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휘력 평가도구 개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양효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Research for vocabulary assessment is worthwhile because it is a way to find a new direction in vocabulary instruction. However this area of research has not received any outstanding theoretical result as yet, and actually there is no satisfactory standard vocabulary assessment instruments in place for the leaners.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intends to develop the vocabulary assessment tool and then examine the suitability and suggest the practical use of it. The following summary of this research is listed below.Chapter Ⅰ described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developing a vocabulary assessment tool and then examined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this study's scope and method.Chapter Ⅱ inspec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ssessment tool. Section 1 stated the definition of vocabulary for the vocabulary assessment, and section 2, the general concept for the vocabulary. The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vocabulary and the general concept for the vocabulary is necessary work as well a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urpose,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vocabulary assessment.Chapter Ⅲ stated the purpose,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the vocabulary assessment, selected vocabulary for the assessment, developed the items, and then constituted the assessment tool.Section 1 described the purpose, the goal and the content of the vocabulary assessment for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ection 2 selected the vocabulary for assessment after examining the Korean Language Instructional Vocabulary of Kim Gwang Hae(2003) grade by grade, and the vocabulary of the 5th and 6th grade textbooks. Section 3 inspected the appropriate form for the assessment, and developed the items based on the form and then constituted the assessment tool concerning the contents, the time required, and the number of items.Chapter Ⅳ verified the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vocabulary assessment tool. Section 1 tested the preliminary assessment with two-types of assessment tools and then reconstituted it with the satisfactory items after analyzing them. Section 2 tested this tool and verified the satisfaction of it with 553 students from 17 classes out of 9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nal consistency through Cronbach's α, analyzed elements to inspect the construct validity and inspected the practicality as well. This study analyzed the item by the Classical Inspection Theory and Item Response Theory, and verified the items' satisfaction by the items' difficulty index and discriminant index. Section 3 inquired into the situations that needed this assessment tool for the practical use, and suggested reference materials to analyze the result after assessment.Chapter Ⅴ summarized the study and suggested a few tasks revealed in this study.The vocabulary assessment should be discussed more systematically hereafter. The study of vocabulary assessment will enable educators to teach vocabulary more effectively and the more effective vocabulary instruction will be the foundation for enhancing the communicative ability, which is the purpose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refore, consistent research for vocabulary assessment will enrich the learner's vocabulary and linguistic ability. 어휘력 평가에 대한 연구는 어휘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방법으로서 가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뚜렷한 이론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실제로 학습자의 어휘력을 측정할 표준화된 어휘력 검사 도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어휘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양호도를 검증해보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장에서는 어휘력 평가 도구 개발의 필요성과 목적을 알아보고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살펴보았다.2장에서는 어휘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어휘력 평가를 위한 어휘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2절에서는 어휘력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어휘와 어휘력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은 어휘력 평가의 목표와 내용, 방법을 모색하기위해서 중요하고도 필요한 작업이다.3장에서는 어휘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해 어휘력 평가의 목적, 목표, 내용을 살펴보고 평가대상 어휘를 선정한 후 문항을 개발하고 평가지를 구성하였다.1절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어휘력 평가를 위한 목적과 목표, 내용을 어휘와 어휘력의 개념을 토대로 국어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였다. 2절에서는 김광해(2003)의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와 5,6학년 교과서 어휘를 검토하여 평가대상 어휘를 선정하였으며, 3절에서는 어휘력 평가를 위한 적절한 문항형식을 살펴본 후 이에 의거하여 어휘력 평가문항을 개발하고 제작된 평가 문항들을 평가 내용과 평가 소요시간, 문항수 등을 고려하여 평가지를 구성하였다.4장에서는 개발한 어휘력 평가도구의 양호도를 검증하였다. 1절에서는 두 종류의 평가지를 구성하여 예비 평가를 실시한 후 문항분석을 통하여 양호한 문항을 추출한 후 평가지를 재구성하였다. 2절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 9개 학교 17개 학급 553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후 양호도를 검증해보았다. 신뢰도는 문항내적 신뢰도를 Cronbach의 Alpha값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타당도는 구인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용도도 검토해 보았다. 문항 분석은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에 의거하여 실시하였으며,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를 추출하여 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하였다. 3절에서는 평가도구의 활용을 위하여 평가도구가 필요한 상황을 살펴보고 평가 후 결과를 해석하는데 참고가 될 만한 자료를 제시하였다.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고 논의과정에서 드러난 몇 가지의 과제를 제시하였다.앞으로 어휘력 평가에 대한 논의가 보다 체계적으로 지속되어야 하리라 생각한다. 어휘력 평가에 대한 연구는 효과적인 어휘교육을 가능하게 하고, 효과적인 어휘교육은 의사소통능력 신장이라는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의 실현을 위한 바탕이 된다. 따라서 어휘력 평가에 대한 꾸준한 연구는 학습자의 어휘력을 살찌우고 언어생활을 풍요롭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소집단 활동 구성 방법이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양효순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 있어서 소집단 활동 구성방법이 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소집단 활동 구성 방법 중 동질집단이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소집단 활동 구성 방법 중 이질집단이 정의적 영역에 효과적일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 북제주군 H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으로, 1학급은 동질집단으로 다른 1학급은 이질집단으로 구분하여 총 10주에 걸쳐 매주 2시간씩 영어 수업에 참여하게 하였다. 평가도구로는 영어 의사소통능력 평가지, 정의적 영역(자신감, 흥미도, 자기주도적 학습력, 교우관계)설문 조사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는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인 의사소통 능력 면에서는 동질집단반과 이질집단반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즉 소집단 활동 구성 방법이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는 이질집단반이 동질집단반보다 흥미도, 교우관계의 두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동질집단반, 이질집단반의 중위 그룹 학생들에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이질집단반 상위 그룹에서는 자신감과 교우관계가, 하위 그룹 학생은 흥미도와 교우관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소집단 구성 방법 중 이질집단반이 동질집단반보다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초등학교에서 영어 수업을 하는데 수준별 학습 자료를 준비하지 못했을 때 동일한 학습 자료와 지도법을 사용할 경우 이질집단으로 소집단 활동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향이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grouping styles on English communicativecompetence and the affective domain, specifically interest, confidence, self-study and friend-ma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 1. Same-level group will be more improve than mixed-level group. 2. Mixed-level group will be more effective than same-level group.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two classe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pretested for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Based on this same-level groups were formed and mixed-level group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0 weeks.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tests and a survey over learning interest, confidence, self-study and friend-making were used and their results were us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ame- level groups and the mixed-level group in communicative competence. Therefore, the grouping did not have an effect on communicative competence. Second, the mixed-level group took part in communicative activities with more interest and friend-making.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middle-level students of the same-level groups and ones of the mixed-level group in any affective domain areas. However, the upper-level students of the mixed-level group took part in communicative activities with more confidence and frind-making. And the lower-level students of the mixed-level group took part in communicative activities with more interest and friend-making. In conclusion, the mixed-level group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 learner's affective doma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ed-level grouping is very useful for studying of English in elementary school.

      • 영남 불모산 영산재와 전라북도 영산작법 비교연구 : 나비춤 中 운심게 작법을 중심으로

        양효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영남 불모산 영산재와 전라북도 영산작법을 진행하는 도중 추어지는 나비춤 중 운심게작법을 비교연구 하였다. 또한 영남지방과 전북지방에서 추고 있는 운심게작법의 비교를 통하여 두 지방 운심게작법이 가지는 전체적인 차이점과 한국무용 및 음악적 특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영산재란 서기 830년 당(唐)에서 경학과 범패를 익히고 돌아온 진감국사가 하동 쌍계사에 주석하면서 전래한 범패를 주요 구성요소로 삼아 진행되는 불교의례이다. 영산재는 범패, 작법, 장엄, 도량으로 이루어지며 불교의 예능화를 통해 불교포교 및 대중교화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평을 받으며 서울.경기지방, 충청지방, 전라지방, 영남지방등지에 분포되어 전승되고 있다. 작법중 하나인 나비춤은 특수한 의상과 무구를 지니고 추며 춤사위와 의상등이 불법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 다게작법, 삼귀의작법, 운심게작법등을 포함해 총 18종류가 전해진다. 그 중 운심게작법은 영산재 진행 중 가장 핵심절차인 상단권공 절차에 추어지며 독특한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어 무용학적 연구의 가치를 지닌다. 영남 불모산 운심게작법과 전라북도 운심게작법은 전체적인 구성방법의 차이로 인해 음악적 형식 및 동작의 구성에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음악적 형식을 살펴보면 두 지방 모두 운심공양진언을 어장스님이 범음 하였으나 영남지방은 범음을 중심으로 하고 전북지방은 태징 장단과 구음을 중심으로 하는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한국무용적으로 분석하여 보면 동작의 형태나 미적인 요소, 운심게작법이 가지는 의미 등은 동일하나 춤의 전체적인 이미지는 상이 하다. 즉 영남 불모산 운심게작법은 단순하고 간결하며 고고한 춤사위를 지니고 있는데 비해 전라북도 운심게작법은 춤사위가 유연하면서도 부드럽고 태징 장단과 구음을 바탕으로 진행되다 보니 보다 흥겹고 민속적인 요소가 많이 등장 한다. 본 논문을 진행한 결과 영남 불모산 영산재 운심게작법과 전라북도 영산작법 운심게작법은 원류는 하나이나 영남과 전북이라는 지리적 차이와 각 지방의 상이한 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서로 다른 형식과 구성을 취하며 오늘날에 거행하는 형태로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 한국무용분야 학술연구동향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양효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discipline is establishing firm knowledge systems; to study the knowledge systems of a discipline, analyzing what specific subjects the discipline handles is needed. Bibliometric analysis, one of methods to analyze subject bibliographies, is methodology to study the preferences, types and trends that are expressed through bibliographies; this investigates the way of distribution and deploy of knowledge and traces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discipline by metrically analyzing bibliographies. Although dance is the most primitive way of expression for human, which was generated and has developed with human, there was no philosophical attention or systemic effort for theorization; it was no earlier than the 20th century when dancing began to be recognized as a research area equal to other fields of arts. Studies on Korean dance, which was spontaneously generated and developed by Korean people based on Korean culture and has been handed down to these days' generation, started with the production of the very first master of Korean dance from the Department of Sports at Ehwa Women's University in 1958, and today, 69 universities have a dancing department that off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on Korean dance.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knowledge system with regard to masters' and doctors' thesis on Korean dance will allow for understanding its common problems in today's society an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each genre and finding a future image of Korean dance.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ance is necessary to discuss its identity, and bibliometrically analyz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dance studies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this discuss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knowledge structures of various disciplines using bibliometric analysis; however, merely no bibliometric study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dance, especially Korean dance.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will conduct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titles of masters' and doctors' thesis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asters' and doctors' thesis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I used Krkwic, a Korean language analyze program, to find frequently used words, regulate and systemize the words by grouping similar words.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the thesis, based on the systemized words I analyzed the frequency in the use of names in Korean dance, research trends in each genre and among genres and relations between Korean dance and cultural and art genres, social functions and managerial elemen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studies began to rapidly increase since 2000 and that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increasing. The frequently-used names to refer to Korean dance were muyong, mu and chum; of these, mu was the most frequent. With regard to genres, many studies investigated folk dance. The result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titles and artists of Korean dance indicated that Seon-young Gang had the most frequent relations with titles and artists.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with cultural and art genres showed that Korean dance had the most frequent relations with music that is one of important components of dance and humanities that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Korean dance. Inter-genre 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mperial court dance had frequent relations between humanities while folk dance, ritual dance and new dance with music.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with social functions showed a remarkable relation with education; inter-genre 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ritual dance and new dance had the most active relation with performance while imperial court dance and folk dance with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with managerial elements showed tha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are related to production manage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Korean dance while relations with financial management were insignificant. Although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has remarkably developed since late 1990s including increased multi-disciplinary studies, there still exist many challenges for Korean dance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on this I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an academic system for the name of Korean danc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in-depth studies. Secondly, active multi-disciplinary studies between cultural and art genres and Korean dance genres are needed to suggest an image of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Thirdly, professional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convergent academic system. Fourthly, as studies on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in various fields of arts are rapidly increasing, I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ance studies for the field to develop as a new academic field by adopting the components of art management and started this study. However, due to lack of studies on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this study was not thoroughgoing with regard to the approach of art management.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investigate Korean dance from viewpoints of management and marketing and focus on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overall research trends in Korean dance and clarified the relations among various disciplines. However, the study also has limitations in that a word may be differently understood by difference researchers and the titles of thesises were not sufficient to deduce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dance and various disciplines. I look forward that based on this study many original and professional studies such as combined multi-disciplinary studi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and cultural and social functions will be conducted so that Korean dance will grow as a more systemic field of research. 학문 분야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는 탄탄한 지식체계를 형성해 나가는 일로서 학문의 지식체계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문헌이 다루는 주제의 분석이 필요하다. 주제문헌의 분석방법 중 하나인 계량학적 분석방법은 문헌의 서지를 계량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문헌을 통한 지식의 배포 및 유통과정을 연구하고, 특정 학문분야의 발달과정을 추적하는 등 문헌을 통해 표출되는 지식의 속성과 형태, 동향을 연구하는 방법론이다.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표현수단으로 인류와 함께 생성, 발전되어 온 예술인 무용에 대한 철학적 주목이나 이론화의 시도를 위한 노력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20세기에 들어서면서야 비로소 다른 예술분야와 동등한 지위를 지니는 연구영역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우리 민족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발전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는 한국무용에 관한 연구는 1958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에서 한국무용분야의 석사가 처음 배출된 이후 69개의 대학 및 대학원에 무용학과가 설치되어 각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무용 이론 및 실기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무용 석·박사학위논문 관련 지식체계를 조사 ․ 분석한다면 오늘날 우리사회가 가지고 있는 한국무용에 대한 공통된 문제점은 물론 한국무용분야의 장르별 발달 과정도 관찰 할 수 있으며, 한국무용이 추구하는 미래상의 발견도 가능할 것이다. 한국무용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한국무용의 현재 모습을 파악하는 연구이며, 한국무용분야 연구의 지적 구조를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국내외적으로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적구조를 규명하는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어 왔으나 무용 분야 특히 한국무용분야의 계량서지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은 형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분야 석․박사 학위논문의 서명을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한 후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한국무용분야 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도별, 대학별 논문 발표현황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분석 프로그램인 Krkw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높은 빈도를 보인 단어를 찾아 통제작업을 거친 후 유사단어를 묶어 단어 체계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한국무용분야 학위논문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체계화된 단어를 바탕으로 한국무용명칭의 사용 빈도분석, 한국무용분야 장르별 ․ 장르간 연구동향, 문화예술장르, 사회적 기능, 경영요소와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대에 들어 한국무용분야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며 다양한 주제와의 복합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한국무용의 명칭으로는 무용, 무, 춤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중 ‘무’ 라는 단어를 사용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르별로는 민속무용 장르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한국무용 작품명과 무용가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무용가 강선영씨가 작품명 및 무용가들과 가장 빈번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문화예술장르와의 연구동향 분석결과 무용의 중요 구성요소인 음악, 한국무용의 사상적 기반이 되는 인문학과의 관계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장르별 관계분석에서는 궁중무용은 인문학과 민속무용, 의식무용, 신무용은 음악과의 관계형성이 활발했다. 사회적 기능과의 연구동향에서는 교육과의 관계가 돋보였고 장르별 관계분석 결과 의식무용, 신무용은 공연과 궁중무용, 민속무용은 교육과의 관계가 가장 활발했다. 마지막으로 경영요소와의 관계 분석에서는 한국무용 제작에 깊은 관련이 있는 생산관리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재무관리와의 관계형성은 미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90년대 후반부터 예술경영을 비롯한 다양한 학제간의 복합연구가 증가하는 등 한국무용분야 관련 연구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나 학문의 한 고유영역으로 정착하기 위해선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재해 있음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국무용 명칭 사용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무용 명칭의 학문적 체계를 정립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무용분야의 새로운 발전상 제시를 위해 문화예술과 한국무용분야 각 장르간의 활발한 복합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국무용분야 관련 연구가 복합적이고 융합적인 학문적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제간의 연결성을 가진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다양한 예술분야의 예술경영 도입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무용분야 역시 예술경영적 요소를 받아들여 새로운 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한국무용분야 연구의 현 주소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한국무용분야의 예술경영 도입에 관한 연구물 부족으로 인하여 예술경영적 시각에서 접근하는 점이 미흡하였다. 그리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경영 및 마케팅적 측면에서 한국무용분야를 바라보고 예술경영을 접목시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무용분야가 학문적으로 발전하는데 있어서 전체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다양한 학제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본 연구 진행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동일 단어라도 연구자별로 의미 해석의 차이를 가질 수 있으며, 분석대상인 학위논문 서명이 한국무용분야와 다양한 학제간의 관계 도출에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 있는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연구자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무용분야의 예술경영 도입 및 문화예술 ․ 사회적 기능과 관련된 복합연구 등 다양한 학제간의 독창적이고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한국무용분야가 좀 더 체계적인 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