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 대조 연구

        여문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와 국제 결혼으로 인한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로 한국은 문화 사회 시대에 들어왔다. 이런 배경 속에서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요리 동사의 중요성이 돋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요리 동사 중의 가열 요리 동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아낸 다음에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정확한 대응 관계를 찾고자 한다. 가열 요리 동사를 분석하는데 크게 의미 성분 분석과 논항 어휘 분석으로 나눈다. 의미 성분 분석 부분에서는 符淮青(2006) 의 동사 의미 분석 모형을 인용해서 위의 추출된 요리 동사의 성분 분석을 통해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사전적인 의미에서 존재하는 문제를 밝히다. 논항 어휘 분석 부분에서는 가열 요리 동사가 결합 할 수 있는 명사 어휘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통해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대응 관계를 찾는다. 마지막에 번역에 대해 제안한다. 이 논문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각 장에 따라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고 요리 동사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문제점을 제기한다. 이어서 연구 대상을 선정한 다음에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符淮青(2006)의 동사 사전 뜻풀이 분석 모형을 인용해서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사전 의미의 문제점을 찾아낸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특징에 맞게 符淮青(2006)의 동사 사전 뜻풀이 분석 모형을 수정한다. 수정된 사전 뜻풀이 분석 모형을 이용해서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의미 성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마지막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ㆍ 중 가열 요리 동사의 1차 대응 관계 표를 만든다. 3장에서 논항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와 결합하기 적합한 명사 어휘를 수집해서 정리한다. 한국어 가열 요리 동사의 경우에는 21세기 세종계획의 용례 검색 결과를 통해 논항 자료를 수집하고, KAIST Concordance Program과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이 된 요리책을 활용하여 논항 자료를 추가할 것이다. 중국어 가열 요리 동사의 경우에는 선정된 요리 책을 활용해서 논항 자료를 추출한다. 수집된 논항 어휘들에 대한 개념 분류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전체적인 비교 분석을 위해 요리 동사의 논항 어휘 정리와 분석 결과를 표로 제시하도록 한다. 4장에서 의미 분석과 논항 어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보다 세분적이고 정확한 대응 관계를 찾는다. 그 다음에 한ㆍ중 가열 요리 동사의 번역에 대해 제안한다. 번역의 체계성을 위해 우선 크게 대응관계가 있는 요리 동사와 대응관계가 없는 요리 동사를 분류한다. 대응 관계가 있는 요리 동사는 다시 완전 일치, 1차 부분 일치, 2차 부분 일치한 요리 동사 3 가지로 나눠서 집행할 것이다. 5장에서 본 연구의 내용에 대해 정리하고 연구 진행의 의미를 제시하고 문제점을 제기한 것으로 마무리를 짓는다. Diets and culinary arts are integral parts of human culture, upon which China and South Korea have their own national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the dietary vocabulary is a key step to explore the culinary culture, Taking the culinary verbs in cuisine books as the object study under the theoretical guidance of semantics and contrastive linguistics this paper analyzes the selected culinary verbs semantically, trying to find out the translating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nd Korean when certain action is referred. The system of Cuisine verbs which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By applying Componential Analysis, it appears that Cuisine verbs consist a Semantic Field system, and in this system each term’s meaning becomes more evidently through Componential Analysis of Cuisines verbs, In this paper, this thesis selected 34 Cuisine verbs as object of this research from 8 cookbooks. And first of all, puts the Cuisine verbs in a Semantic Field, makes a list, and then do componential analysi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Cuisine verbs. By the process of Componential Analysis for Cuisine verbs, not only for people who are learning Korean could study more vocabularies which used frequently in daily life, but also could give a great deal of help for those who care about Korean culture.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 for the research were mentioned. This thesis expounded the concept of Cuisine verbs, and then presented a table of Cuisine verbs. In chapter 2, analyzing semantic components of the Korean and Chinese heating cuisine verbs by dictionary definitions. Through the result of the semantic components analysis to found the first rel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isine verbs. In chapter 3, Analyzing argument vocabulary of Korean and Chinese Cuisine verbs to find out the second rel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isine verbs. And in chapter 4, there is a suggestion for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and Chinese cuisine verbs. This paper is of certain importance of the diets and culinary arts cultural exchanging, and can shed some light on the bilingual translation and editing of dictionary of the specific field.

      • ‘형태초점’ 교수법이 KFL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 한국어 경음화의 인지 및 산출에 미치는 효과 연구 -경음과의 연계 교육을 중심으로-

        여문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KFL 학문 목적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경음화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형태초점’ 교수법을 활용하였고 인지 및 산출 두 가지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경음과 연관을 지어 통합적인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맞춤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 및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 다음, 본 연구의 연구 목적에 대해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인 배경으로 대조분석 이론 및 오류 분석 이론 그리고 외국어 교수법에 대해 소개하였고 대조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자음 및 음운규칙 분야의 대조분석을 진행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경음화의 유형을 필수적 경음화와 수의적 경음화로 재분류를 시도한 다음에 한국어 통합 교재 및 발음 전문 교재를 대상으로 교재에서 다루는 경음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재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방안을 만드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4장에서는 본격적인 실험을 진행하였고 본 연구에서 인지 및 산출 두 가지 분야를 다루기 때문에 인지 실험 및 산출 실험을 진행하였고 산출 실험에서 ‘그대로 읽기 실험’과 ‘생각 말하기 실험’ 두 가지로 세분화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KFL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경음과 경음화의 인지 및 산출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경음화의 인지 및 산출 그리고 경음과 경음화 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4장에서 도출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형태초점’ 교수법을 활용하여 KFL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이 장에서 경음과의 연계 교육방안을 함께 제안했으며 KFL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실제적인 경음화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앞서 5장에서 제시한 교육방안의 효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검증 결과는 ‘형태초점’ 교육 방안을 활용한 수업이 숙달도별 중국인 학습자가 경음화 규칙을 인지하고 활용하는 데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특히 초급과 고급의 경우, 인지 분야보다 산출 분야에서 더욱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경음과의 연계 교육의 효과에 있어서는 초급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았다. 그러나 중급의 산출 실험인 ‘생각 말하기’ 실험에서는 미미한 효과를 보였고 고급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고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언급하였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本研究旨在为KFL学术目的的中国学生提供有效的韩语紧音化教育方案。为了达到这个目的,我们运用了‘形态集中’教学方法,在认知和应用两方面进行了具体的研究。并与紧音联系起结合进行了较为完整综合的实验,已实验结果为基础研究了适合中国学生的教学方案并取得了一定教学成果。具体研究内容及研究成果如下。 第一章在前期研究的基础上,提出了本研究存在的必要性,并阐述了本研究的研究目的。 第二章作为理论背景介绍的部分分别对对照分析理论,错误分析理论及外语教学方法进行了分析,并以对照分析理论为基础,对韩国语和汉语的辅音及音韵规律领域进行了对照分析。 在第三章中,本研究将韩国语紧音化重新分类为绝对紧音化和非绝对紧音化,然后以韩国语综合教材及发音专门教材为对象,分析了教材中涉及到的紧音化内容。提出了教材中发现的问题,并完善这些部分,以此为制定针对中国生的教育方案提供基础资料。 第4章进行了正式的问卷调查,因本研究涉及到认知和应用两个领域,所以对两个领域分别进行了问卷调查,在应用调查中又细分为了"大声朗读"和"想法表达"两个实验。通过这些调查, 准确地掌握了KFL以学术为目的的中国学生对韩国语紧音及紧音化的认知及应用情况,并分析了紧音化的认知和应用,紧音和紧音化之间是否存在着相互关联。 第5章基于第4章得出的调查结果,利用‘形态集中’教学方法,旨在探索为KFL以学术为目的的中国学生提供有效的教学方法。因此本章中提出了与紧音相结合的衔接教育理念,并为KFL以学术为目的的不同韩语水平的中国学生提供了紧音化的实际教育方案。 本研究的第6章中对第5章提出的教育方案的效果进行了验证。验证结果显示,接受了利用‘形态集中’教学法教育方案进行授课的不同韩语水平的中国学生在,紧音化规则的认知和应用方面都取得了积极的效果。特别是初级和高级的学生,与认知领域相比,在紧音化规则的实际应用方面取得了更加明显的效果。对于与紧音的衔接教学效果方面,韩语初级水平的学生取得了显著效果。对于韩语中级水平的学生来说只在"想法表达"实验中取得了微不足道的效果,但是对于韩语高级水平的中国学生来说,与紧音的衔接教学理念并未取得任何积极的效果。 在本文的最后,提到了本研究的研究意义和局限性,并同时提出了未来的研究方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