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대별 판례를 통해 살펴 본 재산분할의 양상과 개선방안

        오윤영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rocess of becoming an industrialized society, the Korean family system has changed hugely. In the aspect of the form of the family, the patriarchy system that is characterized by its man-centered form has changed into the nuclear-family system that is centered by man and wife and their children. The morality and law regarding married couple's matter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flow. Especially, our society is accepting the individualism instead of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regarding the lives of the family members. Furthermore, the notion of the divorce is changing, so when there is the cause that make the marriage last no longer such as the infidelity, divorce can be the breakthrough to solve it according to the changed notion of the divorce. Nowadays, the divorce rate is becoming higher and higher, so the matter of how to divide the family property is the issue of the society. Our civil law acknowledged the right of claiming the division of the family property when there is divorce or the cancellation of the marriage, so equal family right has been acknowledged. And it appears that our civil law ensures the independent economic act among the married couple and it selected the couple-centered property system that is based on the market-economy system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stability and quickness of the commercial trade. In the aspect of the lawful system of the property of the married couple, our civil law stipulates it in the article 830 and 833, especially in the article 830, the law selected the separated calculation system as the lawful property system. Specifically, in the clause 1, the article 830 stipulates 「The property that is owned by one person of the couple before marriage and the property that is owned in the name of one person of the couple in marriage are specially separated property of the person.」In the clause 2, the article 830 stipulates 「The property whose owner is not known will be assumed the shared property of the married couple.」 However, current separated calculation system has huge problems. For example, a wife cannot do economical act in the social circumstances that her husband is in. And normally, a wife give up her career in the burden of housework and upbringing of her children. Furthermore, the lawful owner of the real estate that is formed in marriage is normally a husband, and a wife has no lawful breakthrough against her husband's disposing of their couple's property without her consent. And when divorce occurs, a wife can only claim the division of the couple's property in the specific rate according to the worth of her housework. So current separated calculation system as the lawful property system is criticized by the opinion that it ensures only "formal equality of the married couple", not "virtual equality of the married couple". Because under the current system one person of the married couple can manage his or her property without his or her partner's consent, so the property that is owned in the name of only one person of the couple can be disposed without his or her partner's consent although the property is formed by mutual effort of the married couple. Furthermore, current family law did not prepare the standard with which the family property can be divided when the married couple divorce. So each judicial court presents individual precedent according to the judge's free will regarding the standard of the division of the family property, the object of the division, and the means of the division.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the plan of renovation regarding the division of the family property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hange of the precedents of the case of the family property division in 1990's and 2000's. First, in part 1, I specified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ive of the dissertation, and in part 2, I introduced the brief explanation of the system of the division of the family property. In part 3, I analyzed the domestic judicial precedents regarding the division of the married couples' property to figure out the structure of the decision of domestic law system. After that, I analyzed abroad case of legislation. Then in part 4, I analyzed the problem regarding the separated calculation system based on the judical precedents. In part 5, I presented the change of the judicial precedents regarding the points of consideration of dividing the family property in 1990's and 2000's. In part 6, I presented my suggestion regarding the renovation of current married couples' property system in various aspects and in part 7, I concluded the study.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가족제도에 큰 변화가 일어났으며, 남성우월 적이던 가부장제의 가족관계가 부부와 자녀를 중심으로 하는 핵가족화 되어가고 있으며, 부부 간의 윤리 혹은 법적 규범도 새로운 시대적 흐름에 맞게 변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우리사회가 혼인생활에 있어 전통적 가족주의보다 개인주의가 중요시되는 사회로 변화되었고, 이혼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크게 변화되어 배우자의 부정행위 등 혼인생활을 더 이상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혼이 가능하다는 가치관의 변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급격한 이혼율의 증가에 따라, 혼인에 의해 형성된 부부간의 재산의 분할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우리 민법은 이혼 시와 혼인 취소 시에 재산분할청구권을 인정하여 부부중심의 평등한 가족관계를 정립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외견상으로는 부부 양자 간의 독립적인 경제활동을 보장하고 거래의 안정성 및 신속성이 요구되는 시장경제의 원칙에 충실한 부부재산제를 채택하고 있는 듯하다. 법정부부재산제에 관해선 민법 제830조에서 제833조까지 규정하고 있는데, 특히 제830조에서 법정재산제로서 별산제를 채용하여, 제1항에서 「부부의 일방이 혼인 전부터 가진 고유재산과 혼인 중 자기의 명의로 취득한 재산은 그 특유 재산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제2항에서는 「부부의 누구에게 속한 것인지 분명하지 아니한 재산은 부부의 공유로 추정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행 별산제는 여성이 남성과 동일한 사회적 조건 속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가 없을 분만 아니라 가사와 육아의 부담으로 인하여 혼인 후 직장생활을 포기하는 등 경제적 불이익을 감내하고 있고, 혼인 중 형성된 부동산은 주로 남편의 명의로 등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다, 명의자인 남편이 재산권을 마음대로 처분하는 경우 재산형성에 기여한 처는 이러한 처분행위에 대하여 법적 대처수단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특히 혼인이 해소되는 경우, 처는 단지 혼인 중에 형성된 재산에 대하여 가사노동의 가치를 인정받아 일정한 비율의 재산을 분할청구 할 수 있을 뿐이며, 이러한 이유에서 현행 법정재산제도인 별산제는 부부일방이 자신의 명의로 된 재산은 자의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혼인생활 중 공동의 노력으로 취득한 재산임에도 불구하고 명의자에 의하여 일방적으로 처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부사이의 형식적 평등"은 달성하였으나, "부부사이의 실질적 평등"을 실현할 수 없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또한, 현행 가족법상 이혼시의 재산분할에 관한 구체적인 산정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법관의 자유재량에 의하여 재산분할의 기준, 분할대상, 분할 방법 등을 판단하여 법원에 따라 판례가 다르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재산분할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1990년대와 2000년대 재산분할에 관한 판례를 살펴봄으로써 판례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합리적인 재산분할의 개선방안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우선 제1장을 통해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명확히 하고, 제2장을 통해 재산분할 제도에 대한 간략한 개관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부부재산에 대한 현재 국내법의 판단 체계를 살펴보기 위해 부부재산 제도에 대한 논의들을 판례 중심으로 살펴 본 후, 외국의 입법례를 살펴보았다. 이후 제4장에서 판례를 중심으로 별산제의 문제점을 살펴본 후, 제5장에서 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1990년대와 2000년대 재산분할 산정시의 고려요소에 의한 재산분할 양상이 판례상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파악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제6장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현행부부재산제도의 개선방안을 논한 후 제7장을 통해 연구의 결론을 지었다.

      • 현장시험 및 입도분석에 의한 낙동강 중류 하안지역의 수리전도도 특성 연구

        오윤영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stimate hydrogeological properties (specially hydraulic conductivity) where the riparian zone of the Middle Nakdong River using in-situ hydraulic tests and grain-size analyses. The study area is located near the Gumi Bridge, Waegwan Bridge and Seongju Bridge. The geology of the study area is composed of Precambrian Sobaeksan Complex, age-unknown granites, Triassic granites, Jurassic Daebo granites, sedimentary Sindong Group (Nakdong, Hasandong, and Jinju Formations), volcanic Yucheon Group, and Cretaceous Bulguksa granites. Quaternary alluvium overlies all the above rocks by the unconformity. The fracture system in the study area is characterized by NE to NNE direction. This direction is similar to that of main and tributary Nakdong River system. As the result of hydrogeological study, the geology of the fluvial deposits consists of medium sand layer, sandy gravel layer, weathered zone, and bedrock. The thickness of the riverside deposit (28.6 m) in the Waegwan Bridge area is thickest among the three areas. The horizontal extent (2 km) of the riverside deposits in the Seongju Bridge area is broader than the other areas. This results from that the hyporheic zone is better developed in the Waegwan and Seongju Bridge areas than in the Gumi Bridge area. Hydraulic conductivity (K) that presents hydraulic property of porous media can be determined by field and laboratory testing. In this study, K was determined by means of in-situ tests (pumping test and slug test) and experimental equation from grain size distribution. By the result of the slug test and grain size analysis in BH-11, the geometric means of K is similar to each other but 2.56 times differed from those by pumping test. In BH-2, the pumping test and the slug test results are almost the same while the values differ 1.7 times from those by grain size analysis. In BH-3, the result by the slug test and the grain size analysis is similar to each other with 1.3 times difference. However, the values show two times difference from those by pumping test. In BH-7, the result of pumping test and slug test is almost same with only 1.2 times difference; while it displays 1.7 times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grain size analysis. Transmissivity is higher as 1.62x10-3 m2/sec in the Waegwan Bridge area than the other areas. Unsaturated K ranges from 10.83 cm/hr to 366.04 cm/hr, reflecting the hydraulic property of sandy layer.

      • 안전성 확보를 위한 먹는물 수질기준 비교 연구

        오윤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orean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has thus far been amended several times. But the Korean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has been established by reference to the foreign standard and the same water quality standard has been applied to carcinogenic substances for more than 10 years. Therefore, it is unreasonable to say that safe drinking water has been supplied for people.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is needed to protect public health from hazardous substances and supply people with safety water. For this purpose,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was established by mobilizing the scientific, systematic method from WHO, the US and the like.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extend the number of items of the water quality standard, set the goal of concentrations and proposed to indicate the value of less than the quantitiation limit as less than ‘less than the detection limit’ in indicating the result of water quality examination.And in case of non-carcinogenic substances, the water quality standard was reinforced to hexachromium 0.02㎎/ℓ, cadmium 0.002㎎/ℓ, toluene 0.4㎎/ℓ. The detection limit of hexachromium, cadmium, cyanide, mercury, selenium was reinforced to 0.003㎎/ℓ, 0.001㎎/ℓ, 0.007㎎/ℓ, 0.0005㎎/ℓ, 0.01㎎/ℓ, respectively. In case of carcinogenic substances, the water quality standard was reinforced to lead 0.015㎎/ℓ, arsenic 0.01㎎/ℓ, trichloroethylene 0.005㎎/ℓ, benzene 0.005㎎/ℓ, dichloromethane 0.005㎎/ℓ.This study proposed to adjust the detection limit of lead and arsenic to 0.01㎎/ℓ and 0.003㎎/ℓ, respectively.Finally, this study proposed to unify the water quality standard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kinds of drinking water. 우리나라의 먹는물 수질기준은 1963년 처음 29개 항목에 대해 제정된 이래,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그동안 정수처리 기술의 발전을 기반으로 수질기준 초과율은 1%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기준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설정되었다기보다는 외국의 기준을 참고하여 설정되어 왔으며, 발암물질의 경우 10년 이상 동일한 수질기준을 적용하여 오고 있어, 안전한 물을 공급하고 있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먹는물 수질기준은 유해물질로부터의 건강 보호와 안전한 물의 공급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이를 위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수질기준을 설정하고 있다.따라서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기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위해성평가를 이용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WHO 등 선진 외국의 먹는물 수질기준과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위해성 평가를 이용하여 먹는물 수질기준의 안전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제화 시대에 걸맞는 수질기준의 마련을 위한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았다.본 연구 결과, 수질기준 항목수의 확대, 수질기준 설정시 목표농도의 설정, 물질 특성과 초과 농도범위에 따라서 수질기준 초과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수질검사 결과 표기시 정량한계 이하 값을 불검출로 표기하는 것은 정확한 수질관리를 어렵게 할 뿐 아니라, 건강위해성을 간과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정량한계 이하’로 바꾸어 표기할 것을 제안한다.또한 위해성평가 결과 비발암물질의 유해영향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성 강화차원에서 6가 크롬은 0.02㎎/ℓ, 카드뮴은 0.002㎎/ℓ, 톨루엔은 0.4㎎/ℓ로 수질기준을 강화하고, 6가 크롬, 카드뮴, 시안, 수은, 세레늄의 정량한계를 각각 0.003㎎/ℓ, 0.001㎎/ℓ, 0.007㎎/ℓ, 0.0005㎎/ℓ, 0.01㎎/ℓ로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발암물질의 경우, 위해도는 대체적으로 10-5~10-6 수준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나, 발암물질은 비가역적인 특성을 고려해 수질기준이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이에 납 0.015㎎/ℓ, 비소 0.01㎎/ℓ, 트리클로로에틸렌 0.005㎎/ℓ, 벤젠 0.005㎎/ℓ, 디클로로메탄 0.005㎎/ℓ으로 수질기준을 강화하고, 납의 정량한계는 0.01㎎/ℓ, 비소는 0.003㎎/ℓ으로 조정할 것을 제안한다.마지막으로 먹는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 수질기준을 통일할 것을 제안한다.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의 수질검사 자료만을 이용하였다는 점과 노출경로를 섭취에 의한 단일경로로 설정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는 만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팀티칭 영아반 보육교사간의 관계 변화 과정

        오윤영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남 w 군에 영아반 팀티칭을 운영하는 3개의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현재 어린이집 재직 중인 만 1, 2세 팀티칭 영아반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영아반 보육교사의 팀티칭과정에서 일어나는 보육교사간의 관계 변화과정과 영아반 팀티칭 경험이 보육교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팀티칭영아반 교사들의 실제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그 현상을 탐색하고자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를 포함하여 팀티칭 과정을 더 이해하고 영아반 팀티칭을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이 한 공동체 안에서 팀을 이루어 상호 존중하며 서로 협력하여 보다 더 완전하고 완성된 영아보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시행했던 팀티칭의 기간 동안 그 과정에서 발생하고 발견되는 많은 현상들에 대해 들어보고 함께 그 의미를 다시 정립해봄으로서 영아반에서 팀티칭을 더욱 효과적으로 시행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팀티칭을 가능하게 하여 영아반 보육교사와 및 어린이집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한다. 팀티칭 영아반 보육교사간의 관계 변화 과정은 첫째, 만남과 적응의 과정이다. 팀티칭을 시행하는 영아반 어린이집 교사들은 1년 동안 함께 생활하고 교수를 같이 해야 할 팀교사와의 새로운 만남과 적응을 준비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원의 사정과 운영의 형편의 이유로 원장의 결정에 따라 팀티칭반과 팀교사가 결정되어지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이러한 일방적인 환경에 적응하여야 하는 여건 속에서 팀티칭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렇게 시작한 팀티칭의 환경에 대한 적응 과정에는 나와 다른 교사와 상대 팀교사의 언어와 행동에 적응하기, 교육관과 교육방법에 적응하기, 역할 수행에 따라 적응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둘째, 갈등과 협력방안의 과정이다. 한 공간에서 두개 이상의 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같은 공간속에서 부딪힘으로 발생되는 내반, 네반으로 인해 둘이 하나 되지 못한 문제들, 한 교실에서 공동생활로 인한 역할 분담 문제, 교사의 빈자리로 인한 교사 대 영아비율로 인한 갈등, 성격차이로 인한 갈등, 한 공간 안에서의 문제 등 그러한 갈등 속에서도 그들만의 나름대로의 자구적인 방법들로 해결해가며 운영되어지고 있다. 상대 교사와 대화로 풀어가고, 비공식적인 모임으로 친밀감을 도모하며, 능동적인 자세와 지지하고 안내하는 협력자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셋째,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팀티칭과 상대팀교사와의 원만하고 융통성 있는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 대부분의 보육교사는 다음 학기의 대한 새로운 기대와 희망찬 각오를 보였다. 팀티칭 영아반 보육교사간의 관계 변화과정을 경험한 보육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팀교사 서로의 모습을 통해 마치 거울처럼 내 자신을 비춰보고 나를 발견함으로서 보육교사로서의 자기 자신의 내면을 바라 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자신의 내면을 다듬고 자기 수양과 자기 교육이 필요함을 깨닫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신을 성찰하고 교사의 정체성을 일깨워 좋은 보육교사로서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둘째, 상대 팀교사와 만남을 통해 보육에 관한 새롭고 효용성 있는 지식과 자료를 얻을 수 있었고 이러한 정보 교환과 공유의 분위기 속에서 보육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더욱 발전 시켜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팀교사와 관점의 차이를 극복하고 협력하면서 서로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을 통하여 깨닫게 되는 자신에 대한 성찰은 보육교사로서의 전문성과 나아가 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올바른 가치관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셋째, 팀티칭을 통해 서로 협력하여 나아가는 팀티칭 교사는 새로운 협력의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계기가 된다. 혼자서 반을 관리하고 교수하였다면 협력의 의미를 덜 느끼지만 팀티칭을 경험하면서 타인과의 보다 폭 넓은 협력의 방법을 알고 익히며 직장 동료 교사간 건강하고 화목한 관계 형성의 열매들을 수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호 존중을 위해서는 서로를 이해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상대의 말에 경청하며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진솔한 대화의 의미와 결과는 답답하고 고립된 한 교실의 공간에서 영아반 팀티칭 교사라는 동질감과, 연대감을 회복하고 동감할 수 있으며 팀티칭의 어렵고 힘든 동료 간의 갈등문제들을 풀어 가는 하나의 방법으로 그 의미를 두고 있다. In this study, three nursery schools that operate team teaching in infant classes in W gun, Jeollanamdo, were sele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 process of relationship between nursery teachers and what the team teaching experience foran infant class means to teachers. The research attempted to explore the phenomenon based on actual experience of team teaching teachers of an infant class and understand the team teaching process includ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order to apply team teaching to infant classes more effectively. The researcher attempts to listen to and examine many phenomena during the team teaching period, where they made a team and cooperated with one another in the group for more complete and established infant care, in order to enable more effective and successful team teaching in infant class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infant class teachers and nursery schools. The first change process of relationship between infant class teachers in team teaching is meeting and adaptation. The second is the proces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methods. In team teaching, two or more classes are conductedin the same space, and teachers have a hard time uniting into one because of the frictions. There is also a problem with privacy violation and sharing work; unsupportive and uncooperative partner; clash of personalities; and hierarchy among teachers. However, they still solve these problems with their own solution and operate team teaching in these circumstances. They talk to their partner teacher to solve the issues and establishfriendship through conversation and personal meetings,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ne another and maintaining relationship as a cooperator and collaborator. Third, in case of effectively operated team teaching and flexible and smooth relationship with partner teachers, most teachers showed excitement and hope for the next semester. The meanings of team teaching experience for infant class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by reflecting on themselves through the partner team teachers, they had the opportunity to discover and understand themselves as a nursery school teacher.In other words, they realize the necessity of self-training and self-education with introspect. This experience becomes an opportunity for them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establish identity as a teacher. Second, it was an opportunity for teachers to obtain new and useful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meeting with other team teachers and they could develop their expertise as a nursery teacher through the exchange and sharing of information. By overcoming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and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theyexchange evaluation and feedback to improve their expertise, identity, and value system as a nursery teacher. Infant class teachers at a nursery school that operate the team teaching system must prepare for meeting with and getting used to new team teachers who will work together for a year. However, in most cases, the team teaching classes and partner teachers were decided by the principal due to circumstances of the school.Nursery school teachers begin team teaching when they must get used to such unilateral environment. While trying to get used to the team teaching environment, teachers understood that they need to adjust to other team teachers’ language and behavior as well as their teaching philosophy, method, experience, and role. Third, team teaching and team teaching teachers provide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cooperative culture. They would not have felt the meaning of cooperation if they managed and taught a class on their own, but they could establish healthy and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by experiencing cooperationin team teaching. Mutual respect requires understanding, attentive listening, and open mind to the other. A genuine conversation can result in creating bond as infant class team-teaching teachers in an isolated and closed classroom, and be a way to solve conflict among colleagues.

      • 멀티미디어 프로그램과 활동 중심 발음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마찰음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윤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inaccurate pronunciation is a major problem to communication and leads to the misunderstanding of the listener. English learners should learn about not only the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target language but the exact pronunciation of it. Specifically, Korean learners who learn English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are likely to be thrown into confusion when they pronounce English fricatives due to the different sound system of Korean and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variety of activity-centered pronunciation instruction using multimedia programs on 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and pronunciation skills of English fricativ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 fifth-grade English learners in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After domestic and foreign multimedia programs were analyzed, activity-centered vocabulary education was provided based on the basic vocabulary lis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the conversation of the speakers was recorded, and two English native speakers evaluated their pronunciation in respect of intelligibility and comprehensibil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distinction skills of English fricatives and pronunciation accuracy before the experi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t indicated that the ability to discriminate the phonemes of the fricatives had nothing to do with another ability to pronounce them accurately, which proved the necessity of efficient pronunciation education. Second, as for changes in the pronunciation of the fricatives, they showed an improvement in pronouncing /v/, /s/ and /Θ/ af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ut no change was found in their pronunciation of /f/. It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better at unmarked pronunciation, as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hypothesis about markedness. The various sorts of activity-centered pronunciation lessons that utilized multimedia program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pronunciation accuracy. Third, whether they underwent any changes in understanding of fricative pronunciation was checked, and they made progress in the pronunciation of /s/ and /Θ/. They found it relatively easier to understand the pronunciation of /f/ and /v/ from the beginning, and they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understanding of /s/ and /Θ/ after they received the activity-centered pronunciation instruction. It sugges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ricatives when they learn how to pronounce particular fricatives they are likely to mispronou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nunciation accuracy and understanding of the fricative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two of /f/ sound(.625), and a very clos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wo of /v/ sound(.828). Ye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of /s/ and /Θ/ sounds(.-168, .143). As Munro and Derwin(1997)'s study and Matsuura and two others(1999)'s study found that the pronunciation accuracy and understanding affected each other but were separate and independent dimensions, accurate pronunciation didn't necessarily lead to good understanding.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English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to get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sound system of English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first of all, and they should make use of diverse multimedia to provide intriguing activity-centered pronunciation instruction tailored to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ers. And every party concerned involving teachers should try to prepare systematic English curriculums and textbooks to ensure the efficiency of pronunciation education. 부정확한 발음의 사용은 의사소통상 중요한 장애 요인이 되고 청자로 하여금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영어를 배울 때 문법과 어휘력의 습득뿐만 아니라 목표어의 정확한 발음 습득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제2외국어로 영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인 학습자들의 경우, 영어와 모국어의 음운체계가 달라 유창한 영어 발음을 하는데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많은 마찰음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 중심 발음 수업을 실시하여 이해도와 명료도 측면에서 초등학생의 마찰음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G초등학교의 5학년 영어학습자 19명을 대상으로 국내외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조사·분석한 후 제7차 교육과정 기본어휘표에 존재하는 어휘를 중심으로 활동중심 발음지도를 실시한 후 학습자의 발화 녹음을 실시하고 두 원어민이 명료도와 이해도를 평가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영어 마찰음 식별능력과 발음 명료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 마찰음 소리를 듣고 같거나 다른 음소로 구별해내는 능력과 발음을 명료하게 구사하는 능력은 서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학교에서 발음지도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사전-사후 영어 마찰음 발음의 명료도 변화는 /f/발음을 제외한 /v/, /s/, /Θ/의 발음은 향상되었다. 이는 유표성 차이 가설에서 예상되어진 것과 같은 결과로 학습자들은 무표적인 발음을 더 잘하는 것을 알 수 있음을 드러낸 결과였다. 본 실험 연구에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과 활동 중심 발음 수업이 마찰음 발음의 명료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사전-사후 영어 마찰음 발음의 이해도 변화를 비교한 결과 /s/와 /Θ/ 발음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f/와 /v/ 발음은 원어민 화자가 처음부터 비교적 쉽게 이해하는 발음으로 나타났으며 /s/와 /Θ/ 발음은 활동 중심 발음 수업을 실시한 후 발음의 이해도가 향상된 것으로 오류가 예상되는 발음에 대한 지도를 실시한다면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발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넷째, 마찰음 발음의 명료도와 이해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f/ 발음의 상관계수는 .625로 높은 상관을 보였고, /v/ 발음은 .828로 매우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 발음과 /Θ/ 발음의 상관계수는 각각 .-168과 .143으로 통계적으로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Munro와 Derwing(1997), Matsuura 외 2인(1999)의 발음의 명료도와 이해도의 연구에서 명료도와 이해도가 서로 영향을 주긴 하지만 각각 독립된 차원에 속한다고 설명한 것과 같이, 높은 명료도가 반드시 좋은 이해도와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지 않는다는 실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명료도와 이해도 사이에 상관관계를 갖는 발음 영역에 대한 일치된 견해가 없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멀티미디어 프로그램과 다양하고 재미있는 영어 발음 관련 게임, 노래 등의 활동 중심 발음 지도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마찰음 발음의 명료도와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소리 식별 능력과 발음 능력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처럼 학생들의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영어 수업 시간에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발음 지도를 실시해야 하며, 영어 교사들은 영어 발음 지도에 선행하여 우리말과 다른 영어 음운체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흥미와 수준에 알맞은 활동을 중심으로 한 발음 수업을 적극 고려하여야 하겠다. 본 연구는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발음 지도 관련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개별음에 대한 지도 방법만을 제시하였는데 수업 시간 중 통합된 발음 지도 시간을 갖는 것을 제안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영어교사들이 수업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음 학습을 관리할 수 있도록 영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발음 지도 요소가 발음의 난이도에 근거해서 체계적으로 조직되어지도록 모든 관계자와 교사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 대전 지역 고등학생의 표준어 사용 실태 연구

        오윤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emphasized in "the Rules of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that it should be very instructive on educational system, moreover, it is an essential element of people beyond the level of culture and cultivation of a nation. In this study, therefore, we focus on analysing how the standard language become the basic practice in high school as well as how the students use it correctly. First,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the system of the contents and the chapters on the standard language education of the textbook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courses of "Korean Common Basic Education", the education of the concept of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has been brought too lately since the concept has been instructed at 9th grade which means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e pronunciation or the phonology of consonant and vowel has been comparatively taught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after the period, the education on neither the phonology nor the standard language has been instructed more specific. Secon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the cognitive degree and the observance degree of Korean standard language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51.6% of 240 samples answered that they did not take the educational courses of Korean standard language even though they did in fact, while 96.2% of the respondents ironically answered they needed the courses. In addition, the survey shows that 37.9% of the respondents use it correctly, and the correct use of plural standard language corresponds with 20% of the respondents. Finally, this study synthesized those analyses and results from the survey, and suggested the effective instructive principles on the textbook course of Korean language.

      • 문화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창조도시론 : 창조도시론에 의거한 내발적 발전과 인천의 지역경제

        오윤영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는 사회구성원이 공유하는 생활양식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 정신적 소득의 총체로서, 창조도시의 사례뿐만 아니라 모든 사회에는 문화가 존재하고 있다. 그렇다면 창조도시 여부는 곧 문화 또는 제도의 우수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창조도시가 곧 우수한 문화를 지닌 도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창조도시가 추구하는 도시재생이나 도시성장에 문화를 잘 활용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를 갖춘 도시가 창조도시라고 생각한다. 또한 창조도시의 다양한 제도도 그 지역에서만 유용한 제도로 타 지역에서 동일하게 작용한다고 보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문화경제학의 관점에서 문화의 경제적 역할을 명확히 하여 지역의 문화를 통하여 경제적 성과 도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창조도시의 사례를 이용하여 문화의 경제적 역할이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제도들의 고찰하여, 인천시에 적용이 가능한 제도를 제안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한다.

      • 스마트 무인기의 회전모드에 관한 공력해석

        오윤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numerical analysi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has been conducted to calculate the flow around the Smart UAV, CRW(Canard Rotor/Wing). The governing equations are sloved using implicit LU-SGS scheme for the time-marching integration and a Baldwin-Lomax model is used for the turbulence modeling. Chimera Grid Scheme which is called overset grid scheme is used to solve a moving grid problem. Numer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in case static one blade. It has pressure difference between root and blade tip. The pressure difference makes trailing vortex flow.

      • 청소년의 세대공동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분석

        오윤영 조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radual intensification in an inter-generational conflict leads to being prompted a preparation plan, resulting in being magnified the importance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can be taken among the educational approaches that strive for this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is being provided mainly targeting toddlers, children, and the elderly generation, thereby needing to be carried out targeting a whole generation including adolescents or youngsters, and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Especially,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is needed targeting children or adolescents who will become a potential elderly generation in aging society. Out of it,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shown in adolescence. Thus,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needs to be offered in that period.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targeting adolescents, is insufficient. And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which was exploite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dolescents' demand, is incomplete as wel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necessary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inter-generational education for adolescents, through grasping adolescents' recognition and needs of inter-generational education. To do this, the aim is to seek implications for vitalizing inter-generationa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what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is and what the adolescents are requesting as inter-generational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that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First, which awareness and needs do adolescents have for inter-generational education?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needs of inter-generational education depending on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what are implications of being given to inter-generationa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recognition and needs of inter-generation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