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ol-Gel 공정변수가 합성된 β-SiC 분말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염미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탄화규소(silicon carbide)는 우수한 열기계적 특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가진 비 산화물계 세라믹으로 최근 고순도 탄화규소는 고출력, 고주파, 고온전자 재료 등의 쓰임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른 입도 및 크기 등이 제어된 고순도 SiC 분말의 중요성이 증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iC 분말합성에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인 sol-gel법을 사용하여 기존에 보고된 합성된 SiC분말의 강한 응집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iC 분말의 제조 공정변수가 분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조사하였다. 첫 번째는 sol-gel 공정시 TEOS의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촉매로 질산을 선택하여 질산수용액의 양을 acid/TEOS 0.04~0.1 mol으로 변화시켜 촉매의 양이 합성된 분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두 번째는 C/Si mole ratio를 1.4에서 3.8로 변화시켜 SiO2-C hybrid precursor내 C/Si mole ratio가 합성된 SiC 분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제조된 SiO2-C hybrid precursor의 탄소열환원 온도를 1700~1900℃로 변화시켜 합성온도가 SiC 분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EOS의 촉매로 사용된 질산수용액을 0.07 mol 사용하여 합성된 분말의 경우 비교적 균질한 입도를 갖는 β-SiC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C/Si mole ratio를 1.4에서 3.8로 변화시켜 합성한 SiC 분말의 경우 C/Si mole ratio가 3.4로 합성된 분말의 수율이 8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합성된 분말의 입자크기는 C/Si mole ratio가 1.4~2.2 일 때 약 2~3 ㎛로 나타났으며 C/Si mole ratio가 3.0이상이 되면 약 1 ㎛이하의 분말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온도 조건하에서 합성된 SiC 분말의 경우 SiO2-C hybrid precursor 내의 carbon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합성된 분말의 평균입자크기는 감소하였고 분말의 입도분포는 bimodal 형상이 나타났다. C/Si mole ratio를 1.8로 고정하여 SiC 분말 합성온도를 1700℃에서 1900℃로 변화를 주어 합성된 분말의 경우 1900℃에서 합성된 분말에서 α-SiC가 관찰되었다. 또한 동일한 온도 1900℃에서 C/Si mole ratio를 1.4~3.0으로 변화시켜 합성된 실험의 결과 XRD 그래프에서 carbon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α-SiC가 peak이 작아지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C/Si mole ratio가 동일한 온도범위 내에서는 합성된 분말의 입도 및 크기에 영향을 미치며, β에서 α로의 상변태 시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청년의 온라인 상담 선호도 예측요인 : Andersen의 행동모델을 이용하여

        염미래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Anderesen's behavioral model was appli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unseling service methods preferred by young people and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of online counseling service preferen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preference for online counseling among 430 young people between the ages of 19 and 34 living in Korea based on Article 3 of the Framework Act on Youth. To measure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tigma, the '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SSRPH)' developed by Komiya, Good & Sherrod(2000) and adapted by Lee & Son(2007)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elf-exposure, the 'Distress Disclosure Index (DDI)' developed by Kahn & Hessling(2001) and adapted by Shin & Ahn(2005)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ability to utilize Internet mental health information, ‘e-Health literacy(EHL)’ developed by Lee(2018) was used. To measure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ttitudes, the 'e-therapy attitudes measure(ETAM)' of Apolinário-Hagen, Harrer, Kählke, Fritsche, Salewski & Ebert (2018) was used as an adaptation. To measure social suppor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through Others Scale-8 (PSO-8)’ developed by Kim, Kang & Kim (2021)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stress level, ‘DASS-21 Korean Version’ modified by Lee, Moon, Cho, Park, Kim, Han & Choi (2019)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counseling service preference groups according to the antecedent factors, possible factors, and desire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cial stigma and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ttitudes. The level of social stigma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who did not wish to receive counseling services, followed by the video counseling preference group and the web and mobile counseling preference group in terms of social stigma perception. The social stigma perception level of the face-to-face counseling preference group was found to be the lowest. Regarding the attitude of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group that preferred video counseling and the group that preferred web and mobile counseling showe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the group that preferred face-to-face counseling. As for possible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face-to-face counseling experience, and web and mobile counsel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preference for face-to-face counseling. In both cases with and without face-to-face counseling experience, the rate of preference for face-to-face counseling was high. Those who had web and mobile counsel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preference for web and mobile counseling, and those without web and mobile counseling experience showed a higher rate of preference for face-to-face counseling than web and mobile counsel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unseling service preference groups according to desire factors (stress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predictors of preference for online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tigma,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online counseling,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preferring online counseling. The likelihood of preference for online counseling decreased when there was experience in face-to-face counseling, and the likelihood of preference for online counseling increased when there was experience of online counseling. Third,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predictors of video counseling preference among online counseling methods,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more likely it is to prefer video counseling. Fourth, among the online counseling method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edictors of preference for web and mobile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sitive, the more likely to prefer web and mobile counseling. The likelihood of preference for web and mobile counseling decreased in the case of face-to-face counseling, and the likelihood of preference for web and mobile counseling increased in the case of web and mobile counseling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social stigma,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ttitude, and presence or absence of counseling experience were major variables related to online counseling. For effective online counseling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stigma level of young people, the level of awarenes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the Internet, and past experiences. Online counseling can be a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to young people with high social stigma, and for this purpose, online counseling is provided through active publicity and guidance on online counseling so that you can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ceiv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the Internet. Efforts are needed to activ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help to vitalize online counseling in Korea and increase access to psychological counseling by predict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reference of young people for online counseling. It also suggests that for young people with high social stigma, online counseling intervention can increase access to counseling than face-to-face counseling. 본 연구에서 Anderesen의 행동모델을 적용하여 청년들이 선호하는 상담 서비스 방식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고 온라인 상담 서비스의 선호 예측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기본법 제3조에 근거한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국내 거주 중인 청년 4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상담 선호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낙인 지각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Komiya, Good과 Sherrod(2000)가 개발하고 이민지와 손은정(2007)이 번안한 ‘지각된 사회적 낙인 척도(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 SSRPH)’를 사용하였다. 자기노출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Kahn과 Hessling(2001)가 개발하고 신연희와 안현의(2005)가 번안한 ‘심리적 불편감 노출척도(Distress Disclosure Index; DDI)’를 사용하였다. 인터넷 정신건강정보 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상록(2018)이 개발한 ‘e-헬스 리터러시(e-Health literacy: EHL)’를 사용하였다.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Apolinário-Hagen, Harrer, Kählke, Fritsche, Salewski와 Ebert(2018)의 ‘전자 치료 태도 척도(e-therapy attitudes measure : ETAM)’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하람, 강재원과 김나래(2021)가 개발한 ‘사회적지지 척도 단축형(Perceived Social Support through Others Scale-8: PSO-8)’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이은현, 문승희, 조명선, 박은숙, 김순영, 한진실과 최정희(2019)가 수정한 ‘DASS-21 한국어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에 따른 상담 서비스 선호집단 간에 비교를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chi-square test)과 일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선행요인에서 사회적 낙인과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담 서비스를 희망하지 않는 집단의 사회적 낙인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화상상담 선호집단과 웹 및 모바일 상담 선호집단의 사회적 낙인 지각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대면상담 선호집단의 사회적 낙인 지각 수준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는 화상상담 선호집단과 웹 및 모바일 상담 선호집단이 대면상담 선호집단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가능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대면상담 경험, 웹 및 모바일 상담 경험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대면상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모두 대면상담 선호의 비율이 높았다. 웹 및 모바일 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웹 및 모바일 상담 선호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웹 및 모바일 상담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웹 및 모바일 상담보다 대면상담 선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요인(스트레스 수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상담 서비스 선호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온라인 상담 선호 예측요인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낙인 수준이 증가할수록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온라인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상담 경험이 있을 경우에 온라인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감소하였으며, 온라인 상담 경험이 있을 경우에 온라인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셋째, 온라인 상담 방식 중 화상상담 선호 예측요인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화상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상담 방식 중 웹 및 모바일 상담 선호 예측요인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낙인 수준이 증가할수록 웹 및 모바일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며,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웹 및 모바일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상담 경험이 있을 경우에 웹 및 모바일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감소하였으며, 웹 및 모바일 상담 경험이 있을 경우에 웹 및 모바일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사회적 낙인과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 상담경험 유무는 온라인 상담 관련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효과적인 온라인 상담의 개입을 위해서는 청년들의 사회적 낙인 수준과 인터넷을 통한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 수준, 과거 경험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적 낙인이 높은 청년들에 대한 대안으로 온라인 상담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인터넷을 통한 심리상담을 받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온라인 상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를 통해 온라인 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들의 온라인 상담의 선호 결정 요인들을 예측해봄으로서 국내 온라인 상담의 활성화와 심리상담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도움을 제공하였다. 또한 사회적 낙인이 높은 청년들에게 온라인을 통한 상담 개입 방식이 대면상담을 통한 개입 방식보다 상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