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구지가> 융합교육 방안 연구 : 수로왕 신화와 가야사를 연계한 교육방법 중심으로

        오경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What we will cover in this paper is Gujiga, one of the ancient songs we know. <Gujiga> is a work that is consistently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s among the three ancient songs.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hanges in the frequency increase and decrease did not appear suddenly. However, as it mov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number of ancient songs was rapidly reduced. In the case of the 7th curriculum, 13 of the 18 upper and lower textbooks accounted for 13, and the 2009 revised Literature I and II textbooks were included in 10 out of 14, and the 2011 revised literature textbook was included in 7 out of 11 . From the 7th to the 2011 revised curriculum, <Gujiga> has a very high retention rate compared to <Gongdo Doga> and <Hwanggaga>, whose rates in literature textbooks have changed rapid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literature textbook, there are only three textbooks containing <Gujiga>. Compared to the past curriculum,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Gujiga>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ancient songs, which has a major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ancient people's life and culture (traditional culture) at the time. Gujiga is expected to have been transmitted through the process of oral orthodoxy between the tribes and the tribes by calling them as a new song at the time, especially when they inferred the song lyrics. This corresponds to the theory that <Guji> has a magical propensity. However, in this paper, we see <Gujiga> as the origin and the Youngsingunga (song to greet the king). In addition, along with <Gujiga>, the story of the birth of the waterway king related to the work and some records of "Garakkukki" and Gaya We are going to explore and connect and explore and design a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Korean literature,'literature' and social studies,'Korean history'.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pattern of <Gujiga>, one of the ancient songs included in the textbooks, examines the background stories of <Gujiga> related stories, and interests students without focusing on injectable education that can be boring. I would like to suggest a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that can have fun and participate in learning. In this paper, we see <Gujiga> as the origin and the Youngsingunga (song to greet the king). In addition, along with <Gujiga>, we also look at some records of "Garakkukki" related to the myth of King Suro, and Gayasa. By utilizing myths related to the King of the Waterway among various stories related to <Gujiga> in various ways, we also explore and connect with the literary education together with the Gayasa, and design a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related to Korean literature,'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and'Korean history'. I want to do it. The method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let's take a look at the theory of <Gujiga> and <Suro King Myth>, Gayasa, definition and model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ories about Korean language and convergence educ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it is about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content of the ancient song. The past and present, that is, the literary education goals of the 2011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ll b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1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2015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ancient songs of each curriculum textbook.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collecting aspect,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Third, I will design a convergence education class plan for <Gujiga>. I would like to create a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for convergence classes that link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Korean history” to the ancient song <Gujiga>. In addition to theoretical learning, theatrical creation and demonstration activities will be conducted together. In this study, I saw <Gujiga> as an origin and a spirit god (song to greet the king) with an epic personality related to <Suro King Myth>, not just a shaman. We tried to design and study the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Korean literature,'literature' and social studies,'Korean history', by examining and linking some records of Gayakgukgi and Gayasa together. Instead of simply relying on memorization, I tried to organize the act of creating and demonstrating a single act as a device to increase students' desire for learning with theory. No actual experiments have been done, but the responses from the field teachers have been found to be positive. I will try when I go to the scene someday. Key words <Gujiga> Research on convergence education. A study on the education plan of <Gujiga>, the myth of King Suro, the history of Gaya, and fusion of literature and history. 이번 논문에서 다루게 될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고대가요 중 하나인 <구지가>이다. <구지가>는 앞에서 언급한 세 편의 고대가요 중 문학 교과서에 꾸준히 수록되는 작품이다. 7차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차지하는 빈도수의 증가 및 감소에 대한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넘어오면서 고대가요의 편성 수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7차 교육과정의 경우, 문학 상, 하 교과서 총 18종 중 13종을 차지하였고, 2009 개정 문학Ⅰ,Ⅱ 교과서는 14종 중 10종, 2011 개정 문학 교과서의 경우 11종 중 7종에 수록되었다. 7차부터 2011년 개정 교육과정까지 문학 교과서에서 수록된 비율이 급변한 <공무도하가>와 <황조가>에 비하면 <구지가>는 그 유지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경우 <구지가>를 수록한 교과서는 3종에 불과하다. 과거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비중의 차이는 확연하게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구지가>는 고대가요의 대표주자로 손꼽히는데, 이는 당시 고대인들의 생활과 문화(전통문화)가 함께 어울려짐을 파악하는데 주요한 의의를 둔다. <구지가>는 특히 노래 가사를 보아 유추하였을 때, 당시 고대인들이 신맞이 노래로서 이를 부름으로서 부족과 부족 사이에서 입에서 입으로 구비전승의 과정을 통해 전해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구지가>가 주술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이론에 해당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구지가>를 기원 및 영신군가(왕을 맞이하는 노래)라고 보고 이와 더불어 <구지가>와 함께 작품과 관련된 수로왕의 탄생신화와 「가락국기」의 일부기록, 그리고 가야사를 함께 살펴보고 연계하여 탐구하고 이와 관련된 국어과 ‘문학’과 사회과 ‘한국사’ 융합 교수 학습 방법을 설계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고대가요 중 하나인 <구지가>에 대한 교육양상을 분석하고 <구지가>와 관련된 설화의 배경 설화를 함께 살펴보며,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주입식 교육 위주에 치우치지 않고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과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지가>를 기원 및 영신군가(왕을 맞이하는 노래)라고 보고 이와 더불어 <구지가>와 함께 수로왕의 탄생신화와 관련된「가락국기」의 일부기록, 그리고 가야사를 함께 살펴보고, 아울러 <구지가>와 관련된 여러 설화 중 수로왕과 관련된 신화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하여 문학교육과 함께 가야사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고 연계하여 탐구하고 이와 관련된 국어과 ‘문학’과 사회과 ‘한국사’ 융합 교수 학습 방법을 설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구지가>와 <수로왕 신화>, 가야사, 융합 교육의 정의와 모형, 국어과 융합 교육에 관한 이론들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둘째, 고대가요 <구지가>에 대한 교육 현황과 교육 내용에 대한 부분이다. 과거와 현재 즉, 2011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교육 목표에 대하여 살펴보고, 2011 개정 문학 교과서와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의 특징과 각 교육과정 교과서의 고대가요 <구지가> 에 대한 작품의 수록 양상과 학습 목표, 학습 활동 등을 비교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셋째, <구지가> 융합 교육 수업 방안을 설계해 보도록 하겠다. 고대가요 <구지가>에 대한 국어과 ‘문학’과 사회과 ‘한국사’를 연계한 융합 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 지도안을 만들어보고자 한다. 이론 학습과 함께 연극 창작과 시연 활동을 함께 시행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지가>를 단순히 주술가가 아닌 <수로왕 신화>와 연관된 서사적 성격을 지닌 기원 및 영신군가(왕을 맞이하는 노래)라고 보고 이와 더불어 <구지가>와 함께 작품과 관련된 수로왕의 탄생신화와 「가락국기」의 일부기록, 그리고 가야사를 함께 살펴보고 연계하여 탐구하고 이와 관련된 국어과 ‘문학’과 사회과 ‘한국사’ 융합 교수 학습 방법을 설계해 보고자하였다. 단순히 암기식에 의존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이론과 함께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욕구를 높일 수 있는 하나의 장치로서 단막극 창작 및 시연 활동을 함께 구성해보았다. 실제 실험은 해보지 못하였으나, 현장 교사의 반응은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언젠가 현장에 가게 되면 시도해 볼 예정이다.

      • 빈발 패턴 네트워크에서 아이템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연관규칙 발견

        오경진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데이터 마이닝은 대용량의 데이터에 숨겨진 의미있고 유용한 패턴과 상관관계를 추출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작업이다. 그 중에서도 고객 트랜잭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아이템(item)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규칙을 찾는 것은 중요한 일이 되었다. Apriori 알고리즘 이후 연관규칙을 찾기 위해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압축된 의미있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들이 많이 제안되어 왔다. 연관규칙을 발견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들은 모든 규칙을 찾아내지만, 사람이 분석하기에 너무 많은 규칙이 생성되기 때문에 규칙을 분석하기 위한 일 또한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빈발 패턴 네트워크(Frequent Pattern Network)라 부르는 자료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였다. 네트워크는 정점과 간선으로 구성되며 정점은 아이템을 표현하고, 간선은 두 아이템 집합을 표현한다. 아이템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빈발 패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아이템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클러스터 내의 아이템과는 유사도가 높고, 다른 클러스터의 아이템과는 유사도가 낮도록 클러스터를 생성한다. 클러스터를 이용해 연관규칙을 생성하고 실험을 통해 Apriori와 FP Growth 알고리즘과의 성능 비교를 하였다. 실험을 통해 빈발 패턴 네트워크에서 신뢰도 유사도를 이용하는 것이 클러스터의 정확성을 높여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전통적인 방법과 비교를 통해 빈발 패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최소지지도에 유연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Data mining is defined as the process of discovering meaningful and useful pattern in large volumes of data. In particular, finding associations rules between items in a database of customer transactions has become an important thing. Some data structures and algorithms had been proposed for storing meaningful information compressed from an original database to find frequent itemsets since Apriori algorithm. Though existing method find all association rules, we must have a lot of process to analyze association rules because there are too many rul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ata structure, called a Frequent Pattern Network (FPN), which represents items as vertices and 2-itemsets as edges of the network. In order to utilize FPN, We constitute FPN using item's frequency. And then we use a clustering method to group the vertices on the network into clusters so that the intracluster similarity can be maximized and the intercluster similarity can be minimized. We generate association rules based on clusters. Our experiments showed accuracy of clustering items on the network using confidence, correlation and edge weight similarity methods. And We generated association rules using clusters and compare traditional and our method. From the results, the confidence similarity had a strong influence than others on the frequent pattern network. And FPN had a flexibility to minimum support value.

      • 전립선암에서 HOXB13발현의 의의

        오경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Androgen signals play a critical role in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prostate cancer (PCa). Emergence of hormone refractory prostate cancer (HRPC) resulting from hormone ablation therapy manifests tremendous clinical problems. Previous studies demonstrated that HOXB13 homeodomain protein functions as a prostate tumor suppressor by inhibiting androgen-mediated signals. Considering that HOXB13 can predict estrogen-resistant breast tumors, expression pattern and role of HOXB13 in HRPC need to be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iy expression of HOXB13 in HRPC and to validate HOXB13 as a molecular prognostic marker for PCa progression. By immunohistochemical studies, in firs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subpopulations of HOXB13 and androgen receptor (AR) positive and deficient cells in prostatectomized tumor samples, suggesting that there is functional correlation between HOXB13 and AR. Moreover, HOXB13 was highly overexpressed in hormone-refractory tumors compared to androgen dependent tumor without biochemical relapse. Next, to determine whether HOXB13 can be a valuable diagnostic tool to predict recurrent tumors, expression of HOXB13 was investigated with radical prostatectomized tumor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of HOXB13 and most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However, expression of HOXB13 was well correlated with Gleason score and HOXB13 overexpression better predicts high recurrent risk group. Taken together, this study reports overexpression of HOXB13 in HRPC and its potential value as a PCa prediction marker.

      • Web3D를 이용한 가상설계스튜디오 운영에 관한 연구 : 윈도우 메신저를 이용한 협업설계

        오경진 남서울大學校 디지털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건축설계 분야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198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기존의 수작업 시대에서 벗어나 PC용 CAD가 시작되면서 건축설계업무에서의 CAD는 보편적인 설계 도구로서 자리매김을 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건축설계 분야에서의 CAD 시스템을 이용한 실제 건축설계프로세스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각 엔지니어간의 폐쇄성이 강하여 상호 정보교류 및 공유를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며, 개인 컴퓨터로 인한 폐쇄된 환경은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하여 설계자의 편협 된 결과를 가져올 수 도 있으며, 이 문제는 설계 업무상에서의 의사소통과 자료 공유 그리고 인식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확한 의사소통과 자료의 공유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인터넷을 활용한 건축 설계 협업 프로세스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실제 건축설계프로세스의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분석하고, 가상건축 설계 스튜디오에서의 가상건축설계 프로세스 정립과 협업내용 전달 방식을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논문에서는 기존 건축 설계 프로세스의 고찰을 통하여 건축 설계 프로세스의 특징과 한계점을 파악하고 기존 건축설계프로세스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윈도우 메신저를 이용한 가상 건축 설계 스튜디오를 운영하여, 실질적인 가상공간에서의 협업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을 연구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체계로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서론 부분으로서 본 논문의 배경 및 필요성, 논문의 목적, 그리고 논문의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기존 건축 설계 프로세스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특징과 한계성을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가상 설계 스튜디오에 대한 기본적 지식인 가상현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가상 건축 설계 프로세스를 이용한 가상 설계 스튜디오의 전반적인 특징을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서는 실질적으로 가상 설계 스튜디오 구현방안을 제시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 설계 스튜디오에서 어떻게 설계가 진행되는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봄으로 가상 설계 스튜디오의 가능성 및 효용성을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서는 결론으로서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제언하였다. The computer system has been rapidly developed to change architectural design field a lot. Since the middle of 1980's, the architectural design has been free from manual operation to start to make use of the CAD that has become general design tool. However, at current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using CAD system, each engineer has difficulties at information exchange and sharing because of his closed environment: In addition, personal computers have produced a closed environment to prevent the ones from collecting others' opinions and make designers create narrow-minded results. Such problems are related to communication, data sharing and cognition of design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both the architecture and the design have actively researched a process using Internet to communicate exactly and share data easily and quickly. Therefore, actual design process needs to be investigated to find problems and establish not only virtual architectural design at studio but also transmission of cooperative work.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and limit of existing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nd to manage a virtua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based on Windows messenger service that can supplement existing design process and to do cooperative design at a virtual space actually. The paper consists of the subjects below: Chapter 1, the introduction of the paper, describes background, needs, purposes and research methods. In Chapter 2, existing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was theoretically examined to show its features and limitations. In Chapter 3, a virtual reality being basic knowledge of virtual design studio was examined to describe overall features of the studio using a virtual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n Chapter 4, an actual program of the virtual design studio was established to examine what the studio designed and to describe the possibility and usefulness of the studio. Chapter 5, the conclusion of the paper,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and suggests future subjects.

      •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 놀이터의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오경진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산업화가 이루어진 1970년대 이후 한국의 대도시들은 늘어난 인구로 인한 심각한 주택난에 시달렸으며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 하에 수많은 아파트 단지들이 대도시의 곳곳에 건설되었으며 단순한 환경적 측면에서의 주거 환경은 다소 개선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아파트라는 주거 형식에 대해서 진정한 의미로서의 환경의 개념을 생각해 본다면 다소 의문의 여지가 있는 것이 사실이며 특히 어린이의 입장에서 본다면 어린이가 생활하고 활동하는 대부분의 영역이 주택과 그 주변 공간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그러하다. 어린이는 일과 놀이의 구분이 모호하며 활동하는 대부분의 내용이 놀이와 연관되는데 아파트 단지라는 집합주거 형식은 그 특성상 고도로 분화되어 있어서 어린이들에게 놀이 공간을 할애한 곳은 단지 내에 설치된 어린이 놀이터 정도에 불과하며 그나마 이러한 공간도 자투리 땅에 구색만 맞춰 성의없이 제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도시 내에서 집합 주거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자리잡은 아파트 단지의 내부에 설치된 어린이 놀이터를 대상으로 활용 현황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 놀이터를 위한 발전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어린이 놀이터의 위상 정립의 기초로 삼고자 한다.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된 어린이 놀이터가 거주민들을 위한 진정한 휴식과 놀이의 공간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개선되어져야 한다. 첫째, 놀이터의 면적에 대한 규정을 현실에 맞게 재조정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세대수를 기준으로 규정되고 있는 놀이터의 면적 기준을 좀 더 세분화해서 아파트 단지에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어린이의 수를 기준으로 삼아야 하며 여기서 발생할 수도 있는 오차는 놀이터의 이용 주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등으로 보정할 수 있다. 둘째, 놀이터의 위치는 어린이에게 최대한의 놀이 활동을 보장해 줄 수 있어야 하며 효율적인 감시가 가능한 곳에 설치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행로나 통과 도로로부터 다소 떨어진 곳에 위치시켜서 놀이터가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집으로부터 놀이터가 보이도록 물리적인 시야를 확보해 주는 등의 계획적 수법이 필요하다. 셋째, 놀이터를 2개 혹은 3개로 분산시킬 때에는 아파트의 규모 혹은 이용하는 어린이의 수 등의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분산시키는 계획상의 규준이 필요하며 분산된 어린이 놀이터 간에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을 가진 놀이터가 생기지 않도록 전반적인 놀이 환경을 균등하게 배분하고 각 놀이터에는 다른 주제와 형태 등을 도입함으로써 놀이터 상호간에 연계성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넷째, 놀이터에의 접근성은 물리적인 거리의 차원이 아닌 편의성의 측면에서 접근해야만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설계자의 주관적인 계획적 능력 외에도 체계적인 조사를 통한 객관적인 POE 데이터 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Since 1970s, the metropolitan-cities of Korea were suffered by the inferior housing conditions which caused by the explosive increase of population. After all, to settle this problem enormous capacities of apartment housings were constructed here and there in the cities under the government's assistance, and the housing conditions in the cities were seemed to have been better than before. But a stand point of children, the formality of the apartment housing is so tight and specialized to give children enough space to play in. The named 'playground' located in the apartment housings is offered to the children living in apartment houses, but the location and width of that is too bad and insufficient to play in. So in this study, progressive method for the playground is offered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playground located in apartment housings through the examinations of the utilization the playground and the problems of that. In this study, four ite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layground is offered. First, re-interventions for the rules which prescribe the width of the playgrounds is needed. Second, the locations of the playgrounds have to be based on the children's convenient play activities and parents' profitable apprehend. Third, in case dividing playground into two or three, the proper rules which related in the scale of the apartment housing or the number of the children are needed. And the link of the themes and forms between playgrounds divided into two or three are needed. Fourth, the access to the playgrounds is to be based on the children's conveniences. For this, besides the abilities of the planners, object POE data for the playgrounds through the systematic examinations are also needed.

      • 도전성 섬유를 이용한 전파흡수체에 관한 연구

        오경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EM wave absorbers were fabricated with MnZn, NiZn, Ba ferrites, and Sendust on the basis of very thin conductive fib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mplex EM wave absorber with superior EM wave absorption based on conductive fibers. A conductive fiber which has shield property of 20~40 dB in GHz was used in this work. The absorption ability of EM wave absorber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conductive fibers, because some absorbtion and return losses can be occurred by the conductive fibers. Moreover, the conductive fibers are of light weight, thin thickness, and can be used as binders to fabricate complex EM wave absorb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them to the fabrication of EM wave absorber without influencing their weight and volume. Complex EM wave absorbers were made by pasting a sheet of fiber on the backside of existing absorber using epoxy paint which is flexible and not fragile. In this thesis, two types of fibers, (one is gold-plated with about 0.1Ω/ ㎠ surface resistance, and the other is alumina-plated with 60 Ω/ ㎠ surface resistance), are used, and some EM wave-absorbing materials with high absorption ability, such as MnZn, NiZne, Ba ferrite, and Sendust are used. As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gold-plated fibers couldn't increase absorption ability but could be used as EM wave shielding materials because of their high shielding efficiency, light weight, and thin thickness (about 0.09 mm). Comparing the EM wave absorbers composed of the alumina-plated sheet with ones fabricated without the alumina-plated sheet, the former improve the absorption abilities due to the reflection and absorption losses resulted from the alumina-plated sheet itself. Shielding efficiency of alumina-plated sheet is not better than the gold-plated sheet. However, it can be used as EM wave absorbers materials because of its average shielding efficiency of 20 dB to the EM wave absorbers in GHz band, and its thickness is 0.25 mm, weight is light as well as the gold-plated sheet. Fabricated MnZn ferrite, Ba ferrite, NiZn ferrite, and Sendust EM wave absorbers are useful as a EM wave absorber for S-Band, Ku-Band and C-Bnad, respectively. This thesis shows that EM wave absorber fabricated with conductive fibers can be a candidate of EM wave absorber with superior EM wave absorption ability for GHz band and do not allow permeation of unwanted EM waves.

      •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오경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indergarten-home activities education activity through used by the math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attitudes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math. Following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is set up. How do Kindergarten-home activities education activity through used by the math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attitudes in math? How do Kindergarten-home activities education activity through used by the math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problem-solving skills in math?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is research the kindergarten performed the experiment of two classes for 4 year old, 20 stud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students for the comparative group. It was undertaken once a week for 8 weeks, from October 23 to December 13, 2013.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given activities in kindergarten and Kindergarten-home activities education activity used the math fairy tales. The comparative group had been given activities used usual fairy tales. As a research tool,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by Harter and Pike(1984) corrected by Ward(1993), translated by Jung-suk Hwang(1997), corrected by Young-kyung Song(2010), was us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tool by Ward(1993), was used for measuring kids' problem solving skills in math. The program, SPSS Window 18.0, was used to examine how Kindergarten-home activities education activity used by the math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attitudes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math.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experienced at Kindergarten-home activities that using fairy tales and the comparative’s in mathematical attitude. As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experienced at Kindergarten-home activities that using fairy tales got higher score in self-confidence and learning efficacy among sub-factors of mathematical attitude than the children of the comparative group, which shows that the project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s. Second,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experienced at Kindergarten-home activities that using fairy tales got meaningful higher score in problem-solving skills in math.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score in pattern, number, measuring, among sub-factors of problem-solving skills in math. Therefore, Kindergarten-home activities which using fairy tal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problem-solving skills in math. 본 연구는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S유치원 만 4세반 두 학급의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은 2012년 10월 23일부터 12월 13일까지 8주 동안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선정된 수학동화를 활용하여 유치원에서의 활동과 가정에서의 활동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 도서로 도서대여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유아 수학적 태도 검사를 측정하기 위하여 Harter와 Pike(1984)의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을 기초로 Ward(1993)가 수정?보완한 것을 황정숙(1997)이 번안하고, 송연경(2010)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도구는 Ward(1993)의 검사 도구를 황정숙(1996)이 번안하여 사용하고 류혜숙(2003)이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수학적 태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수학적 태도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신감과 유능감에서 실험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이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보다 수학적 문제해결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패턴, 수, 측정에서 실험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 성인에서 정상충수의 위치, 두께, 내강의 가스유무에 관한 MDCT 소견

        오경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multi-detector CT (MDCT) with multiplanar reformations in evaluating the location, thicknes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raluminal gas in normal appendix of ad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2004 to June 2005, we evaluated normal appendices in 427 consecutive adult patients scanned with 16-slice MDCT. All patients had no clinical findings of appendicitis. There were 251 men and 176 women. The age range was 19-84 years (mean age, 55 years). Contrast-enhanced MDCT scans during the portal phase were obtained with 0.75 mm detector collimation and reviewed with multiplanar reconstruction images (3 mm section thickness). MDCT images of normal appendices on PACS monitor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We analyzed the locations, thicknes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raluminal gas by consensus of two abdominal radiologists. The positions of normal appendices were classified as type I (postileal and medial paracecal), type II (subcecal), type III (retrocecal and retrocolic or laterocolic), type IV (preileal and medial colic), and type V (lower pelvic cavity). Results: Five types of appendiceal locations were as follow; type I (n=187; 44%), type II (n=78; 18 %), type III (n=92; 22%), type IV (n=39; 9%), and type V (n=31; 7%). Appendiceal tips in 29 cases (7%) were unusually located in the right subhepatic space, small bowel mesentery, and the right adnexa. Mean thickness of 427 appendices was 5.8 ± 0.9 mm (3.8?9.2 mm). Appendiceal mean thickness was 5.9 ± 0.9 mm in men and 5.7 ± 0.9 mm in women (p < 0.05). 384 (90%) of 427 appendices had intraluminal gas and 43 (10%) had no intraluminal gas, and their mean thickness was 5.9 mm (3.8?9.2 mm) and 5.3 mm (3.8?7.3 mm), respectively (p < 0.05). Conclusion: MDCT with multiplanar reformations was useful in evaluating the location, thicknes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raluminal gas in normal appendix of adults. These MDCT findings may be helpful in diagnosing equivocal appendicitis or appendicitis with unusual location.

      • 소방행정체제의 재난대응역량에 관한 연구

        오경진 배재대학교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A Study on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of Fire Administration System OH Kyeong Ji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d School of Pai Chai University In order to prove a study on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of the fire-fighting administration system, this paper focuses on the main subject that has been constantly raised and debated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It discusses the issue of jurisdiction of work. Although firefighting has traditionally been under the jurisdiction of local governments, there has been a question of whether this is appropriate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In spite of the long debate on the field of fire fighting, it has been argued that firefighters who are responsible for disaster response in Korea should be l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that is, the central government, So far, it is true that in-depth research was lacking. Although there has been no debate over the issue of central-local government jurisdiction in the firefighting service, it is necessary to present specific criteria for the allocation of firefighting work between national and local areas, ie, the jurisdiction of firefighting services, And to find out rational basis through investig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rational alternative to the controversy so far by attempting a full analysis on the jurisdic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local government fire fighting function in Korea. The survey is conducted on the status of fire management in Korea, the authority rel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lated to fire fighting operation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responsibilities, expertise, efficiency, and restructuring of the fire management system. The case study is a case example of accident at Gyeongju Mauna Resort, which is an important case of disaster response that firefighting played a key role. This case was not only an accident that caused a lot of human casualties, but also an example of the problem of the national disaster response system after an accident, and it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such as field response, accountability, expertise, efficiency And try to find ways to enhance the disaster response capacity of the fire management system in Korea.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local government-centered fire service management system satisfies the four major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s a result,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centered fire management system is 2.59, responsiveness 2.54, Professionalism is 2.59 and efficiency is 3.18. The fact that all except the efficiency is evaluated to be negatively negative suggests that the local government - centered fire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fire service administration in Korea, the average response rate was 4.01,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4). There is a need to transform the firefighting system, which has been diverted into national and local occupations, to a national posi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on-site command system and to speed up disaster respons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isaster environment change, the central government's ability to cope with major disasters that are difficult to cope with due to climate change, such as heavy rainfall, earthquake, collapse of buildings, chemical accidents, (Local ministers, fire chiefs, city, provincial governors, etc.).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the national firefighting system has been shifted to the broad firefighting system since the 1990s. However, the firefighting work has been carried out in the country since the 1990s, with 49% of the national affairs, 32% Over 90% of all on-the-ground disasters are on-site (4 million units a year, 9,200 dispatches per day), but local fire department chiefs have limited control and control of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military and police. In order to make the commander's strong and speedy decision,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Headquarters should avoid reports for reporting and actively control from the disaster and security headquarters through the Disaster and Safety Headquarters, It should be strengthened to help prevent confusion of comm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command system, the situation reporting system should be integrated into fire fighting centered on field activities such as rescue, first aid and life safety, and integrated field command should be established. It is more efficient and desirable to establish a disaster situation room in the 119 situation room by integrating the firefighting officer into the national affairs, and it is demanded that the situation room that effectively handles from everyday thinking to the unusual disaster efficiently. The purpose of the existence of a disaster response agency is to adapt quickly to an atypical disaster and minimize damage. On-site response after the disaster begins is from the report recep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system of 119 general situation room that can allocate the resources and situation to lead the whole disaster situation and to lead it, an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field commander to respond to the disaster, And strengthening the system such as expanding the personnel with experience to cope with the problem, do. Since human history began, millions of years have been hunting (1.0 society). Since then, it has settled in one place tens of thousands of years ago and has become a farming society (2.0 society). The steam engine and electricity invented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dramatically increased the industrial productivity of mankind, lea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dustrial revolutions (3.0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4.0 society). In the 21st century, science and technology has revolutionized not only the industrial field but also everyday life, open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ociety of smart environment. The hunter-gathering society lasted for millions of years, the agricultural society for tens of thousands of years, and the industrial society for hundreds of years. Howeve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has opened a new paradigm society in just a few decades. 4.0 If society was a time of convergence with ICT, 5.0 society will be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society is provided with environmental intelligence at any time, anywhere, and any place in everyday life or economic activity. Japan is proposing a 'super smart society' with the vision of 5.0 society. 4.0 If the Internet has reduced the distance and time of information flow in society, 5.0 society will drastically reduce the distance and time traveled by people and things. It is a society of knowledge information that expresses the reasoning ability of the human brain with the ability to handle it properly even in situations where information is lacking. The current situation of smart field management system that the firefighting headquarters plans to implement in 2018 is to manage the risk of firefighters who are put into the field such as fire suppression, to check the floating state of the firefighters who are in charge, Manpower, support resources, etc.) in real-time in the control room Real-time monitoring of field conditions in communication shadow areas such as communication network failure,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on-site resources through IoT-based ID-Tag and smart phone application, · It is a system to support quick decision making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such as waiting and gathering. We will establish and operate preemptive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 by securing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system between field command center and general situation room and actively introducing technology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fire-fighting administrative system that is responsible for the disaster response work of the Forerunner for a safe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fi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to investigate the literature, We have identified the problem of recognition and management in terms of responsiveness, responsibility, expertise, and efficiency.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 basic issues in the disaster response field are as follows: Unification of the field command and response system of the fire-fighting administration, unification of the command system for site control, integration of situation management function, accumulation of know-how of disaster management . 소방행정체제의 재난대응 역량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오 경 진 본 논문은 소방행정 체제의 재난대응 역량에 관한 연구를 입증하고자 소방분야에 대해 끊임없이 문제제기와 논쟁이 되어 온 핵심적인 주제인 과연 소방을 국가기능으로 볼 것인가, 지방정부의 기능으로 볼 것인가의 소방업무의 관할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논하고있다. 소방은 전통적으로는 지방정부의 관할로 되어 왔지만 이것이 과연 재난관리의 효과성을 담보하기에 적절한 것인가 라는 점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소방분야에 대한 오랫동안의 논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재난대응을 사실상 전담하는 소방이 국가사무로 국가, 즉 중앙정부가 주도해야 하는 것인지, 현재와 같이 지방정부에 위임하여 관리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지금까지는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소방업무의 중앙-지방정부 간 관할의 문제에 대한 논쟁은 무수하였으나 국가-지방 간 소방업무 배분 즉, 소방업무의 관할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거나, 사례를 적용한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하며, 전문가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합리적 근거를 도출하는 작업은 소홀했던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소방기능의 관할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시도하여 지금까지의 논쟁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려 한다. 설문조사는 우리나라 소방행정 현황, 소방행정업무 관련 중앙과 지방의 권한관계, 재난역량으로 재난현장대응성, 책임성, 전문성, 효율성, 소방행정체계 구조조정 등에 대하여 실시한다. 사례분석 대상은 소방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중요한 재난대응 사례인 2014. 2. 17. 발생한 경주 마우나 리조트 사고 사례이다. 이 사례는 매우 많은 인명피해가 난 사고였을 뿐만 아니라 사고발생 후, 국가의 재난대응 체제의 문제점이 거론되었던 사례로서 이를 통하여 현장대응성, 책임성, 전문성, 효율성 등 재난대응역량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소방행정체제의 재난대응역량 강화방안을 모색한다. 설문조사결과 우리나라의 소방행정업무가 지방정부 중심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것이 4대 재난대응역량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응답결과 현재 지방정부 중심 소방행정체제의 역량에 대해 재난현장대응성 2.59, 책임성 2.54, 전문성 2.59, 효율성 3.18로 효율성을 제외하고 모두 보통 이하로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는 사실은 현재 자치단체 중심의 소방행정체제가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우리나라 현재의 소방행정을 개선하기 위해 소방으로 현장지휘와 대응체제를 일원화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응답 평균 4.01로 그렇다(4)를 약간 상회하게 평가하였다. 일사분란한 현장지휘 체제 확립 및 재난대응 신속성 확보위해 국가직과 지방직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소방체제를 국가직으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보면 기후변화 등에 따른 집중호우, 지진, 건물붕괴, 화학물질사고, 초고층건물 화재 등 예측 불허의 대규모 복잡한 양상으로 변화되어 시ㆍ도의 능력으로 감당하기 힘든 대형재난에 중앙정부의 능등적 대응 및 다원화된(장관, 소방청장, 시ㆍ도지사 등) 현장지휘체제를 일원화 하여야 된다. 정부수립이후 국가소방에서 80년대 이전 국가 + 자치소방 90년 이후 광역소방으로 전환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으나 소방업무는 국가사무 49%, 국가+지방공동사무 32%, 자치사무 19% 등 국가책임강화 추세로 모든 육상재난의 90% 이상을 현장대응(연간 400만건, 1일 9천2백건 출동)하고 있으나 지방직 소방서장이 국가직 군(軍)ㆍ경찰 등 유관기관 지휘ㆍ통제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지휘관의 강력하고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중앙재난 안전대책본부는 보고를 위한 보고를 지양하고 긴급구조통제단의 지휘권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재난안전대책본부를 통해 적극적으로 큰 틀에서 컨트롤(Control) 기능을 강화하여 지휘권의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해야 한다. 지휘체제 확립을 위해 상황보고체계가 구조·구급 및 생활안전 등 현장활동 중심으로 한 소방으로 일원화 되어 통합현장지휘체가 확립되어야 한다. 소방공무원을 국가직으로 일원화하여 일상적 사고로부터 비일상적 재난까지를 효율적으로 담당하는 상황실이 요구되며 119 상황실에 재난상황실을 구축 운영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바람직하다. 재난대응기관의 존재의 목적은 비정형화된 재난에 신속하게 적응성을 가지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재난 발생 후 현장대응은 신고 접수에서부터 시작된다. 재난상황의 전체를 살피고 리드하기 위한 자원과 상황을 조합 배분할 수 있는 119종합상황실의 시스템 강화와 현장지휘관의 재난현장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최초 신고단계인 119종합상황실에서 주도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현장 대응을 경력이 있는 인력을 확충하는 등의 시스템을 구축 강화하고 자원을 조합하여 배분하는 대응역량 증진 훈련프로그램 도입을 하여야 한다. 인류역사가 시작된 이래 수백만년 동안은 수렵채집생활(1.0사회)을 했다. 이후 수만여년 전 한곳에 정착하며 농경사회(2.0사회)를 이루었다. 18세기말에서 19세기 말에 발명된 증기기관과 전기는 인류의 산업생산성을 극적으로 증대시켜 제1, 2차 산업혁명을 일으켰고(3.0사회), 20세기 말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은 산업과 사회에 융합되 제3차 산업혁명(4.0사회)를 가져왔다. 과학기술은 21세기 접어들어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까지 혁명적으로 변모시키며 스마트 환경의 인공지성 사회를 열어가고 있다. 이렇게 수렵채집사회는 수백만년간, 농경사회는 수만년간, 산업사회는 수백년간 지속됐다. 그러나 지식정보사회는 불과 수십년 만에 새 패러다임의 사회를 열고 있다. 4.0사회가 ICT와의 융합 시대였다면, 5.0사회는 인공지능이 활약하는 시대가 될 것이다. 인공지성사회는 일상생활이나 경제활동에서 언제, 어디, 어떤처지에서든 환경지능을 제공받는다. 일본은 5.0사회의 비전으로 ‘초스마트 사회’를 제시하고 있다. 4.0사회에서 인터넷이 정보흐름의 거리와 시간을 줄였다면, 5.0사회는 사람과 사물의 이동거리와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것이다.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적절하게 처리하는 능력을 지닌 인간두뇌의 추론 능력을 발현하는 지식정보의 사회다. ㅇㅇ소방본부에서 2018년 계획 시행하고자 하는 스마트 현장관리 체제 운영 현황은 화재진압 등 현장에 투입된 소방대원의 위험관리 및 신속한 대응 및 투입된 소방대원의 부동 상태 체크, 구조 요청 실시간 확인 및 대응과 현장상황(투입인력, 지원자원 등)을 실시간으로 상황실에서 파악 및 지휘 기간 통신망 장애 등 통신 음영지역에서도 현장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IoT기반의 ID-Tag 및 스마트폰앱을 통한 현장자원의 등록 및 관리, 현장자원의 투입·대기·집결 등 효율적 관리를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하는 체제이다. 현장지휘소와 종합상황실 간 실시간 정보공유 체제 확보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적극적 도입으로 선제적 예방 및 대응 체제 구축하여 운영한다. 이와 같이 많은 재난을 접하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본 연 구는 보다 안전한 사회를 위해 최일선의 재난 대응 업무를 담당하는 소방행정체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재난대응 역량을 중심으로 소방행정 체제 적절성 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 점검후 개선적인 대안을 찾기위한 국내외 서적 및 학술자료등의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소방행정체제 적절성을 재난현장대응성, 책 임성, 전문성, 효율성 차원에서 인식 및 관리실태의 파악과 문제점을 추출하였다. 기존의 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재난대응 현장에서 기본적인 사항으로 재난현장 대응성 차원에서는 소방행정의 현장지휘와 대응체제 일원화 현장통제위한 지휘체제 일원화, 상황관리 기능통합, 재난관리 Know how 축적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