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이야기

        오인혜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청각장애 가족 유형에 따른 자녀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 자녀 3명, 청각장애 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 1명, 건청 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 3명으로 총 7명의 자녀를 대상으로 반구조적 질문지와 심층면접을 통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그 연구 결과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와 관련된 학령기 이전의 경험은 자녀의 청각장애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건청 자녀의 경우 음성언어 습득을 위하여 친인척들에 의해 양육 되었으며 자녀는 수화를 사용하면서 놀림이나 따돌림 등을 당한 경험이 있었다. 둘째, 가족과의 의사소통 시,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 자녀와 청각장애 자녀는 수화를, 건청 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는 구화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의사소통 방법의 차이는 부모와 자녀간의 상호작용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셋째, 학교생활에 대한 경험으로, 건청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가 일반학급에 진학한 경우 그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없어 학습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청각장애 자녀의 경우 보청기 착용 시 불편함을 호소하였고, 인공와우 시술 후 적응과 활용 면에서 개인차가 있었다. 학령기 이후 진로문제는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 자녀는 대부분 자신의 부모와 관련된 직업을 선호하고 있었고, 청각장애 자녀의 경우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도전하고 싶어 하였다. 현재 참여하고 있는 방과 후 활동으로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 자녀는 학원을, 청각장애 자녀는 집에서 보내거나 종교 활동 등 학업 외 활동을 하고 있었다. 한편, 세 유형의 자녀 모두 운동, 동아리 활동 등 친구들과 어울려 여가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기의 보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희망하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 자녀의 경우 영어를, 청각장애 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는 운동을 배우고 싶어 하였다. 대학생인 청각장애 자녀는 대학 교육이 비장애 학생 대상의 강의가 많아서 자신이 직접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사회적 경험을 살펴보면,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 자녀와 청각장애 자녀는 부모의 안위를 걱정하고 친구들과의 헤어짐을 두려워하고 있었다. 청각장애에 대한 편견에 대해 건청 자녀의 경우 모두 청각장애인의 강한 자기중심적 성향을 인정하고 있었으나, 청각장애 자녀는 건청인들의 편견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또한 문제 해결 시 청각장애 부모를 둔 청각장애 자녀는 주변 사람들에게 의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청각장애 가족의 유형에 따라 자녀가 경험하는 내용 뿐만 아니라 이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 내용 또한 다르므로 각 가족 유형에 적합한 사회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is carried out targeting the three hearing children living with deaf-deaf parent(DD-H), a deaf child living with the deaf-deaf parent(DD-D), three deaf children living with hearing-hearing parent(HH-D), for a total of 7 children with half-structured test and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look into the experience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hearing impaired family typ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experience related to hearing impairment before school age had been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hearing impairment. In the case of hearing children, the relatives had brought them out to get them to acquire spoken language and the children had been teased or shunned from their friends as they use sign language. Second,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mily, DD-H and DD-D were using oral method. The differences of the way of communication could give rise to an adverse effect to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ren. Third, when it comes to the experiences of their school life, although HH-D goes on to school there is no educational support so they have difficulties study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y expressed their discomfort over wearing a hearing aid. After cochlear implant, there was an individual discrepancy in the aspect of adaptation and use. After school age, DD-H had preference for the job related to their parent regarding their career. In contrast, hearing impaired children preferred challenging to what they are interested in. DD-H opted for institute. Hearing impaired children spent their free time at home or on religion activities etc, which are extracurricular activities with regard to after school activities they are engaging in now. Meanwhile, all three types of children have shown their tendency of hanging out with friends, working out, participating in club in common, which shows common trait of adolescence. As to their hopeful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DD-H and DD-D preferred English and exercising respectively. a hearing impaired undergraduate would like to take a course of computer programming himself since for the most par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is geared toward normal students. Forth, when examining social experiences as a family member, DD-H and DD-D were concerned about their parent safety and feared for separation from their friends. In terms of the prejudice against hearing-impairment, the hearing children admitted their egocentrism personality to the hearing impairment. However, hearing impaired children thought it is attributed to the prejudice of the hearing people. What is more, when solving the problems, the DD-D was dependent on the surrounding people. As seen above, it is different not only that the experience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hearing impaired family types but their needed support. Therefore, the social educational supports for the each family type must be implemented.

      • 유목적 공간에 관한 연구 : 인스턴트 스페이스를 중심으로

        오인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stant space that introduces in the space all the notions related to the time, such as growth, metamorphosis, metabolism, course and mobility, is a space out of a simple concept of space to obtain the extended function to contain the whole shape and to support with free movement, which is a nomadic space and at the same time a space to accommodate the mobile flow of the nomadic modern society that endlessly changes with sharing the spaces. Like this, it requires to research the instant space that can response to the flow of society and can act as an important element to shape non-placement through the physical space design and the interaction of event project where the possibility of change exists. The instant space, the major point of this study, is a shared space that has an extremely short timely provision, i.e. 'now', that exists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where the human moves atypically and can be the society at once with non-decisive method. The instant space prescribes the 'to exaiphns' as a starting point to be changed into the kinsis or stasis, or a unique thing, i.e., an atopon that exists between the kinsis and the stasis, which does not exist in the chronos. The mobile, situational and nowhere-placed randomized space aims at the four 'any's - anytime, any network, any device and any service which gets out of the previous function-oriented attitude for the occurrences by the human activitie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course to be used in the space design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human life quality is very important. Researching this instant space, this study triesto find the space of modern city and to verify with a project. It seeks after the relations to the perspective toward the instant space program and suggests a space where the perspective is reflected. As a movable space, the instant space appears as various types such as instant house, mobile space unit, transit space etc.,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efined by the methods of erase [E], origination [O], transformation [T] and migration [M]. Erase [E] is a phase to set up the space to be rent as a spatial area, which makes fuzzy the spatial area and breaks up the views, where the space tries to get the centered reference point, and the center is related to its periphery area foundation. Origination [O] alludes to the productive method to find the easily linkable and adaptable elements to emancipate and to provide the freedom for the architectural language and concept bounded inthe frames of the different space concepts, in order to extract a new meaning by intentionally turning about the fixed disposition of the system. In terms of the spatial concept of origination, it is a space of flow and it has relational multi-purposes between the deconstruction shapes. Transformation [T] is to apply a unordinary stuff as an objet or to compose with conforming to the position or the usage, applying deconstruction/construction, deregulation/regulation, explosion/wholeness, fragment/integrity, ambiguity/certainty and mixture/center to show the dimensional aspect through composition or metamorphosis (symbols and metaphors) rather than to imitate and reproduce the image of the past, which appears through the order of insolubility, sense of speed and mixture of the time and space, and these elements are newly composed to form the overall space. In terms of spatial concept, it has temporal instantaneousness, continuation of chances, change of moments and ambiguous relational flexibility. Migration [M] is not subject to be regula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to be changeable according to each external influence. The space has been traditionally limited by the time and space, but the architecture growing out of the concepts of fixed time and space now stands for the possibility to be 'unfixed' and 'movable anytime'. This contrasts with the architectural basic conditions, the construction within the graviton system and the pursuit after the eternity, rather it floats lightly around andbecomes a point according to the time and flow. In terms of spatial concept of migration [M], it has relational adaptation where the spatial point borrows the territoriality. Under these results, an instant space project is made, as a mobile space featuring the concept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such as decomposition, transformation and transposition. Decomposition is a separable and dissolvable unit accordingly how independent each unit is. All the part that is endlessly decomposed and displaced in an organization appears as an assembly-shaped structure forming synthetic or self-sufficient identity at a moment. A space of transformation is a space project to use flexible walls and furniture easily applied with movement, separation or annexation, which has flexible character for division, magnification and reduction. The transformation in the space is the flexibility, where it expresses a space "to be changed without shape distortion". The space of transposition can be composed or changed due to the necessity or the situation, which means changes in space size, magnification or position incurred by the movement of different spaces. As the space moves, the space and the place are influenced by the fixed elements and expressed as an adaptable space conforming to the place. The project of this study is to compose the transposition, decomposition and transformation applied with nomadic spatial concept, and to form a community of non-hierarchical, multi-centered and open-ended forms. Moreover, the movements of the space structure and the place are suggested as a new possibility in terms of the space design, and it enables to situate a realistic space adapting all the elements of the space. As a nomadic spatial concept, the space composition of instant space exchanges with other genres to extend more the hybrid spatial possibility. Nomadic concep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re materialized in details for expressing a space reflecting the values of modern people, and providing a space where its character and composition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ies and various experiences are possible, it is expected that this trial coul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more varied, affluent and new space. This study requires an interpretation as another approach, and in-depth studies about detailed expressions and realizations should be carried out. 도시는 정지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계속해서 움직인다. 지역과 기능간의 명확한 구분보다는 이를 넘나드는 퓨전형, 컨버젼스형 생활문화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현대사회의 노마딕한 공간은 흐름(flows),모호한 영역 (terran value),변이(mutation)되는 도시 속에, 흐름의 공간의 긍정적이고 창의적이면서 무반응적인 하나의 힘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인스턴트 스페이스(instant space)는 공간을 공유하고 끊임없이 변화되어 나아가는 현대사회의 유동적인 흐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사회의 흐름에 대응할 수 있고 변화의 가능성을 갖는 물리적 공간설계와 이벤트 계획의 상호작용을 통해 무장소성 형성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인스턴트스페이스(instant space)의 예를 들면 이동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하우스, 모바일 공간유닛, Transit Space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공간과 함께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공간을 탐색하거나 새로운 공간의 시도들이 필요하다. 도시내의 중요한 사이의 상호연결이 각각의 유치나 통제범위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에 그 요소들 사이의 흐름은 분산화와 소유 장소의 개념이 변화하고 공간이 가지는 아이텐티티와 개념 형태의 파괴가 일어나고 있으며 그 장소를 쓰는 사람이 생각이 바뀜으로 인해 그 사람이 사용하는 장소의 변화는 매우 중요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인스턴트 공간 요소들의 계획 방법과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개선된 방안을 찾고자 하였고 계획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유닛이 얼마나 독립적인가 에 따라 해체되고 분리될 수 있는 공간 이다. 이것은 한 조직내에서 끊임없이 분해 되고 변위되는 어떤 부분도 어느 시점에서 통합 또는 자족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assembly형태 구조로 나타나 분해decomposition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공간은 이동분리 결합 등 용이한 가변형 벽과 가구 등을 이용한 공간 계획으로 분활 및 확대 축소 등의 가변적인 특성을 지닌다. 공간에서의 변형은 가변형(flexibility)로 ‘형태를 손상시키지 않고 변화 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표현하여 변형(transfomation)의 공간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필요에 의해 또는 상황에 의해 성립되기도 가고 사라지기도 하는 변화하는 것으로 공간의 이동으로 인해 공간이 변경되는 공간규모의 확대 수나 크기위치 변화가 변화함을 의미한다. 공간이 이동할 때 공간과 장소는 고정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그곳에 순응하며 적응성 있는 공간으로 표현되어 전치(transposition)적인 공간개념을 도출할 수있었다. 또한, 소거[E](erase), 생성[O]origination, 변형[T](transfomation),이동 [M](migration) 의 방법으로 고정된 건축과는 달리 시간에 따라 성격과 용도가 변화함으로서 현실구현에도 적합한 인스턴트 스페이스를 고찰함으로써 현대도시의 새로운 공간을 찾고자 하였고 계획안을 통해 이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인스턴트스페이스(rent space)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점과 갖는 관계를 찾고 또한 그 관점이 반영된 공간을 제시한다

      • 노년기 피아노교육 연구방안

        오인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ern society has been boosting interests in an aspect of the quality life with th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by both the advanced science and medicine. The goal of education is to improve self-realization and the level of quality life and is equal to the focus of learning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whose ages are extended. The aesthetic experience by learning, which is able to be earned through the art activities, giving an assistance to people for more abundant life by influencing 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humanbeings lives. These reasons enables music a very crucial role, and it is utilized as an important learning tool providing most extensive and fundamental musical experiences. These reasons enables music a very crucial role, and it is utilized as an important learning tool providing most extensive and fundamental musical experiences. With the considering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music in regard with a human body rising from the aging process can alleviate the internal tense and conflict of human beings, bringing the vigor and freshness. In addition, it awards them the existing life’s enjoyment and spiritual pleasures with the psychological stability given from reminding good memory of their past life. The piano is used as a musical activity instrument in a variety of genres since it can describe various timbre, melody, and its suitable dynamics, transformed beats and etc. The reading music in the field of musical education is to learn musical language. With educating the piano and reading musical sheets, the life in a stage of senior age can be contributed to a little more abundant life by opening a diverse experimental field. Regarding research method, I have searched the uniqueness of physical, cognitive, societal, and psychological variations for the piano learners in a stage of old age. In an area of musical education, the teaching method of MMCP (Manha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 the US modern course of musical education, seems to be suitable for the piano teaching methods for seniors by organizing bases on the continuity whose foundation is a teaching method of Bruner and the principles of sequence. If we review the achievement results of the piano instruction for seniors in accordance with the scheme of learning plans, they have interests in the various music educations, and are willing to escalate higher-levels of musical satisfaction by building theoretical foundation including practical instruction as well as musical elements. The seniors are fast in understanding compared to being slow in physical responses like hand movements so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due to the self-initiative.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ose leaners possessing the condition of piano practices and those not possessing it in progressing teaching hours. On a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s, the prerequisite elements of the piano instruction for the old-aged are as followed. Firs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aged, today, does not have any problem in the piano education. In the times of graying, for the reason of the piano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m as a method to various culture experiences, we should create some program for senior class that has been the neglected as a main learner in this field. Second, The piano education for seniors should be an instructing method concerning their uniquenes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physical, cognitive and societal characteristics from other adults; therefore, more strategic learning should be projected if piano learning suitable to the needs and demands of senior students should be made. Third, The piano textbook for the seniors is timely immediate. They possess good understanding, but the current piano text for adult’s short course is not proper due to facilitating their plays of physically uncomfortable patterns. With the above reasons, the aspect of senior student’s eyesight and cognitive and movably minded uniqueness should be considered and I do regard the piano text’s survey and development containing their interests and requirements as pressing needs. Last, in order to continually activate piano education for seniors, senior support plans are fully and actively needed for the culture and art in an overall aspect of government and each class of our society. If government offices for local residences, welfare centers, cultural center, church, and so on, should be specially interested in the majority of seniors, whoever and whenever they can freely enjoy leisure activities and share cultural benefits by fulfilling the circumstances of musical instruction, experience, and practice including the piano, I think they are able to beautifully enjoy the later half of their lives abundantly themselves as a member of our society through art experiences. I do hope that the piano education for the seniors should be far more systematically and specifically realized in the near future with the full interests and the possibility that seniors might become the mainstream of future musical learning in the field of piano education throughout this research. 현대사회는 과학과 의학의 진보로 인해 인간의 수명 연장과 더불어 삶의 질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교육의 목표는 자아실현과 삶의 질적 수준을 향상 시키는 것이며 수명이 연장된 고령자에게도 학습 프로그램의 초점은 같다. 학습에 의한 심미적 체험은 예술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으로써 정서발달 및 생활에도 영향을 끼쳐 보다 풍부한 삶을 영위하도록 도움을 준다. 이러한 이유로 음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음악교육을 시작함에 있어서 피아노는 가장 기초적이고 광범위한 음악적 경험들을 제공하는 중요한 학습도구로 활용된다. 본 연구 목적은 피아노교육에 있어서 그동안 아동과 청소년에 집중 되었던 것으로부터 다가올 초고령 사회의 진입에 맞게 교육의 초점을 노년기로 그 중심축을 옮기는데 있다. 학습자 특성을 고려할 때 노화되면서 찾아오는 신체, 인지, 사회적 특성들에 대해서 음악은 인간의 내적인 긴장과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고, 활력과 생기를 가져다준다. 또한 그들에게 실제 삶의 즐거움과 과거의 좋은 기억을 되살려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서 정신적인 기쁨을 가져다준다. 음악은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전달하는 도구이다. 피아노는 다양한 음색과 멜로디, 그리고 그에 알맞은 셈여림과 변화되는 박자 등을 표현 할 수 있어 다양한 장르의 음악적 활동 도구로써 사용된다. 음악교육에 있어서 독보는 음악적 언어의 문자 체계를 배우는 것이다. 피아노 교육을 통해서 악보를 읽을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음악경험의 장을 열어주어 노년기의 삶을 좀 더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에 대해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노년기 피아노 학습자들의 신체적·인지적·사회적·심리적 변화의 특성들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노인교육의 시대적·사회적·개인적 요구를 고찰한 결과 피아노교육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음악교육에 있어서 미국의 현대 음악교육과정인 MMCP (Manha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 지도방안은 그 토대를 부르너의 학습 지도 방법인 계속성과 계열성의 원리에 두고 조직하는 것으로써 노인 피아노 지도방법에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설문지 조사 연구를 통하여 노년기 피아노 교육에서 그들의 요구를 알아보았고, 위의 문헌 연구와 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노인 피아노 지도방안을 구축하였다. 피아노 교육에 대한 학습동기 유발, 수업계획안, 또한 알맞은 교재 선택안 등을 제시 하였으며, 임상연구로는 네 사람을 선정하여 총 12차시에 걸쳐 주1회 90분씩 그룹레슨과 개인레슨을 병행하면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계획안에 따른 노인 피아노 지도의 성취 결과를 보면 그들은 다양한 음악교육에 관심이 많고, 실기 지도뿐 아니라 음악요소를 포함한 이론적 기초를 쌓아 보다 고차원적인 음악적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은 이해가 빠른 것에 비해 손을 비롯한 신체적 반응은 느린 편이며, 자기주도성이 강해 수업 지도상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업이 진행 될수록 진도에 있어서 피아노 연습 여건을 갖춘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 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피아노 학습 지도에 전제되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의 인지 기능은 피아노 학습에 있어 문제가 없다. 고령화 시대에 그들에게 다양한 문화 체험의 한 방법으로써 피아노 교육은 필요한데, 이 분야의 소외층 이였던 노인을 주된 학습자로 인식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노년기 피아노교육은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지도 방법이여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성인과는 또 다른 신체적·인지적·사회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노인 학습자의 요구와 필요에 알맞은 피아노 학습이 이루어지려면 보다 전략적인 학습이 계획되어야 한다. 셋째, 노년기를 위한 피아노교재가 시급하다. 노년기 학습자는 이해력은 좋으나 신체적으로 경직된 패턴의 연주가 되기 쉬워 속성과정의 성인 피아노 교재는 적합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노년기 학습자의 시력적인 측면과 인지적·심동적인 특성을 고려하고, 그들의 흥미와 요구를 담은 피아노교재 연구와 개발이 절실하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피아노 교육이 지속적이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노인 지원 대책에 정부와 사회 각 층의 전반적인 차원에서 문화 예술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 대다수의 노인들이 여가활동을 즐기고 문화 혜택을 누리며 살 수 있도록 동사무소, 복지관, 문화센터, 교회 등의 각 지역사회에서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 피아노를 포함한 음악지도, 체험, 연습의 여건을 구비하여 언제나 누구든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면, 예술경험을 통하여 스스로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삶의 풍요로움과 함께 인생의 후반을 즐길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피아노 교육에 있어서 노인이 미래 음악학습의 주류가 될 수 있다는 것에 기초하여 많은 관심을 갖고, 향후 더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노년기 피아노 교육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The) study of the indigenous movements' influence on the ecuadorian politics

        오인혜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El movimiento indígena ecuatoriano se considera uno de los movimientos más fuertes y de mejor organizados del mundo. La CONAIE está en el centro de este movimiento ecuatoriano. Ecuador no es un país con mayoría de población indígena. Pero muestra el carácter que podemos observar en los paises indígenas que tiene una gran población indígena. Es decir, donde los indígenas reclaman el derecho de participar en la política activamente. Aquí empiezan las preguntas: ¿qué elementos especiales de Ecuador da este caráter?, y finlamente, ¿cómo influyó el movimiento indígena en la política ecuatoriana? Este trabajo hace referencia a la teoría del proceso político que presentó McAdam. Según esta teoría, hay cuatro factores para construir y desallorar los movimientos sociales: el amplio proceso socioeconómico, el ampliar las oportunidades políticas, la liberación congnitiva y la fuerza de las organizaciones indígenas. Sin embargo, en este análisis no se aplica esta teoría directamente. Aquí se usa una teoría más simple que toma ea cuenta dos factores principalmente: la estructura socioeconómica y la sociopolítica. Las estructuras socioeconómicas del Ecuador que afectaron al movimiento indígena fueron el neoliberalismo, los conflictos de los recursos en las áreas donde habitan los indígenas, el regimén liberal, y etc. Por la parte de los factores siciopolíticos, hay que tomar en cuenta la experiencia del periodo Colonial, de Independencia y de la construcción nacional; además la democratización; la ganacia del sufragio; el aumento de la desconfianza de los políticos y las oportunidades abiertas que los atenerioes factores provocaron; y la fuerza interna de los organizaciones indígenas. En el año 1986, el CONAIE está construido sobre la base de las organizaciones indígenas que ya existían, como la ECUARUNARI, la COFENIAE y la CONAICE. Éstas también habían incluido a otras pequeñas comunidades que tienen bases regionales. Debido a que habían tenido bases regionales estables, pudieron dar grandes pasos, y han podido continuar su lucha, también. Finalmente la CONAIE ha logrado varios resultados excelentes. Dentro de este estudio, se clasifican los logros en tres categorías . Primero, los logros institucionales: el programa de educación bilingüe, la enmienda de la Constitución que añadió el artículo que define a Ecuador como un país multicultural, y la concesión de la tierra del gobierno a las comunidades indígenas son los resultados institucionales que la CONAIE obtuvo. Segundo, sus influencias sociales. Desde la década de los 90 la CONAIE había logrado grandes movilizaciones masivas. Sus éxitos es el resultado de estas estrategía. Al principio, los asuntos que la CONAIE trató estaban limitados a los de indígenas. Con el paso del tiempo, esto cambió y incluía todos los temas sociales. Otros quienes habían estado fuera del movimiento empezaron a participar. Así la CONAIE ha incluido a todos los actores de la sociedad ecuatoriana dentro de la sede de los movimientos sociales. Se puede considerar que las movilizacions masivas no sólo son una estrategía del movimiento sino también determinan el crecimiento del movimiento. Por último, está la parte política. El Pachakutik, el partido político de los indígenas, fue formado como el brazo político de la CONAIE. El partido trató de dejar la antigua cultura corrupta representada por el clientelismo político y construir una nueva cultura. Su influencia se notó en el resultado de las elecciones de 1997, cuando ocupó el 10 % de los asientos en la Asamblea. Y en 2002, apoyó la candidatura de Lucio Gutiérrez, y formó un gobierno de coalición con el PSP. De todas formas, la CONAIE y el Pachakutik confrontaron un dilema bajo el goberno de Gutiérrez. Ellos eran los líderes del protesta social y al mismo tiempo, tenía un papel como representante de los indígenas dentro del gobierno. Finlamente la coalición entre Pachakutik y PSP se derrumbó y el presidente Gutiérrez fue derrocado por las movilizaciones masivas antes de terminar su período. Pero en la lucha para la salida de Gutiérrez, la CONAIE no tuvo un papel de líder porque ya se había debilitado por su propio dilema. Las estructuras sociales afectan a los movimientos sociales, pero al mismo tiempo son afectadas por los mismos movimientos sociales. Esta función recíproca no es positiva siempre. Como en el caso de la CONAIE bajo el gobierno de Gutiérrez, hubo un resultado negativo. Aunque el poder de influencia de la CONAIE es la sociedad estaba en descenso, no podemos subestimar a la organización y a su movimiento mismo debido a los logros que históricamente han obtuido y a los cambios de las estructuras que logró este movimiento social. 에콰도르의 원주민 운동은 가장 잘 조직되고 영향력 있는 원주민 운동의 하나로 평가 받고 있다. 그리로 그 원주민 운동의 중심에 원주민 연합, CONAIE가 있다. 에콰도르는 인구 중 원주민의 비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원주민의 다수를 이루는 국가들에서처럼 적극적인 정치 참여를 요구하는 등의 특수성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요인이 에콰도르 원주민 운동에 이러한 특수성을 부여했을까? 그리고 원주민 운동은 에콰도르의 정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본 논문은 사회운동의 배경 요인을 설명하기 위해 맥아담의 정치과정이론을 참고하였다. 맥아담은 사회운동의 형성, 발전의 요인으로서 사회경제적 과정(Broad Socio-economic Process), 정치적 기회의 확장(Expanding Political Opportunity), 인식적 해방(Cognitive Liberation), 토착조직의 역량(Indegenous Organizations’ Strength)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요인들을 좀 더 간단한 범주인 1)사회경제적 구조 2)사회정치적 구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에콰도르에서는 과연 어떤 사회경제적, 정치사회적인 구조가 존재하였을까?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인 구조로서 신자본주의의 도입에 따른 빈곤의 증가와 소외, 원주민 거주 지역에 대한 자원 이권 쟁탈로 인한 착취에서 비롯된 원주민 정체성의 강화, 1895년과 1920년 사이에 추진된 자유주의체제(Liberal Regime)하에서 이뤄진 원주민의 자본주의 경제로의 편입 시도와 문화, 토지에 대한 위협 등을 제시했다. 사회정치적 구조로서는 군부정권의 종결과 함께 등장한 민주주의 제도, 그 과정에서 이뤄진 선거권의 획득, 기존 정치인들에 대한 불신의 팽배로 인한 새로운 정치 행위자에 대한 기회 증가, 그리고 원주민 조직 자체의 역량을 들었다. 에콰도르 원주민 연합(CONAIE)은 기존 원주민 커뮤니티들을 바탕으로 1986년 설립되었다. 기존 원주민 커뮤니티들에는 고지대의 ECUARUNARI, 아마존 지역의 COFENIAE, 해안 지역의 꼬인쎄CONAICE가 있는데, 이들 역시 더 작은 규모의 원주민 커뮤니티들로 구성된 연합의 형태를 지닌 조직이다. 지역커뮤니티로 이루어진 견고한 기반을 바탕으로 하여 지속적인 투쟁을 통해 꼬나이네는 여러 성과를 거두어 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성과를 제도적 영향, 사회적 영향, 정치적 영향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두드러지는 제도적인 성과로서는 스페인어와 끼추아어의 이중 교육 제도의 도입과 에콰도르를 다인종국가(multiethnic country)로 정의하며 원주민 권리를 인정하는 헌법 개정, 원주민 공동 토지에 대한 권리로서 일부 토지를 정부로부터 획득 등이 있다. 1990년 이례로 CONAIE는 지속적인 대중 동원을 통한 저항을 해왔는데, 위의 성과들은 그 결과인 것이다. 초기 원주민 권리에 대한 이슈를 중심으로 한 원주민들의 문제에 국한되던 운동의 쟁점들이 점차 사회 전반적인 문제들로 확대되어갔고 그와 함께 다른 섹터의 행위자들도 운동의 참여자로 변모해갔다. 이는 원주민 운동의 세력을 유지,확대 시키는 그들 운동의 한 방법이었을 뿐만 아니라 원주민 사회를 넘어 에콰도르의 전 사회적인 이슈와 액터들을 사회 운동에 참여하도록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그들이 가진 사회적 영향력으로도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1996년에는 CONAIE의 정치적 파트로서 원주민 정당인 Pachakutik이 등장한다. Pachakutik은 엄격한 원칙을 통한 운영을 통해 낡고 부패한 정치문화와 고객주의(Clientelism)를 타파하는 새로운 정치 문화의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 정치적 영향력의 증거로서 1997년에는 10%의 점유율을 보였으며, 비록 PSP당과의 연합을 통한 선거 캠페인이었으나 2002년에는 Lucio Gutiérrez 대통령 정권을 창출해냈다. 그러나, CONAIE는 오히려 정권 내에서 원주민의 대표로서의 역할과 사회 저항의 리더로서의 기존 역할 속에서 딜레마에 빠지게 되면서 한계를 드러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PSP당과의 연합은 붕괴되었고 Gutiérrez 대통령도 대중 투쟁에 의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해임되었다. 그러나 CONAIE는 Gutiérrez 퇴진 운동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등 오히려 그 한계를 드러냈다. 정권의 획득 내지 접근이 오히려 원주민 조직의 역량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ONAIE와 Pachakutik이 에콰도르 정치에 미친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데, 이것은 앞서 언급한 성과들을 이뤄내는 한편 사회와 정치에 영향을 미치고 그를 통한 구조의 변화를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이런 구조적 요인들은 사회운동을 형성, 발전 시키는 한편, 사회 운동에 의해 변화되어지기도 한다. 즉, 구조적 요인들에 의해 형성되고 발전된 사회 운동이 운동 과정 속에서 그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변화된 구조는 다시 사회 운동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 데 이는 긍정적인 영향이 될 수도 있는 반면, 부정적인 작용을 할 수도 있다. 변화된 사회구조가 부정적인 방향으로의 피드백을 형성하긴 했지만 이 역시 그들이 세상을 바꾸는데 영향을 발휘해냈다는 점에서 그들의 영향력은 충분히 평가 받을 수 있는 것이다.

      •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과 좀 개구리밥(Lemna aequinoctialis)의 분포에 대한 연구

        오인혜 梨花女子大學校 1985 국내박사

        RANK : 247631

        수생식물인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과 좀개구리밥(Lemna arquinoctialis)의 전국적인 분포를 조사하고 분포를 제한하는 생태적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으나 이 중 개구리밥은 태백산맥의 고지대와 지리산에는 분포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이 두 종의 분포를 제한하는 요인은 수온인 것으로 밝혀졌다. 개구리밥은 수온이 22~29℃의 온도범위에서, 좀개구리밥은 20~29℃의 온도범위에서 분포하였으며 이상적인 배양조건에서는 두 종 모두가 26℃가 최적온도였다. 그러므로 좀개구리밥은 개구리밥에 비해 온도의 적응범위가 넓으며 배교적 낮은 온도범위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조사된 바에 따르면 온량지수(Warmth index)가 90℃ month이하이고 최난월의 최저온도(minimum temperature of the warmest month)가 19.5℃이하인 지역에서는 개구리밥이 분포하지 않았다. 광산과 같이 특수환경조건인 지역에서는 기온이외의 무기광물의 요인이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의 분포를 제한하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화성의 납, 아연 광산지역에서는 물의 pH, Cd 및 Zn 농도가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의 분포를 제한하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 수중의 Cd농도가 0.30ppm이상이거나 pH가 4.8이하인 지역에서는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이 전혀 분포하지 않는다. 또한 Cd농도가 0.30ppm이하인 지역이라도 Zn농도가 0.07ppm이상이면 개구리밥은 분포하지않고 좀개구리밥만이 분포하며 7.50ppm이상이 되면 좀개구리밥도 분포하지 않는다. The distribution of giant duckweed and small duckweed have been investigated in Korea and the limiting factors for their distribution s were determined by field survey and laboratory experiments. They were found in most part of Korea and only small duckweed was found in some sites of high elevations on the T’aebaek mountains and Chirisan. Giant duckweed was found in sites in which water temperature was the range from 22℃ to 29℃ and small duckweed from 20℃ to 29℃. Especially in sites below 22℃, only small duckweed was found. And optimum temperature for the growth is 26℃ in both species. Therefore small duckweed can live in wider range of water temperature than giant duckweed. The giant duckweed could be delimited by the warmth index less than 90℃·month and minimum temperature of the warmest month below 19.5℃. The metal contents of water affected on the growth of giant duckweed and small duckweed, giant duckweed and small duckweed can not exist in sites which is more acidic than pH 4.8 or contains more Cd content than 0.30ppm. giant duckweed can not exist in sites which has less than 0.30ppm of Cd and above 0.07ppm of Zn, but small duckweed was more tolerable for the Zn content of water body. However neither can live above 7.50ppm of Zn.

      • LED 마스크 국내 인허가제도 개선방안

        오인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국내 LED 마스크 공산품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LED 마스크 부품 또는 부속품에 대해 규정할 뿐이다. 따라서 업체마다 선택적인 인허가제도를 적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을 입증하지 않은 채 시판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는 LED 마스크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위험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LED 마스크 인허가 현황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는 법과 하위 규정들을 미국, 유럽 연합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LED 마스크 국내 인허가제도의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유럽 연합은 LED 마스크를 포함한 의료기기가 아닌 미용 목적으로 제작된 일부 제품들도 선택적으로 공통사양기준과 의료기기 인허가제도를 준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국내에서도 LED 마스크 공산품에 대한 품목 대상을 지정하여 주요 기능에 대한 안전 기준을 마련해주고 일부 의료기기 인허가제도를 준수할 수 있도록 개정한다면 LED 마스크 산업을 활성화하고 안전성 확보를 강화하는데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LED 마스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얼굴에 쓰는 가면 모양으로 생긴 피부 미용기기로 정의하였다는 점이다. 본 제품의 한해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외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Currently, domestic LED mask industrial products only regulate LED mask parts or accessories by the Electrical Appliances and Household Goods Safety Management Act. Therefore, since a selective regulatory system is applied to each company, some problems are commercially available without demonstrating safety. This poses a danger to the indiscriminate use of LED masks. In this study, the regulatory system applied mainly to LED mask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Through this, problems of the LED regulatory system in Korea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Consequently, the governmen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boosting the LED mask industry and strengthening the safety of products if it provides legal procedures to prove the safety of major functions by designating items for LED mask industrial product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