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佛敎儀禮의 五方 槪念 및 樣相 硏究

        오수동(정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1999

        오방과 오방색에 대한 인식은 논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오행사상이 생겨남과 동시에 오방오색의 관념이 생겨났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국의 경우 오방관념이 오행사상에 앞서 출현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방위에 대한 불교 경전은 많다. 『아미타경』에는 서방 정토 사상과 동남서북과 상ㆍ하의 육방에 대해서 등장하며, 『우바새계경』이나 『불설시가라월육방예경』에도 육방 예경에 대해 설명되고 있으며, 『중아함경』이나 밀교계 경전에는 오방에 대한 설명이 등장하고 있다. 『중아함경』의 ‘오방’의 색상을 수행의 관념으로 귀결하고 있으며, 『아미타경』에는 서방으로 가면 극락이라는 세계가 있다고 설하고 있는데, 그것은 해가 떠오르는 동방에 비해 해가 서쪽으로 지는 그곳은 곧 죽음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육방에 대한 불교의 인식으로 육방에 대한 예경 사상과 육방의 불타를 설명하고 있는 경전을 볼 수 있으며, 『우바새계경』에서는 우바새계를 받으려면 육방에 예경해야 하는데, 그 대상은 부모, 스승, 처자, 선지식, 노비, 사문ㆍ바라문이라고 하고 있다. 또 『아미타경』은 육방의 여러 붓다의 명호를 거명하는데, 이는 다불(多佛) 사상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오방불이 현재 이해하고 있는 동방의 아촉불, 남방의 보생불, 서방의 아미타불, 북방의 불공성취불, 중앙의 비로자나불이라고 하는 것들은 대체로 밀교적 색채가 농후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오방의 수많은 붓다들의 대표 불이 칭해지면서 오방불 사상은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교의 오방 오색과 관련한 대표적인 한국불교의 신행 문화로는 오대산의 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에 오제(五帝)가 등장하는 대표적인 의례 자료로는 오로단 의식이 있다. 오로단은 오방의 오제와 오군과 그 신기를 초청하여 오방의 길을 열어달라고 부탁하는 의식이다. 그 양상을 확인해주는 자료는 오로소와 오방찬 등이 있다. 오방불은 경전마다 명호의 차이가 보인다. 우리나라 사방불의 경우 동(東) 약사유리광(藥師琉璃光), 서(西) 무량수(無量壽) 혹은 아미타(阿彌陀)로 거의 고정적이나 남(南)과 북(北)은 미륵과 석가 혹은 석가와 미륵 등 일정하지 않으며, 밀교 경전에서의 사방불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당시 고대의 불교 신앙이 독창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또 밀교의 오불부족, 오선정불, 오방불, 오지불, 오지여래도 등장하고 있다. 장례 의식의 오방불번은 망자가 가고자 하는 세계로 인도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방불번(五方佛幡)은 황번(黃幡)ㆍ청번(靑幡)ㆍ적번(赤幡)ㆍ백번(白幡)ㆍ흑번(黑幡)에 오방불(五方佛)의 명호(名號)를 써서 오색(五色) 깃발을 만든다. 오방을 향하여 각 붓다의 명호를 부르는 것은, 오방불을 청해 오늘의 혼령이 극락세계나 천상에 태어나기 위하여 오방세계에 계신 붓다께 고하여 혼령의 접인(接引)을 부탁하는 것이다. 수륙재 의식에서는 오방의 길을 열어달라고 부탁하는 오로단 의식과 망자를 인도하는 오방불이 등장한다. 오로단을 차리고 오방 오제의 위패를 모시고 공양을 올린다. 수륙재 의식에서 오방불번의 역할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데, 오방불을 모시는 목적은 다비의식의 오방불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복장 의식(腹藏儀式)은 불상 등을 조성한 뒤 불상의 배 안에 특정의 신물(信物)을 넣는 의식인데 오방과 관련한 다양한 개념과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복장 의식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의궤(儀軌)로 한국불교에서 성립되었다고 보이는 『조상경』(1824)이 전해지고 있다. 조상경 각 판본마다 그 차이가 존재하고, 복장 의식을 실행하는 제사(諸師, 복장 의식을 실제 행하는 스님들)들은 그것을 통일하기도 하고, 각자 전승 의궤에 의거하여 실행하기도 한다. Scholars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Five Directions and their Five Colors. It is argued that the concepts of the Five Directions and their Five Colors were created with the idea of the Five Elements at the same time. However, Chinese scholars generally accept that the concept of the Five Directions appeared before the idea of the Five Elements. There are a variety of Buddhist scriptures referring to the point of the compass. Amitābha Buddha Sūtra (佛說阿彌陀經) included the idea of the Western Pure Land and the six directions, that is, four cardinal points and two upper and lower parts. The six directions are also explained in Upāsaka Silla Sūtra (優婆塞戒經) and Śṛgālavāda Sūtra (佛說尸迦羅越六方禮經), the Five Directions are in Madhyama Āgama (中阿含經, Middle-length Discourses) and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e color of the Five Directions in Madhyama Āgama is concluded with the idea of meditation. Amitābha Buddha Sūtra says that there is a world called paradise in the west. It is because the sun sets in the west, which may be seen as a symbol of death. Another Scripture explains the idea of worshiping the six directions and the six-pointed Buddha, which shows their perception of Buddhism. Upāsaka Silla Sūtra says that you should worship the six directions when you receive Upāsaka Silla. each of the six directions represents parents, teachers, a wife and children, Seonjisik (善知識, learned and virtuous masters), slaves, Sramana and Brahman. Amitābha Buddha Sūtra mentions several names of Buddhas in the six directions, which can be said to be influenced by the idea of multiple Buddhas. The Five-pointed Buddhas, the most common whose names today are Akṣobhya (阿閦佛) in the East, Ratnasambhava (寶生佛) in the South, Amitābha (阿彌陀佛) in the West, Amoghasiddhi (不空成就佛) in the North, and Vairocana (毗盧遮那佛) in the center, are regarded as the concepts rich in esoteric Buddhist thought. It can be said that the idea of the Five-pointed Buddhas has generalized as the main Buddha has been named among the numerous Ones in the Five Directions. The belief of Mt. Odae is the representative worshiping culture in Korean Buddhism related to the Five Directions and their Five Colors. One of the representative Buddhist rituals where the Five Emperors appear is the Orodan ceremony. Orodan is a ritual that invites the Five Emperors and the Five Kings with their superhumanity to open the way to the Five Directions. The documents confirming their aspect include Oroso, Obangchan, etc. Various sources provide different names for the Five-pointed Buddhas. Bhaiṣajyarāja (藥師琉璃光) in the east and Amitābha (阿彌陀佛) also known as Amitāyus in the west are almost regular among the Four-pointed Buddhas in Korean Buddhism, but Maitreya and Seokgamoni are not determined which of the two is in the south or the north with certainty. They do not coincide with those in the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is is presumably the result of the original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Buddhism. In addition, the Five Buddha Families (五佛部族), the Five Dhyani Buddhas (五禪定佛), the Five-pointed Buddhas, the Five Wisdom Buddhas (五智佛) or Five Wisdom Tathāgatas (五智如来) appear in Esoteric Buddhism. The Five-Buddha Banners (五方佛幡) in the funeral ceremony can be said to lead the deceased to the world he or she wants to go to. They are the Five-color banners each of which has the corresponding name of the Five-pointed Buddhas written on the yellow bannerㆍthe yellow oneㆍthe red oneㆍthe white oneㆍthe black one. Calling each name of them to the Five Directions is to ask the Buddhas in the Five Directions to lead to a departed spirit in the world of paradise or heaven. In the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the Orodan ritual asking to open the way to the Five Directions and the Five-pointed Buddhas guiding the deceased appear. Orodan is set up, and the ancestral tablets of the Five Emperors in the Five Directions are enshrined and offerings are made to them. The role of the Five-Buddha Banners in the Suryukjae is not clear but the purpose of enshrining them is the same as their role in the cremation ceremony. The storage ceremony is one of the Buddhist rituals where the sacred articles are placed in the abdomen of a Buddha statue after creating it. A variety of concepts and aspects related to the Five Directions appear in this ceremony. Josanggyeong (1824) was created and handed down in Korean Buddhism, which is Uigwe (儀軌, the recording in detail for the rituals and ceremonies) presen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orage ceremony. It has different versions and monks performing this ceremony unify them or practice it based on their own tra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