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commerce 컨텐츠 설계 및 구현

        양혜연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M-commerce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생성하고 있다. 지금은 엔터테이먼트 분야가 대부분이며 특정한 기업이나 대학교 등을 알리는 목적의 컨텐츠들은 많지 않다. 아직까지는 좁은 액정 화면과 비싼 요금제 그리고 노인층에게는 인터페이스 면에서 어려운 점이 많다. 엔터테이먼트 분야 보다는 특정대상을 홍보하고 간단하면서도 꼭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컨텐츠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commerce 컨텐츠를 특정대상을 알리는 위주의 컨텐츠로 설계하고 구현한다. 설게 할 컨텐츠인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폰페이지’는 대학생활에 필요한 학과 공지사항이나 교수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명록에 자신의 의견을 간단히 남기고 간단한 설문조사도 가능하다. 특정대상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대상에게 꼭 필요로 하는 부분과 선호하는 점으로 구성된다면, 엔터테이먼트 위주의 컨텐츠 보다는 훨씬 효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 한다. M-commerce is creating various contents. For now, most of them are centered on the entertainment sector and few falls into the category of information about businesses and universities. And currently, contents of M-commerce present some shortcomings such as narrow liquid crystal display, high rate and specially, interface problems to senior citizens. Also, new contents need to be developed which are simple, offers essential information, and advertise certain targets, rather than entertainment-related ones. For M-commerce contents, this research designs and embodies contents that inform people of certain targets. The contents that we will design, 'Phone Page of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of Kyungnam University' not only enables user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notice from one's department and professors on real-time basis, but also to conduct brief poll and leave one's opinions on the guest book. Since the contents are targeted to specified object, it will be made up of things that its users need and like and therefore, will be much more effective than entertainment-centered contents.

      • 블렌디드 러닝에서 패들렛(Padlet)을 활용한 개인화 활동이 영어 의사소통 역량 및 학습 자기주도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양혜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9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학교 수업은 대면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형태를 통합하여 진행하는 블렌디드 러닝을 진행하게 되었다. 영어 교과의 특성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을 주로 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온라인 수업은 대면 수업보다 의사소통의 한계가 있어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도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모색해야 한다. 또한,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생 스스로 참여하려는 의지와 개인적 책임이 중요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학습 자기주도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학습을 통합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역량과 학습 자기주도성을 신장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방법으로는 개인화를, 도구적 측면으로는 온라인 게시판인 패들렛(Padlet)을 선택하였으며, 연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패들렛은 온라인 게시판으로 동시 접속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게시물이 포스팅되어 이미지, 링크, 파일 첨부 등이 가능하다. 패들렛은 많은 사람들의 게시물을 한눈에 볼 수 있고, 게시물을 통해 의견 등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내용적인 측면에서 학생들이 게시하는 자신의 자료나 이야기는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이때 활용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생들에게 개인화 활동을 제공한다. 개인화(Personalization)는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언어 학습과 사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경험이나 생활에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의사소통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다. 이에 패들렛을 활용한 개인화 활동이 학생에게 영어 의사소통 역량 및 학습 자기주도성의 증진을 가져오는지 탐색하기 위한 연구를 계획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에서 패들렛(Padlet)을 활용한 개인화 활동이 영어 의사소통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는가? 둘째, 블렌디드 러닝에서 패들렛(Padlet)을 활용한 개인화 활동이 영어 학습 자기주도성 증진에 도움이 되는가? 먼저, 관련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초등영어교육에서의 패들렛의 활용 방법과 개인화 영어학습의 교수·학습활동을 분석하고 연구 방법을 개발하였다. 코로나 팬데믹 로 인하여 블렌디드 러닝 교육 환경에 있었던 제주시 S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총 58명을 대상으로 실험반과 통제반을 설정하여 영어 수업 시간의 16주간 21차시의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양적연구의 도구로는 사전-사후 영어 의사소통 역량 자가평가, 사전-사후 영어학습주도성 측정(SDLLRS), 질적 연구의 도구로는 패들렛을 활용한 개인화 영어 활동 관찰 및 질문지와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에서 패들렛을 활용한 개인화 활동은 통계적으로 통제 집단에 비해 초등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영어이해능력, 표현능력, 의사소통전략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더불어 학생들의 게시물 관찰 결과 의사소통의 이해능력과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고, 댓글로 소통하는 등 의사소통의 간극을 줄여 의사소통의 효율을 높였다. 또한, 다른 학생들의 게시물을 통해 모델링이 되며, 게시가 곧 발표가 되는 특수한 환경으로 모든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는 모습을 통해 의사소통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에서 패들렛을 활용한 개인화 활동은 초등 학습자의 영어 학습 자기주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패들렛을 활용한 개인화 영어 활동은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책임감, 영어학습 동기, 영어학습방법의 주도성 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들은 패들렛을 활용한 영어학습에 많은 흥미와 책임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실력이 향상되어 뿌듯하다거나 더 공부해야겠다는 학습 동기 증진의 면모를 보여주어 자기주도성이 증진된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인화는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어 학습자의 주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독립적 학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하여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초등 학습자의 독립적 학습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블렌디드 러닝에서 패들렛을 활용한 개인화 영어학습은 초등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 역량과 자기주도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역량을 제고하고, 자기주도적 영어학습능력을 향상하여 앞으로 코로나 팬데믹이나 4차 산업혁명의 변화하는 교육 현장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활동의 예들을 제시하였다. 패들렛을 초등영어 수업에 적용하고, 교수·학습방법의 측면으로 학생들의 개인화 활동을 도입하여 온라인 수업과 대면 수업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영어 수업 방법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온라인 도구와 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개인화 영어활동은 학생들의 긍정적인 영어학습의 인식과 기초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앤더슨의 비평 모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양혜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Visual images such as video contents or image-based social media constitut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information generated and consumed by people these days. With the development of IT and emergence of various applications, it has become very convenient to generate, edit, and consume images. However, there is a risk of uncritically accepting the values or messages hidden in them at the same time. Therefore, modern people are required to build an ability to select what they need from a flood of visual information, judge the values of information, and enjoy them thereafter. In this background, critical thinking is in a limelight as one of the core abilities required on talents in the 21st century. Critical thinking is referred to as an ability to logically identify the subjects prior to accepting certain opinions or behaving in a particular way and make the best decision based on specific grounds (Myung-sook Kim, et al. 2002). Among the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component of critical thinking, means values or attitudes for people to exert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their lives and, hence, more directly influences on daily lives. Critical thinking can be more activated when utilizing both verbal subjects and non-verbal subjects (Myung-sook Kim, et al., 2002).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critical thinking with art education. Art education in modern era values advanced thinking skills dealing with concepts or cognitive contents beyond expressive activities. Among many of the art fields, art criticism activity is closely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As critical thinking and criticism are of a behavior of making logical judgment, they essentially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educational art criticism model by Anderson where learner-oriented constructive learning is available has been applied to identify how art criticism education influence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students. In addition, class has been developed with works and topics that have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to diversify the art criticism cla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rt criticism class with diverse topics identifying how art education applied with educational art criticism model by Anderson influence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rt criticism education and critical thinking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criticism and critical thinking. Secondly, the area of art appreciation in <Art> class from revised curriculum of art in 2015 and textbooks officially approved for high school have been analyzed developing the class program based on analyzed contents. Third, a single group of 27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D located in Seoul was organized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proceeding art criticism class developed earlier for 3 sessions online. Fourth, pre- and post-test was conduc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st questionnaires developed by Dong-woo Lim (1996) by re-organizing the test questionnaires fro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Gyung-chul Huh, et al., 1989; 1990). Fifth, SPSS program was used to conduct paired t-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research class. With them, class outcomes such as activity log, critical review, or practice work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research derived from them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rt class applied with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turned out no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investigation results and class outcomes to identify the reasons, the entire class period and whether class members interact with each other turned out to be a variable. In this study, research class was conducted online due to COVID-19. However, teaching and learning seem to be required in long enough period to make significant change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t the same time, it seems that rapport and interaction are required on class members.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class outcomes, there was a distinctive deviation in the level in activity sheets to criticize works and write reports more than the activity sheets from expressive activities. Students shared stories with others on fin art works as an assignment of the research class and wrote reports with their opinions. There seems to be a possibility that original linguistic abilities or writing skills of students influenced on criticizing ability or critical reviews. Thir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or concern of students o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with the class. Most of the students had no experience in art appreciation or criticism in class. However, they have witnessed an increasing interest in appreciation and criticism through the research class and responded how they were to be able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activities in the future.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rt criticism classes with more diverse topics. Conclusion was drawn in this study that art class applied with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turned out no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However, this study is educationally meaningful in that it measured factors (class period and interaction of class members) working as a variabl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ile finding a possibility that writing skills of learners might have influenced on art criticism learning. It seems to be required to develop art criticism classes in more diverse modules to promote active interactions among class members while securing enough sessions of the clas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d problematic circumstances to occur in online learning circumstances and their significances. In this study, face-to-face instruction was originally planned in the classroom like previous studies. However,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was switched to online class due to COVID-19. Online class is anticipated to be more activated from now on. Therefore, more in-depth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on online art classes at school. 오늘날 우리가 생산하고 소비하는 정보 중에는 영상 콘텐츠나 이미지 중심의 소셜 미디어와 같이 시각 이미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IT 기술이 발달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등장하면서 이미지를 생산과 편집, 소비가 매우 수월해졌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그 안에 숨은 가치관이나 메시지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게 될 위험이 있으며 현대인들에게는 방대한 양의 시각적 정보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선별하고, 가치를 판단하여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비판적 사고는 21세기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비판적 사고란, 어떤 견해를 수용하거나 행동하기 전에 논리적으로 대상을 파악하고 근거를 가지고 최선의 판단을 내리고자 하는 사고이다(김명숙 외, 2002). 그 중 비판적 사고를 구성하는 요인 중 하나인 비판적 사고 성향은 우리가 실제 삶을 살아가면서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발휘하게끔 하는 가치관과 태도 등을 의미하며, 실생활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판적 사고는 언어화된 대상 뿐만 아니라 비언어화된 대상까지 활용할 때 더욱 활성화될 수 있는데(김명숙 외, 2002), 이러한 사실은 미술교육을 통한 비판적 사고 함양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현대의 미술교육은 표현활동 중심을 벗어나 개념이나 인지적인 내용을 다루는 고등사고능력도 중시한다. 여러 미술교육 분야 중 특히 미술비평 활동은 비판적 사고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데, 비판적 사고와 비평 모두 대상에 대해 논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행위라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공통된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비평 수업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적 학습이 가능한 앤더슨(Anderson)의 교육적 미술비평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미술비평수업의 다양화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작품과 제재를 가지고 수업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다양한 주제의 미술비평수업을 개발하여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 비평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비평교육과 비판적 사고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미술비평과 비판적 사고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미술> 과목의 감상 영역과 고등학교 검인정 교과서를 분석하고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서울시 소재의 D고등학교 2학년 27명을 단일집단의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앞에서 개발한 미술비평 수업을 총 3차시 동안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동우(1996)가 한국교육개발원(허경철 외, 1989; 1990)의 검사지를 재구성하여 만든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지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연구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활동지, 비평문, 실기 작품 등의 수업 결과물,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검사 결과와 수업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전체 수업 기간과 수업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여부가 변수로 작용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비드 19 사태로 인해 연구수업을 단기간에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충분한 기간을 가지고 교수·학습을 해야 하며 수업 구성원간의 라포(rapport) 형성과 상호작용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수업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작품을 비평하고 글을 써야 하는 활동지가 표현활동의 활동지보다 수준의 편차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연구수업의 과제로 미술 작품에 대해 다른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의 견해를 글로 작성하였다. 학생이 원래 가지고 있던 언어적 역량과 작문 실력이 비평 능력이나 비평문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미술 감상과 비평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향상되었다. 학생들은 대부분 미술감상과 비평 수업의 경험이 없었고, 연구수업을 통해 감상과 비평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으며 앞으로 미술 감상과 비평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보다 다양한 소재의 미술비평수업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변수로 작용하는 요인(수업 기간과 수업 구성원의 상호작용)을 추정하고, 미술비평학습에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수업시수를 충분히 확보하고, 수업 구성원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미술 비평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상황과 유의점을 밝혔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원래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교실 수업을 예상하고 수업을 계획하였으나, 코비드 19 사태에 따라 비대면·온라인 수업으로 교수학습계획을 변경하여 진행하였다. 앞으로 온라인 수업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학교 미술 수업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바일 러닝에서 나타난 자기조절학습 양상에 대한 사례연구

        양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바일 기반 자기조절학습 양상을 이해하고 그 속에 드러나는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모바일 기반 외국어 학습 관련 연구들은 학습자의 인식 조사, 애플리케이션의 분석 및 개발, 교사 또는 연구자들이 주도한 모바일 기반 수업 모형 및 교육 방안의 개발과 적용을 중심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특히 KFL 환경의 해외 학습자들이 모바일을 통해 어떤 한국어 학습 경험을 해 왔고, 모바일 기반 자기조절학습 과정에서 어떤 문제점이 드러났는지, 어떤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다중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중국인 KFL 학습자들의 모바일을 통한 한국어 자기조절학습 양상을 고찰하였다. 사례연구는 실제 세계 맥락 속에서 현재 존재하는 현상을 조사하는 접근법으로서 연구 참여자가 모바일 기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생각과 학습 경험 속에서 전개되는 자기조절학습 양상을 충실하게 기술하고, 학습자들의 행위를 그들이 속한 모바일 학습 환경이란 맥락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로는 중국 국내의 한 한국 유학 준비반에서 한국어를 1년 동안 학습하고 한국 대학교에 입학한 대학생 6명을 선정하였다. 각 연구 참여자별 인터뷰 면담과 모바일 학습 기록, 그들을 가르친 교사와의 면담 자료, 그들이 속하는 교육기관의 보도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IV장에서는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 중국인 KFL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면담 자료와 그들이 활용한 모바일 학습 자료를 바탕으로 그들의 모바일을 통한 한국어 자기조절학습 양상을 ‘모바일 한국어 학습 자원의 선택과 집중’, ‘모바일을 통한 한국어 학습 공동체 구축’, ‘모바일 한국어 학습 콘텐츠에 대한 점검, 활용 및 가공’, 그리고 ‘모바일 한국어 학습 환경에 대한 통제’ 등 4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V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시사점은 ‘모바일을 통한 한국어 자기조절학습의 교육적 가치’, ‘모바일 기반 한국어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대한 지도’, ‘모바일 기반 한국어 자기조절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촉진’ 등 3가지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다중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중국인 KFL 학습자들의 모바일 기반 한국어 자기조절학습 양상에 주목하여 그 속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패턴과 문제점을 밝힘으로써 모바일을 통한 자기조절학습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연구가 아직까지 발표되지 않는 가운데 처음으로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 첨단 매체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미래 세대를 위한 보다 효율적인 모바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같은 노력들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mobile-assisted self-regulated learning patterns of Chinese KFL learners and examining the problems they face. Until now, most studies in mobile-assisted foreign language learning are focused on specific topics, including learners' perceptions,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applications,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bile-assisted classroom models and educational methods. Insufficient attention has been paid to learners’ perspectives and voic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KFL. And questions remain to be answered include: what kinds of Korean learning experiences have been made through mobile, what problems have been revealed in their mobile-assisted self-regulated learning process, and what are the needs of KFL learners. With this awareness in mind, this study adopts the multi-case study method to examine Chinese KFL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pattern in the mobile learning environment. As an apporach that investigates current phenomena in the context of the real world, case study is a suitabl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as it helps understand KFL learners’ behaviors in the context of the mobil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participants, six Chinese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who had studied Korean for one year in preparation for their overseas studies in Korea universities. Various kinds of data are collected and analyzed, including interviews and mobile learning records for each participant,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taught them, and press releases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to which they belong. Therefore, Chinese KFL learners’ self-regulated mobile learning patterns could be analyzed by considering four aspects, which includes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f mobile Korean learning resource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mobile learning community’, ‘inspection, utilization and processing of mobile Korean learning contents’, and ‘control of the mobile Korean 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ly, the implications to be applied to Korean education are 'educational value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Korean through mobile', 'instruction on mobile-assiste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and 'facilitation of interaction in mobile-assisted self-regulated learning of Korean'.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the first attempt to focus on the mobile-assisted self-regulated learning aspects of Chinese KFL learners and reveals common patterns and problems during their learning process by using the multi-case study method.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understand the new generation of learners who are proficient in using cutting-edge media including mobile devices in deep and present them with a more efficient mobi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 중국유학생의 스포츠활동을 통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적유대감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혜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중국유학생의 스포츠활동을 통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적유대감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스포츠사회학전공 양 혜 연 본 연구는 스포츠활동을 하고있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적 유대감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중국유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300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1.0 Versio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및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선형회기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유대감, 대학새생활 적응의 차이에서 학년, 체류기간, 한국어능력, 스포츠활동 횟수, 스포츠활동 시간, 스포츠활동 기간, 학비부담, 거주형태, 최종학력, 입학동기, 종교, 출생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적유대감에 있어서 사회적 유대, 사회적 비유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사회적 유대, 사회적 비유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대인관계에 있어서 유대감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있어서 사회적적응, 학업적적응, 정서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사회적적응, 학업적적응, 정서적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대학생활 적응은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이다. 넷째, 사회적 유대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있어서 사회적적응, 학업적적응, 정서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유대감이 높아지면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대감이 높아질수록 대학생활을 적응하기 수월하다는 연구 결과 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유학생들이 스포츠활동을 통해서 일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해소함으로써 원만한 대인관계와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rough sports activities on the social ties and adaptation on college life Hye-Yeon, Ya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The study trie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the social ties and adaptation on college life by target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he study targeted 330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 survey data of 300 people were analyzed and used in the study. For the collected survey,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by utilizing SPSS 21.0 version program which is a statistical program. Also,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differences of cultural adaptations tress, social ti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variable,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year, length of stay, Korean language ability, frequency of sports activities, the amount of time for sports activities, period spent for sports activities, tuition fee, type of residenc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motive for admission, religion and origin of birth. Second, for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the social ties, it influenced meaningfully on the social non-ties. When the social adaptation stress goes up, it influenced negatively on the social ties and social non-ties. This means that the elevation of stress leads to the decline of a sense of connectednes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rd, for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it influenced meaningfully on the social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and emotional adaptati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fluenced negatively on the social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and emotional adaptation. This means that the elevation of stress leads to the decline of college life adaptation. Fourth, for the social ties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it influenced meaningfully on the social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and emotional adaptation. Elevation of social ties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means that the elevation of connectedness leads to easy adaptation on the college life. The study judges that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an relieve par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rough sports activities. Moreover, sports activities would help an amic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by relieving the stress.

      • 다문화언어강사가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양혜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다문화언어강사가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다문화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 이를 통하여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다문화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교육적, 정책적 지원을 위한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언어강사는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다문화언어강사와 접촉한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은 개인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다문화언어강사는 초등교사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다문화언어강사와 접촉한 초등교사의 다문화 인식은 개인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문화언어강사가 처음 배치되는 2개 학교의 3학년, 5학년 학생 500명과 교사 39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학생의 경우 자연 성숙 및 일반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교육과의 비교를 위하여 인근지역 학교 3학년, 5학년 학생 278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다문화 인식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일원변량 분석,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언어강사와 접촉한 학생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보다 다문화 인식이 높았으며, 교사 실험집단 역시 이중언어강사와 접촉하기 전 보다 접촉한 후의 다문화 인식이 더 높았다. 또한 학생 실험집단과 교사 실험집단을 개인적 배경에 따라 구분하여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학생의 경우 다문화언어강사는 외국어 실력이 낮은 학생의 다문화 인식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교사의 경우는 다문화 관련 교사 연수를 이수한 경험이 있는 교사의 다문화 인식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이를 통해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언어강사가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으로써 학생 및 교사의 다문화 인식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확인 되었으므로 다문화언어강사를 학교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언어강사라는 구성원이 학교 안으로 들어옴으로써 소통하고 협력하기 위하여 구성원들이 함께 노력하고 시행착오를 겪고 수정해 나가며 성취감과 안정감을 얻는 과정 자체가 다문화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현역 교사의 다문화 역량을 기르기 위한 다문화 교육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야 하며, 교사들도 빠르게 다문화 되어가고 있는 교육 현장에 발맞춰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 교육에 있어서 다른 어떤 것보다도 교사의 태도가 핵심적이며, 교사의 다문화적 지식 습득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례와 심층적인 연구 방법으로 질적연구를 통한 다문화언어강사와 학생, 교사의 접촉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지역 기반 고령 친화 정주 환경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양혜연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저출산‧고령화와 기대수명의 연장은 많은 나라에서 노인복지예산의 지속적 증가로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나아가 조기 은퇴는 예비고령기부터 노년기 지역 정주가 시작되며, 이는 ‘살던 집’에서 돌봄을 강조하는 탈시설화 담론으로부터 시작된 Aging In Place(AIP)에서 나아가 활동적인 노년기를 보내며 지역 사회 계속 거주를 지향하는 Aging In Community(AIC)로의 전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동시에 인구성장기 초등학교 보행권 중심이었던 페리의 ‘근린주구론’에서 나아가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부합하는 지역계획 패러다임 변화도 불가피하다.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지역 사회 역할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이에 이론적 접근에만 머무르지 않고 지역계획의 패러다임 변화와 고령 친화 정주 환경 조성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로서 이론적 고찰을 통한 ‘지역 기반 고령 친화 정주 환경 조성의 개념적 틀’을 정의하고, ‘지역 특성별 정주 환경 모형’과 실제 실현을 지원하기 위한 ‘실행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3단계의 조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1단계로서,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행정구역별 주거 사정 및 지역 이동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서울‧수도권과 제주 지역을 노년기 AIC를 위한 인식조사 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 2단계는 심층 인터뷰를 통한 인식조사로서 연구참여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1) 주거 측면 (2) 지역 인프라 측면 (3) 생활 지원 서비스 측면 (4) 커뮤니티 연대 측면 등 4가지 정주 요소에 대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노년기 고령 친화 정주 환경에 대한 지역별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를 고찰할 수 있었다. 나아가 3단계로서 고령화가 먼저 진행된 일본의 사례에 대한 현장 조사를 접목하여 고령 친화 정주 환경 조성 내용과 접근 방안을 모색하였다. 앞서 3단계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을 종합하여 ‘지역 속성 기반 지역 분류 체계’를 수립하고, ‘지역 유형화 매트릭스’ 및 ‘고령 친화 정주 환경의 개념적 모형’을 제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일부 인식조사 연구참여자의 거주 지역에 대해 예시적인 지역유형별 고령 친화 정주 모형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지역유형별 정주 모형은 다르더라도 고령 친화 정주 환경을 위해 공통으로 고려해야 할 정주 요소별 구현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주택‧주거의 측면으로 노년기 세대 구성의 변화 상황, 경제적 상황, 신체적 상황 등에 따라 선택 가능한 주거유형이 지역 내에서 공급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 인프라 측면으로 해당 지역 커뮤니티의 구심이 되는 물리적 거점이 마련되어야 하며, 하나의 거점은 단일 기능이 아닌 다양한 기능과 활동을 지향하며 다른 거점과도 연계될 수 있는 복합화, 네트워크화를 추구하여야 한다. 셋째, 생활 지원 서비스 측면으로 커뮤니티 식당, 커뮤니티 컨시어지, 노후주택 유지‧보수지원센터와 같은 생활 밀착 서비스들을 지역 내에 마련하여 안락한 AIC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지역의 시니어 일자리로 연결하여 지역 인적 자원의 선순환과 액티브한 노년기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커뮤니티 연대는 일상에서 자연스러운 연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내‧외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의 적극적 활용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귀향 지원, 단기‧장기 이주 지원을 위한 정부 주도 통합 창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지역’을 강조한 것은 고령 친화 정주 환경 관련 정책과 사업들이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 방향으로 적용되는 것을 지양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한 ‘지역 기반 고령 친화 정주 환경 조성의 개념적 틀’, ‘지역 특성별 정주 환경 모형’, 그리고 실제 조성을 위한 ‘실행 접근 방법’이 향후 수행될 다양한 정주 환경 개선 사업에 기초 도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declining birth rate, population aging, and the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are coming as a burden in many countries due to the rising costs associated with healthcare, pensions, and social services for the aging population. Furthermore, as the retirement age has advanced, the trend of regional settlement among retired elderly is now choosing to settle in specific regions at an earlier stage, even before reaching age 65.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transition from Aging In Place, which began with the discourse of deinstitutionalization emphasizing care in the ‘living house’, to Aging In Community, which aims to continue living in the community while spending active old age. At the same time, it is inevitable to change the paradigm of regional planning by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going beyond ‘the Neighborhood Unit Principle’ of C.A. Perry, which was the community around the elementary school's pedestrian area during the population growth period.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local communities in a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Accordingly, the study aimed to propose a systematic framework and approach that could be applied to changes in the paradigm of regional planning and the creation of an aging-friendly settlement environment beyond a theoretical approach. As a concrete result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conceptual framework for creating an aging-friendly settlement environment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o present an 'aging-friendly settlement environment model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 'practical implementation 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hree-step investigation method. First, as a first step,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conditions and the household transfer between administrative distri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Jeju area were selected as regions for surveying on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Aging in Community (AIC) among the elderly. In the second stage,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conducted on the factors of senior-friendly settlement in the area where the research participants live: (1) residential aspect, (2) local infrastructure aspect, (3) life support service aspect, and (4) community solidarit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regional perceptions of the elderly-friendly settlement environment. Furthermore, as a third step,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content and approach of creating an aging-friendly settlement environment by incorporating field research on the case of Japan, where population aging took place earlier than the Republic of Korea.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vious three-step research method,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n 'hierarchy of regional classification based on regional attributes', and to propose a 'regional typology matrix' and 'conceptual model of an aging-friendly settlement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examples of aging-friendly settlement models were presented for each regional type, considering the residential areas of selected participants from the perception survey. The emphasis on ‘region’ in this study is to avoid the uniform application of policies and projects related to the aging-friendly settlement environment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ugges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such as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creating a region-based aging-friendly settlement environment,' the 'settlement environment model by region type,' and the 'execution approach' for project support, provide a basis for implementing various improvement project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ful as project tools.

      • 부모의 언어통제와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양혜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언어통제를 아동이 어떻게 인지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아동의 정서적 경험에 차이가 있을거라는 가정 하에, 부모의 언어 통제가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정도가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