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아트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오영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오영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미술치료학과 미술치료전공 지도교수 최외선. 김갑숙 본 연구는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I시에 위치한 D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2,3,4학년의 초등학생 중에서 한 부모 가정의 아동 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고, 같은 조건의 C 지역아동센터 아동 7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2011년 6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주 2회 90분씩 2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표현척도와 사회적 기술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 후, 그리고 프로그램이 끝나고 한달 뒤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검사와 반복측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자기표현 전체와 하위요인인 말한 내용과 비언어적 표현에서 사전보다 사후, 추후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사회적 기술 전체와 하위요인 중 공감에서 사전보다 사후, 추후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한 부모 가정 아동이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s on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single parent children 오영미 Department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s Choi, Wae-Sun and Kim, Kab-Soo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s on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single parent children. 7 children with a single par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nd, 3rd, and 4th grade who attended a local community youth center in city D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7 children with a single parent in the same grades as above who attended a local community youth center in city C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therapy program ran for 20 sessions, twi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from June, 2011 to September, 2011.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included a self-expression scale and social skill scale, both of which were administered before the therapy implementation for a pretest, after the therapy completion for a post-test and one month after the therapy completion for a follow-up test.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on SPSS WIN 12.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post and follow-up test than on the pretest on the self-expression and its subcategories including spoken content and non-verbal expressio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post and follow-up test than on the pretest on the social skill and its subcategory, empath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single parents. Overa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s helps children with a single parent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other people.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용산구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오영미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행정환경이 급변하면서 국민이나 주민들이 공공부문에 기대하는 행정수요는 갈수록 다양하고 까다롭게 제시되고 있어 시대에 맞는 가변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이러한 행정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공무원들의 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이고도 현실적인 방안 가운데 하나는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높이는 일이다. 이에 따라 공무원 교육훈련의 중요성이 이슈화 되고 관련제도도 정비되면서 공무원의 교육훈련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어 오고 있으나 교육훈련의 효과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며 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중론이다. 기존의 지적과 비판대로라면 공공부문의 경쟁력과 생산성 제고를 위해 공무원 교육훈련을 효과적으로 재설계하는 일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먼저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내어 반영하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교육훈련의 궁극적인 목적은 직무수행능력의 향상에 있으므로 본 연구는 효과성의 다차원적 정의 중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였고, 또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바탕위에 지방직 공무원의 특성을 반영하는 전이 요인과 연구대상으로 삼은 용산구 공무원들에게 영향을 미칠만한 전이 요인을 반영하였다. 한편 교육훈련 전이의 자기보고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본인의 교육훈련 전이 뿐만 아니라 동료, 상 ․ 하위 직급자의 전이도 함께 응답하도록 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실증적 자료 확보를 위해 서울시 용산구 공무원 365명을 그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과 응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자료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분석결과 추출된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가설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무경력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수들이 교육훈련 전이에 대하여 정(正)의 인과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특성인 학습동기와 피훈련자의 교육훈련 전이가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선행연구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성이 높은 피훈련자 일수록 교육훈련전이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상황적 특성인 인센티브, 리더십 및 조직분위기, 재량권의 변수와 교육훈련 전이와의 유의한 관계를 확인하여 교육훈련 전이를 높이기 위해 조직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근무경력은 교육훈련 전이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Along with a radically changing administration environment, people's demands for public administration become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Thus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flexible role as a public servant appropriate with the changing era. To enhanc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training for public servants is one of the realistic and effective plans to respond the changing administration environment and improve their ability. Accordingly the interest in education training for public servants arises as the significance of the training of public servants is highlighted and related rules are newly amended. However the effect of such education training failed to meet the expected demand. A general concern is made on a relatively lower efficiency of the education training compared with other fields. According to the above critical points, it is urgent to redesign the current education training for public servants more effectively to enhance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in public sector. First and foremost, influence factors of the education training efficiency should be identified and reflected on the redesigning. An ultimate aim of education training is to enhance job performance. Accordingly influence factors for a 'training transfer' among multidimensional definitions of its efficiency are empirically identifi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servants in local government. Furthermore, built on the theoretical achievement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raining transfer factor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 servants in Korean local government and training transfer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public servants in Yongsan-gu as the study subjects. Here, not only the training transfer of the author of this study but that of the colleagues', senior and subordinate co-workers' were recorded to complement the limit of the self-reporting of the training transfer.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as follow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65 public servants in Yongsan-gu, Seoul to collect empirical data. By using SPSS 18.0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to identify demographic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made to identify perceptions of the survey respondents. Moreover a factor analysis was made to evaluat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data,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verify hypothesis with a factor yielded from the factor analysi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work experience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training transfer. Such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 of the previous studies in which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training transfer of the trainee. When the trainees' self-efficiency and self-initiative were high, their training transfer was perceived to be high as well.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training transfer and circumstantial characteristics including incentives, leadership, atmosphere at workplace and discretionary power. Consequently, an effort should be made in the level of organization to enhance training transfer. On the other hand, work experience ha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training transfer.

      • 직장인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영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인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정서인식 명확성이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Ⅰ]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능력,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Ⅰ-① : 정서인식 명확성이 대인관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Ⅰ-② : 정서인식 명확성이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Ⅰ-③ :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Ⅱ]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가? 연구의 수행을 위해 국내 일반 기업체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553부를 본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Sobel test,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 명확성은 대인관계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 중 타인기질에 대한 효과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의사소통과 관계촉진의 효과는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인식 명확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인식 명확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대인관계능력과 하위요인인 타인기질, 의사소통, 관계촉진에 모두 정(+)의 영향을 주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설명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대인관계능력 하위요인별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은 정서인식 명확성과 의사소통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타인기질 및 관계촉진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즉, 정서인식 명확성이 직접적으로 대인관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도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효능감 개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오영미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해 잠재되어 있는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고 내재된 스트레스와 욕구를 표출하고 발산함으로써, 갈등을 해소할 힘을 길러주고 자아정체감의 정립을 도와 자기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자아실현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자아 존중감을 길러주는데 있다. 본연구의 대상은 인천시내에 위치한 H 지역아동센터의 아동 9명으로 구성되었으며, 1주일에 2회씩 저학년과 고학년으로 나누어 각9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 존중감 척도 검사지와 H.T.P. 검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대부분은 경제적 어려움이나 부모의 부제로 인해 여러 형태의 가족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가정환경의 불안정으로 정신적, 심리적 건강상태가 불균형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자아정체감을 긍정적으로 형성하지 못하고, 낮은 자아 존중감으로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들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일정기간 실시하게 된다면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회기별로 진행됨에 따라 아동의 무의식적인 감정과 갈등에 영향을 주어 H.T.P. 그림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특히 H.T.P. 검사가 아동들의 자아 존중감을 측정하기에는 충분하지는 않지만, 내적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보조검사 도구로서의 역할이 될 것으로 본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내재된 욕구나 감정을 미술활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집단상담 기법으로, 낮은 자아 존중감으로 대인관계에서 불안감과 소외감을 갖기 쉽고, 사회성의 결여, 학습부진의 문제와 더불어 정서 행동상의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아동 등,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 지역아동센터의 결손가정 아동들의 조력활동을 위한 상담기법으로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동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s that group art therapy has on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cal children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ir inner negative feeling by art activity and train force for a way to solve complication. Also make children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achieve self realization. 9 children from a 'H' local children center in In-cheon had been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is study take effect twice a week and divided to the lower class, senior class group. Self-esteem standard card and H.T.P test make use to study tool. The summar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 from local children center suffer from composite problems comprising of sense of economic, cultural, and psychological deprivation, and this obstructs them from forming a positive self-esteem. Steady group art therapy based on self-portra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low self-esteem in these children. 2. Group art therapy effect on children's unconscious feeling and complication, so bring about positive variation of H.T.P test. Especially H.T.P test, actually not enough to measure self-esteem of children but take a primary role to measure inner variation. According to, group art therapy is group consolation technique that make children to express their inner desire and feeling by art activity. It's good used for children of local children center who has hypochondria, negative emotional state, hypersensitive aggression, impulsiveness and alienation, and lack of sociability.

      • 新羅 眞德王代 衣冠制 改革과 그 意味

        오영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Queen Jindeok's court dress system reform is worthy of notice for its influence on Silla's relations with Tang and for being the starting point for the succeeding reforms of Silla's regime. This Reform was characterized as an adoption of foreign system based on Tang's court dress system. It has been read that the primary aim of the reform was to give a justification to request Tang a dispatch of troop. The influence of the court dress system reform on Silla's governing order is, however, as important as that on Silla's foreign relations. Therefore, we have to give attention to the internal significance of the reform no less than to the external significance. Until the present, many scholars have mentioned the court dress system reform but only superficially analyzed its significance because the remaining historical records are very fragmentary. But recently was presented an argument that the article about the court dress system reform in the book of colored dresses pertaining to the books of miscellaneous things(雜誌) was not related to King Beopheung's period but to Queen Jindeok's, so it is necessary to recalculate the time of enforcement. It is an important clue to clarify the real time of enforcement that the oficial ranks were distinguished into four colors. The works to verify that the system to show official ranks by colors was institutionalized as laws before 7th century East Asia. Internally, the court dress system reform was important because it announced the adoption of a new political ideology. In relation to this, we have to examine the moves of two political parties. One was represented by Jajang(慈藏) that followed the Buddhist political ideology and another was lead by Kim Chunchu(金春秋) that followed the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The Buddhism of the medieval age that Jajang's party followed not only functioned to supported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but also to backed the privileged position of the aristocracy. Since around the 7th century, however, the surfacing of the dissatisfactions of some governing elites against the existing order exposed the limits of the political ideology based on Buddhism. On the other side, the Kim Chunchu's party followed the Confucianism as political ideology and their proposition to reform the court dress system was one of the means to promote the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However, as the nomination of Kum Kang(金剛), who followed the Buddhist political ideology, as Sangdaedeung(上大等) showed, it was not easy to exclude the existing Buddhism from the political ground. To overcome this difficulty, King Muyeol(武烈王) brought Wonhyo(元曉), who represented the popular Buddhism, into the main political ground in order that the political role of the Buddhism might be overcome and that Buddhism might be reformed to represent a spiritual unity that included every class of Silla people. Eventually, Kim Chunch's party came to carry out various reforms based on Confucianism after the court dress system reform. Kim Chunchu's party enforced the court dress system, which was one of the Confucian institutions, in order that Confucianism might take root in the main political ground. At the same time, they carried out reform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to change the political order. Their attempts were successful and the position of Confucianism as political ideology ascended.

      •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수준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영미 평택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school adjustment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rough a solution driven group art therapy. For this purpose, a solution driven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mposed using the treatment effect of the progra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um throughout entire sessions, and was applied to the research target. The research target was a group of 1st grade secondary students studying at the B middle school of A city. First, twelve students were selected who belonged to the group of students that required an observation as a result of a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and were observed to have problematic behaviors at school by their homeroom teachers. The program was composed of twelve sessions in total. Each session took 90 minutes and was held twice a week. For program effectiveness, the group of students was taken the test of school adjustment,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PPAT pictures before and after taking the program. Then the difference of test grades and the progress they made for each sess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research. First, the test results comparing the before and after status of th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vealed that they experienced meaning changes. The average grade they gained from the school adjustment test increased in general. Accordingly, the solution driven group art therapy was proven to give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average grade they gained from the problem solving and PPAT picture test increased in general, which implies the test results comparing the before and after status of the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vealed that they experienced meaning changes. Accordingly, the solution driven group art therapy was proven to give a positive impact on the maladjusted students’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Third, increased positive changes were detected in the school adjust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verbal expressions and behavior changes shown when they shared what they learned during the program at the end of each sessi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prove that the solution driven group art therapy has contributed to enhance the school adjust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maladjusted youths. While they took part in the program, they experienced confidence and had the sense of achievement, which seems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nhancement of their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Furthermore, the positive feedback and supports they gave to one another led them to find their roles at school and adjust well to school lives, which resulted in enlarging their school adjustment capacities. Thus, the solution driven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raising the school adjustment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can be used for youth counseling and in a clinical setting. 본 연구는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 적응수준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하기 위하여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치료적 요인과 매체의 효과성을 근거로 전회기를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연구대상에게 적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A시에 있는 B중학교 재학 중인 1학년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 관심군에 해당하는 학생 중 담임교사에 의해 학교생활에서 문제행동이 관찰된 학생 1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해결중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 9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위하여 학교적응수준검사, 문제해결능력척도, PPAT 그림검사를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사전검사-사후검사로 실시하여 척도의 점수 차이와 회기별 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본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학교적응수준검사 전체 평균점수가 증가하여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따라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 적응수준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둘째,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문제해결능력척도와 PPAT 그림검사 전체 평균점수가 증가하여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따라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문제 해결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셋째, 회기별 소감나누기에서 나타난 언어적 표현, 행동의 변화 등을 정리한 결과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수준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관련한 변화가 긍정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수준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집단원의 긍정적 상호피드백과 지지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용하고 학교와 일상생활에 잘 적응함으로써 학교적응수준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경험하는 과정이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해결중심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수준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고, 학교부적응 청소년관련 상담 및 임상현장에서 활용 가능 성을 시사한다.

      • 김혜순 시의 기호학적 연구 : 공간기호를 중심으로

        오영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 동안 김혜순의 시는 여성주의적인 텍스트로 이해되고 분석되어왔다. 그러나 이는 김혜순의 시가 지닌 풍부하고 다양한 의미를 배제한 채 그녀의 시를 여성주의라는 협소한 틀에 가둘 위험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위험에서 벗어나 김혜순의 시에 나타나는 공간 기호 체계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그녀의 시 세계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김혜순의 시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공간 기호를 각각의 성질에 따라 일상적 공간, 매개적 기호, 이상적 공간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각의 공간들을 수평축, 수직축의 이항대립으로 분절하여 그 의미 작용을 살펴보았다. 첫째, 일상적 공간을 대표하는 ‘도시’와 ‘학교’를 수평축의 내/외로 분석하여 일상적 공간이 지닌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상적 공간인 ‘도시’는 합리적으로 구획된 편리한 공간이지만 인간의 욕망을 외면해버리는 융통성 없는 공간으로써 벗어나고 싶지만 벗어날 수 없는 부정적 성격을 지닌 공간이다. ‘학교’ 또한 자본주의 체계로 점철 된 일상을 공고히 하기 위한 규율과 훈육으로 가득 찬 공간이다. ‘학교’ 역시 ‘도시’와 마찬가지로 결코 벗어날 수 없는 공간으로써 시 속 화자를 억압하는 부정적인 공간이다. 둘째, 일상의 공간과 이상적 공간을 매개하는 기호인 ‘꿈’과 ‘몸’에 대해 고찰하였다. ‘꿈’과 ‘몸’은 수직축, 혹은 수평축의 이항대립 중간에 위치하여 상/중/하, 내/중/외의 삼원 구조를 형성한다. ‘꿈’과 ‘몸’은 부정적인 일상의 공간과 이상적 공간의 매개항으로 작용하여 두 공간의 긍정적인 합일을 돕거나 두 공간을 다시 분리시켜 버리기도 한다. 셋째, 이상적 공간인 ‘달’과 ‘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달’과 ‘물’은 수직축의 공간에서도 최상방에 위치하는 신화적인 공간이다. 김혜순의 시에서 화자들은 비로소 ‘달’과 ‘물’이라는 공간 기호를 통해 부정적인 일상의 억압에서 벗어난다. 그리고 이상적 공간으로 나아가 긍정적인 합일을 이루게 된다. 물론 그 합일의 과정은 쉽지 않지만 그들은 결코 굴하지 않으며 합일을 위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를 보인다. 김혜순의 시는 부정적이고 억압적인 일상의 공간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이상적인 공간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모습을 일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향성이 각각의 공간 기호 체계를 통해 코드화 되어 시 텍스트 내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The poem of Hye-soon Kim has been analyzed and understood as the feminist text all the while. However, there is a risk to keep the poem of Hye-soon Kim in the narrow framework of feminist to the exclusion of the richness and variety of meaning. This dissertation is away from this danger to study the poem of Hye-soon Kim with emphasis of Spatial symbols system that appears in this poem so that the poem of Hye-soon Kim is objectivel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dissertation divides the spatial symbols that the poem of Hye-soon Kim has concretely repeated with daily space, mediation symbol and ideal space. And the dissertation considers each of space operating in segment aspects of Binomial Opposition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xis. First, the dissertation analyzed the city and school representing routine spatial with horizontal axis inside and outside to contemplate the negative side that daily space has, The city, a daily space is not only the convenient place reasonably divided but also the negative place evading desire that you cannot get away from it no matter how you try to get away. A school is the space which is pull of discipline and education to consolidate daily life marked by a capitalist system. Like the city, the school also have been a negative and unavoidable space that keep down a speaker of the poem as well. Second, this dissertation is to be studied about the symbol of the dream and body interacting daily space and ideal space. The dream and the body form ternary structure of top/middle/bottom and internal/central/external locating at the middle of Binomial Opposition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axis. The dream and the body help positively to consolidate and separate two space again by interacting with negative daily space and ideal space. Third, the dissertation is to be studied about the Moon and water which are ideal space. The Moon and water are a mythological space locating on top of the vertical axis. Eventually, the speakers of Hye-soon Kim's poem can escape from negative daily oppression through the space symbol of the Moon and water. And in the long run, they realize the positive union in ideal space. Apparently, the process of union is not easy, but they never give up with the union and have positive and provocative attitude. The poems of Hye-soon Kim consistently show the progress toward liberal and ideal space to get away from the negative and repressive space. And this orientation which is coded through each of space symbol systems specifically come out in poetry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