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료저항성 정신분열병에서 반복적 이중경두개자기자극술의 부가치료

        오소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s : To evaluate the efficacy of bimodal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on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successively stimulating the 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with high frequency and the left temporoparietal cortex with low frequency. Methods : Ten patients with DSM-IV schizophrenia, who were proven to be treatment-resistant, were treated with rTMS as an adjuvant therapy while remaining on fixed-dose antipsychotic agents. Patients were given 15 sessions of rTMS for three weeks, with five consecutive sessions and two-day-intervals. Each session consisted of 20 trains of 10Hz rTMS to the 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with 3-sec-duration and 30-sec-interval per train, and consecutive 1Hz rTMS to the left TPC for 10 minutes. Patients were assessed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Korean Version of Calgary Depression Scale for Schizophrenia (K-CDSS), Simpson-Angus Assessment Scale (SAS), and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AIMS) at five time points: 24h before the first rTMS treatment (baseline), 1, 2, and 3 weeks after the first treatment (after 5, 10, and 15 sessions of rTMS), and 1 week after the last treatment. Patients who agreed to take neurocognitive tests were evaluated on neurocognitive function 24h before the first rTMS and 1 week after the last treatment. Results : PANSS-positive, negative, and total sco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after rTMS (x2=13.35, df=4, p<0.05; x2=10.27, df=4, p<0.05; x2=16.50, df=4, p<0.05, respectively), but general pathology sco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For neurocognitive tests, the auditory verbal learning scor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but other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 Bimodal rTMS, stimulating the left DLPFC and the left TPC, in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induced an improvement in PANSS-positive, negative, and total score. This finding suggests that bimodal rTMS may induce symptom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Comparing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of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only the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showed significant changes. This finding was based on an observation in a short time period; therefore, a prolonged effect has not been measured. Furthermore, this is an open trial with a small sample size and, hence, weak statistical power. Therefore,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should be proven by a double-blind trial with a larger sample size in the future. 목적 : 기존의 경두개자기자극술을 응용, 치료저항성의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좌 배외측전전두엽피질(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에 대한 고주파자극 및 좌 측두두정엽피질(temporo-parietal cortex)에 대한 저주파자극을 연속적으로 시행하는 반복적 이중 경두개자기자극술(bimodal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 방법 : DSM-IV에 의거하여 정신분열병 진단을 받았으며 치료저항성 정신분열병으로 평가된 환자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환자는 기존의 항정신병약물을 유지하며 부가치료로서 반복적 경두개자기자극술을 시행받았다. 환자들은 3주간에 걸쳐 5회기 연속 치료 후 2일간의 휴지기를 갖는 방식으로 총 15회기의 경두개자기자극술을 시행받았다. 각 회기는 좌측 배외측전전두엽피질부위에 고주파 자극(10Hz)을 3초간, 30초 간격으로 가하는 총 20열(train)의 자극과, 바로 연속해서 시행되는 좌측 측두두정엽피질부위에 대한 10분간의 저주파자극(1Hz)으로 구성되었다. 각 환자들은 치료 시작 24시간 전, 치료 시작 후 1주, 2주, 3주, 치료 종료 후 1주 시점에서 각각 증상 평가를 위해 양성 및 음성증상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와 캘거리 우울증 척도 (Calgary Depression Scale for Schizophrenia: CDSS)를 측정하였고, 추체외로계 증후군 등의 부작용 평가를 위해 Simpson-Angus 평가척도 (Simpson-Angus Assessment Scale: SAS)와 비정상적 불수의 운동 척도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AIMS)를 측정하였다. 신경인지기능검사에 동의한 환자들은 치료 시작 24시간 전과 치료 종료 후 1주 시점에서 신경심리학적 평가를 시행받았다. 결과 : 프리드만 비모수 검정 결과 양성 및 음성증상척도의 양성증상 소척도, 음성증상 소척도와 종합척도점수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각각 x2=13.35, df=4, p<0.05; x2=10.27, df=4, p<0.05, x2=16.50, df=4, p<0.005) 일반정신병리척도점수상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시술 전후 신경인지기능 평가상 기억기능에 있어 청각적 언어학습의 증가가 나타났으나 그 외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치료저항성의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좌측 배외측전전두엽피질과 좌측측두두정엽피질의 2개 부위를 동시 자극하는 반복적 경두개자기자극술을 시행하였을 때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 종합척도점수상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이는 약물 치료에 제한적인 반응을 보이는 정신분열병 환자에게서 2개 부위를 동시 자극하는 반복적 이중자극 경두개자기자극술이 증상의 호전을 불러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시술 전후 신경인지기능 검사 결과 청각적 언어학습의 증가 외에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효과는 단기간의 관찰에 의거한 것으로, 장기적인 효과는 측정되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는 적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 연구로, 추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 맹검 연구를 통해 치료의 효과가 객관적으로 입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들이 지각한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오소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 Mediating the Effect of Ego-resiliency Oh So-young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a, Eunk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ego resilienc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optimism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n optimism scale, ego resiliency scal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was distributed to 442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and Daegu, and among them, a total of 421 students (155 male and 266 female)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optimism, ego resili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ther optimism and ego resilien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whether ego resiliency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ptimism, ego resili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pecifically, optimism and ego resilien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691, p<.001), while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466, p<.001). Finally, ego resili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528, p<.001). Second, the effect of optimism and ego resilien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examined. Specifically, optimism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ego resiliency (β=.691, p<.001). Additionally, optimism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β=.466, p<.001). Finally, ego resilienc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β=.528, p<.001).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ego resilien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optimism,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has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ego resiliency. In other words, the variable optimism itself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it also indirectly influenc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changing ego resiliency. Also, it is suggested that ego resiliency is a better predictor than optimism for predi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ue to optimism by college students, and it shows that ego resiliency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ect that optimism could ha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optimism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at ego resilien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ook a positive psychological approach in studying a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ego resiliency in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and other career counseling sessions is suggested, whil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청, 대구 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 학생 442명을 대상으로 낙관성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21부(남성 155명, 여성 266명)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낙관성, 자아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둘째, 낙관성과 자아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며, 셋째, 자아탄력성은 대학생들이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최종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과 자아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낙관성과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r=.691, p<.001),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 역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r=.466, p<.001). 마지막으로 자아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 또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r=.528, p<.001). 둘째, 낙관성과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낙관성은 자아탄력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β=.691, p<.001). 다음으로 낙관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낙관성은 진로준비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466, p<.001). 마지막으로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β=.528, p<.001).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독립변인인 낙관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낙관성이라는 변인 자체가 진로준비행동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자아탄력성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대학생이 지각하는 낙관성으로 인한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자아탄력성을 다루는 것은 낙관성을 다루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바이며 낙관성을 지각하는 정도에 따라 진로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개인이 자아탄력성을 어떻게 발휘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낙관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두 변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함을 밝혔다는 점, 둘째, 대학생의 진로문제를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 상담 장면에서 건강한 진로발달과 준비행동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진로 상담의 개입에서 긍정적인 개인 내적 개념의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제안함으로서 다각적인 측면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언하였다.

      • 『나니아 연대기』와 문학적 환상 : 아동문학 판타지의 경계를 넘어서

        오소영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stereotypes of literary fantasy especially those which are categorized under the nam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o analyse how the ‘unrealistic’ literary fantastic world, The Chronicles of Narnia by C. S. Lewis, would be constructed by realistic notions. Fantasy literature has often been regarded as less important or valuable compared to ‘realistic’ literary works because of its escapist qualities from the real world. In spite of this unrealistic nature, literary fantasy itself can’t be considered as free and simple fancy pleasure from the real world because the fantastic world is based on realistic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ideologies. The fantastic world therefore, is paradoxically bounded by complicated realistic elements that are disguised delicately as fantastic creatures. Since literary fantasy has frequently been included i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such limitations against the freedom of imagination have been reinforced with the notion of childhood. Adults believe children must be protected and guided because they are immature. In addition to this stereotype, based upon a legacy from Romanticism, the concept of children and childhood is strongly connected with the notion of innocence. So the notion of children is mystified, rather different from actual ‘children’ existing in the real world. Given these ideas for childhood, the fantasy novel in children’s literature area is not only treated merely as a mode of delivery for didactic lessons, but also have to meet the restrictions for its specially designated children readers. C. S. Lewis’s The Chronicles of Narnia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 children’s fantasy books in the world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950’s. One might consider that Narnia is an unrealistic imaginative world where every free imagination is allowed. At the same time, one might consider that this whole series of the Narnia story would consist of ‘appropriate’ content that is suitable for children. Unlike these beliefs, even though fantastic Narnia seems to allow diverse elements freely, it is technically restrained perhaps more strictly compared to ‘adult’ genres. The Narnian world is constructed by the notion of children ‘imagined’ by grown-ups and social realistic ideologies just as much as other fiction. Therefore, one’s imaginary world has boundaries, so it seems ultimately impossible to escape real world mimesis through fantasy, and the value of fantasy literature is only as an assistant tool to serve a realistic purpose: education. Notwithstanding such limitations that are interrelated with real world factors, there are certain elements and parts that blur the clear interpretations of didactic and realistic narrative because of the undefinable nature of fantasy itself. Literary fantasy resists of the ability of readers to reach the certain purposes that are designed at the first place, allows the delay of judgements and liberates the symbols from concrete meanings. Therefore, children’s fantasy literature is not just for kids, nor just educational tools for them, but just literary fantasy itself that denies its limited perceptions. 본 논문의 목적은 문학 작품에서 발현하는 환상의 특성을 주목하며 아동 문학 판타지의 고정관념을 넘어서는 데에 있다. 환상은 상상력의 현실 인지적 능력을 실재 세계 밖 영역까지 확장한 상상의 극단이다. 그러나 대개 이러한 환상적인 요소를 포함한 문학 작품들은 최근까지 문학사 내에서 하위 문학으로 평가되어 왔는데, 이는 이성적 현실성이 결여된 순전한 상상의 세계로서 그 가치가 떨어진다고 보여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상 문학 속의 상상의 세계는 오히려 현실적 미메시스(mimesis)의 고리로 연결되어, 실제 세계의 요소들과 궤를 같이 한다. 환상은 비슷한, 혹은 일견 전혀 다른 상(像)으로 현실적인 주제와 세계관을 투영하는 거울의 역할을 수행한다. 동시에 환상 문학 역시도 현실 속 개인의 산물이기에, 저자의 개인적, 혹은 사회· 문화적인 배경은 상상 세계 속에서 분방하게 뻗어나갈 환상적 요소를 현실적 제약 속에 정박하게 한다. 환상 문학에 얽힌 또 다른 제약이 있다면 바로 ‘적합한’ 독자층의 범위이다. 소위 비현실적인 요소들을 포괄하는 환상 문학은 성인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지며, 주로 성숙하지 못한 아동기에 허락되는 요소로 그 영역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아동을 위한 아동 문학의 맹점 중의 하나가 바로 ‘아동 문학’이 문학 그 자체로서의 문학성으로 평가받기보다는 아동에게 특정한 인지적, 교훈적 성과를 학습시키려는 도구적인 요소로 활용되는 목적에 더 가치를 둔다는 것이다. 아동의 틀을 결정짓는 것은 ‘아동’이 아닌 성인들이기에, 아동 문학은 그 명칭과는 모순적이게도 제작과 유통, 소비까지 전적으로 성인의 손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아동 문학은 보호자적 위치의 성인이 피상적으로 상상한 아동들을 위한 산물이 되고, 동시에 성인들은 아동 문학의 내용이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요소들로‘만’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까다로운 조건들로 인하여, 아동 문학으로 경계 지어지는 환상 문학들은 아동 문학의 도구적 특수성과 맞물려, 현실이 아니기에 현실의 제약이 없어야 할 자유로운 상상의 활동인 환상의 요소들을 도리어 지극히 현실적인 교훈의 목적에 맞추어 제약하는 모순적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하여 아동 문학 속의 환상 문학은, 그 독자층이 어린아이들로 상정되는 순간부터 작품의 근간을 이룬 환상에 수많은 울타리가 생겨나며, 아동의 틀에 맞춰 그 세계관이 제약 받는다. 이처럼 환상 문학의 서사와 구성 요소들은 현실에 유리되어 있다는 편견과 달리, 실제 환상은 현실의 목적과 현실적인 주체의 세계관, 이데올로기의 한계 속에서, 모순적이게도 그 상상력이 허용되는 범위의 한계에 부딪친다. 하위 문학, 유희적 문학, 아동에게나 적합한 요소, 비현실성 등 환상 문학의 ‘환상적’인 고정관념들은 역설적으로 환상에 제동을 걸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국의 대표적인 판타지 아동 문학 작품인 C. S. 루이스(Lewis)의 『나니아 연대기』(The Chronicles of Narnia)를 통하여 이러한 판타지 아동 문학의 ‘환상’을 분해해보고자 한다. 일곱 권으로 구성되는 방대한 나니아의 세계가 과연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환상의 나라’로만 구성이 되는 지, 그리고 『나니아 연대기』가 정말 어린이만을 위한 아동 문학의 범주로 묶여있어야 하는 지, 그리하여 상상의 나라 나니아에서는 얼마나 자유로운 상상의 힘이 허용되는 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우리는 판타지 아동 문학이라는 장르에 대한 관념들이 얼마나 ‘환상적’인 지 직시할 수 있다. 판타지의 구성과 더불어, 아동 문학의 테두리 내에서 제약 받는 판타지 문학의 문학성에 대한 가치 평가의 절하는 상상이 허용하는 최대의 일탈인 환상에 경계를 긋는다. 그러나 동시에 상상과 환상의 불분명한 정의와 명확치 않은 성질은, 명징한 도덕적 결론을 향해 서사를 전개하는 판타지 아동 문학의 한계 내에서도 해석의 새로운 여지를 남기는 경계적인 틈을 열어 둔다. 환상은 일탈과 모호한 여지, 상상의 과정을 허락한다. 환상이 주축을 이루는 이야기들은 유희적, 도구적 문학이라는 굴레를 넘어 새로운 상상적 세계관의 인지를 보여주는 요소로, 경계나 정의 없는 환상 그 자체로 남아 독자의 완전한 인지와 해석에 또 다른 가능성을 담보한다.

      • 화재경보음에 대한 인지성 향상을 위한 명료도 특성의 이해 분석 연구

        오소영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축물의 경우, 실내공간의 복잡성, 가연성 내외장재의 사용, 가정내 각종 가연성 집기류 등 충분한 가연물 등으로 인해 화재발생시 항상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피난안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화재시 효과적인 피난을 위해서는 안전한 피난로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화재 및 재난 발생 초기에 재실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경보를 울리고, 안내방송을 통해 대피를 위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체주거형태 중 74.5%를 차지하는 공동주택의 경우, 인명피해의 발생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수면중 화재발생을 인지하지 못해 신속한 피난이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화재발생시 경보음 또는 비상방송을 통해 화재발생 사실을 인지할 수 있으나, 재실자가 수면 중인 경우, 이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수면중이 아닌 경우에도 실제 경보기 및 스피커에서 상당히 이격되거나 칸막이나 벽체로 공간이 구분되는 경우, 경보음압의 감소 등으로 인해 경보의 인지가 쉽지 않은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음압의 기준은 국내 경보설비 기준이나 비상방송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실제로 공간 내에서의 이러한 음압에 대한 고려도 일부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에서의 경보음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음압 이외에도 명료도가 중요하며, 미국의 경우에는 음압과 함께 명료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음압 이외에 명료도에 대한 개념 및 성능구현에 대한 기준이나 성능측정이나 평가절차 자체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압과 명료도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인 스피커에 대한 가청도(Audibility, dB(A)) 및 음성 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 CIS)를 공동주택 중 3가지 타입에 대하여 측정지점별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과 명료도 CIS지수를 측정하여 실제 명료도에 대한 성능 확보여부를 확인코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NFPA 72 기준에서 제시된 침실기준의 음압레벨과 명료도 기준을 토대로 다양한 모델링을 통한 명료도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화재시 세대내 재실자의 신속한 대피가 최종목적임을 인식하여 비상방송의 명확한 음성안내에 따른 재실자 인지를 위한 국내 공동주택 실정에 맞는 명료도 기준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 논문을 기초로 명료도 개선의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Due to lots of inflammable materials including complexity of interior space, use of combustible finished or equipped materials, and various flammable household furniture in the buildings, a huge loss of life can be easily caused by recent fires. Thus, evacuation safet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buildings. Not only to secure safe egress route for effective evacuation in case of fire is important but to inform right information via voice announcement for fast evacuation in an early stage of fire. Moreover, the largest portion of mortality accident in the event of fire has been found in the apartment houses which occupy 74.5% of the total housing type and been mainly caused by failure of fast evacuation with lack of awareness of fire during sleep. It is not easy for occupants to be aware of fire during sleep while their easily recognizing fire situation via fire alarm or emergency broadcasting. It also may be difficult for them to recognize fire alarm even not during sleep because of some distance from fire alarm devices or speakers and spaces divided with partitions or walls, and decrease in alarm sound pressure level. Such criteria for sound pressure level are suggested in standards of domestic fire alarm devices or emergency broadcasting, and some considerations of sound pressure level are also taken in the inside of space. Both pressure level and intelligibility are important to provide effective fire alarm inside the buildings. Criteria of pressure level and intelligibility have been already established in US. Except pressure level, however, have been created neither concept of intelligibility nor criteria of performance implement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process in Korea. Based on theoretical review of pressure level and intelligibility, this study focuses on presenting performance on actual intelligibility with measurement of the audibility (Audibility, dB(A))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Speech Intelligibility, CIS) of the speaker which is the acoustic device of the emergency broadcasting . Also, sound level (Sound Pressure Level, SPL) and intelligibility CIS per measurement point for three types of apartment houses are measured in this study. On a basis of this measurement, sound pressure level required by NFPA 72 for bedrooms and various modeling by criteria of intelligibility are used to acquire intelligibility in this study. In the case of fire situations, it is recognized that the evacuation of residents in the household is the ultimate goal and intelligibility criteria for improving awareness of occupants with clear voice guidance of the emergency broadcasting should be given priority. This study can be used as research data for improvement of speech intelligibility.

      • 초등 사회과 활동의 본질로서 놀이적 성격 연구

        오소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삶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놀이가 사회과 활동의 본질과 맞닿아 있다고 보고, 놀이로서의 사회과 교육이 갖춰야 할 활동의 성격을 탐색해보는 데 있다. 놀이는 인간의 본성이자 삶을 살아가는 태도로, 자기표현과 자아실현의 과정은 놀이를 통해 이루어진다. 사회과는 인간 삶의 모습을 담고 있는 교과로 자기 삶을 향유하는 주체적 존재로서 학습자의 성장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삶의 본질로서 놀이의 의미와 사회과 교육의 역할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는 놀이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놀이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제 사회과 수업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놀이 양상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회과 활동의 놀이적 성격을 규명함으로써 놀이의 사회과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과거 놀이는 아이들의 유치한 장난이나 인간 삶의 변방에서 남아도는 에너지를 발산하는 활동이자 일을 지속하기 위한 휴식의 의미였으나, 현대에는 인간 실존을 근본적으로 설명하는 현상으로서의 그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 놀이는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개념과 범주가 달라지기 때문에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려우나, 본 연구에서는 놀이를 활동이 가지고 있는 속성이나 참여자의 태도로 보고 놀이와 놀이가 아닌 활동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준거로, ‘자발성’, ‘신체성’, ‘대화’, ‘실제성’, ‘유희성과 진지성’을 제시하였다. 놀이는 학습자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수단으로서의 놀이는 이미 과정과 결과가 정해져서 학습자에게 제공되므로 놀이 자체의 성격을 잃게 된다. 사회과 교육과정에는 놀이를 바라보는 시대의 관점이 고스란히 들어가 있어서 교육과정이 바뀌어 오는 동안 저학년에게 제공되는 저차원적인 방법에서 최근에는 인간의 본성과 관련하여 그 의미와 특징을 알아보는 데까지 확장되었다. 하지만 사회과 교육도 여전히 놀이를 정형화된 형태의 활동으로 보고 수단으로서 활용하는 데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실제 사회과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놀이 양상은 다음과 같다.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학습 과정에서의 주체성과 학습 결과의 적극적 재구성의 양상이 나타났다. 신체성은 개인과 집단이 놀이에 빠져들고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데 필요한 요소이다. 수업 장면에서도 신체적 활동을 통해 놀이와 학습이 함께 이루어졌으며, 체화나 체험을 통한 학습의 내면화와 표현활동, 신체적 제약의 감소로 그 양상이 나타났다. 놀이 공동체를 위해 필수적인 대화는 사회과 수업에서 목표이자, 수단과 결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활동의 실제성은 교실 밖 실제 세계와 삶의 모습을 교실 현장에서 놀이로 재현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놀이에는 즐거움과 진지함이 함께 존재하는데, 이는 사회과 활동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태도에서도 발견할 수 있었다. 놀이를 특정한 형태의 소극적 활동이 아닌, 그 외연을 넓게 확장시켜 활동의 속성이나 놀이함의 정도, 참가자의 태도 등을 준거로 적극적으로 해석한다면 사회과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활동은 놀이의 성격을 가지고 있거나 그 자체로 놀이라 볼 수 있다. 의사소통, 탐구, 조사, 사회적 참여 등의 사회과 활동은 실제 사회에서 의미 있는 인간 활동을 교육의 장에서 표현하도록 한 것이며, 이때의 활동 또한 그 자체가 놀이이다. 즉 사회과 활동의 본질은 놀이인 것이다. 그렇기에 사회과에서 놀이는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추구해야 하며, 이를 놀이로서의 사회과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놀이로서의 사회과 활동이 사회과 교육에 주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활동을 보는 관점을 전환하여 목적으로서의 놀이를 실현시킬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주체성을 회복시켜 실존적 존재로서 자신의 삶을 가꾸어 나가는 고유한 안목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셋째, 실제 삶의 맥락에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사회 인식을 넓혀 주고 삶을 대하는 실천적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과 교실이 놀이의 장으로서 역할을 담당하여 학습자들에게 학습이 참여와 소통의 즐거운 놀이가 되도록 한다. 인간은 놀이하는 존재(Homo Ludens)이다. 삶을 사는 것 자체가 인간에게 놀이이며, 또 그렇게 되었을 때 ‘지금-여기’에서의 삶이 행복해질 수 있다. 공동체의 삶 속에서 인간의 본성을 발휘하여 자신만의 삶을 엮어나갈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 사회과 교육의 본질이라고 한다면, 사회과 활동이 학습자의 놀이 본성을 자극시키고 완성해나가는 발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과가 목적으로서의 놀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교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학습자는 사회과 활동 안에서 학습과 놀이를 충분히 즐기고 놀이적 삶의 태도를 형성해 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 수확 후 농산물에 발생하는 Penicillium속의 형태 및 분자계통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오소영 忠南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의 수확 후 농산물에 발생하는 Penicillium속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과수류, 곡류 및 양념채소류에서 분리한 Penicillium spp.를 Pitt의 분류학적 개념에 따라 분류·동정하였고,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및 PCR 다형성 분석 등의 분자계통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진균독소 생성능과 사과, 오렌지 분리균주들의 병원성을 조사하였다. 1. 수확 후 저장 또는 유통 중인 10 종의 농산물에서 19종의 Penicillium과 1종의 Talaromyces가 분리, 동정되었으며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분리된 19종의 Penicillium은 3개의 subgenera 즉 Aspergilloides, Fulcatum 및 Penicillium으로 구분되었다. Subgenus Aspergilloides에는 P. spinulosum이 포함되었으며, subgenus Fulcatum에는 P. oxalicum, P. citrinum이 포함되었고, subgenus Penicillium에는 P. expansum, P. chrysogenum, P. viridicatum, P. aurantiogriseum, P. comune, P. crustosum, P. hirsutum, P. griseofulvum, P. brevicampactum, P. olivicolor, P. solitum, P. verrucosum, P. italicum, P. digitaum, P. ulaiense 및 미동정의 P. sp.가 포함되었다. 2. 사과의 수확 후 부패에 관여하는 Penicillium은 P. expansum, P. crustosum, P. brevicamapctum, P. solitum, P. aurantiogriseum, P. spinulosum 등 6종이었으며 그 중 P. expansum을 제외한 5종은 국내에서는 사과에서 최초로 보고되었다. 배에서는 P. expansum, P. crustosum 등 2종의 Penicillium이 검출되었다. 오렌지와 감귤에서는 P. digitatum, P. italicum, P. ulaiense와 완전세대인 Talaromyces sp.가 검출되었으며, 이중 P. ulaiense와 Talaromyces sp.는 국내 미기록 종이었다. 3. 마늘과 양파에서는 P. hirsutum, P. italicum P. expansum이 검출되었으며, P. hirsutum과 P. expansum의 발생율은 비슷하였다. 쌀, 밀, 옥수수 등의 곡류에서는 P. viridicatum, P. oxalicum, P. citrinum, P. commune, P. chrysogenum, P. griseofulvum, P. verrucosum, P. aurantiogriseum 등이 검출되었다. 밀에서는 P. aurantiogriseum complex에 속하는 종들이 우점종이었다. 4. Penicillium 균의 배양적, 형태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P. digitatum, P. oxalicum, P. citrinum, P. spinulosum은 CYA, MEA, G25N 배지에서의 균총의 특성과 생장율, 분생자경의 특성으로 다른 종과 구별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subgenus Penicillium에 속하는 대부분의 종들은 배양적 특성과 분생자경의 특성이 매우 다양하고, 종간에 유사하여 형태적인 특성만으로는 구별이 어려웠다. 5.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으로 Talromyces속, Eupenicillium속 및 Penicillium속의 subgenus 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나 Penicillium속의 종간 구분은 불가능하였다. 6. β-tubulin과 calmodulin gene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β-tubulin의 경우는 P. olivivolor를, calmodulin gene의 경우는 P. sp.를 제외하고는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기초로 한 종의 동정 결과와 일치하였으나 종간의 유사도가 높아 subgenus Penicillium에 속하는 종간의 밀접한 유전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7. URP, AP, L-45 primer를 이용한 유전적 다형성 분석결과 몇 종을 제외하고는 형태적, 생리적 특성에 의한 종과 일치하였으나, 각 종간의 유사도는 낮게 나타났다. 즉, 이들 maker를 이용하여 P. aurantiogriseum complex group이나 P. olivicolor 등 형태적 분류가 어려운 Penicillium 종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8. 사과와 감귤에서 분리한 Penicillium spp.의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사과 에 병원성이 강한 것은 P. expansum이었으며, 감귤에서는 P. digitatum이었다. 사과에서 분리한 Penicillium 중 P. expansum은 상처부위 이외의 병반에서 균사가 뚫고 나와 분생자경속을 형성하는 특징을 나타내었고, P. aurantiogriseum은 감염된 과일의 내부에 갈색의 스폰지 같은 병징을 나타내어 다른 종과 구별되었다. 9. 수확 후 농산물에서 검출된 Penicillium 균주의 약 39%가 진균독소 생성능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로 patulin, citrinin, penicillic acid, roqufotin C, ochratoxin A, griseufulvin 등을 생산하였다. Ochratoxin A, citrinin, penicillic acid의 생성여부는 형태적 특성만으로는 구분이 어려운 P. aurantiogriseum complex에 속하는 종의 구분에 이용할 수 있었다. To establish a taxonomic system of Penicillium species isolated from post harvest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Penicillium spp. from fruits, grains and vegetables were classified based on taxonomic concepts of Pitt,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and PCR polymorphism relationships of the species were evaluated and mycotoxin productivity of the species and pathogenicity of the isolates from apple and orang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Nineteen species of Penicillium and one Talaromyces sp.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10 post harvest agricultural products. Full descriptions and detailed illustrations are given for each species. The Penicillium spp. were segregated into three subgenera; Aspergilloides, fulcatum and Penicillium. The subgenus Aspergilloides included P. spinulosum, the subgenus Fulcatum contained P. oxalicum and P. citrinum and the subgenus Penicillium contained P. expansum, P. chrysogenum, P. viridicatum, P. aurantiogriseum, P. comune, P. crustosum, P. hirsutum, P. griseofulvum, P. brevicampactum, P. olivicolor, P. solitum, P. verrucosum, P. italicum, P. digitaum, P. ulaiense and P. sp. 2. Six species of Penicillium and two species of Penicillium were isolated from decayed apple and oriental pear, respectively. The Penicillium spp. isolated from apple were P. expansum, P. crustosum, P. brevicamapctum, P. solitum, P. aurantiogriseum, P. spinulosum and those from oriental pear were P. expansum, P. crustosum From decayed fruit of citrus, P. digitatum, P. italicum, P. ulaiense and Talaromyces sp. were isolated. The predominant species of Penicillium from decayed apple, oriental pear and citrus were P. expansum, P. crustosum and P. digitatum, respectively. This is the first report on occurrence of P. aurantiogriseum, P. brevicamapctum, P. crustosum, P. solitum, P. spinulosum from apple and P. ulaiense and Talaromyces sp. from citrus in Korea. 3. The Penicillium species isolated from onions and garlics were P. hirsutum, P. expansum and P. italicum. The Penicillium spp. from rice, wheat and com were P. aurantiogriseum, P. chrysogenum, P. citrinum, P. commune, P. griseofulvum, P. oxalicum, P. verrucosum, and P. viridicatum. The predominant species of Penicillium from wheat were P. aurantiogriseum complex. 4. Based on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 digitatum, P. oxalicum, P. citrinum and P. spinulosum were distinct not only from the other Penicillium spp. but also from each other.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most of the species belonging to the subgenus Penicillium because of their similarity in cultural and conidiophore characteristics among the species. 5. Based on cluster analysis of ITS data, the Penicillium isola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sequence variations were presented within and among species, but these variation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morphological species. Group 1 included Talromyces spp. and CNU 6003 which were isolated from citrus. Group 2 included Eupenicillium spp. which producing mono or biverticillate penicilli and some species of Penicillium belonging to the subgenera Aspergilloides and furcatum. Group 3 comprises terverticillate Eupenicillium and subgenus Penicillium. The result indicating that Penicillium is not monophyletic but the ITS-1-5.8S-lTS 2 region is extremely conserved between closely related Penicillium species. 6.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β-tubulin gene sequence data, it was showed that the isolates were grouped into 19 groups, and the molecular group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morphological species except P. olivicolor. Based on cluster analysis of calmodulin gene sequence data, the isolates were also grouped into 19 groups, and the molecular group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morphological species except Penicillium sp. Among the molecular markers used in this study, β-tubulin and calmodulin gene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axonomic resolution of these species. 7. Fingerprinting analysis of URP-PCR, L-45 and AP-PCR using nine URP primers, L-45 primer and six AP primers, respectively, revealed that the morphological species of Penicillium were readily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although low similarities were found among the spec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ingerprinting analyses are suitable for distinguishing between closely related Penicillium species such as P. aurantiogriseum complex and .P. olivicolor. 8. Pathogenicity of Penicillium spp. from apple and citrus was proved by artificial inoculation of conidial suspension on their respective host. P. expansum and P. digitatum showed strong pathogenicity on fruits of apple and citrus, respectively. 9. About 39% of Penicillium isolates from post harvest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d mycotoxins such as patulin, citrinin, penicillic acid, roquefortin C, ochratoxin A and griseofulvin Based on profiles of mycotoxins, P. aurantiogriseum complex were divided into 4 species; P. aurantiogriseum, P. olivicolor, P. verrucosum and P. viridicaum.

      • 전문약사제도의 발전방향 연구

        오소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다양한 상병양상 및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양질의 의료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각 분야별 보건의료인력의 전문화 및 전문분야의 세분화 경향이 확산되며 강화하는 추세에 이르렀다. 또한 종합병원의 대형화 및 집단의료, 팀 의료의 형태로 진료 및 치료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보건의료직종의 활동에 대해 많은 의료진들이 그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한국병원약사회에서는 2008년 6월 전문약사 운영규정을 마련하여 현재 2015년 전문약사 분야는 종양약료, 심혈관계 질환약료, 영양약료, 중환자약료, 장기이식약료, 내분비질환약료, 소아약료의 7개 분과로 매해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의·약학의 발전과 더불어 약제서비스도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화된 인력에 의하여 고유한 역할을 수행해 나가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세분화되어 발전하고 있는 전문약사 업무를 제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병원환경에서 전문약사제도의 바람직한 방향과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작하게 되었으며, 추후 약사 전체에 일반화 될 수 있는 전문약사 제도의 기본방향과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첫째, 국가별 전문약사제도 운영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우리나라의 전문약사의 업무 내용 및 현황을 조사한다. 셋째, 앞에서 조사한 국내 전문약사의 현황을 토대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넷째, 병원의 전문약사제도의 고찰을 통하여 향후 병원 전문약사제도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전문약사, 외국의 전문약사제도에 대한 문헌고찰과 더불어 한국 병원약사회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전문약사자격증을 취득한 전문약사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약사제도의 문제점으로 분석된 점은 크게 전문약사 자격 취득과정의 문제점, 전문약사로서의 역할정립의 문제점, 법적제도 및 사회적 인식의 미비 세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면 전문약사 시험 응시자의 자격취득 사유, 지역에 따른 교육 및 실습기회의 불균형, 전문약사로서 업무과정 중 발생하는 문제점, 전문약사의 질 관리, 법적제도의 부재, 사회적 인식 부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은 엄밀히 본다면 각각의 다른 개선방안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다기 보다는 서로 이어져 상호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전문약사 시험에 대한 적극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적절한 동기부여를 위하여 근무환경개선을 비롯하여 정부주도적인 제도의 법령화, 주변의료진의 전문약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전문약사의 질 관리 또한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병원약사의 충분한 인력공급, 전문약사로서의 업무 표준화 등을 통해 전문약사로서의 업무를 정리하는 과정 또한 필요하다. 전문약사 시험은 적절한 난이도 선에서 전문약사 개개인의 만족도와 전문약사의 보편화, 질 관리를 위하여 여러 전문가와 함께 개선시켜야 한다. 또한 병원약사회에서 현재 진행중인 전문약사 협의회 모임을 활성화 하여 각 병원의 전문약사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전문약사의 업무를 및 지식을 공유해야 한다. 약대 6년제로 배출되는 약사의 수가 증가하여 병원의 인력난 또한 한시름 돌릴 것으로 예측되나 이것이 일시적인 상황에 머무르지 않도록 병원약국의 전반적인 근무환경 개선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약사의 인력이 서울/수도권의 대형병원에만 집중되지 않고 지방병원 및 2차병원까지도 고루 배분되어, 전문약사 응시 자격이 있는 약사들이 조제 업무만 아니라 임상업무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마련에 집중해야한다. 팀의료의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단계에 전문약사에 대한 필요성으로 전문약사제도가 만들어진 점을 고려하였을 때, 빠른 시일 안에 전문약사 제도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문약사 자격증을 소지한 개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한국병원약사회, 대한약사회 및 정부에서 꾸준히 노력해야한다. For improving people's living standards and dealing with a variety of modern disease, people want to get better quality treatment. Therefore, sectoral specialization has increased to accommodate this demand. In addition, as hospital and the medical paradigm changes to the team approach, health care providers recognize the need of a variety actions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for patients. The demand of reliable expertise and objective assessment of the specialization in the field is increasing these days. With these trends, the Korea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categorizes pharmacy specialization into oncology, cardiovascular disease, nutrition, intensive care, organ transplant, endocrine disorders, pediatric. The annual test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10.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pharmaceutical services and necessity of specialized human resourc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system of pharmacy specialties should be planned in detail. This study was started to determine the optimal model of the system of hospital pharmacy specialties. It could be a foundation for the basic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general system of the pharmacy specialties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survey of the pharmacy specialties system and its operating status country by country. Second, examination of pharmacy specialties system and role of the pharmacy specialist in the Republic of Korea. Third, analysis of problems of the domestic system of pharmacy specialties based on comparisons between countries’ systems. Fourth, through review of the system of pharmacy specialties, a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plan for the pharmacists will be provided. A literature review of other countries' systems of pharmacy specialties was conducted to compare those systems and the role of pharmacy specialties. After the literature review, the pharmacists who have a certification of the pharmacy specialty.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s. The analysis of problems of the system of the pharmacy specialties indicate the certification of pharmacy specialities acquisition process, establishing role as a professional pharmacist, insufficient legal system, and the lack of social recognition as key problems. Looking into the analysis of the details, the problems are reasons of the certification acquisition, imbalances in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of the region, work process as pharmacy specialties, the quality of pharmacy specialties management, the absence of a legal framework, and shortage of social awareness. Improvement plans must be interaction rather than fragmented. There are various improvement plans. It would be better if there were an actively provision of information for the test of pharmacy specialties, improvement of the work environment for the proper motivation, change recognition of team approach member, and enacted laws about the pharmacy specialties. The quality management of pharmacy specialties will also be necessary for the system settling down.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work process by pharmacy specialties using a sufficient labor supply and standardization of work process are also required. Examination of pharmacy specialties should reflect proper difficulties for the self-esteem and quality management. Committees operated by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should stimulate activity to help establish a network with other pharmacy specialties to share knowledge. Although the lack of the number of pharmacists could be solved because of the graduate of sexennial college students, for maintaining stability,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overall working environment of the hospital pharmacy. The pharmacist workforce is distributed evenly among the local hospitals, and pharmacists who have qualifications for the pharmacy specialties pay attention to clinical work and take exams in pharmacy specialties. This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for pharmacists to cultivate interest not only in preparation of medicine but also in clinical work. Considering that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eam approach is needed, the system of the pharmacy specialties should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the government,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nd individual of certification holders must make a collective and persistent effort.

      • 국립박물관의 사회교육 방향

        오소영 숙명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박물관의 기능 중에서 교육기능을 중요시하는 입장에서 국립박물관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국립중앙박물관 외 지방의 9개 국립박물관에서 1998년도 한해동안 시행되었던 사회교육 프로그램이다. 사회교육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가능한 가를 보기 위해 먼저 국립박물관의 설립 및 발전 현황, 시설 및 유물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국립박물관의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층에 따라 구분하여 일반인과 학생대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더 나은 사회교육 방향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박물관 사회교육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박물관 자체의 교육목적 확립과 교육의지가 필요하다. 기존의 수집, 보관, 연구의 기능과 함께 교육기능을 중요시하고, 사명감을 가질 때 사회교육활동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국립박물관 내 사회교육부서와 교육담당관을 강화 시켜야 한다. 현재 국립박물관에 사회교육부서나 교육담당관이 존재하나 그 규모나 인원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교육담당관은 박물관 자료의 해석능력과 교육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대학에 박물관학과가 개설되거나 전문교육기관이 설립되어 이들을 훈련하여야 한다. 셋째, 국립박물관에서 보다 다양한 사회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사회교육프로그램은 대부분이 역사·문화강좌 중심이며, 유적답사, 미술관련 실습교육이 전부이다. 국립박물관은 소장유물의 성격과 그 위치한 지역의 역사성을 살려 각 박물관에 맞는 개성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초·중·고등학교·대학교 교육과정과 박물관 교육이 연계될 수 있는 적극적인 제도개선,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제도개선, 정책 수립 이후에는 일선 학교와 연계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일선 학교에 박물관 교육을 보조할 수 있는 교사와 박물관 교육담당관이 함께 교육프로그램을 이끈다. 이를 위해 교사도 일정기간 연수과정을 거쳐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 인식과 더불어 박물관 교육 방법 등을 훈련 받는다. 또한 자원봉사자를 적극 활용하여 인력난도 극복하고 더 많은 사람이 박물관에 대해 더 깊은 애정을 갖고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일반인을 향한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오락의 장소도 필요하다. 국립박물관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민의 공공장소이다. 박물관 문턱을 낮추어 공원과 같이 누구나 들러 감상할 수 있고, 휴식할 수 있는 곳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어릴 때부터 박물관과 가까이 성장된 사회인은 박물관이 국민의 교육장소라는 의식이 몸에 젖어 사회교육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려고 할 것이다. 여섯째, 지역사회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다. 프로그램의 자유로운 운영과 원활한 활동을 위해서는 지역사회내의 기업이나 문화단체의 적극적인 후원활동과 교통시설이나 안내판 시설 등이 확보되어야 한다. 21세기에 들어서면 국민들은 박물관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표출하게 될 것이다. 교육수준의 향상, 여가 생활의 확대, 편리한 교통수단 등이 박물관의 교육기능을 부각시킬 것이다. 교육기능만을 위한 박물관도 더 많이 생겨날 것이다. 21세기를 앞둔 국립박물관의 교육기능은 학교교육과 연계된 교육, 일반인의 평생교육의 장, 그리고 건전한 여가선용 장소의 제공일 것이다.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the National Museum as a social educational institute. The subjects of study are the social educational programs that have been carried out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7 local National Museums in 1998. To estimate the National Museum meeting requirement for social educational activity or not, we investigated the foundation, development, facilities and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In order to present direction of social education of the National Museum, we also examined the social educational programs of the National Museum. For effective analysis, we divided those programs between programs for adult and programs for children. Our proposition for direction of social educational programs of the National Museum is as follows. First, it is need to establish object and will of education. When the National Museum attach great importance to educational function as well as function of collection, conservation and research, it can perform social educational activity. Second, a social educational department and an educator must strengthen. At present, most of the National Museum has shortage of a social educational department and an educator in comparison to demand. Specialist staffs with training and skills in museum education are likely to be required. For this, more department of museum study must be founded in university and other professional institutes. Third, the National Museum must develop various social educational programs. So far, most of social educational programs have been history and culture lecture and there have been a few classes about arts and historic scene exploration. Each the National Museum has to develop characteristic programs according to character of its collection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its region. Fourth, it is need to improve the system and a policy actively for being closely that connected with a curriculum in school between educational programs in the National Museum. After improving the system and a policy, it is also ne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closely connected with formal education. For doing museum education, not only educational officer in the National Museum but also school teachers need to give educational programs. This will be possible through making school teachers train to instruct museum educational program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And also utilizing a volunteer will fill up lack of human power and make more people participates in museum educational programs with affection. Fifth, it is need to develop social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eneral public with a space for entertainment. The National Museum is public institute that is operated by a tax. The museum must be born again as a place where every last man can have a chance of rest and appreciation like a park. A social being who familiar with the museum from his childhood will participate in social educational program actively with being conscious of the museum as education place. Sixth, A communitys understanding and support are needed. For smooth oper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it is essential that the enterprises or the cultural organizations in the local community support these programs. And also, a good traffic system and directional sign will help success of social educational activity. In the 21th century, the general public will express various desires toward the museum.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will grow due to the elevation of education, the enlargement of leisure, and convenient traffic system. A special education museum will appear. The educational role of the National Museum will be the education that is connected closely with formal education, the lifelong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and offering wholesome leisure place.

      • 숲유치원에서의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오소영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유아들의 숲유치원에서의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숲유치원에서 문학활동을 한 집단(실험집단)과 하지 않은 집단(비교집단)의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가-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의 표현 어휘 수는 차이가 있는가? 가-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의 문장 수는 차이가 있는가? 가-3.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의 문장 길이는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산에 위치한 숲유치원 만5세 11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남구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5세 유아 11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총 22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사전 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자료처리 순으로 진행하였다. 실험기간은 2010년 3월 3주 ~ 5월 3주까지 10주동안 1주일에 1회씩 총 10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게는 ‘그림이야기책을 통한 유아문학활동’(김소양외, 2001)과 개정된 ‘유치원 활동 지도서’를 참고로 하여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활동 내용을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 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여러 어휘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꾸밀 수 있도록 제작된 그림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두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증가분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기 비모수검정 중 대응표본 t-검정에 대응하는 Wilcoxon 검정방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숲유치원에서 문학활동을 한 집단(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비교집단)간의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을 알아본 결과 숲유치원에서의 문학활동은 유아의 표현 어휘 수, 문장 수를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 수에서 실험집단이 4.09, 비교집단이 1.18로 나타나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z=-3.035, p<.01)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처치 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어휘 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장 수를 보면 실험집단이 4.45, 비교집단이 2.18로 나타나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z=-2.175, p<.05)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처치 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문장 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언어표현능력 중 하위 요소인 문장 길이에 대해서는 숲에서 문학활동을 한 집단(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비교집단)간에 약간의 증가를 보이기는 했지만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사전 검사 시 실험집단이 처음부터 문장 길이에서 뛰어나 두 집단이 동질 집단이 아님이 밝혀졌고 이것이 검사 후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나 유의미한 결과가 아니더라도 문학활동은 문장 길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는 숲유치원에서의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