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V 드라마 제작비와 시청률이 후속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S.T와 VOD 서비스를 중심으로

        오상익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how ratings of network TV dramas and production cost would effect achievement of after market of dramas. There are various after markets derived from one TV drama, but this study focused on O.S.T and VOD that can be calculated. For O.S.T the study calculated sales based on reporting by Music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and information of recording company. For VOD to gather lots of information, the study focused on specifically SBS dramas that started VOD commercial servic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rough research of production cost and rating of dramas from three networks and analyzed co-relation with two after markets of dramas the study gets following conclusion. First,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cost of dramas and ratings show that as production cost goes up ratings goes up. Even though high production cost does not guarantee high ratings overall, to get better result it is important to make high quality dramas with lots of production co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erage ratings and after markets, VOD service has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ratings. Also, O.S.T. has correlation with ratings. Therefore, ratings effects on after markets of dramas. Through analysis of early ratings and after markets the result shows that VOD service shows high correlation with all kinds of ratings including average ratings. Thus, early ratings would be important measurement that can predict VOD usage. However, for O.S.T. early ratings is insignificant. To analyze factors other than ratings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ype and telecasting times of dram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entire series volume is not a significant factor that effects achievement of after market of dramas. However, for O.S.T drama that is about twenty volumes has more chance to be successful rather than daily drama that has larger volume. Also, drama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aily drama, weekly drama and weekend drama and analyzed correlation with after markets and three different categories. As a result, for VOD there was some difference among these three different kinds of dramas and volumes of dramas. Since VOD has high correlation with ratings, the study looked into VOD sales based on drama ratings pattern. As a result, there was a apparent characteristics of early loyalty of VOD. In other words, VOD is a service that requires extra cost. Thus loyalty for the program should be built first and this loyalty would create possible consumer for the VOD later. Even though, ratings goes down as the drama goes on early loyalty that has been built would flow into VOD service purchase as drama goes toward the end. However, when the ratings goes up later, loyalty toward the drama would be relatively low then it would not create VOD sales. Thus, early loyalty is very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 the VOD sales. Television dramas are not one-time contents that only create advertising profit any more, rather they are contents that achieve One Source Multi-Use with various additional products or windowing strategy. Moreover, as Korean dramas get popular in foreign markets their markets are expended and have more chance to get additional profit from foreign markets. Therefore, systematic analysis and sophisticated producing are required and also, continuous concern and study need to back up ''Drama Industry'' that has been risen as core broadcasting contents. 본 연구는 지상파 TV 드라마 시청률의 크기와 제작비 투입정도가 드라마로 파생되는 후속시장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는 연구이다. 하나의 드라마를 통해 발생될 수 있는 후속사업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나 본 연구는 정량적으로 파악이 가능한 O.S.T.와 VOD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O.S.T.는 방영 종료 후 3개월까지의 판매량을 ‘한국음악산업협회’가 공시한 음반 판매량과 해당 O.S.T. 발매 음반사의 내부자료를 근거로 산정하였고 VOD 서비스 매출의 경우, 많은 자료 확보를 위해 가장 먼저 유료화가 정착된 SBS 드라마에 한해 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방영된 지상파 3사 드라마의 제작비와 시청률을 조사하고 두 가지 후속 시장과의 상관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드라마 제작비와 시청률간의 상관관계는 검증결과 제작비를 많이 투입한 드라마가 시청률도 높게 나와 재정투입이론을 증명하였다. 반드시 높은 제작비가 높은 시청률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는 드라마가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제작비 투입 예산을 늘려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균 시청률과 후속시장의 관계에서도 VOD서비스는 시청률과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O.S.T.와도 상관관계가 증명되어 시청률이 후속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초기 시청률과 후속시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VOD는 평균 시청률과 마찬가지로 모든 시청률이 그 성과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초기 시청률이 VOD 이용량을 좌우하는 중요한 기준임을 시사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와 달리 드라마 O.S.T.의 경우는 초기 시청률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초기 시청률만으로 성과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청률 외에 드라마 후속시장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드라마의 횟수와 유형에 따른 후속시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먼저 드라마의 방영 횟수에 따른 분석결과, 드라마의 총 분량이 드라마 후속시장 성과를 결정하는 근거로 볼 수 없다고 나타났으나 O.S.T.의 경우 20회 전후의 ‘트렌디 드라마’가 총 방영횟수가 많은 일일 드라마 류 보다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방영시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일일드라마, 주간드라마, 주말드라마 등 세 가지 그룹으로 드라마 유형을 나누고 이에 따른 후속시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드라마 횟수와 마찬가지로 통계적 의미를 논할 수 없는 결과를 보였으나 VOD의 경우 드라마 방영시간이나 유형에 따라 성과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고 유추해 볼 수 있었다.앞선 분석을 통해 시청률과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인 VOD를 대상으로 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드라마 시청률 패턴에 따라 VOD 매출은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VOD의 초기 충성도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즉, VOD는 추가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매체로 시청결정 과정이 매우 엄격해 높은 충성도가 형성되어야만 구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일단 충성도가 형성되면 등락 변화의 폭이 시청률의 변동만큼 크지 않으며, 시청률이 후반 하락하더라도 초기 충성도가 드라마 최종에 가까워지면 VOD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후반 상승의 경우 후반에 형성된 충성도는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VOD로 이어지지 않았듯이 VOD 매출은 드라마의 초기 충성도가 매우 중요한 성과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이처럼 제작비와 시청률이 후속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나타났듯이 TV 드라마는 더 이상 광고수익만을 창출하는 일회성 콘텐츠라 할 수 없다. 이제는 드라마 방영 중 또는 종영 후에 파생되는 다양한 부가 상품 내지 창구화를 통한 수익창출로 ‘원 소스 멀티유즈(One Source Multi-Use)’를 실현하는 전형적인 콘텐츠로 발돋움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국내시장 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 한국의 드라마가 경쟁력을 갖게 되면서 드라마를 통한 새로운 부가수익 창출기회는 확대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일정량 이상의 제작비 투입이 양질의 프로그램을 생산하고 이는 가시적인 시청률 성과로 나타나며, 시청률은 다시 후속시장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방송 핵심 콘텐츠로 부상한 국내 ‘드라마 후속시장’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시청률 외에 다양한 후속시장의 성공요인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분석과 정교한 기획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의욕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국악교육을 위한 홈페이지의 설계 및 구현

        오상익 위덕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국악교육을 위한 홈페이지의 설계 및 구현 본 논문은 초등학교 국악교육을 위한 홈페이지의 설계와 구현에 관하여 연구한다. 국악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홈페이지의 일반적인 설명식 '자료의 제시를 지양하고, 동영상과 소리 파일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여 보다 쉽고, 흥미있게 학습자가 접근 및 학습할 수 있는 홈페이지의 제작을 주된 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 다양한 국악감상을 위하여 메뉴, 게시판, 방명록의 첨가로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자와 교수자의 교류를 원활히 하고 지속적인 자료의 갱신을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핵심되는 말 : 국악교육, 홈페이지 설계, 흠페이지 구현 This thesis presents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ome-page for elementary school.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for educ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various kinds of multimedia materials should be used in developing home-page. In detail, sounds, images, and etc are provided in order to make home-page that a learner approaches with interest and learn with Joy. Furthermore, a few boards are added to provide the interchange of necessary information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These boards, also, enable teachers to change materials continuously key words :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home-page design, home - page implementation.

      • 지방자치단체의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정 모델 적용 성과 분석 및 개선 방안

        오상익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연결 ICT융합기술과 서비스가 발전하면서 보안위협의 양상이 기존 개인을 대상으로 한 개인정보 유출이나 단순한 금전 탈취 수준을 넘어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늘어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많은 기관에서는 각종 침해사고를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보호 관리체계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시군구 단위의 지방 자치단체인 경우 정보보호를 위한 자발적인 관심과 노력이 낮고 침해사고가 발 생할 당시에만 정보보호에 관심을 갖고 그에 따른 예산을 편성하기에 급급하여 속출하는 사이버 공격의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러한 산업 전반에 뿌리박힌 정보보호에 대한 낮은 인식과 적용, 전문 인력 부족 등의 고질적인 정보보호 생태계에 대한 체질을 개선하고 선순환 구조를 조성하 고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15년에 정보보호 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 였다. 이 법률에는 정보보호업체가 공공기관이 도입한 정보보호제품 및 정보보호 서비스에 대한 품질 향상을 위하여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정체계를 도입하였고, 이들 기관에서는 제공받고 있는 정보보호서비스에 대해 적정한 대가를 지불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이 제도를 도입한 기관은 그리 많지 않다. 본 논문은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정체계를 도입하여 운영 중인 기관의 사례 분석 및 이용자 대상으로 정보보호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적정한 정보보호서비 스 대가 산정 모델 적용에 대해 세밀하게 분석하여 조직의 정보보호성과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을 위해 기존 문헌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조사와 도입기 관의 사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 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 정 모델 도입 기관의 정보보호 및 정보화담당자를 비롯한 정보화담당부서 공무 원들과 이 기관을 대상으로 한 정보화 및 정보보호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수행한 경험이 있는 제주지역 ICT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정보보호서비스 대 가 산정 모델과 정보보호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정보보호서비스 품질은 정보보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치고 있 음이 확인되었으며, 정보보호서비스에 대한 적정한 비용 산정을 위한 정보보호서 비스 대가 산정 모델 적용은 정보보호서비스 품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부분 적으로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정 모델을 기 관에 도입하여 이에 따른 적용이 정보보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정 모델이 국가 및 공공기관 에 정착되려면, 현재 정보보호 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에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 정 체계를 도입할 수 있다고 권고수준에서 명시한 조항을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 는 반드시 반영하여야 한다.’고 강제성을 부여하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 및 공공기관이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정 모델 도입을 자발적으로 유도하기 위 한 ‘정보보호 적용 인센티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정 모델 도입이 정보보호성 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실증연구와 현행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정 모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다른 관점에서의 연구이며, 향후 정보보호서비스 대가 산정 모델 도입을 검토하는 국가 및 공공기관이나 공 공과 정보보안 산업과의 상생할 수 있는 건전한 정보보호 산업의 생태계 조성과 관련된 정책 수립 시 유용한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는데 의미를 갖게 될 것 으로 기대된다.

      •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개인정보 관리역량 성숙도 모델 및 평가지표 개발

        오상익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인정보 취급자가 스스로 개인정보 관리역량성숙도를 측정 함에 있어 더욱 객관적으로 관리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개인정보 관리 현상에 대한 개선 또는 관리를 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여 연구에 필요한 개념을 설계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행 개인정보보호 및 정보보안 성숙도 모델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기존의 ISMS-P, PIA, 공공기관 개인정보 관리 수준 진단, ISO27702 모델에서 75개 평가지표를 선정하였고, 개인정보 취급자의 역량과 윤리의식 측정을 위한 14개 항목을 신규 제안하여 총 89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전문가패널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하였고, 평가지표 간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AHP 조사기법을 통해 가중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최종 평가지표는 5개의 상위개념, 17개의 하위개념, 89개의 세부 지표로 확정되었다. 평가지표를 측정할 성숙도 모델은 기존의 업무 연속성 성숙도 모델(BCMM)을 기반으로 하여 7단계(Very High, High, Very Medium, Medium, Low, Very Low, None)의 성숙도 수준으로 된 개인정보 관리역량 성숙도 모델(PCM2 : Privacy Competency Maturity Model)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개인정보 관리역량 성숙도 모델과 평가지표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s α 값이 0.9 이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공과 민간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인정보 관리역량 자가 진단 테스트 결과, 공공이 민간보다 개인정보 관리역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성숙도 측정모델인 PIA, CMMI와 제안한 성숙도 측정모델인 PCM2를 비교 분석한 결과, PIA와 CMMI는 개인정보처리자 평가에 적합하고, PCM2는 개인정보 취급자 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역량 모델 평가에 관한 연구를 보면 정보보호 위주의 연구가 대부분이다. 기관 내에서 강력한 보호 대책 및 기준에도 불구하고 내부자에 의한 개인정보 침해사고가 꾸준히 발생하는 원인은 통제하는 주체와 통제받는 주체가 인간이다. 이러한 인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정보 취급자의 관리역량과 윤리의식을 평가하기에는 기존의 성숙도 모델로는 한계점이 있다. 이 들의 평가 모델은 개인정보처리자인 기관의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와 자산을 평가하기에는 적합하지만, 개인정보 취급자를 식별하고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 취급자를 관점으로 기존의 모델을 한 단계 개선하고 인간의 내면을 고려한 개인의 관리역량과 윤리의식을 높일 수 있는 지표를 신규로 개발하여 개인정보 관리역량 성숙도 모델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개발된 모델은 개인정보처리자가 아닌 개인정보 취급자를 평가 대상으로 한다는 점, 개인정보 관리역량성숙도 평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 그리고 평가의 실제적인 활용성을 위해서 개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개인정보 취급자가 스스로 업무를 수행하는데 세부적인 관리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개인정보 관리역량 수준을 진단하여 이를 기반으로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더욱 체계화된 개인정보 관리체계 정립에 기여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that allows personal information handlers to more objectively check the level of management capability and improve or manag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s necessary for research were designed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Based on thi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maturity model were identified. A total of 89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by selecting 75 evaluation indicators from the existing ISMS-P, PIA, public institutio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diagnosis, and ISO27702 model, and 14 new items for measuring personal information handler's competence and ethic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on expert panels, and weights were evaluated through the AHP survey technique to understand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As a result, the final evaluation index was confirmed as 5 higher concepts, 17 lower concepts, and 89 detailed indicators. The maturity model to measure the evaluation index proposed a Privacy Competency Maturity Model (PCM2) based on the existing Business Continuity Maturity Model (BCMM) with seven levels of maturity (Very High, High, Very Medium, Medium, Very Low, Non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user's reliability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competency maturity model and evaluation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Cronbach's α value was very high at 0.9 or more.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elf-diagnosis test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capabilities for workers in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t was found that the public had a higher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capabilities than the private sector.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isting maturity measurement models PIA and CMMI with the proposed maturity measurement model PCM2, PIA and CMMI are suitable for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evaluation, and PCM2 is suitable for personal information handler evaluation. Most of the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competency model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o far have focused on information protection. Despite strong protection measures and standards within the institution, human beings are the controlling and controlled entities that constantly cause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ccidents by insiders. In consideration of these human characteristics,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maturity model to evaluate th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ethical consciousness of personal information handlers. Their evaluation model is suitable for evalua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and assets of institutions that ar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but there is a limit to identifying and evaluating personal information handler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new indicator that can improve the existing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 information handlers and increase individual management capabilities and ethical awareness considering the human inner side. The developed model was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ndlers, not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competency maturity, and practical use of the evaluation. Using the evaluation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personal information handlers can be applied as detailed management guidelines for performing their own tasks, and that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capabilities can be evaluated to achieve objective and reliabl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 비대면 온라인강의에서 청중의 강의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사에 대한 공신력평가, 스피치 능력평가, 강사의 발표불안 및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오상익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의 기업, 대학, 정부기관의 교육 운영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감염의 우려로 다수의 군집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기존의 대면 강의가 빠르게 비대면 온라인 강의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지금까지 오프라인 강의만족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어왔으나 비대면 온라인 상황에서 강사의 자기평가와 청중평가의 차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상황에서 강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강사와 청중 평가의 차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강사의 언어적, 음성·시각적 비언어 요소와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 그리고 강사가 느끼는 발표불안과 카메라공포가 청중의 강의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강사의 공신력이 청중의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강사의 스피치 능력이 청중의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강사의 발표불안/카메라공포가 청중의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강사의 자기평가와 청중평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연구자의 유튜브 강연 채널 구독자와 일반인 총 3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대상자인 강사 4명의 심층 인터뷰도 병행하였다. 조사결과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상관관계 분석, 다변인 회귀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통계적 유의도는 p< .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강사의 공신력은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신력이 높은 강사는 강의만족도의 모든 변인에서도 높게 평가되었다. 둘째, 강사의 스피치 능력은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피치 능력이 높은 강사는 강의만족도의 모든 변인에서도 높게 평가되었다. 셋째, 강사의 발표불안은 공신력과 스피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표불안이 높은 강사는 청중으로부터 높은 공신력 평가를 받았고, 반대로 발표불안이 낮은 강사는 청중으로부터 높은 스피치 능력 평가를 받았다. 넷째, 강사의 카메라공포는 강의만족도, 공신력, 스피치 능력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공포가 낮은 강사는 강의만족도, 공신력, 스피치 능력 모두 높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강사 자신의 강의만족도 평가와 청중의 강의만족도 평가의 차이에 따른 강사 집단 간 강의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사평가와 청중평가의 차이가 적은 강사는 청중으로부터 높은 강의만족도, 공신력, 스피치 능력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측정했다는 의미가 있고, 강사의 자기평가와 청중평가에 대한 차이를 밝히는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강사의 카메라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밝힌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돼지에서 분리한 Salmonella Typhimurium의 특성 및 항생제 내성

        오상익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Salmonella는 대표적인 식중독 원인체로 식육을 통한 사람의 감염이 전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Salmonella Typhimurium의 경우, 다제내성 균주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fluoroquinolone계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도 출현하고 있어 동물과 사람에서의 살모넬라증 치료에 큰 어려움이 되고 있다. 가축에서의 항생제 오남용을 예방하여 축산물에 대한 안전성을 관리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2011년 7월부터 가축사료 내 항생제 첨가를 금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소화기계 질환을 보이는 돼지에서 분리한 Salmonella의 혈청형 분포와 S. Typhimurium의 항생제 내성 패턴 및 내성 유전자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분리주 간의 유전학적 관계를 살펴보고, 사료첨가용 항생제 금지 전후의 분리주 특성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총 94개의 Salmonella 분리주에 대한 혈청형 분포조사 결과, S. Typhimurium 이 81주(86.2%)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이 외에 S. Derby(6.4%), S. 4,[5],12:i:-(4.3%), S. Enteritidis(2.1%), S. Brandenburg(1.1%)가 분리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 환돈에서 분리한 Salmonella의 약 85%이상은 그 혈청형이 Typhimurium이며 2013년 이후로 S. 4,[5],12:i:-이 환돈에서 분리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 Typhimurium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 검사를 통해 항생제 내성률을 조사한 결과, tetracycline (92.6%)과 streptomycin (88.9%)에서 다소 높은 내성을 보였고, fluoroquinolone계 항생제인 ciprofloxacin의 MIC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96.3% 의 S. Typhimurium이 다제내성을 보였고, 사료 내 항생제 첨가 금지를 전후로 내성유전자 분포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균 MIC값을 비교해 본 결과, 사료용 항생제 첨가 금지 후에 streptomycin과 tetracycline의 평균 MIC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iprofloxacin, florfenicol, nalidixic acid의 평균 MIC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fluoroquinolone계 항생제인 ciprofloxacin의 MIC값이 꾸준히 증가하고, 2013년부터는 내성 균주들이 출현하고 있어서 이 항생제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FGE를 통한 분자유전학적 분석 결과, 88.9%에 해당하는 균주들이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어, 유전학적 특성이 비슷한 S. Typhimurium이 현재까지도 국내 돼지농장에서 살모넬라증을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그룹에 속하지 않은 분리주들은 모두 2013년 이후에 분리된 것으로, 2013년도 이후 유전학적 특성이 다른 S. Typhimurium이 국내에 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국내 돼지농장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Salmonella의 약 85%는 S. Typhimurium이었고, tetracycline과 streptomycin에 높은 내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분리주가 다제내성을 가졌으며, 분자유전학적으로 비슷한 특성을 가진 균주들이 국내 돼지농장에서 살모넬라증을 일으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13년 이후로, 새로운 혈청형인 S. 4,[5],12:i:-뿐 아니라, ciprofloxacin에 내성을 보이는 S. Typhimurium이 출현하였고, 유전학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분리주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사료 내 항생제 금지 이후로 국내 돼지농장에서의 Salmonella 특성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살모넬라의 공중보건학적인 중요성을 감안할 때,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감시할 필요가 있다.

      • 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병리기전,임상양상 및 감염축 조기 탐색 가능한 방법 연구

        오상익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5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모든 돼지과 속의 동물에 감염이 일어나는 급성열성 전염병이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2018년 8월 중국에서 첫 발생 보고가 있은 후로 아시아 전 지역에 걸쳐서 바이러스가 확산되었으며, 베트남의 경우 2019년 2월에 첫 발생이 보고되었다. 국내에서는 그 해 9월 경기도 파주시의 농가에서 첫 발생이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야생멧돼지를 중심으로 계속 ASF가 발생되고 있다. ASF 바이러스(ASFV)는 capsid protein p72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총 24개의 genotype으로 분류 되며, 현재 아시아에 유행하고 있는 바이러스는 genoype II형이다. 아시아 유행 ASFV는 기존 유럽 유행 바이러스주와는 다르게 10개의 염기서열(5’-GGAATATATA-3’)이 173R과 1329L 유전자 부위에 추가되어있다는 것이 최근의 연구결과에서 밝혀졌다. 또한 genotype II ASFV는 대개 급성형으로 분류되어 감염돼지는 이른 시기에 100% 폐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재까지 백신이 개발되어있지 않은 이 질병은 이러한 이른 폐사로 인해서 감염 조기에 감염축을 발견하여 방역조치를 취하는 것이 감염 전파를 막는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시아 지역에 유행하는 ASFV의 병원성, 임상양상, 병리학적 특성을 베트남에서 분리된 바이러스 공격 접종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돼지를 조기에 진단 또는 추정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유래 ASFV(VNUA/HY/Vietnam)를 7-8주령 돼지에 103.5 HAD50/mL 농도로 1mL 근육접종하여 감염시킨 후에 생존률, 임상증상 발현 시기, 혈중 바이러스 농도, 육안 병변 및 조직병변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감염돼지는 5-8일 사이에 전부 폐사하였으며, 평균 폐사일은 7.0 ± 1.2일 이었다. 임상증상은 감염 3일차부터 10두 중 3두(30%)에서 시작되었으며, 감염군의 임상증상 점수는 감염 4일차부터 3점을 초과하여 임상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감염 5일차부터는 모든 임상증상이 발현되며, 양상 또한 심각한 임상증상들을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베트남 유래 ASFV주는 잠복기가 3.7 ± 0.5일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유럽에서 발생되는 ASFV 잠복기 보다 약 1-2일 짧은 수치였다. 임상증상은 고열이 가장 먼저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소화기계 증상을 보였다. 감염 4일차 부터는 호흡기계 증상과 신경증상등을 보였다. 10마리의 돼지 중 1마리에서는 감염 1일차부터 혈중 내 바이러스가 관찰되었고, 감염 후 평균 2.2 ± 0.8일 후에 혈중 내 바이러스 항원이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감염 후 폐사 돼지에서는 전 장기에 걸쳐서 충혈성 부종 소견을 보였다. 조직 병리 분석을 위해서 10마리의 돼지 중 가장 먼저 죽은 돼지 2두와 가장 늦게 죽은 돼지 2두를 부검하고, 주요 5개의 장기 조직(비장, 악하림프절, 간, 폐, 신장)의 조직 병변을 관찰하였다. 조기 폐사한 개체들의 경우에는 늦게 죽은 개체에 비하여 비장에서 더욱 심한 병변을 보였으며, 특히 림프구 괴사 및 비장 구조 소실이 관찰되었다. 늦게 죽은 개체들은 조기 폐사체들에 비해 간과 신장에서 다양하고 심한 병변이 관찰되었다. 또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에서도 늦게 죽은 개체들의 간과 신장에서 조기 폐사 개체들에 비해 더 많은 ASFV 감염 양성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임상증상이 발현하는 3.7 ± 0.5일 이전에 ASF 감염개체 진단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위하여 우리는 ASFV 공격접종 돼지를 대상으로 검체별 바이러스 역가를 감염 후 날짜에 따라 분석하였다. 돼지 개체별 샘플로 혈액, 구강 면봉, 비강 면봉, 직장 면봉 검체를 사용하였고, 돈군 단위 샘플로 돈군 구강액(면 로프 활용 채취), 돈방 바닥 분변을 채취하였다. 또한 환경 샘플로 돈방 내 공기, 사료, 음수를 수집하였다. 확보된 검체에서 DNA를 추출하고, qPCR을 통하여 ASFV 검출 역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장 면봉 검체에서는 감염 3일차에 최초로 3두에서 바이러스 항원이 검출되었고, 구강과 비강 면봉 검체에서는 감염 후 3일차에 각각 6두와 8두에서 항원이 검출되었다. 돈군 단위 샘플의 경우, 돈군 구강액 검체에서 감염 후 3일차에 항원이 검출되었으며, 돈방 바닥 분변에서는 감염 6일차에 항원이 검출되었다. 또한 모든 환경샘플에서는 감염 후 6일차에 항원이 검출되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우리는 면 로프를 활용하여 수집된 돈군 구강액 샘플로 임상증상 발현 이전에 ASFV 항원을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염 후 폐사 개체를 대상으로 10개의 주요 장기(비장, 악하림프절, 장간막림프절, 서혜부림프절, 편도, 폐, 간, 신장, 심장, 결장)과 이각기를 활용한 귀 조직 샘플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11개의 조직 시료 중 간에서 가장 높은 바이러스 역가가 검출되어, 정확한 감염 의심축 폐사체 진단을 위해서는 간 시료 항원 검사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귀 조직 샘플에서는 림프절들과 편도 만큼 높은 바이러스 역가가 검출되었다. 이를 통해서 귀 조직 검체에 대한 ASFV 항원 검사 만으로도 감염 폐사축을 부검 없이 현장에서 진단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ASFV 감염돼지의 체표체온을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매일 촬영하여 감염돼지의 일자별 체표체온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돈군 단위 촬영 결과, 감염 후 3일차부터 최고 체표체온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38.5℃가 넘는 개체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ASFV 감염돈들의 특정 부위별(귀, 목, 서혜부) 체표체온 측정 결과에서도 감염 후 3일차에 급격한 체표체온 상승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비록 본 연구 결과인 열화상카메라 활용 ASF 감염 의심축 조기 진단 방법은 ASF 발생 위험이 역학적으로 높은 농장을 대상으로 적용이 가능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열화상카메라 활용의 기초가 될 수 있는 ASFV 감염돼지의 체표체온 기준을 마련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이번 연구는 베트남 유래 ASFV 공격접종 실험을 통하여, 현재 ASFV의 효과적인 조기 진단 방법 마련을 위하여 ASFV의 병원성, 임상양상, 병리학적 특징 등의 기초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ASF 감염 의심축 조기 진단 또는 추정 방법 세가지(돈군 단위 구강액을 통한 진단, 귀 조직 사용 폐사축 진단, 열화상카메라 활용한 감염의심축 추정)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