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s of ginsenoside Rg3 via inhibiting NF-κB activation in IL-1β-induced A549 cells and human asthmatic lung tissue

        어인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홍삼의 여러 주요 활성 물질 중에서 ginsenoside Rg3가 염증 유도된 기도 상피 세포와 천식환자의 기도 상피조직에서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기전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방법: 기도 상피 세포에 염증 유도를 하기 위해 IL-1β (10 ng/ml)를 4 시간 처리하였다. 염증을 유도한 기도 상피세포와 천식환자의 기도 상피조직에서 Rg3에 의한 NF-κB의 활성억제는 western blotting analysis를 통하여 확인하였고, 마찬가지 방법으로 COX-2의 발현도 확인하였다. 그 후, 천식환자의 기도 상피조직에서 Rg3가 NF-κB에 의해 조절되는 cytokines / chemokines들의 분비량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multiplex assay를 사용하였다. 결과: Rg3는 IL-1β로 염증을 유도한 기도 상피세포에서 증가한 NF-κB의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마찬가지로 천식환자의 기도상피조직에서도 NF-κB의 활성을 크게 감소시켰다. 그에 따라 COX-2의 발현양도 감소시켜 염증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F-κB에 의해 조절되는 cytokines / chemokines 중 IL-4, TNF-α, eotaxin의 분비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비록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IL-6, IL-9, IL-13의 분비량 또한 무처리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Rg3가 NF-κB 기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염증에 관련되어 있는 인자들을 줄여줌으로써 천식치료제로서의 역할을 가진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서 예측할 수 있다.

      • 地區單位計劃區域에서 높이기준에 관한 硏究 : 斜線制限을 中心으로

        어인준 檀國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단위계획은 도시내 일정구역을 대상으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친화적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또는 도시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계획으로 도시의 기능 및 미관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도시내 일정구역에 대하여 도시기반시설 및 건축물 등을 정비하고 가로경관을 조성하기 위한 계획이다. 그러나 도시의 개방감 확보, 스카이라인 조성과 같은 가로경관을 조성하는 건물 높이규제에 필요한 관련기준은 현재 진행중이거나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 있다. 현재까지 도시차원의 계획적 높이기준은 없고. 단지 도로에 의한 사선제한이 본래 취지와는 달리 높이제어의 수단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높이기준의 성격이 도시경관적인 측면까지 고려되어 높이기준의 변화가 예상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과거 일반주거지역의 용적률이 400%의 일괄 적용에서 도시계획법의 일반주거지역의 세분화로 인하여 각 종별 용적률의 차등적용으로 현재의 높이규제에 관한 내용이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로구획별 최고 높이를 산정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기초적인 자료로서 기존의 도로폭에 의한 사선제한 기준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기존 도로에 의한 사선규제 내용의 실효성에 대해 분석하여 지구단위계획에서의 건축물의 높이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함을 원칙으로, 기존의 사선제한에 의한 높이제한기준인 1.5배의 기준의 검토와 타당성을 분석하고 도로폭에서의 높이규정을 검토하고 가로구역단위의 높이제한 여부를 검토하여 도로폭에 의한 높이제한의 기준안 마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중심으로 조사·분석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단위계획구역의 건축규모 현황을 파악한 결과 사례지역 전지역이 대체로 저밀도 개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뚜렷한 중심지 기능이 없이 간선도로변을 따라 주거와 상업이 혼재되어 있다. 지구내부는 소규모 단독주택 주거지위주로 개발되어 왔기 때문에 저층의 조밀한 지구경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지구중심 기능시설의 유치기반이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시 이러한 지구내 불규칙한 협소도로를 정비하고 도시계획구역의 일부에 대하여 토지이용을 합리화하는 반면 도시의 기능과 미관을 증진시키며 지역특성에 맞는 가로구역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도시관리수단으로서의 높이기준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현재까지는 도시차원의 계획적 높이기준은 없고 단지 도로에 의한 사선제한이 높이 제어의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높이기준의 성격이 도시경관적인 측면까지 고려되어 높이기준의 변화가 예상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과거에는 일반주거지역이 용적률이 일괄 적용되어 왔으나 도시계획법의 일반주거지역의 세분화로 인한 각 종별 용적률의 차등적용으로 현재의 높이규제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도로폭에 의한 높이 규제시 사선제한의 기준도 1.5배를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용도지역별로 차등있게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대지형상별, 대지면적별, 도로폭에 따라 사선제한을 적용해 본 결과 법정용적률에 비하여 사선제한의 결과 값이 대부분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1.5배의 사선제한에는 문제가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1.5배의 사선제한의 획일적인 운영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건축물 규모산정에서 사선제한의 근본취지가 결여될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용도지역별 도로폭에 따른 사선제한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일반주거지역의 경우 도로폭 4m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선제한 1.5~1.6배가 적합하지만 6m 도로의 경우는 1.3배가 1.5배의 사선제한보다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도로폭 8m의 경우에는 1.2배, 10m의 도로폭에서는 1.1배의 사선제한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일반상업지역의 경우는 전면도로폭에 의한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다고 사료된다. 도로폭이 4m~15m까지는 대지면적에 상관없이 사선제한 2배의 적용에서도 법적인 기준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도로폭이 25m일 경우에는 사선제한 2배가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되며, 30m 도로의 경우는 1.7배, 35m의 도로에서는 1.5, 40m 도로에서는 1.3배의 사선제한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도로폭에 의한 건축물의 높이 규제시 사선제한의 적용이 1.5배에 한정될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도로폭에 의하여 차등적용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District units plan, as a object for some established district in a city, is a plan to promote a environment-oriented city environment that human will coexist with nature and to be possible a continuous city development & city management and a plan to (consolidate city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buildings for some established district in a city and to build street scenic beauty in order to promote city's function ar-d beautiful sight. However, related standards, which are needed for building's height regulation to decide a street scenic beauty such as security of a feeling for open city and making of sky line, are under consideration and not fixed. Up to now, there is no base height of building in city dimension, but oblique line limitation by street has been operated as a measure for height control, which is different from its original object. Currently character of base 'right of building will be considered by the side of city scenic beauty so that change of height standard will be forecasted. Floor area ratio in residential area was 400% collectively in the past, but due to subdivision of residential area in urban planning current contents for height regulation will be attacked by arguments by different application of floor area ratio in each class. Therefore, this document offers basic data for setting the height of buildings in district units plan by analyzing the propriety of oblique line limitation standards and the effectiveness of oblique line limit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existing road width. Concretely, this document reviews base height limitation of 150% for the existing oblique line limitation, height regulations related to road width, and whether height limitation exists in the existing district in order to establish height limitation standards based on road width. For achieving these research goals, the following information has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First, the current construction scale of areas involved in the district unit plan has been analyzed. All areas have been developed generally in low density and their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have been mixed around a main road because there are no center places. Since small single houses have been primarily developed in internal areas of the district, crowed district environment has been formed and the maintenance base of center facilities is not sufficient. Therefore, irregular narrow roads in the district should be adjusted and land usage specified in urban plans should be streamlined. In addition, height standards should be created as an urban management method in order to enhance urban features and appearance and form area-specific characteristics. Secondly, up to now, there is no base height of building in city dimension, but oblique line limitation by street has been operated as a measure for height control, which is different from its original object. Currently character of base height of building will be considered by the side of city scenic beauty so that change of height standards will be forecasted. Floor area ratio in residential area was applied collectively in the past, but due to subdivision of residential area in urban planning current contents for height regulation will be attacked by arguments by different application of floor area ratio in each class. Therefore, when limiting height according to road width, oblique line limitation is also applied differently based on the purpose of each area rather than applying 150% collectively. Thirdly, the result values of oblique line limtation are generally different from base floor area ratio. This has been found when applying oblique line limitation by land shape, land area and road width, and shows that there are problems in oblique line limitation of 150%. Specially, if the oblique line limitation is applied collectively, its basic purpose that considers road width for each area can be weakened. Analyzed results for the property of oblique line limitation shows that limitation of 130-150% is proper for roads of 6m, while limitation of 150-160% is proper for general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120% is proper for roads of 8m and 110% is proper for roads of 10m. For general commercial areas, they are mainly affected by the width of a front road. Although 200% is illegal for roads of 4-15m regardless of land area, this limitation percentage is most appropriate for roads of 25m. Also, 170%, 150% and 130% are proper for 30m, 35m and 40m roads, respectively. Therefore, when limiting building height according to road width, oblique line limitation is applied differently based on road width rather than applying 150% collectively.

      • 地區單位計劃의 活性化를 위한 建築開發密度에 관한 硏究

        어인준 檀國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district units plan is one of the urban management plans established by combining urban designs and detailed plans as a positive regulation to escape from negative regulations that the use region system has. Besides, this is limited to a specific region in terms of its application scope rather than aiming at the entire city differently from other urban management plans, and is supposed to present a positive guide for the development behaviors that take place on the individual land rather than staying at a negative regulation for development behaviors. District units plans, however, should be promoted by being connected with various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urban improvement projects over the private parts and public parts, but actually many problems are currently being caused with the operation of district units pla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strict situation at the time of being designated as a district units plan region with the situation after the district units plan is operated by selecting sample regions after passing a certain period after the district units plan are established and to present data for activating future district units plan by grasping whether the planning elements are executed in public parts and private parts. The contents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such objective of resear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problem regarding execution of planning elements, the problem regarding the reference floor area ratio, the problem regarding incentive, etc. a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is the problem regarding execution of planning elements at the district units plan region. Sample regions of this study were designated as detailed planning regions in the late 1990s and the district units plan has been executed. Howeve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designating the district and the current situation show that it has been insufficient whether the planning elements have been executed even though 10 years have passed. It shows that the private development to determine the building development density such as building line withdrawal, recommended use, open notice, common building, board size, etc. as well as the public development corresponding to the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road increase, park installation, parking lot installation, etc. in the sample district is also very insufficiently being executed.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private development in the district,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to induce the private development naturally by the district self-governing community positively investing in the securement of urban infrastructure as well as expanding budgets for the public development. Secondly, this is the problem regarding the reference floor area ratio in the district units plans. Currently the district units plans prescribes that upward adjustment of use region is prohibited. Besides, reference floor area ratio should be set lower than allowable floor area ratio, and it is regulated that allowable floor area ratio should not exceed the legal floor area ratio prescribed by the laws regarding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se. Moreover, it is appearing to be the biggest problem to prescribe that reference floor area ratio should not exceed the allowable floor area ratio even if incentive is applied. In case of sample regions, it is prescribed that reference floor area ratio should not exceed 230% and allowable floor area ratio 250% in the third kind of general residence district, and the range of such allowable floor area ratio also includes additional floor area ratio pursuant to the incentive. Due to such downward application of reference floor area ratio, questions from district residents are rising and development desire is lowering.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atic device to promote private development. It is thought that more active private development may be induced if a regulation to mitigate the floor area ratio is prepared by applying legal floor area ratio designated by the laws regarding national land planning and use in terms of reference floor area ratio and by applying excess of reference floor area ratio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incentive for the district units plans in terms of allowable floor area ratio. Thirdly, this is the problem regarding incentive of district units plans. It is thought that currently the problem regarding incentive in the district units plan is lack of consistency, fairness, and flexibility. This is appearing as another cause of reducing private development because practical effects of floor area ratio mitigation pursuant to incentive application is reduced as well as legal floor area ratio is not exceeded even though incentive is actually applied.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atic supplementation to enhance the practical effects of application guide level for the incentive along with application scope of reference floor area ratio and to effectively and reasonably connect the regulation means related to development density such as floor area ratio, building height, building coverage ratio, etc. The district units plan is a plan to induce private development as well as a gradual urban management plan.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district units plan, it is necessary to review continuity and affirmativeness more positively.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realistic guide to grasp the execution situation of district units plans by more deeply analyzing the situation of district units plan region that has been planned and applied up to now and to focus on the realization possibility and actuation of systems by analyzing the problems occurring during application of district units plan guide at present.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관리계획으로서 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용도지역제와는 달리 그 적용범위가 특정지구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계획구역내 일부분에 대해 구체적이고 상세한 계획으로 토지이용의 합리화, 도시기능의 증진, 도시미관의 개선, 양호한 환경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구단위계획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민간과 공공부문에 걸쳐 각종 도시개발사업과 도시정비사업이 연계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구단위계획 계획요소간의 연관관계가 부족하고 도시기반시설의 정비를 민간규제를 통해 부담하기 때문에 계획의 실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용적률 적용기준이 하향조정됨에 따라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면 과거의 용적률 기준보다 현저히 낮아지므로 개발의욕을 떨어뜨리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인센티브 제도를 적용하고 있으나 인센티브의 일관성이나 형평성 문제로 인하여 민간부문의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지구단위계획의 운영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구단위계획이 수립 이후 일정기간이 지난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지구단위계획 구역지정 이전과 이후의 실태를 계획요소별로 비교·분석하고,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계획요소 반영 여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지구단위계획의 제도적·운영적 측면에서 개발밀도 설정에 관한 기준이 지구단위계획의 취지에 부합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지구단위계획의 실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적용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지구단위계획 을 활성화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중심으로 조사·분석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의 계획요소 시행에 관련된 문제이다. 구역지정 당시의 현황과 현재의 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10여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계획요소의 시행여부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지역의 도로 증설, 공원설치, 주차장 설치 등 도시기반시설에 해당하는 공공개발 뿐만 아니라, 건축개발밀도를 결정하는 민간개발 역시 매우 미흡하게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구의 민간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공개발에 대해 예산을 확대하고 도시기반시설 확보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자연스럽게 민간개발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지구단위계획에서의 기준용적률 설정에 관련된 문제다. 현재 지구단위계획에서는 용도지역의 상향조정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기준용적률은 허용용적률보다 낮게 설정하여야 하며, 허용용적률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법적 용적률을 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더군다나 기준용적률은 인센티브를 적용한다 하더라도 허용용적률을 넘을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준용적률의 하향적용으로 인하여 지역주민들의 의문이 제기되고 개발의욕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개발을 촉진시키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기준용적률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법적 용적률로 적용하고, 허용용적률은 지구단위계획의 인센티브 시행에 따라 기준용적률을 초과할 수 있도록 적용하여 용적률의 완화 규정을 마련한다면 좀 더 활발한 민간개발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지구단위계획의 인센티브에 관련된 문제이다. 지구단위계획에서 인센티브는 일관성과 형평성, 유연성의 부족이라고 생각한다. 실질적으로 인센티브적용에 따른 용적률 완화의 실효성이 떨어지므로 민간개발이 저하되는 또하나의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준용적률의 적용범위와 더불어 인센티브에 대한 적용지침도 실효성을 증진시키고 개발밀도와 관련한 규제수단들을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