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실태 및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염미애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설립유형에 따른 가톨릭교회의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실태와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살펴보고 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를 파악하여 가톨릭 유아교육의 발전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의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 운영에 있어 설립형태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2.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가톨릭교회 유치원 200개원, 어린이집 87개원의 원장 210명과 교사 422명이다.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과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유아교육기관 운영 및 본당 부속원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설립형태에 따른 차이는 각 문항별 사례수에 대한 백분율로써 경향치를 분석하였으며,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F검증, 사후검증으로 Sche´f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운영에 있어 가장 절실하게 느끼는 문제점은 교사의 과다한 수업으로 인한 교육의 질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어린이집이 더욱 심각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상태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설립형태에 따른 비교에서는 수도회 설립이 가장 여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기존의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장애아동 통합교육도 90%이상이 이미 실시하고 있거나 기회가 되면 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원장들 대다수가 유아교육을 하느님이 주신 소명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가톨릭교회가 한국의 유아교육 발전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라고 평가하였다. 미래의 유아교육 방향에 대해서는 신앙인으로서 생활 할 수 있는 태도 형성을 1순위로 보았다. 넷째, 본당 부속원에 대한 분석에서 장점은 본당과 함께 있어 유아들의 종교심 함양에 좋은 것이며, 어려운 점은 유아교육에 대한 본당 신부의 이해부족으로 나타났다. 본당 부속원의 운영 형태는 거의 대다수의 원이 본당 신부의 결재를 받거나 보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으며, 부속원 사도직에 대해 원장들의 약 절반만이 유아교육을 행할 수 있는 좋은 사도직으로 응답하였고 나머지 약1/3 가능하면 부속원 운영을 피하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 수도회 카리스마와의 일치 관계를 묻는 질문에서도 약1/3만이 아주 잘 일치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원장의 직무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직무만족도에서는 직무자체, 인간관계, 행정체계, 사회적 인식은 비교적 높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으나 근무여건과 보수 및 승진에서는 비교적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비교에서는 보수 및 승진, 사회적 인식에 있어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설립 형태별 비교에서는 수도회 설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omparative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kinds of foundation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to find out hindering elements to development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looking at the job satisfaction percentage of their directors and teachers. According to such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he foundation types in operating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2.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of their directors? 3.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of their teachers? The target groups of this study were 200 catholic kindergarten and 87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nationwide, and there were 210 directors and 422 teachers. The surveys were don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consider the general status of operating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roduced in frequencies and percentages in order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s: The differences of the foundation types were analysed in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the examples. For the job satisfaction T-Test, F-Test, Sche´ffe Test were done.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oncern felt in operating the institutes is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due to the overloaded work unto the teachers. It is more serious at daycare centers. However, regarding financial status both kinds of the institutes are sound and healthy, esp., established by religious orders are shown as more sound and stable. Second, regarding educational program more than 90% responded that either they have already integrated the education with mentally and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or they are planning to do it as the possibility offers. Third, most of the directors responded that they feel they are called to educate children by God. They evaluated that the catholic church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very much. Regarding futur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elping to form christian attitude took the first rank. Fourth, the biggest merit of institutes such as kindergartens, which belong to parishes is that they can promote religious disposition. However, lack of understanding of pastors is the difficulty such institutes face. Most of such institutes need either permission of the pastors or have to report to the pastors in operating the institutes. About half of the directors responded that it is good to operate such institutes at parishes. However, 1/3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ish to avoid operating such institutes. Regarding the question if their works are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ism, only 1/3 of them responded that it corresponds to their charism. Fifth, in general the job satisfaction percentage of directors is high.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percentage of the teachers is pretty high in the areas of the work itself, relationship, administration system and social recognition. However, it is unsatisfactory regarding work environment, wage and promotion. Comparing betwee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regarding their wage, promotion and social recognition, the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higher than the one of daycare center teachers. The highest rate of the job satisfaction is shown in the institutes established by religious orders.

      • 자기이해 여정에서 만난 그림과의 대화탐구

        염미애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탐구는 미술치료사의 역할이나 자질을 고민하는 초보미술치료사가 자기이해의 여정에서 만난 그림과의 대화에서 미술치료사로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탐구는 이론과 다른 현장에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초보미술치료사인 ‘나’ 자신에게 ‘나는 누구이며 치료사로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을 하게 되면서, 먼저 나 자신을 알고 이해하여 내담자를 건강하게 바라보기 위해 본 탐구의 여정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에 탐구자는 자전적 탐구의 시작과 존재에 대한 순전한 물음을 던지며 세상(타자)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 물음을 해명하는 존재론적 탐구 방법으로 탐구를 하게 되었다. 본 탐구는 2018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Open studio, 학과 OT, Workshop, 개인 작업 등 활동에서 100여점의 그림과 입체작업, 탐구자의 글쓰기와 저널, 일기, 기억에 의한 재생을 자료로 삼았다. 자료의 분석은 존재론적 탐구의 해석 방법에 따라 자료가 말하는 것을 면밀히 조사하여 해석하고 탐구자의 맥락으로 의미화 개념화하여 해체와 조합을 통하여 의미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재 종합하였다 재구성한 경험 이야기는 크게 다음과 같이 네 개의 장으로 이루어졌다. 장면 1,「머뭇거리는 ‘나’」에서는 말하지 못하는 나의 이야기를 담았으며 장면 2,「두드리는 ‘나’」에서는 마음 문을 닫고 있는 과거의 나를 향해 두드리는 이야기, 장면 3,「보는 ‘나’」에서는 새것을 좋아하고 어딘가 붙어있으려 하고 내 편을 찾아다니며 자신의 치부는 감추고 싶어 하는 현재의 나의 이야기, 장면 4,「받아들이는 ‘나’」에서는 닫혀 있는 데로 모자라는 데로 존재하고 있는 현재의 모습 그대로를 존중하며 받아들이는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나의 이해 여정에서 만난 그림과의 대화는 ‘주저하는 나에게 용기를 주었으며’ ‘매체는 그림과 나를 연결하는 다리를 놓아주었고’ ‘유희, 곧 삶을 경험함’으로 그림과 함께 있는 시간의 즐거움에 빠져드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나는 이 탐구를 통해 나를 이해하고 싶었고 그 과정을 진솔하게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경험 이야기는 시적 언어를 통해 표현했다. 본 탐구가 나와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또 다른 이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본 탐구를 마무리한다.

      • 유아기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에 따른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관한 종단연구

        염미애 가톨릭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어머니 양육행동, 정서지능, 사회적 행동이 초등학교에서의 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년간 대상 아동들을 추적하는 종단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이 변인들 간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1차 연구시기인 유아기의 대상은 서울시 Y구의 중류층 지역에 위치한 5개의 구립어린이집 만4세와 만5세 유아 201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그리고 2차 연구대상은 1차 연구대상 유아 중 추적이 이루어진 22개 초등학교, 163명(남아 82명, 여아 81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영환, 조복희 및 이진숙(1999)의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노릇󰡑 연구에서 양육행동 요인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아동)의 사회적 행동은 Behar와 Stringfield(1974)의 유아행동 질문지(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를 임연진(1999)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지능 평가는 김경회(1998)가 작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교적응 척도는 지성애와 정대현(2006)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2007년 1학기 말에 실시된 기말고사의 국어와 수학의 성적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측정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와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유아기 변인들과 학교적응과 학업성취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의 정서지능(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 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그리고 또래와의 관계)은 유아기의 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의 사회적 행동은 초등학교 입학 후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와 아동기의 평가자(교사)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 하위영역에서 정적인 상관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행동은 유아기에서 아동기로 지속되는 특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사회적 행동은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대한 유아기의 주요변인은 사회적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사회적 행동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행동은 유아기에서 아동기로 지속되는 특성을 보이고, 초등학교 입학 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아기의 변인은 사회적 행동이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child's 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affect child'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t elementary school. Therefore a longitudinal study is used to analyze paths of variable elements, having observed the targeted children for two years. During the initial period of the study, the first target groups were 201 children from 4 to 5 year old and their mothers from 5 different daycare centers located Y-gu, middle class area, in Seoul. The second target groups of 163 children, of which 82 were male and 81 female from 22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chosen from the first target groups were longitudinally surveyed. Elements of parenting behavior taken from "Productive Role of Mother of Preschool Children" by Youngwhan Lee, Bokhee Jo and Jinsook Lee(1999) are used as tools for the study to measure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For child's social behavior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published by Behar and Stringfield(1974) and translated by Yeonjin Yim, 1999 was used as a measure while the measure for the assessment for emotional intelligence worked out by Gyeonghoe Kim(1998) was used. For the school adjustment was used the measure developed by Sungae Ji and Daehyun Jeong(2006) while the academic intellige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cademic records for Korean and Math of final examination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07.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ut into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rough Amos Program in order to proof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variable elem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directly influences the emotional intelligences of children while it indirectly influences the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mediating the social behaviors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 children (usage of self-emotion, perception and care of others' emotion, perception of self-emotion and expression, control of emotion and restrain of compulsion, relations with teachers and peer groups) directly influences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which positively affects social behavior of children after entering into elementary schools. It is shown that the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T1) emotional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the soci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2). Third, the positive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influences the soci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direct mediating variables. It is proved the sociable and social friendly behavior of school children influence emotionally, but their hostile-offensive, anxious-withdrawal and hyperactive -distractive behaviors influence negatively. Fourth, looking a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ex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the female children have higher scores in social friendly areas of social behavior, but male children have higher level in hostile-offensive, anxious-withdrawal and hyperactive-distractive soci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