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일제강점기 일본 박람회에 전시된 조선관의 건축적 특징

        오아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일본 박람회에 지어졌던 조선관에 주목했다. 19세 기 후반부터 20세기까지 열렸던 해외 박람회에 전시된 조선관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서양의 박람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일제강점기 일본 박람회에 지어졌던 조선관을 건축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일본 박람회에 전시된 조선관의 건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첫째, 일본 박람회에서 조선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조선관에 차 용한 한국의 전통건축의 요소들을 분석하고, 둘째, 일시적 가설건축물의 전시관 인 조선관에 한국의 전통건축을 녹여내기 위해 어떠한 건축적 특징이 나타났는 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조선관에 나타나는 실은 전시실, 매점, 접대실 및 귀빈실, 끽다실 및 식당, 휴 게실, 직원 사용 실로 구분된다. 이러한 실들은 실을 사용하는 주체와 건물에 기여하는 중요도에 따라 주용도, 부용도, 보조 용도 실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실들은 용도에 따라 효율적인 동선을 위해 특정한 배치와 형태를 보였다. 또한 조선관의 건축구조는 주골조를 통해 건물의 뼈대를 먼저 구축한 뒤 그 겉을 나무판자로 장식해 마치 한식 목가구조인 것처럼 표현한 구조였다. 이 같 은 구조물 위에 자리 잡은 지붕가구는 서양식 트러스와 일식 목가구조였다. 이 렇듯 사용 실과 구조가 한국전통건축물과 다른 조선관은 외관을 전통건축물과 유사하게 표현하고자 한국전통건축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 것 역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통건축의 표현과 일치하지 않았다. 위와 같은 조선관의 건축적 특징은 ‘한국전통건축물의 표현’, ‘건축 재료 및 표현의 대체’, ‘전시관으로서의 공간 확보를 위한 장치’라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조선관은 한국전통건축물을 모델로 축조되었다. 조선관과 관련된 각종 문헌을 살펴보면 ‘조선식 궁전조(朝鮮式宮殿造)’와 ‘조선식 문(루)(朝鮮王宮門, 朝 鮮式樓門造)’를 기본으로 형태를 구축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전 통건축물, 그중에서도 조선의 궁궐, 관아 건축을 모델로 삼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관 도면과 사진 자료 등에서 한국전통건축물에서 격식이 높은 건축물 을 표현할 때 나타나는 양성바름, 장식기와, 모로단청 등의 의장 요소를 살펴볼 수 있다. 둘째, 조선관에 사용된 건축 재료 및 표현은 한국전통건축물과는 다른 방식으 로 대체되어 나타났다. 조선관 설계자는 조선관을 전통건축물의 형태로 짓고자 했지만 조선관이 한국전통건축물에 익숙하지 않은 타지에서 건설되는 점과 일 시적으로 설립되었다가 철거되는 가설건축물인 점을 고려해 빠르고 간단하게 축조해야 했다. 때문에 절충점과 타협점을 찾을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기존의 재료를 대체하고 의장을 간략화 한 것과 건물의 정면과 후면의 의장을 다르게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선관을 전시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공간과 지붕을 조정하였다. 전 시관으로서 조선관이 갖추어야 할 용도와 배치에 집중하고 필요한 공간을 확보 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중층 전시관 건물의 실내 공간을 상하층으로 구분하고, 루(樓) 형태의 조선관의 하층을 실내화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절충식 지붕틀을 채택해 대규모 공간을 확보하기도 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일본 박람회에 전시되었던 조선관의 건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 조선관은 일제에 의해 지어진 전통식 건축물 이라고 막연히 알려져 왔다. 그러나 앞서의 고찰을 통해 당시 일본 박람회의 조 선관은 한국전통건축물의 외관과 일부 요소만을 재현하려고 했을 뿐, 건축 목적 과 건축 환경, 사용 용도 등에 따라 공간을 변형시키거나 새로운 구조와 재료를 채택하는 등 전시용 가설건축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e Joseon-Pavilions, displayed at the Japanese exhibition in Japanese colonial era, were built to introduce the colonial Joseon. Theses Joseon-Pavilions were construct in the form of a traditional Korean buildings. It was to introduce Joseon's architecture to viewers through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However, they followed a different pattern than traditional buildings, ranging from detailed decoration to materials, construction methods, and us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Pavilions shown at the Japanese exhibition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rooms in the Joseon-Pavilions were divided into exhibition rooms, canteen stores, reception rooms, VIP rooms, tearoom and restaurants, lounges, and employee use rooms. These rooms could be classified into main, secondary, auxiliary rooms according to the target using the room and the importance of contributing to the building. Each room displayed a specific arrangement and was designed for efficient movement. In addition, the pavilions' architectural structures differed from a Korean wooden house's structure. They resembled this structure by attaching a wooden board to the main frames of the buildings. The Joseon-Pavilions constructed in this way were unsafe buildings. The roof furniture on top of such a structure was a Western-style truss and a Japanese wooden construction. Thus, the Joseon-Pavilions, which took rooms with different use and structures from traditional Korean buildings, depict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However, the details did not match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Pavilions, as described above,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Depiction of traditional Korean buildings", "Substitut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presentation," and "Means for securing space as an exhibition hall". First, the Joseon-Pavilions were built as a replica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Considering miscellaneous documents related to the Joseon-Pavilions, it is apparent that the form was established based on "Joseon-style palace building" and "Joseon-style gate building." Thus, the modeling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especially the palace of Joseon, and the architecture of government offices were evident. In addition, in drawings and photographic materials of the Joseon Pavilions, design elements such as Yangseongbarum, antefix, and Morodancheong were examined when expressing formal buildings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However, there was a movement to supplement the disparity in the use of the building and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to imitate traditional Korean buildings completely. Second, the Joseon-Pavilions replaced the original architectural materials and presented traditional buildings differently. While they were meant to resemble traditional buildings, they had to be built quickly and in a place unfamiliar with traditional Korean buildings. Furthermore, they were only temporarily constructed and later demolished. Therefore, there was no choice but to find a compromise and replace the existing materials, simplify the design, and display the front and rear of the building differently. Third, the Joseon-Pavilions had a modified space and a roof constructed to use the building as an exhibition hall. Thus, the Joseon-Pavilion's designers tried to focus on the arrangement necessary for the use as an exhibition hall and to ensure sufficient space. The interior space of the middle-story exhibition hall building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floors, and the lower floors of the Ru-shaped pavilions became an indoor space. A compromise roof frame was adopted to secure a large-scale space.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Pavilions displayed at the Japanese colonial era Japanese exhibitions. Until now, these pavilions have only been vaguely known as traditional buildings constructed by the Japanese. However, it was found in a previous review that the Joseon-Pavilions of the Japanese exhibitions at that time only tried to imitate the appearance and some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buildings. In addition, these pavilions had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buildings for exhibitions, such as altering spaces or adopting new structures and materials.

      • 항공사 광고모델의 속성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항공의 광고모델속성을 중심으로

        오아현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The local aviation industry has recently expanded the number of airlines available to consumers as various Low Cost Carrier (LCC) carriers, including Jeju Air, Jin Air. and Air Busan, grew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reasonable price of LCC airlines, aggressive route expansion and various discount events promoted opportunities for consumers to travel more conveniently, which soon led to increased competition among LCC airlines. Currently, as of October 2019, the nation's six LCC airlines actually offer similar fare prices, service routes, departure times and in-flight services. Amid intensifying competition, local LCC airlines are setting up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ir competitors. It strives to build a differentiated image by continuously promoting in-flight specialization services, in-flight meal services and marketing using advertising model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plore how the attributes of advertising models, with LCC Airlines providing similar services, affect airline image,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Through this study, the aim is to identify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company's image and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advertising model, and to identify them to give positive impact and managerial implications to the airline's marketing activities. Based on prescriptive discussions and empirical studies in various fields, this study set up a research model and set up a total of five hypotheses. Data collection for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line for about seven months from January 2 to July 12, 2019 for Korean experience who had seen the 'Jeju Air' advertising model and confirmed as part 292 of the final valid sample for use in the demonstration analysis. Statistical processing in the empirical analysis was analysed in parallel with the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al packages. Data analysis was largely conducted for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the advertising model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etitiveness of the airline's image. It was also found that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the attributes of the advertising mode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responsibility, but the conclusion was reached that attractiveness did not affect social responsibility. Finally, the nature of the advertising model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munication of the airline's image. Second, it was found that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the attributes of advertising mode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itude, but the conclusion was reached that attractiveness did not affect brand attitude. Third, it was found that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the attributes of advertising mode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loyalty, but the conclusion was reached that attractiveness did not affect brand loyalty. Fourth, social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of airline image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but the conclusion was reached that enterprise competitiveness did not affect brand loyalty. Fifth, brand attitud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Thus,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image and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nd we drew a number of implication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It is also judged that the nature of the advertising model could fi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at it could present management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marketing of airlines for their image,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The last study we saw was not easy to find in the study of the nature of advertising models in the aviation industry,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image and brand attitudes and brand loyalty. Howev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nd it is believed that further study models, including a variety of relevant variables, are needed to be presented.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n the fact that age groups are not distributed evenly due to the particularity that the survey participants are experienced in the advertising model of Jeju Air. Subsequent studies therefore suggest that studies may be conducted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shown in this study by preparing surveys that may be evenly distributed among different age groups. 최근 국내 항공업계는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등 다양한 LCC(Low Cost Carrier) 항공사가 빠른 기간 내에 성장하면서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항공사가 더욱 확대되었다. LCC 항공사의 합리적인 가격과 공격적인 노선 확대 그리고 다양한 할인 이벤트는 소비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여행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촉진시켰으며, 이것은 곧 LCC 항공사들의 경쟁 심화로 이어졌다. 현재 2019년 10월 기준으로 국내 6개의 LCC 항공사는 실제로 비슷한 운임가격과 취항 노선, 출발 시간 그리고 기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국내 LCC 항공사들은 경쟁사와 차별성을 가지기 위하여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있다. 기내 특화 서비스, 기내식 서비스, 광고모델을 활용한 마케팅 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면서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LCC항공사를 중심으로 광고모델 속성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광고모델의 속성에 따라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각각 무엇인지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파악하여 항공사의 마케팅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과 경영학적 시사점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의 규범적 논의와 실증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총 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제주항공’ 광고모델을 본 경험이 있는 내국인 경험자를 대상으로 2019년 1월 2일부터 7월12일까지 약 7개월에 걸쳐 온라인을 통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유효표본 292부로 확정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에서의 통계처리는 SPSS 18.0과 AMOS 18.0 통계 패키지를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크게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t 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모델의 속성은 기업이미지의 기업경쟁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모델의 속성인 신뢰성과 전문성은 사회적 책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력성은 사회적 책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광고모델의 속성은 기업이미지의 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모델의 속성인 신뢰성과 전문성은 브랜드 태도에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매력성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셋째, 광고모델의 속성인 신뢰성과 전문성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매력성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넷째, 기업이미지의 사회적 책임과 커뮤니케이션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경쟁력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광고모델의 속성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간의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여러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광고모델의 속성에 따라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대하여 효과적인 항공사의 마케팅에 관한 경영학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항공업계의 광고모델 속성과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를 쉽게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련 변수들을 포함하여 보다 더 심층적인 연구 모형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설문의 대상자가 ‘제주항공’의 광고모델을 본 경험이 있는 경험자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연령층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대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층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는 설문을 작성하여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안한다.

      •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장애 정도에 따른 의문문 이해 : ‘누구’, ‘무엇’을 중심으로

        아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327

        본 연구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의문문에 대한 이해를 장애 정도에 따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행위연출’ 방법을 사용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검사자가 행위 연출을 보여주고 의문문을 들려준 후 피험자의 지적하기 반응을 통해 이해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좌측 대뇌손상을 입은 브로카 실어증 환자 16명 중 장애 정도에 따라 중등도 집단 8명, 경도 집단 8명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과제는 문장의 길이가 다른 두 조건에서 의문문을 듣고 적절한 것을 지적하는 것이다. 검사 항목은 사람이 등장하는 문장 길이가 다른 두 조건과 사물이 등장하는 문장 길이가 다른 두 조건에서 의문사 ’누구’, ‘무엇’에 격조사를 달리한 의문사 질문이 각각 5번씩 제시되어 4세트로 이루어진 실험으로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의문문 이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사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과정으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 길이에 따른 의문문의 이해 수준을 살펴본 결과 경도 집단이 중등도 집단에 비해 수행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 긴 문장에서보다 짧은 문장에서 의문문에 대한 이해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의문사에 따른 이해 수준을 살펴본 결과 경도 집단이 중등도 집단에 비해 수행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의문사 ‘누구’에 대한 이해가 ‘무엇’에 대한 이해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의문사에 결합된 조사의 종류에 따라 주격 의문문과 목적격 의문문으로 나누어 이해 수준을 비교한 결과 경도 집단이 중등도 집단에 비해 수행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주격 의문문에 대한 이해가 목적격 의문문에 대한 이해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장애 정도에 따라 나눈 중등도 집단과 경도 집단에서 문장 길이, 의문사, 조사의 종류에 따라 의문문에 대한 이해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산출뿐만 아니라 문장의 이해에도 어려움이 있음을 밝힌 선행 연구 결과와 더불어 의문문의 이해에 관한 특성을 밝혀주었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치료 초점이 대부분 언어 산출의 훈련에 맞춰져있는 것을 볼 때 이 결과를 토대로 치료 접근 시 간단한 의문문의 이해를 통한 의사소통의 전반적인 진전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well Broca's aphasia comprehend Wh-question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severity and 'act out' was conducted. The extent of comprehension was evaluated by assessing point out after exposure to 'act ou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 of sixteen Broca's aphasia whose left cerebral hemisphere got damage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8 peopl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impairment. In the present study, Wh-questions that containing two or three 'persons' and 'things' each were used to observe the comprehension ability. With the help of four way ANOVA,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mild group compared to severe group in the experiment of using different length of sentences. Both groups responded better in the short sentences than long sentenc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mild group than severe group in the experiment of using different interrogative. Sentences that start 'Who' rather than 'What' appeared to be easily understood for both groups. Third,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understanding of subject wh-question than object wh-question in the experiment of using different particle. There was a difference level in the extent of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sentences, interrogative, particle. In the previous researches, it reported that Broca's aphasia had difficulties in not only expression but comprehension of sentence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features of comprehension skills in wh-quest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general advance in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when the patients are approached with simpler wh-question.

      • OECD의 경제성장과 사회복지지출 : 총요소생산성과 투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311

        사회복지지출은 그 지출유형에 따라서 경제성장에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지출과 경제적 성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경제성장을 제고할 수 있는 요소인 총요소생산성과 유형별 사회복지지출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더욱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투자에 대해서 지출이 사회복지지출과 경제성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형별 사회복지지출이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투자에 대한 지출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가입년도인 1996년부터 최근년인 2019년까지 OECD에 가입되어있는 29개국을 대상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사회복지지출과 총요소생산성의 관계, 그리고 투자에 대한 지출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서 고정효과모형을 통한 패널데이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지출과 총요소생산성, 투자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사회복지지출은 전반적으로 총요소생산성과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는 통상적으로 총요소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에서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지출은 투자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효과, 즉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총요소생산성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관계가 아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지출이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경제성장의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회복지지출과 경제성장의 관계 속에서 가족(에 대한 지원)의 중요성이 드러난 것이다. 명시적인 변수 도입을 통해 통계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선행연구들에 비추어 볼 때, 신사회위험 속 여성의 경제활동과 이로 인한 아동 보육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추가적이고 세부적인 연구가 중요해 보인다. 이러한 객관적 진단을 바탕으로 가정에 대한 사회지출 세부유형에 따른 정책적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정하고 이를 정책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정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이를 근거로 하여, 경제활동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제도적 마련과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지출의 유지와 발전이 필요하다. 반면에 보건에 대한 사회복지지출은 미래에 대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총요소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총요소생산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완화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지출의 내용과 규모를 수정,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어 : 경제성장, 사회복지지출, 총요소생산성, 투자 Social welfare expenditure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economic growth depending on the type of expenditure. However, most studies of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expenditure and economic performance are difficult to fin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type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which is a factor that can enhance economic growth. Moreover, for the sake of long-term and sustained economic growth, studies on whether spending on investmen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are very rare. Therefore, this paper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by type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which is controlled for the mediated effect of investment on that effect. For analysis, panel data was established for 29 OECD member countries from 1996 to 2019. Panel data analysis was systematically conducted after procedurally tests including the Hausman test led to a fixed-effect model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expenditure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which is controlled for the mediated effect of investment on that relationship.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expenditure,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investment was statistically proved. First of all, social welfare spending has a negative impact on overall productivity and investment. Investment have generally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this relationship, social welfare spending on families has had a negative effect on investment, bu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not a normal relationship. This shows that social welfare spending on famili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crease in economic growth through the impact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The importance of family support has been revealed ami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spending and economic growth. Although not statistically proved by the introduction of other related (explicit) variables, for instance, further and detailed studies may seem necessary as they may be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in the neoclassical risk and the resulting problems of child care for children. Based on this objective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objectively verify the policy effects of the detailed types of social spending on households and reflect them in the policy program to maximiz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olicy. Ultimately,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 that can be compatible with economic activities and families and to maintain and develop social welfare expenditures for families. On the other hand, social welfare spending on health is negatively affect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despite the prospect of large-scale growth in the future, requiring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content and size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s to reduce and mitigate the negative impact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Key Words: Economic Growth, Social Welfare Expenditure, Total Factor Productivity, Investment

      • 국내 항공사 외항사 경력직 승무원의 이직 후회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지각된 아웃사이더 인지도(Perceived outsider status) 매개효과 중심으로

        아현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항공사로 이직한 외항사(외국항공사) 출신의 객실 승무원들이 겪는 환경적(문화적) 업무 환경 차이로 인해 겪는 적응의 어려운 요인들을 이해하고, 이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직에 대한 후회 감으로 이어지는 결과에 대해 하는 연구를 하고자 함에 있다. 항공서비스산업에서 항공기 안이라는 제한된 환경 속에서 고객을 최접점에서 응대하는 중요한 인적 자원인 객실승무원들의 이직 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이미 많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외항사 경력직 객실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국내 항공사로 이직한 이후 타승무원들에 비해 평균 근속 년수는 4.5년으로써 짧은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외항사 경력직 객실 승무원들이 외국 항공사에서 경험하고 내재적으로 쌓아온 것들과 다른 국내 항공사의 업무 환경 또는 객실 업무에 적응하기 어려운 사유를 12명의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이직한 경력직 승무원들이 겪는 공통된 변수인 관계갈등, 심리적 계약위반, 위계적 조직체계, 성과주의 문화, 예측 불가능한 스케줄, 왜곡된 고객중심 SVC, 경력정체, 다름의 외로움이라는 8가지 선행 변수들을 선별할 수 있었다. 이러한 8가지 선행 요인들은 지각된 아웃사이더 인지도라는 매개 변수를 통해서 이직한 외항사 경력직 객실 승무원들의 이직 후회감이라는 결과를 도출 시켰다. 결국 이 결과는 이직 후의 평균 근속 년수가 짧아지는데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항공사로 이직한 것에 대한 후회를 느끼게 만드는 공통적인 요인들을 분석하여, 후회라는 부정적인 감정을 그대로 객실 승무원 개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놓아두지 않고 후회에 대한 요인들을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식을 모색하여, 더 나은 미래 삶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항공 산업과 항공 서비스 관련된 학문에도 인재들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 줄 수 있으며 외항사 출신 경력직 승무원들의 인재 채용 시 중요한 기준을 정하는데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항공사로 이직한 외항사 출신의 경력직 객실 승무원들이 겪는 환경적(문화적) 업무 환경 차이로 인한 적응의 어려움들을 이해하고, 이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직에 대한 후회감에 대한 연구를 해보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icult factors of adaptation due to environmental (cultural) work environment differences experienced by flight attendants from foreign airlines who transferred to domestic airlin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which leads to regret about the change. In the airline service industry, many previous studies on the intention to leave cabin crew, an important human resource who responds to customers at the closest point of contact in the limited environment of the aircraft, have already been mad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why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for cabin crew members with experience in foreign national airlines after moving to a domestic airline is shorter than that of other flight attendants at 4.5 years and about the difficultie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12 experienced cabin crew members of foreign airlines found out why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adapt to the work environment or work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irline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ose experienced and accumulated in foreign airlines. Through this, eight preceding variables, which are common variables experienced by career flight attendants who have changed careers, are relationship conflict,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hierarchical organizational system, performance-oriented culture, unpredictable schedule, distorted customer-oriented service, career stagnation, and loneliness of being different could be selected These antecedents are parameters of perceived outsider statu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experienced cabin crew members from foreign airlines, who had difficulty transferring to domestic airlines, lead to regrets about their job, and consequently,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is shortened.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by analyzing the common factors that make people feel regret about moving to a domestic airline, actively analyzing the factors of regret without letting the negative emotion of regret affect the lives of individual cabin crew members. I think it will be able to influence the planning and practice of a better future life by seeking a response method accordingly. In addition, the aviation industry and aviation service-related studies can provide a standard for securing talented people stably, and it will have an impact on setting important standards when hiring experienced flight attendants from foreign airlines.

      • 읽기와 쓰기의 통합 학습에 관한 실천적 연구

        아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13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ding and writing integrative learning method for Korea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For doing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on the whole language which is prevailing in the Western. Also, reading and writing was investigat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cused on The 6th Curriculum,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4 grade teaching contents in reading and writing, relative teaching contents were abstracted, the necessity was clarified of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Finally learning model for investigative teaching was fashioned and presented the example of integration. In whole language, integration is emphasized because of the functions of language undividable in fundamental state, promoted in practical using. Also they are not the collections of knowledge but those of very complicated functions. Each unit of language is undividable in partial using and language is effectively promoted when connected other subjects or learnings. Thinking is an cognitive process which is arising both in reading and writing, a complex mental function. As a complementary relation, reading and writing differ only in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but have a same root. Namely the thinking region of reader in which the meaning expressed by writer is being understood is as the same that of writer. Schema that was used in understanding readers is also being used in expressing the writer's theme. For these purposes, varied learning model was fashioned where reading and writing is conglomerated. In unit time they are integrated through practical class where the pupils participate spontaneously. The result of integrative learning of reading and writing, we can see that it was helpful for children to participate in learning of Korean language pleasantly and develope their capacity of reading and writing. The activity of integrative learning of reading and writing gave assistance for them to read books everyday and grasp it's contents or catch an outline throughout writing of reading diary which has variety subject. Moreover we may think that children could practice learning method and reading books, they improved their reasoning and critical power thanks to activity. Writing letters and Making 'My Own Story Book' had them deepen contents which they had learned before and make it their own. Children who had feared reading(books) and writing once before, could freely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s in a lot of view points. Beside, editing and elaboration had been realized naturally throughout group activity, according to this we know that it also help to teach creative writing.

      • 아까시나무 종자의 내생균 군집특성과 질소고정균 동정

        아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311

        아까시나무는 뛰어난 질소고정능으로 척박지를 녹화하고, 양봉산업의 주요 밀원수로 역할하는 등 다목적 기능을 하여 전 세계에 2위로 많이 심어진 수목이다. 내생균은 식물의 전 생애에 걸쳐 식물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식물 종에서 수행되고 있다. 특히 식물의 첫 번째 생애 주기인 종자의 내생균 연구는 비교적 최근의 학문으로 아직 발달하는 단계에 있다. 본 연구는 메타게놈 분석을 통해 아까시나무 종자와 관련된 미생물군집의 주된 내생균을 밝히고, 질소고정 내생균의 분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9개 지역의 아까시나무 종자 내생균 군집 구성은 Qiime2를 통해 분석하였고, 질소고정균은 질소원이 배제된 배지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그 결과 내생균 군집 구성은 공통된 내생균이 없이 지역별로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까시나무가 생육하는 지리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아까시나무 종자 내의 내생미생물 군집 구성이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5개의 지역에서는 질소고정세균으로 잘 알려진 Paenibacillus가 공통된 속으로 나타나, 이 속에 포함된 종은 아까시나무의 종자 발아 및 질소고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된다. 질소원 결핍배지를 통해 중국 및 한국 아까시나무 종자에서 CNR02, CNR01, CSR01, CSR02 및 KR001를 분리하였으며,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이들의 nifH 및 nodA 유전자의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아까시나무 종자의 내생균 군집 구성 및 질소고정 내생균에 분리에 관해 보고하고자 한다. Robinia pseudoacacia is the second most planted tree in the world for its multi-purpose functions, such as greening barren land with excellent nitrogen fixing ability and serving as a major honey source for honey production industry. Since endophytes interact with plants throughout the life of a plant, research on this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plant species. In particular, the study of endophytic bacteria of seeds, which is the first life cycle of plants, is a relatively recent study and is still in the stage of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ain endophytes through metagenome analysis of the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Robinia pseudoacacia seed and to isolate nitrogen-fixing endophytes. The composition of endophytic bacterial community of R. pseudoacacia seeds in nine regions was analyzed through Qiime2, and nitrogen-fixed bacteria were isolated using a medium excluding nitrogen sourc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endophytic bacterial community varies by region without common endophytic bacteria.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composition of endophytic bacteria in R. pseudoacacia seeds is affected by the geographic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R. pseudoacacia is growing. However, in the five regions, Paenibacillus, a well-known nitrogen-fixing bacteria, appears as a common genus.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species included in Paenibacillus will affect the seed germination and nitrogen fixation of R. pseudoacacia seed. CNR02, CNR01, CSR01, CSR02 and KR001 were isolated through a medium excluding nitrogen sources. it is considered that their nifH and nodA genes need to be confirmed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s.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confirm the composition of endophytic bacteria community in R. pseudoacacia seeds and report on nitrogen-fixing endopgytic bacteria.

      • 국내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의 영·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에 관한 비교 연구

        아현 서경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1311

        국문초록 국내에서 음악 교육 발전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지역마다 음악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설계하는 동향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공공 및 민간의 문화시설이 증가하였고 영⦁유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함께 교육 사업을 시행하게 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영⦁유아 대상의 음악 교육은 다양한 도구와 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가 가진 감각을 자극, 활용하게 하고 영⦁유아의 주도적 실험과 탐구를 일으키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음악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 기관은 이와 같은 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보완하는 역할까지 이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존재하는 공공 및 민간교육 기관의 영⦁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영⦁유아 음악교육을 설계하도록 하는 미래 지향성 기여에 목적이 있다. 본 사업의 비교를 위해 국내 특별⦁광역시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등을 중심으로 각 지역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업의 실례를 살펴보았으며, 그중에 공공 교육기관과 민간교육기관의 대표적인 기관으로 유아 교육 진흥원과 사설 기업의 문화센터를 선정하여 사례 비교 및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 분석하였다. 영⦁유아 음악 교육 연구 대상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크게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공공기관은 공공성과 복지적 성격을 가져서 전체적인 음악 교육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하거나 재료비, 인건비, 사용료를 고려하여 측정된 사설 프로그램의 정상가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의 교육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정해진 예산 내에서 정해진 인원에게 최저 비용, 최대 효율을 내기 위해 사교육 보다는 질적인 완성도 와 만족도가 낮은 편이다. 반면에 민간기관은 사교육과 자본주의적 성격을 가져서 개인의 비용 부담이 필요한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이용자는 비교적 상위 계층에 속하는 편이며, 이에 따라 사회적 격차와 상대적 박탈감이 생성된다는 우려가 있다. 영⦁유아 음악 교육을 진행하는 모든 기관은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생후 41개월부터 50개월 층의 참여도를 높여야 하고 프로그램 다양화 및 정기적 편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서울, 수도권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교육 기관의 수가 적은 지방의 경우 국가가 주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문화 교육 기관의 설립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관 자체의 교육 시설 보수와 학습 도구 정비 및 지원이 필요하고 교사 충원을 비롯한 인적 자원이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 기관에 종사 중인 교사의 사기를 충전해줄 수 있는 환경을 점검하고 적절한 보수를 책정하거나 유용한 복지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원활한 프로그램 진행을 방해하는 장애라는 요건을 가진 영⦁유아와 불안정한 환경 속에 있는 영⦁유아가 일반 아동과 차별 없이 발달할 수 있도록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빈곤층도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학원 및 교육 시스템을 갖춘 도시가 아닌 양질의 가치를 갖춘 교육을 제공하고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Study on the effects of glucose-6-phosphate transporter on differentiation and polarization of human monocytes

        아현 Korea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1311

        Background: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b (GSD-Ib) is an inherited disease caused by a deficiency of the glucose-60phosphoate transporter (G6PT) and is characterized by disrupted glucose homeostasis, neutropenia, and neutrophil dysfunction. To see if other immune cells have problems such as neutrophil dysfunction and neutropeni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tabolic reprogramming, differentiation, and polarization into M1 macrophages in G6PT-deficient monocytes. Methods: The U937 cell was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into M1 macrophages upon stimulation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Lipopolysaccharide, and Interferon-γ. Differentiation mechanism of M1 macrophages was assessed by western-blot and Flow cytometry analysis of cell surface marker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was analyzed by Real-Time PCR. Results: We found that both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into M1 macrophages are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The impaired differentiation of G6PT-deficient monocytes into macrophages reduced the expression of gp91phox, which caused impaired ROS production. The Reduction of ROS production reduced HIF-1α expression associated with M1 polarization. Loss of HIF-1α decrease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β, IL-6, IL-23, IP-10, IRF7, and TNF-α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CD86 and CD11b, which are used as surface markers of M1 macrophages. Furthermore, the AKT-mTOR-HIF-1α pathway, which is involved in M1 polarization were decreased in expression in G6PT-deficient monocytes. Lack of G6P supply due to G6PT deficiency impaired glucose homeostasis, resulting in decreased expression of HIF-1α, thus ROS produc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hibited in G6PT-deficient monocyt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ot only neutropenia, but also impaired monocytes in GSD-1b patients can occur differentiation or polarization into the M1 macrophages, and functional disorders of M1 macrophages. 배경 : 글리코겐 저장 질환 유형-Ib(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b; GSD-Ib)는 글루코오스-6-포스페이트 수송체(Glucose-6-phosphate transporter; G6PT)의 결핍에 의해 야기되는 유전병인 상 염색체 열성 증후군으로, 포도당 항상성, 호중구 감소증(neutropenia)과 호중구 기능의 장애가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G6PT가 결핍된 호중구의 기능 장애로 인한 손상된 포도당 항상성이 다른 면역 세포에도 영향을 주어 대사에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G6PT가 결핍된 단핵구의 대사과정과 M1 대식세포로의 분화 및 분극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과 : 인간의 단핵구에서 M1 대식세포로의 성장 및 분화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G6PT가 결핍된 단핵구의 M1 대식세포로의 분화에서 NADPH oxidase complex 중 하나인 gp91phox의 발현을 크게 감소되었으며, 이는 NADPH oxidase complex에 의한 ROS 생산에 문제를 일으켰다. ROS 생산의 감소에 의해 M1 분극화 및 분화와 관련된 HIF-1α(Hypoxia-inducible factor 1-alpha)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HIF-1α의 손실은 IL-1β, IL-6, IL-23, IP-10, IRF7 및 TNF-α와 같은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감소를 초래하였고, M1 대식세포의 표면 마커로서 사용되는 CD86과 CD11b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M1 분극화에 관여하는 AKT-mTOR-HIF-1α 경로는 G6PT가 결핍된 단핵구에서 발현이 감소되었다. G6PT 결핍으로 인한 G6P 공급의 부족으로 포도당 항상성이 손상되어 HIF-1α의 발현이 감소하여 ROS 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 카인 발현이 억제되었다. 결론 : 이 연구는 호중구 감소증 뿐만 아니라 GSD-1b 환자의 손상된 단핵구가 M1 대식세포로의 분화 또는 분극화 및 M1 대식세포의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