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이차외상스트레스 대처과정에 관한 연구 : 고통 속에서 줄탁(啐啄)을 통해 나아가기

        엄영숙 청주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이차외상스레스 대처과정 경험을 살펴보았다. 1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01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로 도출하였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를 분석한 결과 중심현상은 ‘불안과 고통으로 힘에 겨워 바득바득 애씀’ 이며,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예측할 수 없는 공포스러운 현장’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방향을 상실하고 갈팡질팡함’, ‘산더미 같은 업무량에 짓눌림’, ‘법적 지위와 행정지원 부족’이며, 중심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전략으로는 ‘회피하기’, ‘현실직시를 통한 깨닫기’, ‘자기관리와 네트워크 구축하기’, ‘주도적으로 나아가기’ 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사명감을 갖게 됨’, ‘사회적 지지로 힘을 얻음’으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힘겹게 버팀’, ‘성장해 감’으로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는 ‘고통 속에서 줄탁(啐啄)을 통해 나아가기’로 나타났다. 또한 과정분석을 통해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이차외상스트레스 대처과정은 ‘갈등과 혼돈단계’, ‘자각단계’, ‘문제해결단계’, ‘현장전문가로 자리매김단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는 학대피해아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수준의 이차외상스트레스를 겪고 있었으며, 반면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 및 수퍼비젼 부족과 많은 업무량, 법적지위와 행정지원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는 이차외상스트레스의 고통 속에서 줄탁(啐啄)을 통해 나아가지만, 그 결과는 ‘힘겹게 버팀’ 유형과 ‘성장해 감’ 두 가지로 나타나 대처과정은 동일한 양상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차외상스트레스의 대처의 필요성과 대처전략 개발 빛 슈퍼비전 제공 등과 관련한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의 인식연구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엄영숙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시설 시설장들을 대상으로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대하여 시설장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활성화에 기여 하는 정책방안을 제시 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충북에 설치된 보육시설 805개소를 시설유형별로 구분한 후 보육시설의 비율에 기초하여 300개 표본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시설유형에 따라 무작위 추출방법으로 설문지 조사하여 실질적인 표본에 접근하고자 노력하였으며 173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하였으며, 현재 평가인증상태에 따라 인증시설, 대기시설, 미인증시설로 구분하여 각 해당 시설의 시설장 인식을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 인증시설은(신청하지 않은 상태) “고유의 보육업무 방해 때문에 신청하지 않는다.”고 답하였는데, 이는 인증시설, 신청대기 시설 모두 “평가인증 준비 기간 중 과중한 업무, 서류작성 등의 이유로 보육업무를 소홀 할 수밖에 없었다.”는 불만스러운 의견들을 보더라도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국. 공립 시설의 확충보다는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고 관리감독을 체계화함으로써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이루고 평가인증제도의 안정적인 도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셋째 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보육시설유형별, 지역별, 시설장의 보육철학 등을 고려한 평가인증지표의 개발이 이루어져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지표항목들에 대한 좀 더 세밀한 현장조사와 의견수렴을 통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지표항목들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평가인증제는 보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평가인증제를 정착시킬 수 있는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며 국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보육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한 정책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사회는 유아들이 좋아 묵묵히 보육현장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에게 봉사와 책임만을 강요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보육교사의 잦은 이직률이 문제가 되고, 교사 수급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This research's targets were heads of nursery schools and to observe their awareness of appraisal certifying system of nurture facilities so that we can present a policy which is stabilized and advisable way on that system. To accomplish this matter, we have divided 805 nursery schools which is located in Choongbook, then selected 300 of those as a specimen according to the ratio. We randomly made out survey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selected schools to get closer to the substantial specimen. We finally analyzed 173 surveys and analyzed the heads of nursery schools' awareness by the certified facilities, waiting facilities, not certified facilities at the present time. Here are the results with this research. First, facilities which are not certified weren't certified due to the disturbance of the peculiar nurture work. It is displeasedly said that both certified facilities and requested waiting facilities weren't ready due to over-work, and writing out documents during the certifying time but systematic approach is rather needed. Second, we have to rather extend country's support of policy and systematize superintendents than public schools' expansion so that we can improve the qualitative nurture service and need to promote the stabilized introduction of the system. Third, for as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appraisal, developing certified indicator of appraisal, which are types, region of the facilities, and heads' nurture philosophy should be needed. According to this fact, the items of the indicator's close examination and idea collecting so that anybody can sympathize. Fourth, appraisal certifying system has a purpose to improve the qualitative level. By this, we need a diversified effort to settle down the system and need the country's support. Fifth, we need to examine the policy for the treatment improvement. Society wants the nursery school workers, who just like kids and tacitly working, to serve and ask for the responsibility. By this fact, teachers' frequent unemployment rate has been a big problem and there has also been difficulties on supply and demand.

      • 백석의 동화시 연구

        엄영숙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한국 아동문학연구에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1920년대 동화시와 1950년대 북한 동화시를 포괄하여 동화시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동화시의 계보를 세워보고자 한다. 특히 동화시의 전형을 보여준 백석의 동화시 중 아동 독자들에게 유의미한 몇 개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서사적 구조 및 시적 표현 양상, 주제의식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면밀히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시의 새로운 시적 모험의 한 형태이며, 유년층의 어린이들을 위한 그림책과의 혼합 장르적 가능성 및 유년독자들에게 유익한 동화시의 새로운 활로를 여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동화시는 형식적으로 시적 짜임새를 가지고 있으며, 동화적인 내용을 담은 시를 말한다. 시의 형식과 동화의 내용을 함께 지니고 있으므로, 동화의 詩的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동화시는 시와 동화의 중간 형태를 띠기 때문에 동화의 서사적 구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의 서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동화시는 일제 강점기 한국 아동문학 형성기부터 발표되었다. 1910년대 동화시의 출발은 최남선의 ‘동화요’이다. 1920년대에는 『중외일보』나 『동아일보』의 신문에 여러 편의 동화시편들이 실렸으며, 1930년대에는 윤석중이 동시집『잃어버린 댕기』제 3편에 발표했던 동화시가 5편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동화시로는 1950년대에 북한 아동 문학가들에 의해『아동문학』에 발표된 북한 동화시가 있다. 그리고 우리에게 동화시의 전형으로 잘 알려진 백석의 동화시가 있다. 백석이 북한에서 1957년에 발표한 동화시집 『집게네 네 형제』에 실린 12편의 동화시들은 창작된 지 54년이 지나 ‘백석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는 오늘날의 남한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동화시는 비록 동화나 동시 등의 장르에 비해 작품 수의 면에서 비교할 수 없이 적지만, 아동문학으로서 각 시기별로 유효한 의미와 가치를 지녔다. 1910년대 최남선의 동화요부터 시작하여 1920년대 동화시에서 나타나는 설화를 차용한 동화시들은 일제 강점기에 아동독자들에게 우리의 전통을 알려주고, 그들에게 읽을거리를 제공해 주었다. 1930년대 윤석중은 우리나라 최초의 동시집『잃어버린 댕기』에 5편의 동화시를 발표했다. 그의 동화시는 등장인물 간의 대화로 서사를 진행시킴으로써 아동들에게 좀 더 리듬감을 느끼게 하며, 생생한 모습을 보고 있는 듯한 효과를 준다. 또, 비록 일제강점기라는 어려운 현실적 여건 속에서도 즐겁고 유쾌한 대화와 하루 동안 일어나는 서사를 통해 웃음을 주고자 한 점이 돋보인다. 또, 고무신이나 도토리, 옥수수, 빈대떡 등 우리 생활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소재들을 시의 소재로 활용하여 아동들에게 동심을 불어넣고자 하였다. 1950년대 북한의 동화시로는 조선 작가 동맹 중앙 위원회 기관지『아동문학』에 실렸던 15편의 동화시를 들 수 있다. 북한의 동화시는 전반적으로 옛이야기를 차용한 경우가 많은데 지주나 양반과 머슴과의 대립이 나타나고 있으며, 동화시를 통해 사상성 및 교훈을 전달하고자 하는 동화시편들이 주를 이룬다. 그래서 대부분 옛이야기 위주의 내용을 산문시의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종결어미를 제외하고는 시적 운율이 느껴지지 않는 면이 있다. 그러나 이에 비해 백석은 북한 아동문학의 도식성을 경계했으며, 아동문학 평론을 통해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강조하였다. 자신의 문학적 이상을 동화시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였다. 백석은 자기 작품의 내포독자에 유아를 포함시켰으며, 입말을 살려 썼고 일상어를 사용하였다. 백석 동화시는 첫째, 의성어와 의태어를 살려 표현하였으며, 둘째 반복과 대구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였고, 셋째 곤충, 물고기, 동물 등을 등장인물로 자주 배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백석의 동화시는 1920년대의 동화시에서 주로 사용했던 옛이야기 방식의 동화시의 형태를 계승했으며 동물과 인간이 하나 된 세상에서 펼쳐지는 대립 관계나 권선징악을 담았다. 또한 아동들의 발달 단계에 맞도록 대화체와 동일구문을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리듬감이 있어 읽고, 듣기에도 정겹다. 이런 노력이 깃든 백석의 동화시는 오늘날 남한의 아동 독자들에게도 그림책을 통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동화시는 담고 있는 내용이 동화적 이야기이기 때문에 아동들이 이해하기 쉽고 오래 기억할 수 있으며, 형식상으로는 시적 운율을 지니고 있기에 어린이들에게 들려주기에 적합하고, 독자들도 오래 기억한다. 또, 동화시는 아동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교훈이나 동물의 유래담과 같은 과학적인 내용들도 담을 수 있어서 아동문학으로서의 효용성이 높다. 동화시는 유아 및 아동독자들에게 유용한 인류의 보편 가치들을 전달할 수도 있고, 백석의 동화시편처럼 과학적인 내용을 운율감있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동시에 비해서 동화시는 동화적 내용을 시적 형식을 담음으로써 상상력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그림책과의 장르결합도 가능하다. 향후 동화시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창작이 요구된다.

      • 영어교육에서 문화지도의 역할에 관한 연구

        엄영숙 순천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ulture teaching and its influence in English education. A language is part of culture and culture is part of a language, which means a language cannot be separated from its culture embedded in it.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nvolves not only acquisition of the language itself but also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That is to say, to learn a foreign language i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society. This thesis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overall ideas concerned with the introduction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mentions two things. One is the definition of language, cultur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society. The other deals with the range, necessity and purpose of culture teaching. The third chapter describes comparison and analysis of Korean and American-British culture, and various methods of culture teaching including the roles of English teachers. The fourth chapter deals with the results after adapting culture teaching to students and recognition of English teachers on culture teaching. In conclusion, it is presented that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target language helps students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Likewis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is enlarged through the culture education. Our government should put a lot of efforts into English education and support English teachers. But what is more important is English teachers should deeply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target culture and try to develop various materials and teaching ideas

      •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 연구 : 근거이론 접근으로

        엄영숙 서울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치료에서 그동안 간과되어 온 가족상담사들의 역전이 경험이 무엇이며,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심층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역전이 경험에 대한 하나의 실체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치료체계 내에서 가족상담사들의 역전이 경험은 어떠한가?”이며, 상징적 상호작용에 기반을 둔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4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10년 이상의 임상경험과 해당분야에 이론적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한국가족치료학회의 부부·가족상담전문가 1급 자격취득요건을 만족하고 있는 가족상담사 1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접으로 수집되었으며, 자료가 포화할 때까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이뤄졌으며,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코딩 결과 255개의 개념을 발견하였고, 이 개념들을 추상화하는 과정에서 71개의 하위범주와 2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들 범주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범주들을 연결하여, 각 범주를 속성과 차원의 수준으로 발전시켰다. 가족상담사들의 역전이 경험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는 각 조건에 해당하는 범주들을 보면, 인과적 조건은 ‘내담자 특성과 행동’, ‘상담자 특성과 이슈’으로, 중심현상은 ‘중립을 견지하려 애를 씀’으로 분석하였다. 중심현상과 인과적 조건에 영향 주는 맥락적 조건은 ‘(원/현재) 가족경험’, ‘상담자배경’, ‘상담에 대한 가치관’, ‘상담훈련배경’으로 하였다. 그리고 ‘중립을 견지하려 애를 씀’이라는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감정에 머물러 인식함’, ‘감정을 다각적으로 성찰함’, ‘감정에 대처함’, ‘감정을 활용함’으로 분석하였다. 이런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은 ‘슈퍼비전’, ‘분석’, ‘상담자 발달수준’, ‘역전이에 대한 생각’, ‘지지체계’, ‘내담자 동기수준’으로 분석하였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상담에 대한 인식확장’, ‘개인적 삶의 성장’, ‘내담자에 대한 인식확장’, ‘계속되는 훈련과정임을 깨달음’이었다. 본 연구에서 시간의 흐름과 공간의 이동에 따른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과정분석 결과, 가족상담사들의 역전이 경험을 다루는 과정은 자각단계, 숙고단계, 통찰 및 이해단계, 통합단계, 그리고 숙달단계의 5단계의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내담자 부부나 가족과의 상호작용에서 경험하는 서로 다른 감정으로 인해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서 중립을 견지하려 애를 쓰는 자신의 모습을 ‘자각’하게 된다. 이후 자신에게 일어난 감정에 머물러 인식하는 ‘숙고단계’를 거쳐, 그 감정의 기원을 통찰하여 부부나 가족의 상호작용 역동과 구성원의 심리내적인 역동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되면서 이를 어떻게 표현할지 대처방안을 고민하는 ‘통찰 및 이해단계’에 이르게 된다. 그 다음 자신의 감정을 공감의 형태로 내담자에게 조율하는 등 상담관계 안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통합하여 활용하는 ‘통합단계’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이런 일련의 과정들이 상담과 내담자에 대한 인식의 확장과 자신의 개인적 삶의 성장을 위해 계속되는 부단한 훈련과정임을 깨닫게 되는 ‘숙달단계’에 이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 중심현상과 범주 간의 관계를 통합하여 이야기윤곽을 서술한 결과, 핵심범주는 ‘중립을 지향하나 한쪽으로 쏠리게 하는 감정을 다루는 과정‘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중재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에 따라 가능한 상관관계를 정형화하여 4개의 가설적 관계진술문을 전개하였다. 이를 근거자료와 지속해서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점검형, 내담자 반영형, 자기감정 개방형의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자기 점검형의 연구 참여자들은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자신의 감정은 자신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역전이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자기 점검형들은 내담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신의 원가족 경험과 배경, 가치관에 대해 성찰하고 점검하는 것을 중시하는 반면,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자신의 감정을 활용하는 데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내담자 반영형과 자기감정 개방형의 연구 참여자들은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자신의 감정이 자신의 문제뿐만 아니라 내담자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역전이 감정이 치료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내담자 반영형들은 자신의 감정을 내담자를 이해하는 공감의 도구로써 활용하려고 노력하지만, 내담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여 개방하는 데에는 소극적이다. 자기감정 개방형들은 내담자 반영형처럼 역전이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나,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자신의 감정을 내담자에게 개방하여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공유하면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내담자 반영형과는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가족상담사들의 역전이 경험은 내담자 부부나 가족구성원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감정으로 인해 중립성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역전이 경험을 다루는 과정에서, 역전이 감정은 부부나 가족구성원의 대인관계적인 체계적 측면뿐 아니라 심리내적인 측면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치료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이 과정은 부부나 가족의 변화뿐만 아니라 가족상담사로서의 자기인식과 성찰능력을 높여주어 가족상담사로서의 발달과 개인적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가족상담사들이 중립을 지향하나 한쪽으로 쏠리게 하는 자신의 감정을 다루는 과정에서 나타난 역전이 활용방식은 역전이 개념에 대한 이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치료에서 그동안 간과하여 왔던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에 대한 실체적 이론을 생성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제부터 가족치료에서는 부부나 가족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에 대해 주목하여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epth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s in family counselors who have been overlooked in family therapy, what factors influence experiences of countertransference, and how they are used.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n substantial theory about the dynamic process of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s. The question of this study was “How is the process of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s of family counselors in the treatment system?”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on symbolic interaction was appli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8 to April 2019. The participants had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s well as theoretical knowledge in the field. They satisfied with the requirements for the first class license qualifications as family counseling expert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Therapy. A total of 12 family counselors were select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and conducted until the data were saturated.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simultaneously with data collection, and progressed through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rough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is study, 255 concepts were drawn through open coding, where 71 subcategories and 21 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of abstracting these concepts.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ategories through axis coding, categories we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and each category was developed to the level of attributes and dimensions. Looking at the categories that correspond to each of the conditions that constitutes the paradigm model of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 in family counselors, who are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causal conditions wer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the client” and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the counselor.” The central phenomenon was “trying to maintain neutrality.” Th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is phenomenon were “(origin/present) family experience”, “counselor's background”, “view on counseling”, and “training background for counseling.” An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the central phenomenon of “trying to maintain neutrality” were to “stay in recognition of emotions”, “reflect emotions in various ways”, “cope with emotions”, and “utilize emotions.”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that promote or discourage this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were “supervision”, “analysis”,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 “perceptive on the countertransference”, “support system”, and “level of client's motivation.” The result of the action/ interaction strategy were “an awareness of different aspect on counseling”, “a growing personal life of myself”, “a deep understanding on the client”, and “a realization of continuing training,” As a result of the process analysis o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nd move of space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 of family counselors appeared in five stages: aware, contemplate, get insight and understand, integrate, and master.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distracted by the different emotions they experienced in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clients, couples and family members, and they are “aware” of themselves trying to maintain neutrality. Afterwards, They go through the “contemplating stage” of staying and recognizing the emotions that have happened to them. In the “getting insight and understanding stage”, they reflect on the origin of their emotions to get to know the client more deeply and how to express it. Afterwards, they will reach the “integrating stage” by integrating and using their emotions in various ways within the counseling relationship, such as coordinating their emotions with the client in the form of empathy. And it turns out that this process leads to the “stage of master,” in which they realize that this series of courses is an ongoing training process for expanding their awareness of counseling and client, and growing their personal life. With integrating the relations between these central phenomena and the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appeared as “the process of dealing with counselor's emotions in order to be neutral.” And four hypothetical relationship statements were developed by formalizing possible correlations based on the attributes and dimensions of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around the core categories. 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ous comparing these hypothetical statements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er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counselors: monitoring-self, reflecting-client, and opening-self feeling. Monitoring-self type of participants think that their emotions from interaction with their clients are caused by their own problems, so that they seem to have a negative view on countertransference. With this reason, monitoring-self type of participants focus on reflecting and checking on their own family experiences, backgrounds and values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to the client, while they are not active in using their emotions generated from interactions with their clients.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of the reflecting-client type and opening-self feeling type believe that their emotions on the clients are likely arisen not only from their own problems but also from their clients. Thus, They have a positive view that countertransference can be a useful tool for the treatment. The participants of reflecting-client type are trying to use their emotions as a tool of empathy to understand the client, but they are not active in opening and expressing their own emotions to the client. Participants of opening-self feeling type have also a positive view of the countertransference, which is similar to the reflecting-client type of participants. But, they are different from the reflecting-client types in that they openly express, share and utilize their emotions arisen from their interactions with the clients. In conclusion, family counselors were experiencing the countertransference associated with maintaining-neutrality by various emotions generated from interactions with their clients.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countertransference emotion is used as an important therapeutic tool for the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aspects as well as interpersonal systematic aspects in couple and/or family members. And this process enhances the abilities of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as a counselor as well as the changes in couple and/or family members,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ounselor and personal growth.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 that the use of countertransference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one's emotions toward neutrality by family counselors was close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countertransference concep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generated substantial theories by focusing on the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 in family counselor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family therapy. From now on it is believed that the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 arisen from interactions with couple and/or family members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and be discussed for the family therapy.

      •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활용에 대한 실태분석

        엄영숙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육활동에 있어서 컴퓨터 활용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교육 및 활용현황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사립유치원과 공립유치원 가운데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는 80개의 유치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보면 교직경력이 5년 이하의 집단보다 5년 이상의 집단에서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었고, 전문대졸보다는 대졸이상의 집단이, 반일제를 담당하는 교사보다는 종일제를 담당하는 교사가, 컴퓨터 활동기간이 길수록, 사립유치원교사보다는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둘째, 컴퓨터 교육의 시작연령은 대체로 만 5세가 적절하다고 보고 있었고, 컴퓨터 활동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가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현재 유치원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기능으로는 Windows와 Word Processor이었다. 셋째, 컴퓨터 활용 현황을 보면 한가지 소프트웨어는 관련생활주제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하는 경우가 50.4%(64명)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평균 ' 1주일 이상-2주일 이하'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용 소프트웨어의 선택 할 때에는 교사연수 및 교육청에서 추천한 것을 먼저 고려하고, 그 다음으로 원장이나 동료교사의 추천이나 자신이 사용해본 것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구입 시 평가기준을 보면 유아의 흥미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교육적 가치, 용이성, 적합성, 우수성 등의 순 이었다. 다섯째,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활용공간을 보면 77.2%(98명)가 교육 가운데 컴퓨터 영역을 설정하여 이용하고 있었고,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활동의 바람직한 형태를 보면 컴퓨터를 사용하는 유아와 관심이 있는 유아가 함께 하도록 하는 것에 69.3%(88명)가 응답하였다. 컴퓨터 활동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제시순서를 보면 소프트웨어의 난이도에 따라 쉬운 것부터 제시하고, 그 다음으로 공인된 기관 등에서 추천된 소프트웨어, 반에 할당된 소프트웨어의 순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컴퓨터 활동 순서를 결정할 때에는 유아와 교사가 함께 결정하는 경우가 51.2%(65명)로 가장 많았다. 일곱째, 컴퓨터 소개 시 선행활동 정도를 보면 컴퓨터의 바른 사용법을 가장 많이 강조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컴퓨터 사용 시 지켜야 할 점, 간단한 컴퓨터 용어 및 작동원리, 유아와 함께 컴퓨터 관찰, 구체적 자료로 컴퓨터 활동시작, 컴퓨터가 이용되고 있는 사례 소개 및 견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유아들에게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기 전에 1-2번 정도 활동해보는 교사가 49.6%(63명)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충분히 활동해보는 경우가 40.2%(51명)정도였다. 유아 컴퓨터 교육에 관한 정보는 주로 주변의 동료교사나 친구로부터 많이 얻고 있었고, 교사연수, 유아컴퓨터 관련도서를 통하여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습득 방법 가운데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은 교사연수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tual application of computers in the kindergarten, and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using computers in the kindergarten. The concrete objectives are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of computer application in their teaching activities and effectiveness of present computer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actual use of computers in the kindergarten such as the method of computer application, the criteria to choose a computer program, the method to get information about computer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200 teachers of 80 kindergartens practising computer education in Chung-nam Province were sampl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alysis, and χ²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career felt more need for computer application than the teachers with under 5 years career, four-year college graduates more than two -year college graduates, teachers in charge of all day classes more than teachers in charge of half day classes a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ore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58.5 percent of teachers thought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need of computer education was for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2. Most teachers thought the age of five would be the most suitable time to begin learning computers. They also agreed with the fact that teachers themselves must be able to operate computers skillfully. At present Windows and a word processor program were the mostly used computer programs in kindergartens. 3. Regarding the duration of the use of a computer program, most teachers (50.4%) used a program all along with instructing related teaching materials, and the next frequent group of teachers used a program for one or two weeks. 4. To choose the computer program for early children, most teachers considered the ones recommended in teachers' computer training course or by the Educational Office mostly. Then they considered the ones recommended by the president of the kindergarten or peer teachers. When they purchased a computer program, they consider early children's interest most, then educative values, then easiness, then appropriateness, then superiority. 5. 77.2% of teachers preferred to establish special space for computer education, and 69.3% of them preferred to make pairs between the early children who could use computers and the early children who could not for the desirable computer education. And, 51.2% of teachers decided the procedure of computer activity together with their early children. When teachers teach the computer soft-ware, they would consider the degree of difficulty first, and then authority of institute recommended. 6. Regarding the preceding introductory activity of computers, they emphasized the proper way of using computers most, then cautions observed while using computers, then simple computer terms and its functions, and so on. 7. 49.6% of teachers exercised a computer program one or two times, and 40.2 % of teachers exercised it thoroughly before they introduced it to their early children. Most teachers got the information about computer education for early children from the faculty around most, then teachers' computer training course, the related books. Regard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eachers' computer training courses most, then the related books, then acquaintances, then magazines, then TV, then newspap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