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아동센터 공부방 경험이 농촌지역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봉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서 운영중인 공부방 경험 유무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조사하여 비교하고, 그 결과로 나타난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공부방 경험의 유무에 따른 것인지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즉 농촌지역 아동의 공부방 경험이 사회적 능력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농촌지역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능력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공부방 경험 유무에 따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공부방 아동의 경우 공부방 경험 요인중 어떤 요인이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행정구역상 '리' 단위 지역의 농촌지역에 위치한 학령기 아동인 공부방 아동 230명과 초등분교를 다니는 아동중 방과후 거주지역내 사설학원이나 공부방이 없거나, 경제적 문제로 다니지 못하는 비공부방 아동 99명을 연구대상으로 사회적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공부방 교사와 분교 교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중심으로 분석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의 경우 사회적 능력 전반, 지도력, 유능성, 교사에 대한 애정, 방해성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사회적 능력 전반이 높았다. 아동의 학년의 경우 사회적 능력 전반, 지도력, 유능성, 교사에 대한 애정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유능성은 증가하고 불안정성은 감소함을 볼 수 있다. 둘째, 아동의 가족형태에 따른 사회적 능력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가정 아동이 결손가정 아동들보다 사회적 능력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교사에 대한 애정을 보면 결손가정아동의 경우 부모로부터 받지 못하는 사랑을 공부방과 분교 교사에게 받으려는 것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부모의 학력이 높은 아동집단이 낮은 아동집단보다 아동의 지도력, 유능성, 사회적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농촌지역에서 운영중인 공부방 경험을 통한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조사를 위해 공부방 아동과 비공부방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능력을 조사한 결과 공부방 아동이 비공부방 아동보다 사회적 능력이 높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넷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시간은 교사에 대한 애정과 사회적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고민 상담빈도는 지도력, 유능성, 교사에 대한 애정 그리고 사회적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학생간의 친밀도는 지도력, 유능성, 교사에 대한 애정과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교사에 대한 존경도는 지도력, 유능성, 교사에 대한 애정 그리고 방해성, 사회적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친구들과의 어울리는 정도는 불안정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요인과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친구들 사이의 인기도는 사회적 능력과 구성 요인간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의 개인배경, 가정배경 요인과 공부방 경험 요인들이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을 가지고 사회적 능력의 구성 요인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첫째, 친구들 사이의 인기도가 높은 경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은 경우, 체계적인 운영이 진행되는 기관인 경우, 결손가족보다는 일반가족인 경우에 아동의 지도력이 높다. 둘째, 친구들 사이의 인기도가 높은 경우, 체계적인 운영이 진행되는 기관인 경우, 지도방식에 있어서 아동에게 칭찬과 자율적이며 설득방식일 경우에 아동의 유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성별이 여자아동인 경우, 고민 상담빈도가 많은 경우, 존경도가 높은 경우, 친밀도가 높은 경우, 인기도가 높은 경우, 체계적인 운영이 진행되는 기관인 경우에 아동의 교사에 대한 애정이 높다. 넷째, 공부방의 운영형태가 지역센터인 경우, 친밀도와 존경도가 높은 경우, 아버지 학력이 높은 경우, 체계적인 운영이 진행되는 기관인 경우, 상호작용시간이 많은 경우에 아동의 방해성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친구들과의 어울리는 정도가 높은 경우, 공부방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인성발달과 집단적 협동, 자애로운 포용으로 취지 및 방향을 잡은 경우, 존경도가 높은 경우, 남자아동인 경우, 체계적인 운영이 진행되는 기관인 경우, 상호작용시간이 많은 경우에 아동의 불안정성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공부방 경험 요인이 사회적 능력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친구들 사이의 인기도가 높은 경우, 체계적인 운영이 진행되는 기관인 경우, 존경도가 높은 경우, 공부방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인성발달과 집단적 협동, 자애로운 포용으로 취지 및 방향을 잡은 경우, 상호작용시간이 많은 경우, 지역센터형인 경우에 아동의 사회적 능력 전반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 볼 때 아동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이 없는 농촌지역의 경우 공부방은 가정과 학교에서의 생활지도와 상담활동을 하고, 문화 복지와 교육복지의 소외로 인해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점에 공부방의 역할은 매우 중요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도시지역과는 다른 환경에 있는 농촌지역에서 지역아동센터(공부방)의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첫째, 농촌지역에서 운영중인 지역아동센터의 환경개선과 종사자의 삶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환경의 차이의 이해가 요구된다. 셋째, 농촌지역에서 운영중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와 자원봉사자를 위한 체계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확충이 요구된다. 넷째, 도시지역뿐만 아니라 농촌지역 지역주민을 위한 복지제도와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섯째, 농촌지역에 대한 다각적 이해와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rural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female children have higher social competence than male children, as child year goes up, capability increases and apprehension decreases. Secondly, social competence of broken family child are lower than others.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group with highly educated parents indicates more highly than children group with lower educated parents does. Thirdly, children who don't go there, it is confirmed that children who has the experience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has higher social competence than the other children who don't have the experiences of it. Fourthly, teacher-student interaction, consultation frequency of troubles, the intimacy measure between teacher-students, and the respect measure to teacher, popularity among friends shows respective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competence and factor of construction. Mix with friends shows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ept for apprehension. An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social competence i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factor, children's individual background, family background, and the experience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Regression was performed by using factor of construction of social competence as Depend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Firstly, children's leadership is expected to be high in the following case, when popularity among friends is high,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 is high, there is an organization with which systematic management advances, and children have general family than broken family. Secondly, children's capability is expected to be high in the following case, when popularity among friends is high, there is an organization with which systematic management advances, teacher's guidance method is persuasive and autonomous and giving children praises. Thirdly, children's affection toward teachers to be high in the following case, when child's sex is female, trouble consultation frequency is high, when respect measure is high, intimate measure is high, popularity among friends is high, and there is an organization with which systematic management advances. Fourthly, children's disruption is expected to be low in the following case, when the management form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is same as a community center, intimate measure is high, respect measure is high, academic background of father is high, there is an organization with which systematic management advances, and there is much interaction time. Fifthly, children's apprehension is expected to be low in the following case, when mix with friends is high, respect measure is high, child's sex is male, there is an organization with which systematic management advances, and there is much interaction time. Finally, with considering the above synthetically, children's general social competence is expected to be high in the following case, popularity among friends is high, there is an organization with which systematic management advances, there is much interaction time, the management form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is same as a community center.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above research result, Community children center is considered to have the function of the living guidance and consultation activities at home and school in rural communities which doesn't have 'welfare safety net'. And it is very important point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that social competence can be developed into the students who cannot adapt themselves to social life by the alienation of cultural welfare and educational welfare.

      • 취약집단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 :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오봉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With crimes targeti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surging recently, news reports covering such crimes give vague fear not only to victims of crimes but also to everyone. In addition, many existing studies showed that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groups who are the recipients of maj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are physically and socially vulnerable to crimes, have higher fear of crimes. Given this, this study had interest in ‘fear of crime,' which exerts effect on the life quality of the groups, and ways to achieve community welfare. This study, therefore, tried to suggest community welfare practice intervention and role in order to reduce fear of crime amo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by comparing the groups' level of fear of crim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fear of crime. The study used the source material of Korean Crime Victim Survey in 2012 by Kim Eun-gyeong et al., in 2014, which was jointly carried out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the Statistics Korea as an examination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national life security. Out of date for 13,317 people, data for 7,877 were used for the second data analysis, excluding data for people who had missing value for variables being used by this researcher. Of the 7,877 people, 4,047 were women, 1,382 were the elderly, and 209 were the disabled. In order to find out the major factors affecting fear of crime amo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composed of factors on the levels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As for data analysis instruments, the version of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9.4 and HLM 6.0 for Windows, which is frequently used for multi-level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ruistic fear of crime was the highest amo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s well as all the respondents, followed by general fear of crime and concrete fear of crime. Among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women exhibited higher fear of crime, and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showed similar figures in fear of crime by type. Especially, compared with all the respondents and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had a lower average value in altruistic fear of crime. In addition,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by vulnerable social group were examined.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in general fear of crime and concrete fear of crime than men, the non-disabled and the non-elder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truistic fear of crime by gender. The mean difference in fear of crime by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and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was equally significant as the mean differences in the other types of fear of crime. Second, the factors which affect women's fear of crime were examined. Women's general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whether having an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r not and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Women's altruistic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whether having an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r not and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Women's concrete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disabled or not,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whether having a spouse or not,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nd participation in unofficial control and policing in residential area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Third, the factors affecting disabled people's fear of crime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results, disabled people's general fear of crime was influenced by gender,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Disabled people's altruistic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whether having a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r not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Disabled people's concrete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policing in residential area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Fourth, the factors affecting elderly people's fear of crime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elderly people's general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gender,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Elderly people's altruistic fear of crime was influenced by whether being disabled or not and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Elderly people's concrete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gender,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Fif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cluded the disabled, who show social, physical, economic vulnerability, in research subject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fear of crim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n fear of crime among the disabled, who have social, physical, economic vulnerability, using questionnaires containing questions 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grade.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ree types of fear of crime―general fear of crime, altruistic fear of crime and concrete fear of crime―amo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results from men, the non-disabled and the non-elderly.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e significant result that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o have social and physical vulnerability, exhibited lower fear of crime than the non-disabled and the non-elderly. Sixth, social welfare experts should be aware that various practice services, which have been provided to local residents as a way to practice community welfare until lately, have contributed to preventing crime and reducing fear of crime and have had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Furthermore, in order to better realize the social seriousness of increasing crimes, to prevent crimes in community and to reduce fear of crime, social welfare experts should actively intervene. Moreove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s needed for customized approach to fear of crime, which affects the lif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o have physical and social vulnerability. For wome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 that considers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social disorder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disabled, the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 that considers gender, age,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and social disorder need to be conducted. For the elderly, the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 that considers gender,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and social disorder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as common social welfare approach for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practice approach is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community safety net through provid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for change in awareness of vulnerability, managing protection according to whether having a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and combining effort of local residents and police to vitalize community against social disorder. Seventh, in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person-in-environment in social welfare practice, social welfare experts should have interest and intervene in approach on the community level as well as approach on the individual level in order to prevent crimes and reduce fear of crime. In addition, some changes should be made to current intervention in order for community welfare practice and unofficial control activities through community movement and making village project to become more meaningful and expected. Furthermore, social welfare experts need to understand representative crime control strategy of social danger management and carry out practice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of vulnerable social groups by preventing crimes and reducing fear of crime. Social welfare experts who work as community welfare experts should cooperate with local police for more aggressive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afety net as part of participation in public safety. 최근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급증하며, 이와 관련된 범죄피해 뉴스보도 등이 범죄피해자 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막연한 두려움을 준다. 또한, 사회복지의 주요 서비스 대상자이자 신체적․사회적 취약성을 가진 치안약자인 여성, 장애인, 그리고 노인이 범죄에 대해 두려움이 높다는 선행연구를 고려하여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범죄두려움’과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집단 여성, 장애인, 노인의 범죄두려움 수준과 범죄두려움의 영향 요인을 비교하여 대상자별 범죄두려움을 낮추기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개입과 역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과 통계청에서 공동으로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로 조사된 「전국범죄피해조사(Korean Crime Victim Survey in 2012)」(김은경 외, 2014)의 원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연구자가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결측값이 있는 응답자는 제외되어 총 13,317명 중 7,877명의 자료가 이차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그 중 취약집단인 여성은 4,047명, 노인 1,382명, 장애인은 209명이다. 전체 응답자와 취약집단인 여성, 장애인, 노인간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개인 및 지역수준의 요인들로 구성된 자료에 대해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자료 분석 도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9.4 version을 사용하고, 다수준 분석에 자주 활용되는 HLM 6.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전체응답자와 취약집단 여성, 장애인, 노인 모두 이타적 범죄두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반적 범죄두려움, 구체적 범죄두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약집단 중 여성의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고, 취약집단 장애인과 노인은 유형별 범죄두려움에 있어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특히 이타적 범죄두려움에서 전체응답자와 취약집단 여성과 비교하면 취약집단 장애인과 노인의 평균값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취약집단별 범죄두려움의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적 범죄두려움과 구체적 범죄두려움에서 남성보다는 여성, 장애인보다는 비장애인, 노인보다 비노인의 범죄두려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타적 범죄두려움에서 성별에 의한 차이만 유의미하지 않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노인과 비노인의 범죄두려움의 평균차이는 다른 유형의 범죄두려움과 동일하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취약집단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노인여부(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범죄피해 간접경험유무, 일상생활만족,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가 영향을 미쳤다. 이타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노인여부(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범죄피해 간접경험유무, 일상생활만족,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가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장애유무, 노인여부(연령), 배우자유무, 학력, 취약성인식, 일상생활만족,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비공식통제참여, 그리고 거주지역의 경찰활동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취약집단 장애인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성별, 취약성인식, 지역수준변인 중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이타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노인여부(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범죄피해 직접 및 간접경험유무,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노인여부(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 그리고 거주지역의 경찰활동이 영향을 미쳤다. 넷째, 취약집단 노인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성별, 취약성인식, 일상생활만족,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이타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장애유무, 취약성인식,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성별, 학력, 취약성인식,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범죄두려움의 연구대상을 사회적·신체적·경제적 취약성을 가진 장애인을 포함시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차후에는 장애유형, 장애등급 등을 조사하는 설문문항이 포함하여 신체적·사회적 취약성을 가진 장애인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 범죄두려움, 이타적 범죄두려움,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세가지 유형의 범죄두려움에 대해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영향 요인을 밝히고 남성, 비장애인, 비노인과 비교 분석을 통해 나타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사회적·신체적 취약성을 가진 장애인과 노인의 범죄두려움이 비장애인과 비노인의 범죄두려움보다 낮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여섯째, 최근까지 사회복지 전문가는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일환으로 지역주민에게 제공한 다양한 실천서비스가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였고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범죄사건의 증가에 대한 사회적 심각성을 제고하고 지역사회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복지 전문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적·신체적 취약성을 가진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범죄두려움에 대해 개별 맞춤식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범죄피해 간접경험, 일상생활만족, 사회적 무질서를 고려한 사회복지적 실천접근, 장애인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취약성 인식, 사회적 무질서를 고려한 사회복지적 실천접근, 노인을 대상으로 성별, 취약성인식, 사회적 무질서를 고려한 사회복지적 실천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공통적인 사회복지적인 접근으로 취약성인식의 변화를 위한 교육과 정보제공, 범죄피해 직접 및 간접경험 유무에 따른 보호관리, 사회적 무질서에 대해 지역주민과 경찰관계자와 연대하여 공동체 활성화 통해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이 될 수 있도록 실천 접근이 요구된다. 일곱째, 사회복지 전문가는 사회복지 실천의 ‘환경속의 인간’이라는 관점을 고려하여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인수준의 접근뿐만 아니라 지역수준의 접근에도 관심을 갖고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 실천과 공동체 운동, 마을 만들기 사업에 의한 비공식통제활동이 보다 의미 있는 실천. 즉 기대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지금과는 다른 변화를 통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 전문가는 취약집단의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켜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 위험관리의 대표적인 범죄통제 전략에 대한 이해와 실천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사회 복지전문가로 활동하는 사회복지 전문가가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참여 치안’의 일환으로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지역 경찰관계자와의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