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ED 광원을 이용한 DCI 색좌표계 구현 향상기술

        오승현 순천대학교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Color gamu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indicators of multimedia systems because a wide color gamut enables the reproduction of more real surface colors. The color gamut of multimedia systems depends on the RGB (red-green-blue) primary. There are various RGB primaries, such as ITU-R BT.709, ITU-R BT.2020, sRGB, Adobe RGB, and DCI. ITU-R BT.709 and sRGB have a very small color gamut, while ITU-R BT.2020 has an extremely wide one. Adobe RGB and DCI have RGB primar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rinters and digital cinema projectors, respectively. Also, some of these RGB primaries are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In recent years, a display device to reproduce the digital image has been commercialized. Therefore, DCI has received attention as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standard color gamut. This paper proposes four solutions for improving the DCI coverage in the white LED. That is Phosphor combination to follow opec-cell spectrum data and the other one is a method of applying the 2 cup LED structure. Third, that is a method of cutting the unnecessary color wavelengths as adding the color filter. The last one is using Fluoride Phosphor. When four solutions were applied LED package, DCI color gamut was reproduced more than 95%. Due to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white LED as a backlight source of the multimedia device is expected to increase.

      • USN용 단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IEEE 802.15.4b 기반 저속 모뎀 구현 연구 /d吳丞現

        오승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IEEE 802.15.4b는 IEEE 802.15.4의 표준안의 모호성을 해결 하였고 불필요한 표준의 복잡함을 간소화하였으며 보안 키 활용의 유연성을 보강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ZigBee 기술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최근 900MHz RFID에 배정된 908.5 ~ 914MHz 대역에서 주파수 대역을 할당 받기 위한 표준화 활동도 진행 중이다. 주파수 간섭으로부터 다소 여유가 있는 900MHz 대역의 주파수 확보는 무선 센서 부분에서의 기술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USN용 단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IEEE 802.15.4b 기반 저속 모뎀을 구현하였다. 시스템으로는 IEEE 802.15.4b 915MHz band의 Modulation 중 mandatory BPSK Modulation을 기반으로 구현하였다. Transmitter의 oversample function block으로 SNR 3dB정도의 향상된 성능을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였으며 receiver의 offset noise 보상을 위한 CFO와 timing estimation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원래의 신호를 검출하였다. 또한 AWGN의 환경에서 신호의 복원을 위해 SRCF function block을 구현하여 SNR -2dB까지 출력 값을 despread function block으로 전달한 테스트 결과 원활하게 복원되었다. 검증을 위해 MATLAB과 modelsim으로 시뮬레이션 비교 분석하였으며 하드웨어 구성을 통한 검증을 위하여 digtal board와 analog board를 구성하였다. 하드웨어 구성으로 FPGA devide로 virtex4 sx55를 사용하였으며 DAC는 AD9777, ADC는 LTC2284를 사용하였다. 또한 RF 구성에는 Transmitter에 UpConvertor AD8346 Evaluation Board를 사용하였고 Receiver에는 DownConvertor AD8347 Evaluation Board를 사용하였다. 이 구성으로 테스트한 결과와 시뮬레이션을 비교하여 모뎀의 성능이 IEEE 802.15.4b 915MHz band BPSK Modulation의 specification에 만족함을 검증하였다. 저속 무선 PAN 규격인 IEEE 802.15.4b는 산업용 제어 분야, 재난 방제 분야, U-농업 분야 등에서 통신의 모듈로 활용할 수 있다. 산업용 제어로는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응용 등이 있으며, 재난 방제 분야에서는 재난 발생의 감지와 위치를 포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U-농업 분야에서는 농작물 관리를 위한 유해독소 검출, 농약검출, 토양토질관리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응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EEE 802.15.4b resolves the ambiguity of IEEE standard 802.15.4 and simplifies its complexity and reinforces the flexibility of taking advantage of the security key. Standardization activities for the assigned frequency band in 908.5 ~ 914MHz band which has been assigned to the 900MHz RFID recently for the efficient use of ZigBee technology in the country are also in progress.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of wireless sensor technology will be enhanced by securing 900MHz free from interference with some frequency.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implementation of low-speed modem based on IEEE 802.15.4b for the USN for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as implemented the mandatory BPSK Modulation of IEEE 802.15.4b 915MHz band and algorithms, which meet the specification, to resolve the problems of Frequency Offset, Phase Offset and AWG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SNR 3dB to the oversample function block of the transmitter was verified by simulation. CFO compensation and the timing estimation algorithm for offset noise in the receiver were implemented, and the original signal was detected. Also, in order to restore signals from the environment of AWGN, SRCF function block was implemented. The signals were smoothly restored as a result of the test that the output value of SNR 1db had been transferred to the despread function block. For verificaton compared and analyzed it through simulation of using MATLAB and Modelsim. Also, The hardware consisting of Digtal Board and Analog Board were configured. In the hardware configuration, Virtex4 sx55 for FPGA devide, AD9777 for DAC and LTC2284 for ADC were respectively used. In RF configuration, UpConvertor AD8346 Evaluation Board for a transmitter and DownConvertor AD8347 Evaluation Board for a receiver were respectively used. It is verifi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modem meets the specification of IEEE 802.15.4b 915MHz band BPSK Modulation by comparing the simulation and the results of that configuration. IEEE 802.15.4b, Low-speed wireless PAN standard, can be used as modul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industrial control, a disaster prevention and U-agriculture field. Monitoring and automation system can be used in industrial control, and the occurrence of a accident in the disaster prevention field can be managed by capturing detection and location.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 in U-agriculture field can be used in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detecting harmful toxins and managing the quality of the soil, etc.

      • 초슬림 면광원 구현을 위한 고효율 다측면 발광소자에 관한 연구

        오승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Many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several of a light source. In 1963,EL lamp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e area light source. But it had some wealmesses as like low reliability and brightness. That’s why the LED was develop!회 and adopted as the light source of the back light in recent. 1t has lots of advantages that are long life times(Over 100,000 hrs) and higher brightness. But the LED has spot light sources,so that it causes the dark area in the surface of the back light units. It means LED ernitting pattern is un-uniform center and edge pattern. 50 it need to develop the flat lighting for this problem. Generally ,ernission radiation pattem of LED has narrow,this pattern cannot apply panel lighting without lens. That’s why thickness of the Backlight unit (BLU) would be lirnited to realize a thin panel. 1n this paper ,panel light sources were realized by adopting the LED and the multi-side emitting chip and package of the desjgn and fabrication. It develops multi 얹nitting chip that will study and fabricate in this paper for thickness problem. The method of the multi-side emitting devices which is most important optical uniformity in Backljght unit. Especi머ly,it needs to dark at top spot emitting and brighter at side emitting.

      •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나노 다공질막의 제조와 분석

        오승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art I Effect of blend composition on the morphology development of electrospun fibres based on PAN/PMMA blends The aim of the work presented was to determine the morphology development and relevant change in fibre diameter of a binary polymer blend system during an electrospinning process. The size of the fibre diameter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general properties of non-woven mats formed from electrospun fibres. The morphology and diameter of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 (PAN)/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blend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blend ratio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diameter of the electrospun PAN/PMMA fibres decreased with increasing PMMA content up to 50 wt%, and then increased again with further increase of PMMA. After thermal treatment, the fibres shrank, and an irregularly shaped morphology was observed. The electrospinning of incompatible PAN/PMMA blends leads to a microphase-separation morphology of fibres. A phase inversion occurs at a PMMA content of between 50 and 75 wt%. Due to the phase inversion, the fibre diameter shows a minimum value at the relevant composition. Part II Novel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an electrospun poly(vinylidene fluoride) filled with poly(4-vinyl pyridine) The micro-porous polymer electrolytes membranes(PEMs), notably electro-spun fiber mats, have been suggested to give an improved ionic conductivity. However, the mat-type PEMs have a poor mechanical and imensional stability because of their inevitable porous nature. In this study, we suggest a new PEM system based on poly(vinylidene fluoride)(PVdF) mats, which can overwhelm such shortcomings of the porous mats by introducing another component, poly(4-vinyl pyridine) (P4VP), into the mats. The morphology of PVdF-P4VP membrane was observed so-called bicontinuous structure the same as submicron size by FE-SEM. Then, PVdF-P4VP membrane had lower swelling ratio than pure PVdF mat, through that, PVdF-P4VP had high dimensional stability comparatively. Also, PVdF-P4VP prepared by this structure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s compared with pure PVdF mat. At the same time, even though PVdF-P4VP membrane was observed lower liquid electrolyte content, the ionic conductivity was improved by appproximate 60% than that of PVdF mat. Consequently, P4VP which has the high ionic conductivity comparatively and the bicontinuous structured membrane affected the enhanced properties of PVdF-P4VP.

      • 대전지역 고등학생들의 일본문화 인식의 고찰

        오승현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tive of this research is my curiosity about after opening of Japanese public culture, How Korean young people think about it? I wrote a thesis with this theme by questionnaire with high school students who study Japanese by second foreign language in Daejeon. The subject of thesis is consideration of Japanese culture recognition. You can read this contents in introduction of the thesis. The main subject consists of four part. The first part is a research that how many young people interest in Japanese cultur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most students are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and especially boy students are very interested in it. The second part is that how youth think about Japan. They have a interest in Japanese culture but don't like Japan and Japanese people because of the past historical reason. The third part is how they think about improvement of rel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public cultural interchange. Most students say it can improve the relation. But some girl students say negative response to the question. And the last part is a research that influence to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y opening of Japanese culture.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Daejeon have more interest in Japanese language after the opening of Japanese public culture. In conclude I can learn that high school students often come in contact with Japanese culture and have a interest after the opening of Japanese public culture, especially boy students take more positive attitude than girl students. This is a result that boy students are familiar with Japanese game. I can learn another fact through this research. It could learn in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former research.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Daejeon take more conservative attitude than students who live in other place to the Japanese culture. I think it is derived by regional traits that they have a strong consciousness of history from the past.

      • 독립국가의 패러다임을 넘어서 : 에메 세제르의 네그리튀드와 탈식민주의

        오승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프랑스령 마르티니크 출신의 문인이자 정치인인 에메 세제르(Aimé Césaire)는 ‘흑인다움’을 의미하는 ‘네그리튀드(Négritude)’ 운동의 창시자이자 대표적인 탈식민주의 이론가이다. 특히 탈식민화를 위한 그의 정치적 제안은, 탈식민화의 공식으로 인식되어온 ‘독립 국가 수립’과 결을 달리하는 방안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에메 세제르의 탈식민주의와 그 의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세제르의 식민주의 비판을 이룬 사상적 기반인 네그리튀드의 의미를 정의하고, 이 개념과의 연관성 속에서 그의 정치적 제안을 검토한다. 그리고 독립 국가의 패러다임을 벗어난 세제르의 제안에 영향을 준 시대적·역사적 요인을 검토함으로써 그의 제안이 탈식민화 방안이 될 수 있었던 배경을 밝혀내고자 한다. 네그리튀드는 일반적으로 흑인 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제르는 이 개념에 프랑스 공화국의 ‘보편’의 원칙에 대한 비판을 결합하였다. 혁명의 유산인 프랑스 공화주의는 모든 인간의 평등함과 그에 따른 권리를 규정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이로부터 유리된 이들이 존재했다. 식민주의자들의 자의적 기준에 의한 인종차별은, 혁명이 약속한 보편적 권리로부터 식민지 주민들을 소외시켰다. 세제르는 식민주의가 서구의 보편적 가치를 훼손한 원흉이라고 지적하며, 왜곡된 보편에 의해 억압된 이들의 가치를 되살리는 것이 식민주의 비판의 급선무라고 보았다. 네그리튀드는 ‘흑인다움’의 가치에 대한 재발견이자 이를 훼손하려는 일체의 자의적 기준에 대한 거부였으며, 더 나아가 모든 이의 ‘나다움’ 추구를 통해 진정한 보편을 완성하고자 한 움직임이었다. 정치인 세제르가 제안한 도 편입안(départementalisation)과 연방제는 네그리튀드를 구현하기 위한 탈식민화 방안이었다. 이 두 가지 제안은 공통적으로 식민지 본국인 프랑스와 종전의 식민지가 평등한 공동체를 이루는 체제를 지향했다. 세제르가 지향한 체제 안에서, 식민지 주민들은 프랑스 공화국의 동등한 구성원이자 혁명이 약속한 보편적 권리의 수혜자가 된다. 결국 도 편입안과 연방제는, 식민주의에 의해 왜곡된 서구의 보편을 완성하고자 한 네그리튀드의 취지와 맞닿아 있었다. 도 편입안과 연방제는 공통적으로 프랑스의 틀 안에서 본국과 식민지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방향을 지향한 것으로, ‘탈식민화=독립 국가 수립’이라는 통념과는 다소 이질적이다. 따라서 세제르의 주장이 탈식민화 방안으로써 설득력을 지닐 수 있었던 배경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먼저, 마르티니크 대중의 여론이 민족 국가 수립을 지지하지 않았던 당시의 상황을 들 수 있다. 마르티니크의 주민들은 본국의 주민들과 동등한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요구했으며, 이 지역에서는 독립을 위한 조직적인 투쟁이 일어나지 않았다. 16세기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원주민들의 문화가 거의 사장된 이래로, 식민화의 유산은 이곳 주민들의 정체성을 형성한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다. 이처럼 식민화의 오랜 역사 속에서 마르티니크와 프랑스 본국 사이에는 뿌리 깊은 상호의존 관계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마르티니크의 주민들로 하여금 독립이 아닌 프랑스 공화국의 동등한 성원으로 인정받는 방향을 지향하게 하였으며, 세제르의 독특한 탈식민주의를 가능하게 한 배경이 되었다. 세제르의 탈식민주의에 영향을 미친 또다른 외부적 요인은, 그의 저작 『식민주의에 대한 담론』에 드러난 미 제국주의에 대한 경계 의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이 발표된 1955년은 신생 독립 국가들이 우후죽순 등장하고, 미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 질서가 만들어지던 시기이다. 종전의 식민지들이 독립 국가를 수립한 이후에도 완전한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상황은, 독립 국가 수립과 탈식민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세제르의 회의적인 관점으로 이어졌다. 세제르는 미국의 거대 자본이 새로운 형태의 식민지배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세계가 이러한 위협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서는 ‘백인이 아닌’ 구성원들과의 화합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식민지배의 역사가 만들어낸 상하관계를 평등한 공동체로 전환하여 상생을 모색하는 것이 세제르가 주장한 진정한 의미의 탈식민화였다.

      • 브랜드 스토리 유형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J.Greimas의 서사이론과 FCB Grid모형을 중심으로

        오승현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로 브랜드 스토리 기저에 흐르는 원칙을 파악하고, 브랜드 스토리를 유형화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주의 문학이론인, A. J. Greimas의 ‘서사이론’을 도입하여, 스토리를 통한 브랜드-소비자 간의 본질적인 의미생성 조건 분석을 바탕으로 서사이론에 근거한 보편적인 브랜드 스토리 유형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 목적은 유형화된 브랜드 스토리 유형들이 모든 제품군에 포괄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실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광고도출 전략모델인 FCB Grid모형을 활용해 각 제품군 내에서 유용한 브랜드 스토리 유형을 알아보았다.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브랜드 스토리를 크게 3가지로 분류하였다. 제품의 원료, 기술에 관한 스토리 등 주로 “제품 자체의 정보”로 이루어진 제품 본질형 스토리, 기업 내부의 창시자나 내부직원 등의 기업인, 창업에 얽힌 철학이나 역사, 유명인이나 브랜드를 표상하는 캐릭터 등 주로 그 브랜드나 기업 내부의 “제품과 관계된 감정적인 정보”로 이루어진 관계 정보형 스토리, 소비자의 꿈, 희망적인 이야기를 가공하거나 소비자가 직접 체험한 경험을 가공하여 만든 스토리로써 “소비자를 직접 언급하거나 기업 외부의 의도되지 않은 정보”로 이루어진 라이프 신화형 스토리이다. 가설 1은 이러한 세 가지 브랜드 스토리 유형이 소비자 태도인 신뢰도, 호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각각 검증하였고, 가설 2부터 가설 5까지는 FCB Grid모델의 각 제품군(고관여 인지/감정 제품, 저관여 인지/감정 제품)에 따라 어떠한 브랜드 스토리 유형이 유용한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카메라, 화장품, 치약, 인스턴트 커피의 유형별 브랜드 스토리를 표현물로 제작하였고, 서울 거주 209명의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세 가지 브랜드 스토리 유형이고, 매개변인은 고/저 관여도, 인지/감정 관여도이며 종속변인은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호의도, 구매의도로써, 설문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빈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분산분석과 LSD 사후검정을 이용하였다. 첫 번째 결과로, 브랜드 스토리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서 제품 본질형 스토리의 브랜드 신뢰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으나, 브랜드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두 번째, 고관여 인지 제품에 있어서는 정보 제공 측면에서 가장 인지적인 제품 본질형 스토리가 브랜드 신뢰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이프 신화형 스토리가 고관여 인지제품의 브랜드 호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관여가 깊고 이성적인 사고를 하는 제품이 소비자와 신뢰도를 구축하고 싶다면 제품 본질형 스토리를 활용하고, 소비자의 호의도를 얻고 싶다면 라이프 신화형 스토리를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세 번째, 고관여 감정 제품의 경우 관계 정보형 스토리의 브랜드 신뢰도와 구매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검증 결과는 고관여 감정 제품의 브랜드 스토리 방향성에 대하여 잘 설명해주고 있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화장품, 패션 브랜드 등의 고관여 감정 제품들이 관계 정보형 브랜드 스토리를 통해 브랜딩에 성공한 이유와 대부분의 명품 브랜드가 관계 정보형 스토리를 활용하고 있는 이유를 본 연구에서 입증하였다고 할 수 있다. 네 번째, 저관여 인지 제품의 경우에는 자극이 인지적으로 처리되기는 해도 그것만으로 태도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신뢰도와 호의도 형성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없으나,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제품 본질형 스토리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저관여 인지 제품의 태도 형성 과정이 신념->행동->평가로 이어짐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저관여 감정 제품은 제품 본질형 스토리가 브랜드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이프 신화형 스토리가 브랜드 호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그간 실무적인 관점에서만 진행되어 온 브랜드 스토리 연구에 이론적인 틀을 제공하였다는 의의와, 브랜드 스토리의 유형을 분류하였을 뿐 아니라 각각의 유형에 관한 구조를 파악하고 특징을 구체화하였다는 의의를 갖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브랜드 스토리가 ‘태도’의 어떤 측면에 가장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브랜드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그 브랜드 스토리가 구성되어야 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브랜드 스토리가 모든 제품군에 포괄적으로 쓰이기 위해 실험연구를 병행함으로써 FCB Grid모델의 각 제품군 내에서 유용한 유형을 검증하였으며 전략적 제언을 덧붙였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 스토리를 마케팅의 대안으로 방향 설정하고 있는 실무자들에게 어떠한 브랜드 스토리를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관여도 척도에 대한 한계점과 피험자 선정의 한계를 갖고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는 위와 같은 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길 바라며, ‘브랜드 스토리’에 대한 정의 및 유형, 그리고 효과에 대한 좀 더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유형화한 브랜드 스토리 유형들이 각 분야의 마케팅 영역에서 적절하게 활용되길 바라며, 소비자와 궁극적으로 소통하는 수단으로써 브랜드 스토리 유형들이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해본다.

      • 헤어서비스 SNS 정보특성이 소비자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 이용경험 조절효과

        오승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 SNS 활동이 대중화되어 감에 따라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헤어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헤어서비스산업에서도 SNS로 제공하는 헤어서비스 정보의 전문성과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바탕으로 보다 나은 경제적 이윤 창출을 위해 SNS를 활용한 마케팅을 활발히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헤어서비스 SNS 정보특성이 소비자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비자의 헤어서비스 SNS 이용경험에 따른 조절효과를 실질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래의 SNS 효율화와 유튜브 등 인터넷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마케팅 효과 연구에 대한 추론 즉, 예측을 함과 더불어 헤어서비스와 관련된 SNS 콘텐츠 개발과 4차산업혁명시대에 알맞은 온라인마케팅의 대안 및 실용가능 한 전략을 실증적인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표본조사는 SNS를 통한 헤어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의 수집방법은 직접 자기기입식 설문지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이 사용되었다. 예비 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총 474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를 검토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자의 빈도분석,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SNS 정보특성, 소비자태도, 행동의도에 타탕성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가설에 따른 확인적 요인분석, 변인의 높은 관련성을 평가하는 집중타당도, 개념 신뢰도, 상이한 잠재변수간의 차이를 조사하는 판별타당도, 두 변인 간의 관계분석인 상관분석, 분산분석(ANOVA),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정보특성, 소비자태도, 행동의도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과 타당도를 실증 검토한 결과, SNS 정보특성은 신뢰성, 위험성, 적시성, 유희성, 동의성의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소비자태도는 단일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행동의도는 구매의도, 정보탐색의도, 구전의도의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조절변수인 SNS 이용경험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설명되어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개념 신뢰도와 평균분산추출지수(AVE) 값에서 표준화 요인부하량과 개념 신뢰도와 AVE값 그리고 구성개념에서 p값 유의도와 집중타당도를 검토하였고 상관분석을 통해서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가설1의 검증결과, SNS 정보특성 요인 중 신뢰성, 적시성, 유희성, 동의성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그중 동의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SNS상의 정보에 대한 동의성이 높을수록 정보에 대한 신뢰와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카카오스토리나 페이스북 정보 이용자의 경우 개인적 친분이 개입되므로 정보에 대한 신뢰성 형성이 용이하며,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태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여진다. 다만 위험성은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온라인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위험성을 지각하고 인지하더라도 SNS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가설2의 소비자 태도는 구매, 구전, 정보탐색의도인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긍정적으로 형성된 소비자 태도가 구매확률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가설3의 SNS 이용경험에 따른 조절효과는 구매의도와 정보탐색에 대해 조절효과가 있는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전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부분채택이 되었다. 이는 SNS 이용경험이 높을수록 많은 정보를 접하게 되고, 비교하게 되어 구매확률이 낮아 지는 반면에 SNS 이용경험이 낮을수록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소비자 태도가 형성되며,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확률이 높아지고, 실제 구매를 함으로써 적극적인 정보탐색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보여진다. SNS 이용경험이 낮은 만큼 긍정적인 소비자태도가 형성되었더라도 구전에는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지나, SNS 이용경험은 소비자태도와 행동의도간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SNS 정보특성으로 인한 소비자 태도형성과 행동의도간의 관계를 규명 하는데 있어 행동의도를 3가지 차원(구매의도, 정보탐색의도, 구전의도)으로 세분화한 부분에 본 연구의 차별성을 두고 있다. 또한 관련변수로 소비자 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매개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소비자특성인 SNS 이용경험 정도에 따른 차이점도 알아보았다. 이는 헤어서비스업 마케팅에 현실적이면서도 혁신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성과를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패각의 조형성을 모티브로 한 웨딩업스타일 연구

        오승현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개성이 뚜렷한 현대인들의 욕구표현에 다양한 소재가 활용 되어 지고 있다. 많은 예술가들이 자연물의 요소에서 영감을 얻어 그 대상의 특징을 표현하고, 대중에 전파한다. 신부들의 웨딩업스타일 분야에서는 정적이고 정형화된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것이 보편적이다. 본 연구자는 조개와 소라 등의 형태와 조형성, 질감, 반복, 율동성을 분석하여 패각이라는 소재를 찾았다. 정적인 아름다움 보다 독특한 개성을 담아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고자 하는 신부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헤어디자인을 패각의 조형성에 접목하여 웨딩업스타일을 표현하고자 했다. 패각은 식용과 장식성이 뛰어나지만, 건축과 도자 등에서 무늬와 구조, 조형적인 면을 미적인 가치로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자연물중 우리 삶의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패각의 다섯 강 중 에서 복족 강, 이미패 강, 두족 강에 속하는 패각들을 모티브로 각과 크기, 배열 등 자연 그대로의 질서와 법칙을 분석하여 C와 S의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입체적인 질감을 표현해서 창의적인 웨딩업스타일을 연구하여 8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1은 복족강에 속하는 명주고둥의 주름이 없는 매끄러운 표면과 부드러운 나선 모양을 활용하여 한 점에서 시작하여 점점 더 커지는 형태로서 매끄럽고 부드러운 곡선 형태의 웨딩 업스타일을 제작하였다. 작품2 는 복족 강에 속하는 피뿔 고둥의 둥근모양의 두껍고 단단한 패각의 느낌을 살리고자 골덴과 네이프에 두 개의 포니테일을 만들어 골덴에는 크고, 우아한 곡선과 질감을 살리고, 네이프에 작은 롤을 만들어 연결감을 주었다. 작품3 은 두족 강에 속하는 가장 오래된 화석인 암모나이트의 나선모양과 질감을 살려 단아한 대중성을 탈피한 개성이 뚜렷한 신부의 웨딩업스타일을 표현했다. 작품 4는 이미패 강에 속하는 희귀종인 하트조개의 하트 모양에 질감을 더해 표현하고자 네이프의 롤 위에 모 다발의 여러 가닥으로 나누어 얇게 펼쳐서 두정부의 가운데로 모아지는 C컬을 만들고 사이드의 모 다발을 백 센타로 연결해 하트의 모양을 완성 하였다. 작품 5는 복족 강에 속하는 큰실꾸리고둥의 나선 형태와 질감을 살려 곡선의 연결로 신부의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강조하여 자연스럽고 율동적인 나선형을 표현했다. 작품 6은 이미패 강에 속하는 파래가리비의 부채꼴 모양의 곡선과 질감을 살려 신부의 우아함과 여성스러움을 강조고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비대칭으로 표현해 제작하였다. 작품 7은 복족 강에 속하는 못 고둥의 돌출된 나선 형태와 질감을 살려 신부의 발랄함을 강조하는 상위 웨딩업스타일을 제작하였다. 작품 8은 복족 강에 속하는 팽이옆주름 고둥의 패각은 두껍고 단단하며 난형이다. 패각 표면은 비늘모양의 물결무늬모양을 이루고 있다. 거친 굴곡의 형태를 신부의 단아함에 약간의 거친 질감을 강조하여 전기 아이론을 사용해 거칠고 굴곡진 모양을 만들어 작품을 완성하였다. 본 논문은 패각을 조형예술로서의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고, 질감, 곡선적인 리듬, 반복성 등의 조형성을 응용하여 현대적인 스타일과 접목시켜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으며, 웨딩업스타일 작품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연에서 얻어지는 영감을 활용해 정적인 영역에 자유로운 개성을 표현할 웨딩 헤어스타일을 제안한다. 점점 위축되어 가는 업스타일 분야에서 다양하고 흥미로운 스타일을 제시하여 살롱에서 활용될 수 있는 헤어스타일에 유익한 도움자료가 될 것이다. 미용 예술분야에 학문적 기반을 다지는데 그 목적이 있고, 미학적 가치를 추구하며 자연을 모티브로 재창조하고 개발하여 헤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이나 웨딩 업스타일 시장이 줄고 있는 현장에서 일하는 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이 될 기초자료로 쓰이길 바란다. 인간 삶 속에서 친화적으로 녹아있는 많은 자연물을 매개로 영감을 얻어 자연의 아름다움과 모양을 예술로 승화하여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이 활발해 지기를 기대하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Diverse materials are being applied to expressing a desire in modern people whose individuality is distinct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Many artists are inspired by an element of a natural object, thereby representing a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and spreading it to the public. It is universal to show the static and stereotyped beauty in brides' wedding up style field. This researcher analyzed a form & formativeness, texture, repetition, and rhythm in clam and conch, thereby having found a material dubbed a shell. The aim was to express a wedding up style through integrating it into the formativeness of a shell as for the new hair design of being pursued by brides who intend to show own beauty through containing unique individuality rather than static beauty. A shell is excellent in edibility and decorativeness, but showed the aspect of pattern, structure and modeling in architecture and pottery as the aesthetic value. This study analyzed the natural order and rule such as angle, size and array with having motifs as the shells of belonging to Class Gastropoda(腹足綱), Subclass Heterodonta(二枚貝綱), and Cephalopoda(頭足綱) out of five class(綱)es in a shell that can be easily approached around our life, and then inquired into creative a wedding up style through representing natural movement and three-dimensional texture in C and S, thereby having made 8 works. Work 1 was produced a wedding up style in the form of a smooth and soft curve as a form, which gets bigger and bigger with starting at one point, through utilizing smooth surface and soft spiral shape without the lines in a sea snail of belonging to Class Gastropoda(腹足綱). Work 2 was made two ponytails in golden and nape in order to revive a feeling of a roundly thick and solid shell of Rapana venosa, which belongs to Class Gastropoda(腹足綱), thereby having taken advantage of a large & elegant curve and texture in golden and having made a small roll in nape, resulting in having given a sense of connection. Work 3 was vitalized spiral shape and texture in an ammonite, which is the oldest fossil of belonging to Cephalopoda(頭足綱), thereby having shown a wedding up style in a bride whose individuality is prominent with escaping from graceful popularity. Work 4 was made C curl, which is gathered in the middle of the top head through spreading thinly with dividing the hair strand into several strands on the roll of nape, in order to express it through adding texture to a heart shape of a heart shell, which is rare variety of belonging to Subclass Heterodonta(二枚貝綱), and then completed a heart shape through connecting the hair strand of the side to the back center. Work 5 was stressed a bride's beauty and gorgeousness with the curvature connection through reviving spiral shape and texture in a staircase shell of belonging to Class Gastropoda(腹足綱), thereby having expressed a natural and rhythmic spiral form. Work 6 was represented and made asymmetrically in order to highlight a bride's elegance and femininity and to avoid monotony through vitalizing curve and texture in the fan shape of Chlamys farreri, which belongs to Subclass Heterodonta(二枚貝綱). Work 7 was made a highly wedding up style, which underlines a bride's vividness through reviving a protruding spiral form and texture in Microfusus acutispirata of belonging to Class Gastropoda(腹足綱). Work 8 is a thick and solid egg shape in a shell of Nucella freycineti, which belongs to Class Gastropoda(腹足綱). The surface of the shell is forming a scale-like watering shape. A work was completed by making a rough and winding shape of using electric iron through highlighting a slightly rough touch in a bride's lofty elegance as for a form of the rough bending. This study could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shell as the formative art, and could be known that various hair styles can be represented by integrating it with a contemporary style and that there is a value as a work of the wedding up style. This study proposes the wedding hair style that will express free individuality in a static sphere through applying inspiration of being obtained from nature. In the up style area that proceeds with being gradually daunted, the suggestion of diverse and interesting styles will become the usefully helpful data for a hair style available for being used in a salon. It is desired to be basic data that will give a help to the students of majoring in hair through recreating and developing nature as a motif while aiming to strengthen the academic basics in the beauty art field and pursuing aesthetic value, and to the designers who work in the field with a decrease in a wedding-up-style market. The aim is to put its significance with expecting to be vitalized the development in the originative and creative design through sublimating natural beauty and shape in art with getting inspiration by having a medium as many natural objects of being contained friendly in a human being's life. Key Words: Wedding up style, Up style, Shell, Shellfish, Modeling

      • 스트레칭과 슬링 안정화 운동이 일자목 환자의 관절가동범위, 통증 및 척추 정렬에 미치는 영향

        오승현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tching and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a sling on changes in the angle of the cervical vertebra, changes in pain, spinal alignment, and range of motion (ROM) in straight neck patients. Twenty adults (males: 10, females: 10) diagnosed with a straight neck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a stretching exercise group and a sling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ix weeks, three times per week, for 60 minutes each time.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each group's X-ray and formetric II spinal measurement was taken. Each group's degree of pain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range of motion were also measur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hanges in the angle of cervical vertebra and spinal alignment.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angle of the cervical vertebra, only the stretching group's craniovertebral angle and cranial rotation angle decreased from 71.33±6.28 to 65.33±5.22 and from 150.66±11.21 to 14270±10.53,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nal alignment of both group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VAS and ROM.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both groups (p<.05). Regarding changes in ROM, the sling stabilization exercise group's flexion, right rotation, left lateral flexion, and right lateral flexion significantly changed (p<.05) and the stretching group's left rotation, left lateral flexion, and right lateral flexion significantly changed (p<.0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etching positively affected the patients' changes in the angle of cervical vertebra, VAS and ROM and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a sling positively influenced the subjects VAS and ROM. Such outcome shows that both groups saw significant improvement in VAS and ROM but the stretching group saw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anges in the angle of the cervical vertebra than the sling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The researcher expects this study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research on straight neck. Keywords : straight neck, sling, spinal alignment with stretching, forward head pos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