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기기기의 절연 상태 평가 기법 개선에 관한 연구

        양진규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lifetime of the stator winding insulation is reduced when operated with PWM inverters, since insulation degradation is accelerated due to increased thermal and electrical stresses on the motor. Especially, turn insulation is a vulnerable component and its failure results in a large circulating current within the faulted loop, which causes overheating and can rapidly progress into groundwall insulation failure. Primary topic of this paper is a new approach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tator insulation for failure-prone inverter-fed machines. The main concept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to apply a DC and/or variable frequency AC test voltage to the stator insulation using the inverter, to perform standard off-line insulation tests whenever the motor is not operating. This allows the stator insulation to be test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off-line tests performed once every 3-6 yrs. during periodic maintenance. Two methods for testing the insulation with minimal modifications to the inverter circuit are proposed and verified experiment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provides a simple low cost solution for detecting stator insulation degradation at an early stage for reliable operation of inverter-fed machine systems, since the insulation condition can be monitored frequently. The surge test is the only method available for testing the integrity of turn insulation; however, it is a pass/fail test that only shows an indication provided that an arc is instigated between turns, and therefore does not have “monitoring” capability. In addition, there are concerns regarding the high voltage surge applied to the turn insulation as it is higher than what is applied during normal motor operation. The surge PD test measures the PD activity under surge excitation, and is used for evaluating PWM inverter-fed motors for existence of PD. In this paper, the surge PD test is evaluated as a predictive maintenance tool for turn insulation quality assessment. The IR, DC hipot, surge, PD, and surge PD tests are performed on random wound stator windings under accelerated thermal degradation for comparison. It will be shown that the PDIV and PD magnitude of the surge PD test provides an early indication of turn insulation degradation before any other insulation test under comparison. The result of this test shows that the surge PD test has a potential of providing early indications of turn insulation problems under lower voltage surge excitation. The proposed techniques not only help prevent forced outages and safety risks due to insulation breakdown, but also help perform maintenance in an efficient manner since individual motor maintenance can be prioritized and scheduled based on its present condition.

      • 지역사 자료 활용 수업을 통한 고등학생의 지역 정체성과 역사의식 변화 : 나주 지역을 중심으로

        양진규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나주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 자료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역사 교육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교수 학습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지역 정체성과 역사의식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나주시에 위치한 00고등학교 1학년 6개 반 121명(남학생 52명, 여학생 69명)으로 2022년 3월 2일부터 2022년 6월 30일에 걸쳐 분산적 접근을 통한 역사수업과 2022년 5월 16일부터 2022년 5월 27일까지 주제 탐구학습 및 나눔 활동을 위한 시간으로 편성하여 나주시의 역사와 문화에 집중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주당 2시수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사 자료 활용 수업에 의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계적 유의성은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지역 정체성 형성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며 지역사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역사 수업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현장 체험학습이라 응답함에 따라 수업 내용과 관련 있는 지역의 역사적 유물이나 유적, 향토와 유관한 자료 등의 자원과 연계한 체험학습이 이루어진다면 더 현실감 있고 생동감 있는 역사 수업이 될 것이며, 역사에 대한 흥미가 높아지고 국가사와 지역사의 상호 관련성 속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나주 지역 역사 공부에 대해 ‘흥미가 없다’라고 설문한 학생들을 위한 동기부여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매우 흥미 있을 것이다’라고 응답한 학생들을 위한 심화학습과 탐구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재개발 및 창의적 체험활동 연계 활동이 학교 현장에서 고민해 볼 사항이라 판단된다. 수업 후 나주의 역사 교육 활동은 만족과 매우 만족이 높은 것(71.1%)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사 자료 활용 수업 전·후 나주 역사 관심도, 나주 역사 이해도, 지역 역사의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사 자료 활용 수업 후 나주 문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나주 이미지는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더불어 역사의식이 성장하고 지역 정체성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역사 자료를 활용한 역사 수업 이후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흥미, 지역에 대한 관심, 애착도, 책무성, 관여도 등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역 정체성의 형성뿐만 아니라 문제의식을 가지고 역사를 바라보는 역사의식도 성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수업 시간의 부족과 교과 진도 문제,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 자료의 부족, 활용 방법의 미숙 등으로 실제 현장에서 지역사 수업은 매우 빈약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들은 역사 교육에서 지역사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다양한 수업 자료 및 메타버스 등 가상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초-중-고 간의 연계성 있는 지역사 교육, 유연한 교육과정 편성, 교육청, 대학, 지방자치단체, 박물관, 향토사가 등과의 협력을 통하여 지역사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Learning using local historical site materials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history and develop history education more closely to students by using specific materials around the students. History education using local materials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mmunity. And it will be the basis for a correct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This study suggested a systematic history education plan using local history data, centered on the Naju region. And after applying to the school field, the change of students' regional identit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examin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1 students (52 male students, 69 female students) in 6 classes of 00 high school located in Naju-si, from May 16 (Mon), 2022 to May 27, 2022 (Fri) at 2 hours per week proceeded. For the class, the 3rd hour was designed for the lesson plan from the prehistoric era to the Joseon Dynasty using local history materials of Naju City, and subject exploration and learning was applied. In the third session,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our region was provided as a foundation-building activity, and in the second and third session, each group selected a topic from the prehistoric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and conducted research activities. . In the 3/3 session, students presented the results of their inquiry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the pre-test of regional identity, the mean of regional identity was 2.91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680, and in the post-test, the average of regional identity was 4.24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648. As a result of test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t-value was -15.227, p<.001, indicating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by the class using local history data. Second, when interpreting the responses of 'there is a lot' and 'there is a little' in the study experience survey on the history of Naju at school as the experience of learning the history of Naju,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of Naju was found to be high at 82.6%, but the learning experience 17.4% answered 'not at all', suggesting that learning about local history is necessary. Third, the best method in the history class is field experiential learning, so learners can directly understand many historical relics, relics, and facts related to the local area at the school site through field study. A lively class can be made. Fourth, motivating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or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are 'not interested' in studying the history of the Naju region. It is judged tha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club activities are matters to be considered in the school field. Fifth,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est in Naju history, the understanding of Naju history, the value of local history, and the image of Naju before and after class using local history materials. Sixth, education on Naju culture is necessary after class using local history materials. Seventh,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history course before and after class using local history materials to get increased by more than 10%.

      • 제주도 관광정책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 조직, 법규, 예산을 중심으로

        양진규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인 미래학자들과 연구기관에서는 관광산업을 IT, BT산업과 더불어 미래 3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관광산업을 통한 경제활성화를 위해 관광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정부주도의 관광개발을 해왔다. 하지만 1995년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면서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도적으로 관광개발사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부주도의 획일적이고 개발중심의 관광행정으로 인하여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본 논문은 관광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기존연구동향을 통해서 살펴보고 제주도의 관광정책에 대한 방향 설정을 위한 사전 준비단계인 관광개발에 대한 방향, 행정조직, 공무원의 전문성, 자치단체간의 협력, 법규와 예산을 통한 관광행정의 발전에 대해서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이다. 그 대안으로 제주형 관광정책 개발목표, 관광행정조직의 정비 및 공무원의 전문성 신장 방안,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협력 강화, 관광관련 법규의 제·개정과 예산의 효율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 제주도 관광정책에 대한 방향 설정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면 제주형 관광정책개발 목표에 대한 방안으로는 첫째, 중앙정부의 행정권한 위임을 위한 타·시도 자치단체와 공동 협력 시스템 마련이다. 둘째, 관광정책의 지속성을 유지해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개발과 보존에 대한 정책 철학을 마련해야한다. 관광행정공무원의 전문성신장과 행정조직의 발전방안에서는 먼저 행정조직의 발전방안으로 첫째, 도와 시·군의 관광행정 부서를 통합하여 제주도청에 기구를 두어야 한다. 둘째, 태스크 포스(task-force)와 아웃소싱(outsourcing)의 적절한 조절을 통해 조직구성 하고 운용 해야한다. 셋째, 개방형 임용제도를 활용하여 모든 관광행정기관과 관광협회 및 관광산업발전위원회 등 여러 분야의 관광단체를 통폐합하여 지방관광청을 만들어야 한다. 관광행정공무원의 전문성 신장 방안으로는 첫째, 관광행정 분야에서 경영적 기법이 필요한 부분과 전문적인 분야를 찾아내서 개방형 임용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둘째, 관광행정에 대한 전문적인 재교육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첫째, 특정지역에 대한 관광개발사업에 대해서 경제성과 개발지향성 등을 검토하여 자치단체간 공동개발사업을 하는 컨소시엄 구성을 해야 한다. 둘째, 관광자원에 대해서 공동으로 조사연구와 평가를 통해 객관적이고 보다 정확한 자료를 토대로 개발 가능성, 사업 우선순위, 방법, 규모 등을 평가하여 정책에 반영하여야 한다. 셋째, 자치단체간 협력적 관계를 통해 관광정책에 대한 정보 및 자문을 공유해야 한다. 넷째, 자치단체간 관광상품을 공동으로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자치단체간 관광홍보마케팅을 공동으로 해야 한다. 관광관련 법규의 제·개정과 예산의 효율성 방안으로는 첫째, 가칭 관광정책지원법을 제정하여 다양한 법에 의해 규제되어 있는 관광관련 법령을 통합하여야 한다. 둘째, 관광산업 지원행정을 강화하여 수시로 제·개정되고 있는 법률로 인한 각종 인허가업무 등을 위해 재교육 제도를 상설화 하여야 한다. 셋째, 관광진흥법 및 관광진흥개발기금법을 현실에 맞게 개정하여야 한다. 넷째, 현실적인 관광관련 조례의 제·개정에 적극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경제자유구역인 인천, 부산 등과는 차별화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국제자유도시특별법이 되도록 문제점을 찾고 개선하는데 노력하여야 하며 향후 정부주도에서 지역주도로 권한을 이양 받아야 한다. 예산의 효율성 방안으로는 첫째, 기초자치단체에서 사업계획서를 제출 받아 사업평가를 하고 협의를 거쳐 차등배분을 통해 합리적인 예산지원을 해야한다. 둘째, 자치단체간의 이중적으로 낭비되는 예산을 발굴하여야 한다. 셋째, 예산편성방법을 점증주의 예산제도에서 탈피하고 영기준예산제도(zero base budgeting system)로 바꿔야 한다. 지방화 시대에 관광산업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에는 관광업계와 관광산업종사자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관광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지방자치단체와 공무원도 있다. 이처럼 자치단체와 공무원들이 노력하지 않는 한 우리의 관광산업의 발전은 암담하다. 전국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중 제주도만이 관광산업에 뛰어든 것은 아니다. 최근 타·시도의 관광개발에 거는 기대와 노력 정도를 보고 있노라면 우리 제주도는 자성해야한다. 아직도 바가지 요금이 기승하고 관광지 호객행위, 관광지 절도 사건, 덤핑 관광, 계속되는 항공료 인상 등 관광산업 발전에 악재가 나타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 관광행정 당국에서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아야 한다. Leading future scholars and research institutes are predicting the tourism industry with the IT and BT industries will be high value-added industries in the future. The korean government has initiated a national strategy for the tourism industry in order to activate economy through the tourism industry. As local self-governing is executed in full scale, many local self-governments are trying to develop the tourism business. However, the standardized and development-oriented tourism administration which the government leads has many side effects.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ourism policy by the trend of established research and the direction for tourism development- a preparatory stage for the direction of tourism policy of Jeju province- by the administration system, professionalism of employees, and cooperation among the local governments. This dissertation suggests solutions to such problems. The alternatives are the aim of the development for Jeju tourism policy, readjustment of the sightseeing administrative system and the improvement for employee's professionalism, cooperation reinforcement between large and small scale self-government bodies,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rules related to tourism and the methods for effective budgeting. Specifically, for the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Jeju-type tourism policy are as follows: First, to prepare the cooperation system with other self-governments for government authorization. Second,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tourism policy. Third, to provide a policy philosophy against development and sustainment of self-governments. This disertation also suggests the methods for development of an administration system and increase employee professionalism. The three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an administratio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to integrate all tourism departments of the province, cities, and counties and put the integrated body into the Jeju province. Second, to construct and operate the body through the proper control of task-force and outsourcing Third, to make a local tourism bureau through an open-type employment system. This disertation suggests three methods for strengthening public servants' professionalism tourism in related administration: First, seek out needed the management techinques and professional areas in the field of tourism administration and then introduce an open-type employment system. Second, prepare a special re-educaton system about tourism administration.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large self-governing and basic self-governing bodies, this disertation provides five methods. First, examine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development directivity of tourism development business in the specified areas and make a consortium among the self-governing bodies to develop together. Second, estim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enterprise priority, the possible method, and the size of business by way of collaborative research about the tourism resources and reflect to policies. Third, information and advice in the tourism policy by cooperational relationship among self-governing bodies. Fourth, develop tourism goods jointly. Fifth, develop tourism P.R. marketing together. This disertation also suggests five methods for establishment and amendment of tourism rules. First, establish a law called the rule of tourism policy support and integrate rules -related tourism, which other all kinds of laws are regulating. Second, strengthen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tourism industry and establish a re-education system permanently for all kinds of permission or authorization service by the rules established and regularly amended? Third, change the rules of tourism promotion and the rules of the tourism promotion fund. Forth, try to establish or amend regulations related to actual tourism. Fifth,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find problems and improve in order to make differentiated supports comparing Incheon and Busan, which are free economic areas. In this way, some kind of authorit must be transferred to Jeju province. This disertation also provides three ways to improve budget efficiency. First, a large self-governing body should receive and estimate the business proposal from a basic self-governing body and support the budget rationally by way of discussion and differential distribution. Second, they should find duplicate spending between self-governing bodies. Third, compilation of budgets must be changed to a zero-base budgeting system from a gradual increase budget system. The motivation to improve the tourism industry in the era of localization come not only from tourism industries and related employees but also from self-government which establishes and administrates tourism policy and public servants. From this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our tourism industry is in jeopardy if the self-governing body and public servants do not try their best. Jeju province does not participate in tourism industry alone among other self-governing bodies in the nation. Facing an expectation and endeavor of other self-governing bodies about tourism development, Jeju province can but reflect on itself deeply. Exorbitant prices are still rampant, theft incidents, dumping tourism and a lasting raise of airfares are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From this point of view tourism administrative authorities must rethink what they should do.

      • 관광정책결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 정책결정 참여자를 중심으로

        양진규 제주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Diversification of the society tends to cause the policy-making process of municipal government to be complex and uncertain amid complex interest, which eventually results in floating or failure of the policy. Thus, for a desirable policy-making, it's necessary to switch to the network system in which the policy-making is carried out through the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among the various policy-implementing participants, breaking from the municipal government's authoritarianism. This study, on assumption that a desirable policy-making would be achievable when a formation of tourism policy network is aimed at the governance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the doers in tourism policy-making process,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Jeju Island's tourism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ase of island's tourism policy-making process in 1990s and the case of establishing the Jeju Tourism Organization in 2000s, thereby proposing the measures to structure and operate the tourism policy network, based on fact-finding investigation. In this study, a fact-finding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hrough case study and survey. In a bid to evaluate the policy network status of Jeju Island, among others, the process of tourism policy-making forum, which was considered one of the typical case of government-led policy making and the case of establishing the Jeju Tourism Organization, which was determined from the policy network standpoint were presented and compared and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summarized. The analysis of the cases indicated that in terms of forming the policy network, the policy-making is done by more diversified participants, compared to those in 1990s, but the influence by municipal government still remains powerful, while the local assembly exercises less-than-expected influence, and the coordination among the residents, the press, agencies supporting the tourism industry and academic circle appeared to be insufficient. In a fact-finding investigation conducted by means of survey, the evaluation was made to the influence which the policy-making participants recognize in tourism policy-making process, recognition on policy environment, recognition on participation method, role of municipal government, recognition on policy research services and the role of local assembly. As a result of fact-finding investigation conducted by means of survey, the following issues were presented. First, the Governance has yet to be settled. Second, discrepancy between the policy-implementing persons exists, Third, policy network pattern has been changed but not enough. To be able to structure the tourism policy network based on outcome of the study, firstly, the authority of the municipal government in policy-making shall be significantly distributed. Secondly, the efforts of civic group to reduce the difference in mutual recognition among the policy-implementing persons are more than important. As part of the measures to effectively operate the tourism policy network, first, the role and responsibility between the municipal government and tourism industry shall be clearly defined. Second, the municipal government, in a bid to determine the tourism policy though the multi networks, should employ the open process than a process behind the scenes in determining the policy. Third, the information on policy-making process shall be provided from various angles. Fourth, the measures to manage the policy research services shall be developed. Fifth, the efforts to make the policy compatible with the policy environment shall be made. Sixth, the local assembly shall make effort to play the appropriate role. Seventh, the influence of policy-making participants shall be evenly distributed. In conclusion, the municipal government, which is the official participant, shall have the will to strengthen the coordination with other participants as well as open the door for the unofficial participants such as tourism circle to activate the tourism policy network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urism industry, civic groups, the press, academic circle and researchers, the agency supporting tourism industry and the residents, though they are unofficial participants, shall positively take part in the policy-making process, with a keen interest. The local assembly, the semi-official participant shall play the bridge role between the municipal government, the official participant and the group of unofficial participants represented by the tourism industry and residents. 사회의 다변화로 인하여 지방정부의 정책결정과정이 다양한 이해관계로 복잡하고 불확실해져 정책표류 또는 정책실패로 이어지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정책결정을 위해서는 지방정부 중심의 권위주의 방식에서 점차 다양한 정책행위자의 참여로 협의와 조정을 통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정책결정과정에서 관광정책네트워크 형성이 행위자 간의 상호작용을 거쳐 거버넌스를 지향할 때 바람직한 정책결정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전제를 갖고 제주도 관광정책의 네트워크 특징을 1990년대는 섬 관광정책 포럼 결정과정 사례, 2000년대는 제주관광공사 설립과정 사례를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고 실증조사를 통해 제주도의 관광정책네트워크의 구축과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제주도의 정책네트워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존 정부주도 경향의 정책결정 사례로 섬 관광정책 포럼의 정책결정과정과 정책네트워크 관점에서 이루어진 정책결정 사례인 제주관광공사 설립과정을 사례로 제시·비교하여 양자의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정책네트워크 형성에 있어서 1990년대에 비하여 현재는 다양한 정책행위자들의 참여를 통한 정책결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지방정부의 영향력이 강하며, 의회의 영향력은 기대 수준보다 약하고, 도민, 언론, 관광산업지원기관, 학계 등은 협력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에서는 관광정책결정과정에서 정책참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영향력, 정책환경에 대한 인식, 참여방법에 대한 인식, 지방정부의 역할, 관광업계의 역할, 정책연구용역에 대한 인식, 지방의회의 역할에 대해서 고찰을 하였다. 사례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에 의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거버넌스(Governance)가 정착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둘째, 정책행위자간의 상호인식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정책네트워크 유형이 변화하고 있지만 미흡하다는 것이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을 토대로 관광정책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는 첫째, 지방정부의 정책결정 권한을 과감히 배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정책행위자간의 상호인식의 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시민사회단체의 노력이 절실하다. 관광정책네트워크의 운영방안으로는 첫째, 지방정부와 관광업계의 역할 방향을 분명하게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정부는 다자간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광정책을 결정하기 위해서 폐쇄적인 정책결정과정이 아닌 공개적인 정책결정과정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관광정책결정과정의 정보를 다각도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정책연구 용역의 관리방안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정책환경에 맞는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지방의회가 역할에 맞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정책참여자의 영향력을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정책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식적 참여자인 지방정부가 다른 정책참여자와의 협력의지를 강화하여야 하고, 관광업계를 포함한 비공식적 참여자들에게 문호를 개방하여야 한다. 비공식적 참여자인 관광업계, 시민단체, 언론, 학계 및 연구원, 관광산업지원기관, 일반도민들은 지방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 관심으로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준공식적 참여자인 지방의회는 공식적 참여자인 지방정부와 관광업계, 도민 등을 포함한 비공식적 참여자와의 가교 역할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 침상에서 연하 검사를 이용한 연하장애의 예측

        양진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We compared bed swallowing test and videofluoroscopy evaluation to asses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edside swallowing evaluation for detecting dysphagia patients. Methods Twenty patients who complained of swallowing difficulty or had potential for dysphagia were enrolled for bed swallowing test and videofluoroscopy evaluation. The bedside swallowing evaluations included gag reflex, laryngeal elevation, tongue pressure and Gugging swallowing Screen (GUSS) test. We compared bedside swallowing evaluation with videofluroscopy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find the correlation with dysphagia. Results GUSS test predicted aspiration risk with sensitivity of 80%, specificity of 66.7%,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0.9% in the 20-patient sample at the cutoff value of 14 poin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videofluoroscopy, which detect gag reflex for delayed swallowing, were 33.3% and 90.9%,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laryngeal elevation test using videofluoroscopy for detecting decreased laryngeal elevation were 87.5% and 58.3%, respectivel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ongue pressure test for detecting abnormal oral phase using videofluoroscopy were 12.5% and 100%, respectively. Conclusions GUSS test showed adequate sensitivity and predictive value in predicting the risk of aspiration. Laryngeal elevation test using videofluoroscopy was still useful for detecting decreased laryngeal elevation in the respect of sensitivity and predictive values.

      • 예술단체의 관객개발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활용방안 연구

        양진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7년의 대한민국은 고령화와 저출산이라는 두 가지 현상이 맞물려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인구변화는 예술단체에 있어서 여러 어려움을 만들 수 있는데 예상되는 문제점으로는 그동안 관객개발의 중심이었던 10~40대 연령의 인구의 감소, 운영을 도와주던 자원봉사자 등 인적자원 모집의 어려움 등을 예상할 수 있다. 때문에 예술단체들은 앞으로의 인구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크리에이티브 에이징은 시니어들에게 생길 수 있는 신체·정신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예술과 같은 창조적 활동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미국의 예술단체인 NEA와 AFTA는 크리에이티브 에이징이 예술단체들이 고령화 사회에 기여를 하면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크리에이티브 에이징'을 국내의 예술단체들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로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활동을 하고 있는 시니어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로 이루어져있다. 이를 통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의 효과가 시니어들에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나아가서는 시니어 층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을 통해' 문화취향을 형성하고 예술단체의 새로운 고객이 될 수 있는지를 확인했다. 연구를 통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이 실제 고령화 문제 해결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시니어층을 적극적인 문화향유계층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민관차원에서 시니어들을 위한 기금마련과 사회적 서비스 확충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예술단체가 적극적으로 시니어들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한다. In Korea, as in most advanced countries, aging is interlinked with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 resulting in a rapidly aging society. This change in the population threatens the operation of arts organizations. Arts organizations in the U.S., which have been operating in an aging society since the 1960s, warn of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recruiting human resources for both management and production, the reduction in the size of audiences, and decreases in visitors’ disposable incomes due to population changes. In Korea, domestic arts organizations tend to focus on young (under 40) audiences and, predictably, have problems similar to those in America. Yet, creative aging is also an opportunity for arts organizations, which can engage the elderly in creative activities to help address their physical, mental,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In my research, I found that creative aging programs can help form seniors in Korea into a new cultural resource: participants and audience members for organizations’ art and cultural activities. Thus, my research analyzes the established foundations of support for arts organizations, in bot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nd demonstrates that older audiences present to arts organizations an opportunity for audience development.

      • 경마산업의 서비스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양진규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istory of horse racing in korea started in early 1920's, but it has not bor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leisure activity until in 1950's. Since then horse racing in korea has enjoyrd continuous progress in betting turnover, total attendance, breeding statistics etc. But with 21th century ahead of us racing industry confronts various challenges, such as saturated market, uprising competition in leisure industry. This dissertation is focused on customer satisfaction(hereafter referred to as CS)under this ever-changing situation around horse racing. With regard to the CS mentioned in the paper, collected problems which is related with CS extendrd by monitros, who art all racing fans commissioned by Korea Racing Association. Catagorized them into 4 parts and also prespnted practicable problem-solving methods . To be more competitive leisure, first of all, racing authority has to be most careful and considerate in the facilities for CS, such as parking lot, grandstand, resting places, restaurants, pharmacy, Stores etc. Especially, racing authority must keep trying to enhance the level of service of restaurants and various stores, also improvement of racing systrm for the better is one of top prio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