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의 교수방법 연구 :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의 형성과 발전

        엄현숙 북한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is the most representative teaching methodology in North Korea, as depicted in “The Theses on Socialist Education” of 1977 and “Education Act” of 1999. This method continues to be the dominant and most recommended system of teaching, as i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suitable means to realize the purpose of education in North Korea, which is to create a new communist and Juche human beings through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Since liberation, teaching methodology in North Korea experienced continuous change and development over time, consisting of these two characteristics. First, there is no separation between education based on knowledge and ideology. Second,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was initially used to cultivate ideology but now, it is widely used for all teachings. The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was first implemented in 1966 to enforce 9-year compulsory education in technology and it went into full effect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11-year compulsory education system. Then in 1977, the basic form of teaching i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was specified in “The Theses on Socialist Education” of 1977, that teacher’s main teaching methodology is the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However, teaching system in North Korea is quickly changing since the 1990s with advancemen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re reexamined and revised to reflect the current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In the recent times, the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newly adopted a system to allow various teaching tools and mediums in the classrooms using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model teachers are granted numerous titles and acknowledgements for their teaching excellence. In addition, education based on intelligence is being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still focuses more on teaching than learning and it does not acknowledge or foster active learning in students. 북한의 대표적 교수방법인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은 1977년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와 1999년 “교육법”에 명시된 방법으로 가장 널리 알려지고 꾸준히 권장되는 것이다.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은 주체형의 공산주의적 새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북한 교육의 목적을 가장 잘 실현 할 수 있는 적합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교수방법은 해방 후부터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거치면서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으로 완성되며 그 과정에 다음의 특징을 가진다. 특징은 첫째로 교수에서 지식교육과 사상교양이 분리되지 않고 동시에 진행되는 교육교양방법이며, 둘째는 그 형성초기 사상교양에서 중요한 방법이었으나 현재는 북한의 교육을 대표하는 방법이다.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은 1966년 9년제 기술의무교육 실시를 위한 보고에서 처음 제시되었으며 11년제 의무교육을 실현하는 과정에 전면적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1977년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에서 학교교육의 기본 형태는 교수이며 교수의 기본 방법은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으로 명시되었다. 이후 북한은 1990년대 급속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맞게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의 개선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과 다양한 교수매체들을 활용한 수업이 강조되고 모범적인 교원에게 여러 가지 칭호를 수여하는 제도가 등장한데 이어 ‘지능교육’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은 교수와 학습 두 가지 측면에서 교수에 초점을 맞춘 방법이며, 학습자의 주도적 활동과정을 인정, 촉진하는 방법은 결코 아니다.

      •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비대격 동사 과수동화 오류 연구

        엄현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53명의 한국 고등학생들이 범한 영어 비대격 동사의 과수동화 오류에 네 가지 요인(동사 교체, 모국어 형태소 전이, 사역의 종류, 영어 능숙도)이 미친 영향과 그 상호작용에 대해 다루었다. 목표 동사의 의미와 수동태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진 연구 참여자를 선별하였으며 영어 능숙도에 따라 이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문법성 판단 과제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에게 능동태와 수동태 중 문법적으로 더 올바른 것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문법성 판단 과제에 쓰인 비대격 동사는 동사 교체 여부, 한국어 피동형태소 유무에 따라 분류되었으며 이 동사들은 다시 외적 사역 문맥과 내적 사역 문맥 속에서 제시되었다. 사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사 교체, 모국어 형태소 전이, 사역의 종류, 영어 능숙도는 영어 비대격 동사의 과수동화 오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타동사 짝이 있는 교체 비대격, 한국어로 번역하였을 때 피동형태소가 표지되는 비대격, 개념화된 행위자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외적 사역 문맥, 그리고 낮은 능숙도의 학습자일수록 과수동화 오류율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여러 요인 중, 동사 교체가 영어 비대격 동사의 과수동화 오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모국어 형태소 전이, 사역의 종류는 중간 정도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동사 교체, 모국어 형태소 전이, 영어 능숙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낮은 능숙도의 학습자들은 비교체 비대격에서 모국어 형태소 전이 영향을 더 많이 받았지만 높은 능숙도의 학습자들은 교체 비대격에서 모국어 형태소 전이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영어 비대격 동사의 과수동화 오류는 단 하나의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다기보다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북한의 교수방법 연구 : 1960-2015

        엄현숙 북한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15년까지 북한의 교수방법 형성과 보완, 전환 과정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교수방법은 학교교육에서 수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수방법이며, 교육내용의 조직 전달 방식, 교원 학생 간 의사소통 방식, 교육매체의 세 가지 요소들을 포괄하는 의미로 정의하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북한의 학교에서 적용되는 교육방법은 ‘사회주의 교육방법’이며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은 북한의 교육을 대표하는 교수방법이다. 연구는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을 분석하기 위하여 방법적 측면에서 문헌 분석방법과 탈북민 면접을 병행하였고, 북한의 중등교육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연구는 북한의 교수방법을 세 시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 번째 시기는 1960년부터 1983년까지로 북한이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을 정립함에 있어 특정 경로의 이동을 시작하게 되는 결정적 국면과 형성된 교수방법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두 번째 시기는 1984-2011년까지로 ‘지능교수’와 멀티미디어 매체의 도입이 교수방법 보완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시기는 2012년-2015년까지로 교수방법의 전환에 따른 경로의 종결 여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교수방법 형성의 결정적 국면과 자기 강화적 단계, 교수방법의 전환과 종결 여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북한의 교수방법 형성과 발전의 역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북한에서 ‘깨우쳐주는 교수방법’ 형성의 결정적 국면은 1960년 청산리 현지지도이다. 청산리 현지지도는 소련식 교수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모색의 출구가 되었다. 청산리 현지지도를 교육부문에 구현한 것이 약수중학교 교육경험이며, 이 경험에 제시된 ‘계발식 교수’는 소련식 교수방법 극복의 대안이 되었다. 이후 1966년 후반으로 가면서 ‘계발식 교수’는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의 정립으로 위계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를 따르도록 강화시키는 자기 강화적 단계에 들어갔다. 1984년 북한 교육의 변화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지만 현실 발전의 요구를 따라서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북한에는 이전 시기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영재교육 체계가 등장하고 ‘실리주의’가 대두하였다. 이후 새롭게 조명을 받는 ‘지능교수’와 ‘다매체 편집물’이 등장하면서 교수방법 보완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2012년 김정은 시대는 ‘능력교육’을 추구하면서 교수방법에 있어 경로의 상당 부분에 수정을 가하고 있다. 김정은 시대 추구되는 교수방법의 변화는 세계적 추세에 맞게 기존의 교육체계 조차도 바로 잡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이전 경로에서 한 번 시도되었던 대안들과 외부로부터 수입한 다양한 대안들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연구는 김정은 시대 교수방법의 전환이 기존 경로를 벗어나는 것인가에 주목하였다. 가장 핵심적인 변화는 교수방법이 학생의 탐구활동을 강조하며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의 참여형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이는 교육 내용의 전달 방식에 변화를 주면서 쌍방향식 교육, 더 나아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라는 점으로 해석된다. 본 논문의 결과로 밝혀진 북한의 교수방법의 변화는 북한 교육의 변화를 파악하는 요소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나아가 교수방법의 실제적인 전환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지, 미봉책이 될지는 어디까지나 혁명가, 주체형의 새 인간을 육성해야 하는 북한 교육의 목적과 내용 변화에 달려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development, enhancement and transition process of North Korean teaching methods. Teaching method in this particular study is the one conducted in schools’ education during classes and it attempts to define and analyze its meanings containing delivery method of education contents and group,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 and education medium. Education method applied in North Korea is ‘Socialist Education Method’ and ‘Enlighting Teaching Method’ is a representative teaching method in North Korea.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s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study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ree main periods from 1960 to 2015. First period is from 1960 to 1983, which shows characteristics of critical juncture transferred thru its path dependencies and particular teaching method developed in establishing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Second period is from 1984 to 2011, which anlayze its characteristics about effects on enhancement of teaching method after introduction of ‘Intelligent Teaching’ and multimedia. Finally, third period is from 2012 to 2015, which concludes path shaping caused by changes of teaching metho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and development dynamics through analysis of critical juncture, self enforcement stages of teaching methods, transition of teaching methods and its conclusions. Critical juncture of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was deveveloped after on site teaching at Cheong San-Ri in 1960. In Cheong San-Ri’s on site guidance, an alternative method was identified to replace Soviet’s teaching method. With Cheong San-Ri’s on site guidance, educational experience of Yaksoo Middle School was finally implemented and this ‘Improved Teaching’ has became an alternative to overcome and replace Soviet’s teaching method. In late 1966, ‘Improved Teaching’ was developed with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fter development of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and it was placed into self-reinforcement stage. Changes of North Korean education in 1984 was improved very rapidly, however, it could not catch up with demands of actual development. In North Korea,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was introduced and utilitarianism was prevailed. Then, ‘Intellignce Education’ and ‘Multimedia Publications“ were newly focused and introduced, which made new envrionment possible enhancing teaching methods. In Kim Jung Eun’s era after 2012, there has been major revisions for teaching paths pursuing ‘Ability Education’. This changes were required from perspectives that needs to correct former education systems to cope with globalizations introducing various alternatives from foreign countries. With this trend, this study focuses on different path showing deviations from past teaching education in Kim Jung Eun’s era.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of teaching method are to underline research activities of students and pursue participativ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teacher oreinted education method. This change can be explained that North Korea is trying to focus on interactive eudcation and further to increase educational efficiencies by attempting changes for delivery method of educaitnal contents. Conclusion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hanges of North Korean teaching methods has a very significant meaning as a means to recognize changes of education. Furthermore, whether this could be a very important momentum to identify actual transition of teaching method or not, it depends on purpose and contents of North Korean education to grow a resolutionist and Juche typed new person.

      • 학부모·지역 주민들의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요구 분석

        엄현숙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부모·지역주민들의 학교 평생교육 참여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여 학교 평생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학부모·지역주민의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실태, 참여 동기 및 참여 유형, 만족도 및 요구로 구분하여 작성한 설문지를 화성시 소재 "가"초등학교 학부모와 지역주민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후 회수된 108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은 각 하위영역에 대한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의 연령, 학교 관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실태 및 요구에 대해 더욱 더 심층적인 분석을 가하고자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영역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실태와 동기 학교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에 참여대상은 학부모와 지역주민으로 모두 여성이 참여하고 있다. 학부모들이 실제 많이 참여하고 있는 일반적인 평생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지식과 교육에 편중되어 있으나 학교 평생교육에 대한 기대는 자녀교육 문제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지역 주민의 경우 현실적으로 실제 참여는 자녀교육 문제를 바라지만 내면적으로 사회참여기회를 더 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평생교육 참가 경로는 학부모인 경우 가정 통신문을 통해 정보를 얻으며, 상대적으로 지역주민의 경우 게시판·광고를 통하여 정보를 얻고 있었다. 2.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만족도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 약간 만족한다가 가장 많았고 지도교사에 대한 참가자의 만족도는 열과 성의를 다하고 있다와 그저 그렇다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에 대해서 지금까지 경험한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지도교사가 열과 성의를 다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한 경우 학부모가 지역주민보다 더 많이 응답하였다. 이들 참여 만족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역조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참여의 에로점은 시간과 프로그램 문제가 평생교육 참여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주당 운영 횟수의 적당한 정도에 대해서는 학부모가 지역주민보다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 분석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바람직한 운영 형태에 대한 의견은 저녁반을 선호하였으며, 특히 직장인인 경우는 저녁반이나 주말반을 선호하고 있다. 참여 희망 프로그램은 기초교양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자녀교육과 관련이 있는 행복한 가정이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홍보 방법으로는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학생들의 가정통신문을 선호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경우는 게시판·광고로 나타났다. 특히 30대가 그러한 경향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다.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한 선결과제로 학부모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다양한 홍보, 유능한 강사 순으로 나타나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과제 및 운영 방안은 다양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지역주민의 학교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실태를 보면 아직은 학교 평생교육이 학부모를 중심으로 자녀교육 및 지식교양 등의 제한된 프로그램에만 국한되어 실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학부모의 경우 실제참여는 지식과 교양에 편중되어 있으나 내면에는 자녀교육 문제를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주민의 경우 실제참여는 자녀교육 문제를 바라지만 기대는 사회참여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대는 높은데 현실이 따라 주지 못하므로 프로그램 운영시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학교 평생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수준이 약간 만족한다는 것은 기대는 높은데 현실이 따라 주지 못하기 때문이고,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성, 현실성, 지속성있는 내용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전문적이고 지속성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보급해야 한다. 셋째,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는 강하나, 시간과 프로그램 문제가 평생교육 참여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었다. 바람직한 운영형태는 저녁반을 가장 많이 선호하고, 주1회, 하루 2시간 정도를 희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참여자가 여성으로서 직장인이 많아 저녁반에 참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임을 프로그램 운영시 고려해야 한다. 넷째, 학부모·지역주민들의 학교 평생교육의 저해요인으로 시간 부족과 같은 상황적 저해요인이 많으므로 프로그램 운영시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학부모·지역주민의 학교평생교육 프로그램 중에 기초 교양 프로그램에서는 자녀교육과 관련된 '행복한 가정'을 선호하고 있으며 취미 기술 프로그램에서는 '부업·창업 기술'이 가장 많았고, 건강교실 프로그램에서는 생활 스포츠가 가장 많으므로 다음 평생교육 프로그램 구안시 우선 선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제언한다면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의 요구와 수준을 반영하여 구안하고 적용함으로써 수강자들의 참여 의혹을 높이고 활동에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activ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schools by analyzing the participaiton of parents and neighbouring district's residents in the programs and their requests.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questions about the status of participaion in the programs, motives and types of participation,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and their requests. The questionnairs were given to 135 people including parents and the residents livign near primary schools in the city of Hwaseong. The 108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with SPSSWIN 10.0 Program and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in accordance with respondents' age and educational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 1) The status and motives of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neighbouring district's residents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nly female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insitutes other than schools are focused on teaching general knowlege. But paren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provided by schools have much interes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Residents living in the neighbouring district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both for their interest in children's education and th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Parents got information on the progrmas through letters from schools and residents from bulletins and advertisements. 2)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felt only a littl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lecturers were enthusiastic, or that the lecturers were neither good nor bad. Parents rather than residents answered that the lecturers were enthusiastic. The younger the respondents were, and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levels were, the less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s they felt.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felt difficulty in finding time to participate in the progrmas more than anything else. Parents rather than residents felt satisfaction with lecture hours per week. 3) Participants' requests for the management of the programs Participants preferred evening lecture hours. Especially, those who had jobs preferred evening or weekend lecture hours. The most favored program was the one concerned with children's education. Parents got information on the programs through letters from schools and residents, especially in their 30s, from bulletins and advertisements. Parents thought that the prerequisites for the activation of the programs are: first, a variety of programs; secondly, various ways of advertisements ; thirdly, versatile lectures. Thus, managers of the programs should try to provide a variety of programs more than anything else. This writ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s as follows : 1) Until now,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mainly participated by parents and limited to the classes concerned with children's education and general knowledge. Par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for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rather than for learning general knowlege, while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for learning general knowledge rather than for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y may satisy the expectations of the participants. 2) The reason why most participants answererd that they felt only a little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progrmas is that the programs do not satisfy the expectations of the participants. Thus, various programs covering continuously the pratical interests of neighbouring districts should be provided. 3) Participants felt difficulty in finding tim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more than anything else. Most of them preferred evening lecture hours, attending once in a week, and two hours in a day. It is because most participants are women who get jobs. Managers of the programs should make the schedule in consideration of this fact. 4) Managers of the programs should make the schedul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most participants feel difficulties in finding time to attend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5) The most preferred one of the programs about basic general knowlege was 'Happy Family' concerned with children's education; the most preferred one of the programs about hobbies and special skills was 'How to get a side job or create an enterprise'; the most preferred one of the programs about the maintenance of health was 'sports as leisure activity.' Managers of the programs should consider the preference of the participants. Seen in this connectio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hould reflect the requests and levels of participants, and thereby encourage their positive participation and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 주영위 편 「단회상 줄풀이」 악곡구조와 선율분석 연구

        엄현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단회상 줄풀이>의 악곡구조와 선율분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단회상 줄풀이>의 악곡구조 연구에서는 <영산회상>의 9곡이 <단회상 줄풀이>에서 4곡으로 줄여지는 과정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장단구조와 장단수를 살펴보았다. <단회상 줄풀이>의 선율분석 연구에서는 오선보로 된 현행 정악 합보인 『한국음악 제1집』 中 <중광>의 관악보(단소, 대금, 피리)와 현행 정악 해금보인 『해금정악』 中 <중광> 및 『영산회상 줄풀이・짧은영산회상(단회상) 줄풀이-해금보-』 中 <단회상 줄 풀이> 3개의 악보를 대상으로 하여, 주요음 진행 및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4곡으로 줄여질 때 나타나는 연결부분의 선율을 살펴보았다. 이상 본론에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회상 줄풀이>의 악곡구조를 분석하였다. <영산회상>의 악곡은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상현도도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의 9곡으로 되어있으나 <단회상 줄풀이>의 악곡은 상령산・중 령산을 합하여 〔상・중령산풀이〕, 세령산・가락덜이를 합하여 〔세령산・가락풀이〕, 상 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를 합하여 〔상・하현・염불풀이〕, 타령・군악을 합 하여 〔타령・군악풀이〕의 4곡으로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영산회상>의 장단형은 장고 점에 따라 20박자형의 상령산장단, 10박자형의 세령 산장단, 6박자형의 도드리장단, 4박자형의 타령장단으로 네가지 형이 있다. <영산회 상>은 이 네가지의 장단이 하나의 곡 안에서 느리게 시작하여 점차 빠르게 진행된다. <단회상 줄풀이>는 이러한 네 가지 형의 장단구성을 중심으로 4곡의 악곡을 구성 하였다.- 73 - 악곡구조을 통한 장단 및 장단수비교는 다음과 같다. <영산회상>과 <단회상 줄풀이> 총 장단수 비교 악곡 상·중령산 세령산·가락덜이 상현·하현·염불 도드리 타령·군악 <영산회상> 35장단 24장단 돌장+111장단 80장단 <단·줄> 15장단 13장단 돌장+44장단 56장단 <단회상 줄풀이>는 <영산회상>과 비교하여 악곡구성은 달라졌으나 장단은 동일하 게 진행되며, 중복되는 선율을 생략함으로써 함축적이고 간결하게 재구성하였다. 둘째, <단회상 줄풀이>의 선율을 중심으로 선율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상령산 1장 1장단 1~2마디를 살펴보면, <영산회상>에서는 현악기(양금, 가야금, 거 문고)선율은 있고 해금과 관악기(단소, 대금, 피리)선율은 없지만, <단회상 줄풀이>에 서는 현악기의 음진행을 기본으로 하여 <단회상 줄풀이>의 해금선율이 만들어졌다. <단회상 줄풀이>의 주요음 진행을 살펴보면, <해금정악>과 주요음의 진행이 동일하 게 진행된다. <단회상 줄풀이>의 선율분석을 살펴보면, 동일선율과 유사선율은 <해금정악>선율에 <관악보>선율을 결합함으로써 해금선율이 만들어졌으며, 상이선율은 <해금정악>, <관 악보>의 주요음 진행 위에 독자적인 선율을 넣어 <단회상 줄풀이>이라는 새로운 해 금선율이 만들어졌다. <영산회상>에서 <단회상 줄풀이>로 줄여진 부분을 살펴보면 <영산회상>에서 반복 되는 선율의 연결점 leading tone(이끔음)을 찾아 연결하였고, 연결 부분의 앞·뒤 선 율은 음정과 박자를 고려하여 연결점 leading tone(이끔음)을 찾아 자연스럽게 연결 되도록 하였다.- 74 - This paper studied the music structure and melody analysis of Danhoesang Julpuri (단회상 줄풀이). As for the music structure, the process of reducing 9 songs from Yeongsanhoesang (靈山會上) to 4 songs in Danhoesang Julpuri was analyzed. The melod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ollowing three scores; A staff notation (五線譜) of Jeungak (正樂) of Hapbo (合譜) that is Gwanakbo (管樂譜) of ‘JungKwang (重光)’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Korean music] No.1(Danso, Daegum, Pipe), Jeungak (正樂) of Heagumbo (奚琴譜)’s ‘JungKwang (重光)’ that is still played, [Yeongsanhoesang Julpuri (영산회상 줄풀이), Short Yeongsanhoesang Julpuri (짧은영산회상 줄풀이) of Haegeumbo (奚琴譜)] of Danhoesang Julpuri.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we compared the progression of the main scales, the same melody, similar melodies, and different melodies and different melodi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 80 -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Danhoesang Julpuri. Yeongsanhoesang are composed of nine pieces, as a Sangyeongsan (上靈山), Jungyeongsan (中靈山), Seyeongsan (細靈山), Garakdeori (加樂除只), Sanghyeondodeuri (上絃還入), Hahyeondodeuri (下絃還入), Yeombuldodeuri (念佛還入), Taryeong (打令), Gunak (軍樂). But Danhoesang Julpuri was reduced to four, as a Combined Sangyeongsan and Jungyeongsan is Sang·Jungyeongsanpuri (상·중령산풀이), as a Combined Seryeongsan and Garakdeori is Seryeongsan·Garakpuri (세령산·가락풀 이), as a Combined Sanghyeon dodeuri Hahyeon dodeuri and Yeombul dodeuri is Sang·Hahyeon·Yeombulpuri (상·하현·염불풀이), as a Combined Taryeong and Gunak is TaryeongGunakpurry (타령·군악풀이). According to Janggu (杖鼓)’s playing, Yeongsanhoesang’ short-long score is divided four type, as a Sangyeongsanjangdan (상령산장단) is composed 20 beats and as a Seyeongsanjangdan (세령산장단) is composed 10 beats, as a Dodeurijangdan (도드리장단) is composed 6 beats as a Taryeongjangdan (타령장 단) is composed 4 beats. Yeongsanhoesang starts with these four beats slowly and gradually progresses in the song. Danhoesang Julpurry is composed of four pieces of music, centered on these four short-long score. Compared with Danhoesang Julpuri and Yeongsan hoesang, the composition of music is different, but the progress is the same, and the reconstruction is implicit and concise by omitting overlapping melodies. Second, the progress of the melody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melody of Danhoesang Julpuri. If we look at a piece or two of first section of Sangyeongsan, Yeongsan hoesang have a Stringed melody(Yanggeum(, Gayageum, Geomungo) but do not have Haegum (奚琴) and Wind instrument(Danso, Daegeum, Piri) melody. Danheosang Julpuri is based on the progression of the string instrument, the Haegeum melody of Danhoesang Julpuri was created.- 81 - The important scale of Danhoesang Julpuri proceeds in the same way as Haegeum Jeongak (奚琴正樂) and the main notes. The melodies of Danhoesang Julpuri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same melodies and similar melodies. A similar melody was created by combining the Haegeum Jeongak tune with the Wind scores tune. The different melodies were created by a new Haegeum melody called Danhoesang Julpuri, adding independent melody to the progress of the important scales of Haegeum Jeongak tune and Wind scores tune As Yeongsanhoesang was reduced to Danhoesang Julpuri, it connected the repeated melodies in Yeongsanhoesang. Looking at the front and back melodies of the connection part, we found a connection point that considers the pitch and the beat so that it naturally conn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