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생아 심장 수술의 임상적 고찰

        오기원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 in newborns undergoing cardiac surgery. Methods : Eighty two neonates underwent heart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efect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0 and February 2006. Patient characteristics(sex, age, diagnosis), operation typ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mortality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In 82 patients, 41(50%) were male. The mean age and weight at operation were 12days and 3.2kg,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cardiac anomalies were complete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TGA), Tetralogy of Fallot(TOF),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 and single ventricle variants. Fifty seven operations were performed with cardiopulmonary bypass and corrective surgery had done in 68%. Arterial switch operation and modified Blalock-Taussig shunt were most frequently performed as corrective and palliative operations, respectively. The early hospital mortality rate was 7% and late mortality was 3.9%. Common complications were acute renal insufficiency, delayed sternal closure, wound infection, arrhythmia, and brain hemorrhage. Conclusion : During recent 6 years, the outcomes of cardiac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efects in neonates improved by progress in perioperative, anaesthetic, surgical, and postoperative care. 목적 : 최근 선천성 심장병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발전이 거듭됨에 따라 신생아기의 수술 성적 또한 많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최근 6년 간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신생아기에 수술을 받은 환아들의 임상적 특징 및 수술 성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6년간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신생아기에 수술을 받은 82명에 대해 이들의 수술 당시 나이 및 체중, 심기형의 종류, 수술 내용 및 결과, 합병증 등을 검토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82명 중 남아는 41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12일, 평균 몸무게는 3200g이었다. 주된 심기형은 완전대혈관전위, 활로씨사징, 심실중격이 온전한 폐동맥판폐쇄, 기능적 단심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수술 방법으로 인공심폐기를 사용한 경우가 57례였고, 54례(67%)에서 완전 교정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종류로 완전 교정수술로는 동맥전환수술이, 고식 수술로는 변형 B-T 단락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총 사망은 9례(10.9%)였으며 이 중 조기 사망은 6례, 만기 사망은 3례였다. 수술 후 주요 합병증은 급성 신기능 부전, 지연 흉골 봉합, 상처감염, 수술 후 부정맥, 뇌실내 또는 뇌내출혈 등이 발생하여 내과적 치료를 필요로 하였다. 결론 : 최근 6년간 본원에서 신생아기의 선천성 심장병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수술 전 처치, 수술 방법, 체외 순환법 그리고 수술 후 집중 치료의 발달을 통해서 많은 향상을 보였다.

      • 경련으로 내원한 만삭아에서 뇌 백질의 확산강조영상 이상과 로타바이러스 감염과의 연관성

        오기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 적: 저자는 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만삭아 중 뇌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MRI)에서 특징적인 이상 소견을 보였던 환아들의 임상양상과 영상 소견을 기술하고 로타바이러스 감염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울산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경련을 주소로 입원한 만삭아들의 분만력, 경련 이외의 임상적 이상 소견의 유무, 경련의 원인에 대한 검사 등에 대해 환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따라 확산강조영상에서 뇌량을 포함한 뇌 백질 부위에 대칭적으로 신호 증강이 관찰된 환아들은 DWI(+)군으로 분류하였고, 그 외의 환아들은 DWI(-)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75명 중 뇌 MRI 검사를 시행한 환아는 70명이었고, DWI(+)군은 31명이었다. DWI(+)군 중 남아는 20명(65%)이었으며, 대다수가 출생 전후기에 특별한 문제가 없었던 건강한 만삭아였다. 경련의 발생 시기는 주로 출생 후 4~6일 사이에 발생하였으며, 경련의 주된 임상 형태는 국소 또는 다국소 간대 발작이었다. 대부분은 경련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항경련제 투여 후 2일 이내에 임상적 경련이 조절되었다. DWI(+)군은 대변에서 로타바이러스 항원검사를 시행한 29 중 24명에서 양성이었으며, DWI(-)군에서는 33명 중 3명에서 양성이었다(P<0.001). DWI(+)군에서 추적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18명의 환아 중 12명은 확산강조영상에서 이전에 보였던 특징적인 이상 소견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6명의 환아 중 2명은 백질 용적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2명은 뇌실 주위 낭성 백질연화증이 관찰되었다. 결 론: 최근 9년간 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만삭아 중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 환아들은 로타바이러스 감염과 연관성이 있으며,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5일째 경련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일 것으로 생각된다.

      •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점군 정보 내 밸브 모델 추출

        오기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 humanoid robot which has a similar appearance and operation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or the humanoid robot to operate normally, the method that can recognize surrounding things obtained by a variety of sensors. The object recognition method using 3-Dimensional data obtained by camera or laser sensor is proposed,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when data is affected by noise. Also, when the object is small and complex, application of object recognition method is more difficult. In this thesis, we proposed a histogram based method which extracts a valve model that is one of the objects that is small and complex. The valve is divided into handle, rib and center plane, and these parts are modeled on primitive shape for simplification: torus, cylinder and plane. Then, distance histogram is generated using distance between center of valve and all points. We extracted a valve model using this histogram. Histogram has two relative maximum values. These two values are used as criteria that divides region of each part. To confirm accuracy of our proposed method, we compared measurement value with calculated value of parameter, and reconstructed the valve using calculated value of paramet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rror between measurement and calculated value is less than 3mm and the reconstruction of valve model is overlapped successfully. 최근 사람의 형태로 만들어져 사람의 일을 대신 수행하는 휴머노이드 형태의 로봇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로봇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센서들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카메라, 레이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집한 3차원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물체가 잡음의 영향이 큰 경우 에는 이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물체가 작고 복잡할수록 물체를 인식하는데 더욱 어려움이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이 있는 정보에서 작고 복잡한 물체중 하나인 밸브를 찾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밸브를 손잡이, Rib, 중심 평면으로 나누 고, 이를 기본 도형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로 모델링하여 간단한 형태로 바꾸고, 밸브의 중심과 모든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거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밸브를 추출하였다. 히스토그램에 극댓값이 2개 나오는데, 이를 기준으로 각 부분의 영역을 나누어 각각의 파라미터 를 계산하였다.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밸브의 크기를 실제로 측정한 값과 계산한 값을 비교했으며, 3차원 정보에 계산된 값을 이용하여 복원하였다. 실험 결과 각 부분의 크기는 수 mm 이내의 작은 오차가 존재하며, 복원 결과 밸브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원되는 것을 확인했다.

      • Nanocarbon-polymer nanocomposite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low dielectric loss

        오기원 광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mer-based nanocomposites filled with inorganic filler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due to their excellent mechanical, electrical, thermal, and dielectric properties. Especially,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polymer/inorganic nanocomposites have been examined for not only embedded-capacitor technology but also electroactive polymers (EAPs) such as actuator. The common method for increas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polymer-based nanocomposites is to introduce high-k ceramic fillers or conductive fillers such as metal nanoparticles and nanocarbon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e facile preparation of polymer nanocomposite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low loss factor using graphite nanosheets (GNSs) an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as fillers. In order to exfoliate graphites into very thin graphite nanosheets, we used the ultrasonication of graphite in the organic solvent like dimethylformamide (DMF) without organic surfactant. After centrifugation, we got the GNSs well dispersed in DMF with concentration up to 0.03 mg․ml. The thickness of GNSs was characteriz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nd it was about 11 nm. Furthermore, by using an ionic liquid (IL) of 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we obtained highly exfoliated SWNT bundles. The resulting GNSs were mixed with epoxy and SWNTs were mixed with PDMS.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polymer-nanocarbon composites were characterized using HP 4294A LCR meter. The present results shows that GNS/epoxy composite have the high dielectric constant (~710) and low dielectric loss (less than 0.5) at 100Hz. Also, in the case of the SWNT/PDMS composite, by using ionic liquids (ILs), the dielectric constant of nanocomposites was increased (~4000) and the dielectric loss was decreased compared with SWNT/PDMS composite without ILs at 100 Hz.

      • 새로운 금속 전사 프린팅법을 이용한 TFT 제작에 관한 연구

        오기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report a new metal transfer printing method that uses a water-mediated transfer. A metal thin film is used as a solid "ink", which easily releases from a self-assembled monolayer-coated glass pad and is transferred to a Si substrate using elastomeric stamp during water-mediated metal transfer printing. A layer of water on the substrate facilitates surface bonding between the metal thin film and the Si substrate. This method can be adopted in automated printing machines that are used to generate metal patterns with a wide range of feature sizes. Metal patterns transferred using the method were used as metal electrodes for ZnO-based thin-film transistors, with a maximum field effect mobility of 7.1cm²/V s, operating at 5 V with an on/off current ratio of ∼10⁴.

      • 직렬 및 병렬 복합 평면 스택 구조를 적용시킨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의 전력량 향상을 위한 연구

        오기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비롯하여 고성능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가운데, 2차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오랜 기간 사용된 전력원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력원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 공급장치로써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의 연구가 제안되었다. 또한 기존의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는 여러 가지 단점들을 갖고 있다. anode dry-out, cathode flooding 현상, 크로스오버(cross-over) 현상, 온도에 의한 교환막의 파손 및 변형현상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는 유체 연료와 산화제에 의해 형성되는 확산영역이 양성자 교환막의 역할을 대체하기 때문에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가 가지는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 또한 단점을 갖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낮은 전력량으로 인해 실용화가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연료 및 산화제의 종류, 전극의 재질, 마이크로 채널의 다양한 설계를 통해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의 전력량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직렬 및 병렬 복합 평면 스택(serial and parallel complex planar stack)구조를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스택 시스템(stack system)은 하나의 유로내에 여러개의 단일 연료전지를 집적화하는 방식이다. 여러 개의 유로를 가진 단일 연료전지를 배열(array)하는 방식에 비해 면적의 감소효과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평면 스택의 장점은 lab-on-a-chip, 바이오칩과의 공정을 공유하여 그것들의 전력원으로써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직렬 및 병렬 복합 스택구조의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의 제작을 위해선 전산유체해석 프로그램(ANSYS Fluent)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채널 내의 유동해석이 필수적이다. 유체 연료와 산화제의 확산양상은 직접적으로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기판은 글래스 웨이퍼, 전극의 재질은 백금을 선택하였으며, 마이크로 채널은 음성 감광제인 SU-8 3035, 덮개 역할은 PDMS층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웨이퍼간 variation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4인치에서 6인치 웨이퍼로 변경하였고, 자동화된 공정장비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칩의 수율을 높여 균일성을 높이는 노력을 하였다. 실험에는 포름산 기반의 연료와 산화제를 사용하였고 성능평가를 위해 Potentiostate 장비를 이용하여 전력밀도 및 총 전력량을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직렬 및 병렬 복합 스택구조가 적용된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의 실용화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수행되었던 직렬 혹은 병렬 스택 구조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와의 참고, 비교를 통해 직렬 및 병렬연결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를 개발하여 총 전력량 및 전력 밀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로 실용화에 필요한 성능을 충족시키는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를 개발하는데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평면스택의 단점인 증가되는 면적과 유체 연료와 산화제의 주입을 위한 실린지 펌프의 증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Common feed inlet 구조를 가진 새로운 3차원 스택 마이크로 유체 연료전지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