protein in three species are closely related to one of cold-tolerant and -sensitive mechanisms. 저온스트레스는 식물 성장, 생산성과 지리적 분포를 제한하는 중요한 환경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카멜리나, 유채와 자트로파는 바이오 에너지 작물로 잘 알려 져 있으나, 저온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잎의 기공전도도, 엽록소 형광과 전해 질 유출량과 같은 다양한 생리학적인 매개 변수를 저온 (2℃)에서 5일 동안 처 리 하여 측정하였다. 세가지 작물의 잎은 1일째 모두 손상되었으나, 카멜리나와 유채 잎만 점차 회복 되었다. 카멜리나, 유채 그리고 자트로파의 대조구 뿌리의 표면 pH는 6.0으로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하게 산성화 되었으나, 저온 처리 된 뿌리 표면은 카멜리나와 유채에서 H+이 유출되어 pH가 변했지만, 자트로파 는 변하지 않았다. 세가지 작물의 잎과 뿌리로부터 분리한 원형질 막(PM) H+ -ATPase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카멜리나와 유채의 활성은 증가하였고, 반면 에 자트로파의 활성은 감소하였다. 저온 스트레스를 처리시 PM H+ -ATPase와 인산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14-3-3 발현을 조사해본 결과, 카멜리나와 유채의 잎과 뿌리에서만 촉진 되었고 자트로파는 촉진 되지 않았다. Fusicoccin은 PM H+ -ATPase의 활성제로 자트로파의 잎에서 단백질의 발현을 자극하였고, 반면 에 vanadate는 H+ -ATPase의 억제제로 카멜리나와 유채 뿌리에서 단백질 발현 을 감소시켰다. 이 결과로 보아 저온의 내성과 민감성 메카니즘에 세가지 작물의 PM H+ -ATPase와 14-3-3 단백질의 기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공연예술축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을 통한 전략적 브랜드 경영 제고 방안 연구 : 「거창국제연극제」를 중심으로

        오정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공연예술축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을 통한 전략적 브랜드 경영 제고 방안 연구 :「거창국제연극제」를 중심으로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요한 유망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고부가가치산업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며 그에 따른 정책 실행으로 국내의 문화 사업은 다양해지고 활발한 양상을 보이게 됐다. 그러나 거창국제연극제를 포함한 국내 공연예술축제들은 대부분 유사한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다. 지목받는 문제점들의 공통점은 축제가 브랜드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브랜드 경영 분야의 대표 학자인 데이비드 아커의 이론 중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획 모델을 근거로 하여 상품의 가격을 높여주고 긍정적인 브랜드 연상과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 충성도 높은 고객층을 형성하도록 거창국제연극제의 전략적 브랜드 경영 제고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연예술축제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그리고 브랜드 경영의 개념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실증연구에서는 거창국제연극제의 브랜드 자산과 소비자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거창국제연극제의 핵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분석하기 위해 내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통해 도출한 문제점은 첫째, 국제연극제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추지 못하고 실질적 목표시장이 경남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유료관객의 수가 현저해 입장수입이 매우 저조하며 국가보조금 의존도가 매우 높다. 셋째, 축제의 상징성과 공통의 목표가 불분명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통한 브랜드 경영의 도입의 필요성을 갈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거창국제연극제의 전략적 브랜드 경영 제고 방안을 제시를 다음과 같이 한다. 첫째, 미션과 비전, 그리고 축제의 성격을 재검토하고 재설정하여 공통의 지향점을 가질 수 있도록 축제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또한 미션과 비전을 반영하는 축제의 상징체계를 구축해 사용자와 기업 간의 이미지를 일치시켜야 한다. 둘째, 시장세분화를 통한 목표시장을 설정하여 경쟁력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소비자 니즈를 적극 반영한 프로그램의 양적이고 질적인 개선과 상징적인 대표 작품의 개발로 전략적인 프로그램의 구성을 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격적인 브랜드 경영을 위해 조직 구성과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고 티켓 판매 시스템을 개발하여 재정자립도를 높일 수 있는 경영 시스템으로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를 계기로 거창국제연극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하여 거창국제연극제가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축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전략적인 브랜드 경영을 펼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주제어: 거창국제연극제 , 브랜드 아이덴티티 , 브랜드 경영 , 지역축제 , 개선방안

      • 한국 대학생의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 : 진로목표불일치를 통한 사회비교경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오정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Career-related developmental tasks are concentrated in the period of university, but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stress and various negative emotions about their careers due to developmental pressure to change their roles from students to professionals by exploring and deciding their care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uggested that various contextual, personal, cognitive, and factors affect career-related negative emotions.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that the contextual factor of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cognitive factor of career goal discrepancy, and personal factor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ill act as a unique factor influencing career stress. Accordingly,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career goal discrepancy, career stress,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ith the significance of exploring factors affecting career stress and establish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help lower this str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35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using the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scale, career goal discrepancy scale, career stress scale,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cale. From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reliability coefficient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in order through Amos 21.0. .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career goal discrepanc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career stress, and each measurement variables were found to measure latent variables well. In the case of the mediating model, good suitability was found in the structural model,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path,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path between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and career goal discrepancy was significant (β=.94, p<.001). But the path between career goal feedback and career stress (β=1.73, p>.05) and the path of career goal discrepancy and career stress (β=-90, p>.05)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is, the conditions of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not satisfied, so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between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and career discrepanc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to be finally verified were stopped.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possibility of conceptual overlap of each variable were present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진로와 관련된 발달 과업은 대학생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대학 재학 중이라는 짧은 시기에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여 학생에서 직업인으로 역할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발달적 압력으로 인해 대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와 여러 부정적 감정들을 경험한다. 사회인지진로이론에서는 진로와 관련하여 느끼는 부정적 감정은 다양한 맥락적, 개인적, 인지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였는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이라는 맥락적 요인, 진로목표불일치라는 인지적 요인과 사회비교경향성이라는 개인적 요인이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독특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진로 스트레스에 위험이 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이러한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입 전략을 세우는데 의의를 두고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 진로목표불일치, 진로 스트레스 및 사회비교경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 척도, 진로목표불일치 척도, 진로 스트레스 척도, 사회비교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신뢰도 계수 및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1.0을 통해 모형 적합도 검증을 실시한 후 순서에 따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 결과, 예측변인, 매개변인, 준거변인, 조절변인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각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을 잘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모형의 경우 구조모형에 있어서 양호한 적합도가 나타나 경로를 검증한 결과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과 진로목표불일치의 직접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β=.94, p<.001,. 정적 진로목표피드백과 진로스트레스의 경로(β=1.73, p>.05)와 진로목표불일치와 진로스트레스의 경로(β=-.90, p>.05)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조절된 매개모형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예측변인과 매개변인 사이에서의 조절효과 분석과 최종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중단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각 변인들의 개념적 중첩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베이징인과 상하이인

        오정민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베이징 사람들은 호쾌하고 대범하며, 상하이인은 영리하고 일을 잘한다. 베이징 남자들이 하나 같이 쑤둥포(蘇東坡)가 쓴 호방사(豪放詞)와 같은 데 비해, 상하이 남자들은 류용(柳永)이 쓴 완약파(婉弱派)의 사(詞) 같다. 베이징의 처녀들이 남자들에게 절대 뒤지려하지 않는 여장부라면, 상하이 처녀들은 마치 바람에 나부끼는 버들가지처럼 유약하다. 말에 있어서는, 베이징 사람은 매우 자부심을 가지고 보편적으로 중국의 관화(官話) 를 쓴다. 푸퉁화(普通話, 중국의 표준어)가 바로 베이징 방언을 기본으로 삼고 있고, 더욱이 ‘따콴(大款, 대부호)’이나 ‘따완(大腕, 문예계의 실력자, 명망가)’ 같은 베이징 사람이 만든 어휘가 전국적으로 유행되기 때문이다. 이와는 반대로 비록 상하이 말은 알아듣는 사람이 많지는 않은데, 하지만 상하이 사람은 그래도 자긍심을 가지고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 “아라상해니(我拉上海人, 나는 상하이 사람입니다)”라고 말한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두 도시에는 모두 큰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 두 도시의 마천루들은 모두 이미 즐비하게 비늘처럼 늘어서 있고, 두 도시 모두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으며, 두 도시 모두 외자기업이 우선적으로 투자하는 지역이 되었다. 두 도시는 현대화를 향해 매진하는 과정 속에서 서로 근접해지고 있다. 베이징은 50년간의 건설 과정을 거쳐 이미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기능이 집중된 만능의 초대형 도시가 되었다. 비록 그에 따라 심각한 오염과 도시 고적의 파괴가 수반되었기는 하지만. 상하이는 1949년 건국 이전의 외국의 조계지 ‘십리양장(十里洋場)’이 일약 ‘계획경제의 선봉’이 되고, 개혁개방 이후에는 또 중국의 동방명주(東方明珠)가 되었다. 이런 희비극들이 중국 근현대사의 화려하고 다채로우며 감동적인 페이지들을 장식하였다. 21세기초의 중국에서 새롭게 일어서는 상하이와 격변중인 베이징은 똑같이 주목을 끌고 있고, 상하이인과 베이징인도 또 한 번 사람들의 관심이 초점이 되고 있다.

      • (A) 2-Axis nano positioning sensor using optical diffraction

        오정민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presents a dual axis (X-Y) nanoscale positioning sensor based on optical diffraction. The proposed sensor is composed of a laser diode, a square aperture, a quadrant photodiode, and simple circuits. Light source and an aperture causing diffraction are embedded in the center of the flexure stage driven by voice coil motors. Light intensity diffracted through a square aperture varies according to wavelength, a size of aperture and distance from an aperture to an observation field and is detected by a quadrant photodiode. Diffraction pattern, sensitivity and linearity can be calculated by mathematical model. In an experiment, the performance of sensor was validated, which proves correspondence with simulated results. Comparing with conventional sensors for measuring precision displacement, the sensor has outstanding sensitivity and high resolution with competitive price.

      • 포그 기반 IoT 환경의 분산 신뢰 관리 시스템

        오정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ternet of Things is a huge group where countless devices, such as wearable devices and smartphon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ype. As a basic require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s need to be interconnected. Therefore, choosing a trusted device is very important. The communication with a malicious device can adversely affect quality of service by compromising the network or servi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reate a trust model supported mobility and resource constrained IoT devices, which remains a challenge to be addressed for smart life scenarios. For centralized trust management models, there are issues of proprietary operations in central institutions, single point of failure, and resource scalability with increasing IoT devices. On the other hand, in distributed models, devices are directly connected each other without central authorities. But since IoT devices are resource constrained, there are not enough storage spaces and it is difficult to exchange data with all neighbors in the network which leads to data inconsistency. Recently, trust management models with fog nodes and blockchain have been proposed. It was intended to offload the storage and processing to fog nodes to solve the limited resources problem and blockchain will address a problem of centralized model and provide data consistency. However, blockchain has a problem of low throughput and delay, which requires improvement on these problems to be applied to dynamically changing IoT environments. Therefore, we propose a distributed trust 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trusted devices in fog-based IoT environments by applying IOTA which is a DAG-based blockchain system. In the proposed model, the trust value of the device is stored in the blockchain to maintain it without forgery/modulation and improve scalability problems such as throughput delays in the blockchain. 사물인터넷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과 같은 무수히 많은 기기들이 종류에 관계없이 서로 통신하는 거대한 집단으로 네트워크 내 사물의 상호 연결은 사물인터넷의 기본 요구사항이다. 악성 기기와 통신을 하게 될 경우, 네트워크나 서비스를 악의적으로 손상시켜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IoT 기기의 이동성과 연산 자원, 저장 공간의 제약으로 신뢰 관리 모델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으며, 이는 스마트 라이프 시나리오를 위해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남아 있다. 중앙 집중 방식의 신뢰 관리 모델의 경우 중앙 기관에서의 독점 운영 및 단일 장애 지점 발생, IoT 기기 중가에 따른 자원 확장의 이슈가 있다. 반면 분산 처리 방식은 기기 간의 연결로 시스템을 구축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 추가 없이도 시스템을 확장 할 수 있으나, IoT 기기의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데이터 교환 및 저장에 한계가 있으며, 정보의 일관성을 보장하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신뢰 관리를 위하여 포그 노드와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모델들이 제안되고 있다. 신뢰 데이터의 연산과 저장을 포그 노드에서 처리하고, 포그 노드를 블록체인에 참여 시켜 자원 제약 문제와 중앙 집중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낮은 처리량과 속도 지연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동적으로 변화하는 IoT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AG 기반 블록체인 시스템인 IOTA를 적용하여 포그 기반 IoT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분산 신뢰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에서는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위/변조 없이 관리하며, 블록체인의 낮은 처리량 속도 지연의 확장성 문제를 개선한다.

      • 난소암 생존자의 유전지식, 외상 후 스트레스, 암대처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오정민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난소암 생존자들의 유전지식, 외상 후 스트레스, 암대처, 외상 후 성장을 파악하고,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난소암 환자에 대한 이해증진과 유전지식 및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의 자료 제공에 기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암 전문 병원에서 난소암을 진단받고 치료를 마친 후 정기검진을 하기 위해 외래로 내원하는 난소암 생존자 14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2월25일부터 4월 11일까지로 자료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기술통계분석과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난소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확인 하기 위한 K-PTGI(Korea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도구와, BGKQ(Breast cancer Genetic counseling Knowledge Questionnaire)의 난소암 버전 유전지식 17문항 도구, 외상 후 스트레스를 확인 하기 위한 IES-R-K(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 암대처를 확인하기 위한 K-CCQ(Cancer Coping Questionnaire Korean version)도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유전지식과, 암대처는 정적상관관계, 외상 후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위계적 회기분석 결과 모델 1에서 종교와 가족력, 모델 2에서 종교와 암대처가 유의하였고, 외상 후 스트레스는 경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유전지식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아니였지만, 유전지식을 통해 환자의 지식 정도를 높임으로서 가족력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여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난소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높이기 위해, 긍정적 암대처 및 영적 간호를 포함한 관리프로그램과 유전지식의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genetic knowledge, post-traumatic stress, cancer treat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ovarian cancer survivor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post-traumatic growth to contribute to increased understanding of ovarian cancer patients and to the provision of data on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enhance genetic knowledg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data was analyzed on 148 survivors of ovarian cancer who were diagnosed with ovarian cancer at a cancer clinic in Gyeonggi Province and who visited the hospital for a regular checkup after treatment.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February 25, 2019 to April 11, 2019, and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research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The research tools include the Korea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 tool to identify post-traumatic growth of ovarian cancer survivors, and the ovarian version of BGKQ (Breast cancer Genetic counseling Knowledge Questionnaire) 17 Questioning tools, IES-R-K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 and K-CCQ (Cancer Coping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tools were used to check for post-traumatic str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genetic knowledge, cancer coping has a static correlation, post-traumatic stress is negatively correlated.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include :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ligion and family history in Model 1, religion and cancer coping in Model 2 were significant, and post-traumatic stress was shown to have a borderline significance. Although genetic knowledge was not a factor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it could be expected to reduce stress due to family history by increasing knowledge of patients through genetic knowledg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post-traumatic growth of ovarian cancer surviv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 programs and counseling programs to improve management programs and genetic knowledge including positive cancer coping and spiritual nur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