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로나-19로 인한 휴직이 조종사 역량 및 인적오류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

        오재연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민간항공기 조종사의 휴직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스트레스의 변화가, 조종사의 역량 및 인적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에 연구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자기효능감과 조종사 역량 향상 및 정서적 스트레스와 인적오류 감소 방안을 모색하여 항공 안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휴직은 조종사의 자기효능감, 정서적 스트레스, 조종사 역량, 인적오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조종사 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인적오류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정서적 스트레스는 조종사 역량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인적오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스트레스 간, 조종사 역량과 인적오류 간에는 서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휴직 이후 조종사의 자기효능감, 정서적 스트레스, 조종사 역량, 인적오류의 변화와 서로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양적연구로, 관련 이론에 학문적인 기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엔데믹 시대와 미래에 있을지도 모르는 또 다른 팬데믹의 상황에서 자기효능감과 조종사 역 량의 감소를 예방하고, 정서적 스트레스와 인적오류를 안전관리 차원에서 감소시킬 수 있는 관련 교육 및 훈련 프로 그램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기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changes in self-efficacy and emotional stress due to civil aircraft pilots' leave of absenc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on pilot competency and human error. It is to contribute to aviation safety by exploring ways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pilot competency, reduce emotional stress and human err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it was found that leave of absenc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ilots' self-efficacy, emotional stress, pilot competency, and human error. Second,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ilot competency an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human error. Third, emotional stress has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pilot competency an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human error. Fourth,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emotional stress, and between pilot competency and human err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a quantitative study that empiricall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pilots' self- efficacy, emotional stress, pilot competency, and human error after taking a leave of absenc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is is considered to be an academic contribution to related theories. Second, the relationship that can prevent a decrease in self-efficacy and pilot competency and reduce emotional stress and human error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after the end of COVID-19 and in another pandemic situation that may exist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 연결어미와 접속부사의 사용 양상에 대한 대조적 연구

        오재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ompare connective endings and connective adverbs based on usage, semantic domain, and structure and thus investigates common and unusual features in meanings represented by connective endings and connective adverbs. In Korean, there are two ways to connect two clauses and show their semantic relations: one is to use a connective ending, and the other is to use a connective adverb. While a connective ending is a bound morpheme connecting with a predicate in the antecedent clause, a connective adverb is an independent word connecting two clauses, being separate from the antecedent clause. Of the connective adverbs, some are combined with the connective ending and have been established as a word. They are so-called ‘그러-’ group, including ‘그리고, 그러나, 그렇지만, 그런데, 그래서, 그러니까, and 그러면.’ These connective adverbs have their roots in connective endings and are thus expected to show the same meaning of connective endings. Some of the usages of connective endings cannot be, however, represented by connective adverbs. When ‘-고’ is used for enumeration, comparison, or cause, it can be replaced with ‘그리고’ to deliver still the same meaning. When ‘-고’ is used for chronological order, its replacement with ‘그리고’ will result in no semantic differences as long as the subject is the same between the antecedent and following clauses. If there are different subjects between them, the possibilities increase that ‘그리고’ does not mean chronological order and instead is interpreted as an enumeration. When ‘-고’ is used for the continuance of an outcome or state and means, its replacement with ‘그리고’ will mean chronological order. ‘-지만’ and ‘그렇지만’ generally represent the same meanings. When ‘-지만’ is used idiomatically in a situation asking for a favor, however, its replacement with ‘그렇지만’ will hardly have the same meaning. When ‘-ㄴ데’ is used for contrast and concession, its replacement with ‘그런데’ will still represent the same meaning. When ‘-ㄴ데’ is used for the provision of background, its replacement with ‘그런데’ will have a difficult time representing the same meaning due to a speech act of proposal or order in the following clause. ‘-어서’ can be replaced with ‘그래서’ only for reason. It cannot be replaced with ‘그래서’ for other usages including an chronological order, continuance of state, goal, method, and time background. When ‘-으니까’ is used for reason, its replacement with ‘그러니까’ will still have the same meaning. When it is used for discovery, its replacement with ‘그러니까’ will hardly have the same meaning. When ‘-으면’ is replaced with ‘그러면,’ it is unnatural in many cases. Its replacement with ‘그러면’ for a hypothetical condition will be more unnatural than a factual condition. A comparison between connective endings and connective adverbs is also possible according to the semantic domain. When ‘-고,’ ‘-지만’, and ‘-ㄴ데’ connect the antecedent and following clauses in the content domain and epistemic domain, their replacement with ‘그리고’, ‘그렇지만’, and ‘그런데’ will cause few semantic differences in most cases. When two clauses are connected in speech act domain, however, their replacement with connective adverbs will not represent the same meanings in many cases. ‘-어서’ is a connective ending connecting two clauses in the content domain in most cases. Its replacement with ‘그래서’ will represent the same meanings or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usages. When ‘-으니까’ connects two clauses in the epistemic domain and speech acts domain, its replacement with ‘그러니까’ will still represent the same meaning. In the content domain, however, its replacement with ‘그러니까’ will not represent the same meaning. When ‘-으면’ connects two clauses especially in the speech act domain, its replacement with ‘그러면’ will not be natural in many cases. The connection of two clauses with a connective ending can be divided into coordinate and subordinate connections. When two clauses are connected in coordinate, connective endings and adverbs will have the same semantic relations. When they are connected in a subordinate connettion, the replacement of connective endings with connective adverbs is likely to have different meanings or unnatural semantic relations. Connective endings are connected to the predicate in the antecedent clause, having direct impacts on the meanings of the antecedent clause. Unlike connective endings, connective adverbs are separate from the antecedent clause, having no direct impact on its meanings. This structural difference seems to caus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m. 본고는 연결어미와 접속부사의 사용 양상을 용법과 접속의 의미 영역, 접속의 구조라는 기준을 가지고 대조해 보고, 이를 통해 연결어미와 접속부사가 나타내는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에서는 절과 절을 접속하여 두 절의 의미 관계를 나타내려고 할 때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방법과 접속부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연결어미는 선행절 용언에 결합하는 의존형태소이지만, 접속부사는 선행절과 분리되어 후행절 앞에서 두 절을 이어주는 독립된 단어이다. 접속부사 중에는 연결어미와 ‘그러하-’가 결합하여 하나의 어휘로 굳어진 것들이 있다. ‘그리고, 그러나, 그렇지만, 그런데, 그래서, 그러니까, 그러면’ 등, 소위 ‘그러-’ 계열의 접속부사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접속부사들은 그 형태와 의미가 연결어미에 뿌리를 두고 있으므로, 연결어미가 나타내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관계를 동일하게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지만 연결어미가 가지고 있는 여러 용법 중에는 접속부사로는 나타낼 수 없는 용법도 있다. ‘-고’는 [나열], [대조], [이유] 등의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에 ‘그리고’로 바꾸어 써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고’가 [계기]의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주어가 같으면 ‘그리고’를 사용해도 의미 차이가 없지만, 주어가 다르면 ‘그리고’가 [계기]의 의미를 나타내지 못하고 [나열]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고’가 [결과상태지속]과 [수단]의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그리고’로 바꾸어 쓰면 [계기]의 의미가 된다. ‘-지만’과 ‘그렇지만’은 대체로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으나, ‘-지만’이 부탁이나 양해를 구하는 상황에서 관용적으로 쓰이는 경우는 ‘그렇지만’을 사용해서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어렵다. ‘-ㄴ데’는 [대조]와 [양보]의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에 ‘그런데’를 사용해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이유]의 용법인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다. ‘-ㄴ데’가 [배경 제시]의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후행절이 제안 화행이나 명령 화행이면 ‘그런데’를 사용해서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기 어렵다. ‘-어서’는 [이유]의 용법만 ‘그래서’로 나타낼 수 있고, [계기], [결과상태지속], [목적], [방법], [시간적 배경] 등 다른 용법은 ‘그래서’로 나타낼 수 없다. ‘-으니까’는 [이유]의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에 ‘그러니까’로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으나, [발견]의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그러니까’를 사용하면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기 어렵다. ‘-으면’은 ‘그러면’으로 바꾸어 쓰는 것이 부자연스러운 경우가 많은데, [사실적 조건]의 용법보다 [가정적 조건]의 용법으로 쓰일 때 ‘그러면’을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지 못하다. 접속의 의미 영역에 따라 연결어미와 접속부사의 사용 양상을 대조해 볼 수도 있다. ‘-고’와 ‘-지만’, ‘-ㄴ데’는 내용 영역과 인식 영역에서 선행절과 후행절이 접속된 경우에 ‘그리고’, ‘그렇지만’, ‘그런데’로 바꾸어 써도 의미 차이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두 절이 화행 영역에서 접속된 경우에는 접속부사로 바꾸어 쓰면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지 못할 때가 많다. ‘-어서’는 대부분 내용 영역에서 접속하는 연결어미인데, 접속 영역보다는 용법에 따라서 ‘그래서’로 바꾸어 써도 의미가 동일한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로 나뉜다. ‘-으니까’는 인식 영역과 화행 영역에서 접속되는 경우에 ‘그러니까’로 바꾸어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지만, 내용 영역에서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러니까’로 바꾸면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지 못할 때가 있다. ‘-으면’은 특히 화행 영역에서 접속할 때 ‘그러면’으로 바꾸어 쓰는 것이 자연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이 나타난다. 연결어미에 의한 두 절의 접속은 병렬접속과 종속접속으로 나눌 수 있는데, 두 절이 병렬적으로 접속된 경우에는 연결어미와 접속부사가 나타내는 의미 관계가 동일하지만, 종속적으로 접속된 경우에는 접속부사로 바꾸어 쓰면 의미가 달라지거나 의미 관계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경우가 나타난다. 연결어미는 선행절 용언에 접속하여 선행절의 의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접속부사는 연결어미와는 달리 선행절과 분리되어 있으므로 선행절의 의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는 연결어미와 접속부사가 나타내는 의미의 차이를 만드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 INTERTIDAL ARCHITECTURE : 대지로서의 물에 반응하는 건축

        오재연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축은 땅을 전제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흔히 Context라고 말하는 대지의 사회적인 맥락이 중요하고, 또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지지되기 위해서 땅의 물리적인 상황이 중요하다. 그러나 조금 범주를 넓혀서 공간이라는 층위에서 생각해 본다면 그것은 ‘땅의 건축’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자동차, 배, 비행기 등의 탈것에도 건축적인 공간은 존재한다. 하지만 그것이 만들어 내는 공간은 더 이상 땅에 묶여 있지 않다. 이 논문은 서울에서 가장 사람 손이 덜 탄 곳 중의 하나인 한강, 그 가운데에서도 한강변의 땅이 아닌 한강의 강물과 그것이 만들어내는 공간에 Intertidal architecture라는 새로운 건축을 규정해 보고, 그것이 물이라는 ‘대지’ 위에서 땅 위의 건축과는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 생각해 보는 실험과정이다. 땅에서는 볼 수 없는, 한강의 물에서만 경험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현상에는 물에 의한 부력(浮力), 물의 흐름, 홍수, 그리고 특별히 서해안과 가까운 한강의 하류지역에서 나타나는 조석(潮汐)에 의한 규칙적인 수위변화와 밀물 때의 역류현상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을 이용하여 물의 변화에 반응하는 건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때, 물의 변화에 따른 건축 공간의 움직임 혹은 변형과 같은 반응이 기능주의의 틀을 벗어난 건축이 되는 것을 지향했고 이를 위해 Post-Functionalism의 견해를 빌려왔다. 또, 디자인에 있어서는 수위의 변화 혹은 수위의 차이를 이용한 발전시설과 같은 infrastructure들의 작동 방식을 참고했고 몇 가지 실험을 통해서 물위에 부유(浮遊)하고 유동하기에 적합한 형태를 찾아내고 그 결합 방식과 시스템도 제안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람들이 한강의 한 가운데까지 다가가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명으로서의 강을 몸으로 경험할 수 있는 건축이 되도록 했다. 물론 물에서의 건축은 이러한 방법만이 정답은 아닐 것이고 앞으로의 또 다른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물에서의 건축에 대한 본 연구를 통해서 강에서의 건축을 넘어 아직도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고 미래 인류의 삶의 중요한 자원이 될 바다에 이르기까지 건축의 영역을 확장시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rchitecture is based on the earth. So the social context is significant and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earth is essential to standing stably. However, as far as space is concerned, it doesn't need to be an 'architectural building'. There are the architectural spaces in the cars, ships and airplanes, but they do not need to be fixed on the ground. This thesis is a kind of experimental process that define the 'Intertidal Architecture' which is not on the ground of riverside of Han river, one of the most natural site in Seoul, but above the water and under the water. And these are researches on the water as an architectural field different from the earth. The phenomena which people can experience not on the earth but only in water are buoyancy, flow, flood, tide and counterflow in the rising of the tide particularly in the mouth of Han river. I have suggested the architectural device reacting to the movement of water with these phenomena in this thesis. As I intended this architecture not to be one of the functionalism but to be an architecture offering the joyful experience, I referred to the concept of Post-Functionalism. I referred to the operating system of infrastructure like tidal power plant. And, I found the form suitable for floating and moving on water, and I made the linking system and structural system. This is not an unique solution, so we need the other additional studies. But if the study of the architecture in water as the architectural field will progress with this thesis, the area of architecture will extend to the ocean which is the significant resources of the life of future human beings.

      • 과채주스의 영양강조표시 규제과학적 검증 방안 연구 : 설탕 무(無)첨가?무가당 표시기준 활용

        오 재 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83

        Sugars are water-soluble, sweet-tasting compounds belonging to carbohydrates and are used in various ways as sweeteners to not only supply energy to the human body but also to improve sweetness or functionality during cooking or processing of foods. 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ood industry and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concerns are growing about excessive intake of sugars, and excessive intake of sugars is linked not only to childhood obesity but also to obesity, high blood pressure, type 2 diabetes, metabolic syndrome and Side effects have been reported through research.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based on the 202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results of analysis of Korean people's sugar intake through processed foods show that two out of five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consume as exceeding sugar intake per day through processed foods as pe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t was found to exceed the recommended standards, and in particular, infants and children aged 1 to 5 had the highest rate of sugar intake through fruit and vegetable drinks.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reduce sugar intake, such as operating a system to reduce sugar and improving public awareness. In other countries, as well as restricting the sale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introducing a sugar tax in some countries, the government is trying to reduce sugar intake by reducing sugar-sweetened beverages. Regulations are actively being implemented, which can be seen as a result of beverage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sugar intake through processed foods. The definitions and scope of total sugars, free sugars, and added sugars differ slightly by country, and most countries manage their citizens' sugar intake levels and management in terms of added sugars or free sugars rather than total sugars. For the purpose of harmonizing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established new no added sugar labeling standards that focus on whether or not sugars are added during the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of food, rather than whether sugars are detected. However, in terms of regulatory operation and food labeling, the industry is demanding clear detailed guidelines and regulations based on concerns about violation of labeling standards and difficulties in making judgments in the field due to vague and unclear examples of raw materials included in sugars. In addition, the current regulatory operation of the no added sugar labeling standards is being reviewed for violation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labeling standards based on raw material labeling information and product manufacturing reports, and the nutritional labeling of sugar content is also required to display only the total sugar content, so the verification method for sugar added to actual products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systematize the current regulations, as there are no standards. Accordingly, in accordance with the sugar reduction policy, this study established a sugar composition database for no added sugars fruit and vegetable juice distributed domestically among beverages that are major sugar intake factors, and used this to visualize the content of natural sugar and added sugar, which cannot be chemically distinguished. In this study, a sugar composition database of domestic distributed fruit juice, the main sugar intake factor,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sugar reduction policy. This was visualized by separating the contents of natural sugar and added sugar in no added sugar fruit juice products. The study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and improve the current regulatory loopholes in the government's overall regulations, and to derive research tasks to be pursued in relation to the details of the labeling standards for food in the future. As a research method, five types of fruit juice that are applying no added sugars labeling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sugar through the solution of finished products and raw materials, and this was verified based on sugar analysis by date by estimating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sugar according to enzyme activ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finished product from each raw material (P value>0.05), and through this, it was first verified that there was no artificial addition of sugars among the finished products other than sugars derived from raw materials. However, in the case of Sample_1 and Sample_2,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saccharide sucrose and the monosaccharide Fructose and Glucose was confirmed in the test value of the finished product compared to the value calculated from the sugar composition and content of each raw material. This was estimated by the decomposition of sucrose and the substitution and content increase of monosaccharide Fructose and Glucose according to the enzyme activ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gar composition and content of each raw material in the product, the change in sugar composition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enzyme activity in the raw materials of A2-1 (Kiwi) and A1-3 (Kale) was finally confirmed.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sugars could change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natural enzymes in the raw material without the addition of artificial sugars and enzymes, and through this, the necessity of regulatory oper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was suggested. In the case of A2-1 (Kiwi) raw materials, the change in the Fructose content was insignificant in the sugar composition and content results by date, but the change in the Glucose content increased was somewhat remarkable. This showed the same pattern as the analysis result in Sample_2's finished product. This tendency between raw materials and product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dditional enzymes that can lead to changes in the Fructose content in A2-1 (Kiwi) raw materials, which supports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in the current regulatory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enzyme activity database of fruit and vegetable raw materials in fruit and vegetable juices based on experimental design and further research considering the optimal temperature conditions for enzyme activity in the future. When reviewing the application of the no added sugar labeling based on the relationship in the established database,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uggested the need to institutionalize and stipulate legal ground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aw material in the product. We propose a sugar composition and content database of products subject to non-additive labeling as a verification method for compliance with the non-additive labeling standards. The database is a raw material database tha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integrated nutritional database. 당류는 탄수화물에 속하는 수용성의 단맛이 나는 화합물로 인체에 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식품의 조리 또는 가공 시 단맛이나 기능적인 면을 향상시키기 위한 감미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 식품산업 발달과 더불어 가공식품 소비 증가에 따라 당류의 과잉섭취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 당류의 과잉섭취는 소아비만뿐 아니라 비만, 고혈압, 제2형 당뇨병,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 이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부작용으로 보고된 바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우리 국민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 분석결과 국내 어린이와 청소년 5명 중 2명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하루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5세의 영유아는 과일·채소류 음료를 통한 당류 섭취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발표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는 당류 저감화를 위한 제도 운영과 국민 인식개선 등 당류 섭취 저감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외의 경우도 설탕 첨가 음료의 판매 제한과 더불어 일부 국가의 설탕세 도입 등 당류 섭취량 감소를 가당음료를 위주로 한 규제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에 음료류가 상당 부분 기여함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총당류, 유리당, 첨가당의 정의와 범위에는 국가별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자국민의 당류 섭취 수준과 관리를 총당류보다는 첨가당이나 유리당 개념으로 관리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국제기준과의 조화를 목적으로 당류의 검출 여부가 아닌 식품의 제조, 가공 시 당류의 첨가 유무에 중점을 둔 방향으로 설탕 무첨가∙무가당 표시기준을 신설하였다. 다만, 규제 운영 및 식품 표시 적용에 있어 당류에 포함되는 원재료의 예시가 모호하고 불명확해 표시기준 위반 우려와 실제 현장에서의 판단이 어려움을 근거로 산업계에서는 명확한 세부 가이드라인과 규정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현행 설탕 무첨가∙무가당 표시기준의 규제 운영은 원재료 표시사항 및 품목제조보고서를 토대로 식약처의 표시기준 위반 여부 검토가 이뤄지고 있고 당류 함량의 영양성분 표시 또한 총당류 함량만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어 실제 제품의 가당 여부에 대한 검증법은 현 규제사항에 있어 기준 부재 등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당류 저감 정책기조에 따라 주요 당류 섭취 요인에 해당하는 음료류 중 국내 유통 과채주스를 대상으로 설탕 무첨가∙무가당 강조표시 적용 제품의 당류 조성 Database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해 화학적 구분이 불가능한 천연당과 첨가당 함량을 가시화하고자 하였으며, 정부의 설탕 무첨가∙무가당 표시 규제사항 전반에 대하여 현행 규제의 체계화를 위한 보완으로 향후 식품 등의 표시기준 세부 사항과 관련해 추진되어야 할 연구과제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탕 무첨가∙무가당 표시를 적용 중인 과채주스 5종을 선별해 완제품 및 원료 풀이를 통한 당류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효소활성에 따른 당류의 조성 및 함량 변화를 추정해 일자별 당류 분석을 토대로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완제품의 총당류 함량은 각각의 원재료에서 기인된 총당류 함량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 value>0.05) 이를 통해 원재료 유래 당류 이외 완제품 중 당류의 인위적 첨가는 없음을 1차 검증하였다. 다만, Sample_1과 Sample_2의 경우, 각 원재료의 당류 조성 및 함량으로부터 산출한 Theoretical value 대비 완제품의 Test value에서 이당류인 Sucrose와 단당류 Fructose, Glucose의 유의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는 Sucrase 효소활성에 따른 Sucrose의 분해 및 단당류 Fructose, Glucose의 치환 및 함량 증가로 추정하였으며, 제품 내 각 원재료의 일자별 당류 조성 및 함량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A2-1(Kiwi) 및 A1-3(Kale) 원료에서 효소활성에 따른 당류 조성 및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인위적인 당류 및 효소의 첨가 없이도 원재료 내 천연 효소의 활성에 따라 당류의 조성 및 함량이 변화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원재료 특성을 고려한 규제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A2-1(Kiwi) 원료의 경우, 일자별 당류 조성 및 함량 결과에서 Fructose 함량 변화는 미미하나 Glucose 함량이 증가하는 변화가 다소 두드러지게 확인되었는데 이는 Sample_2의 완제품에서의 분석결과와 동일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원료 및 제품 간 경향성을 통해 A2-1(Kiwi) 원료 내 Fructose 함량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추가적인 효소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현행 규제 운영에 있어 원료 특성을 반영한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수행함에 따라 향후 효소활성의 최적 온도조건을 고려한 실험설계 및 추가 연구를 토대로 과채주스 등에서 과일, 채소 원료의 효소활성 Database 구축의 필요성을 확인했으며, 구축된 Database에서의 연관성을 토대로 설탕 무첨가·무가당 표시 적용 검토 시 식약처에서는 제품 내 각 원료 특성을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제도화하고 법적 근거를 명문화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아울러 시중 유통 설탕 무첨가∙무가당 강조표시 적용 제품의 당류 조성과 함량 Database는 설탕 무첨가∙무가당 표시기준 준수 여부의 확인 시 가당 여부에 대한 검증법으로 제안되며, 구축된 Database는 원재료성 DB 자료로서 식약처의 영양성분 통합 database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