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재 양만용의 한시 연구

        양승천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87

        오재 양만용(梧齋 梁曼容, 1598∼1651)은 17세기 초반 문인이며 의병이었다. 그는 시대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나약한 문사의 위치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으로 시대에 대처한 행동하는 지성인이었다. 그동안 많은 호남 문인들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졌던 점에 비추어 볼 때, 그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만용의 진면목과 시의 문학을 조망할 수 있는 보편적 틀을 마련함으로써 그의 생애와 문학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양만용의 가문과 문학, 17세기 한시의 경향과 호남 문인들의 한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양만용의 한시를 살펴 그 문학사적 의의를 찾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양만용의 본관은 제주 양씨이다. 양만용 가문의 충효열을 보면, 임진왜란 때는 양산룡과 양산숙 형제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병자호란 때는 양만용이 의병을 일으켰다. 정유재란 때는 양응정의 부인과 아들딸 일가족이 왜적에 굴하지 않고 자결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가장 이상적으로 여기는 삶의 과정을 몸소 실천하여 보여준 훌륭한 가문이다. 양만용은 1598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 박산마을에서 유복자로 태어났다. 그는 36세 때인 1633년 과거에 급제해 조정의 주요 요직을 거쳐, 54세 때 청풍군수로 재직 중에 생을 마쳤다. 휴가로 고향에 가던 중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옥과현감 이흥발, 순창현감 최온, 전찰방 유즙 등과 의병을 일으켜 활동을 했다. 양만용 가문의 문학작품으로, 조선 중기 문인이며 학자 양팽손과 아들 양응정, 손자 양산숙, 증손자 양만용 등의 문학작품이 있다. 양팽손의 문학작품은 충절과 의리의 기상을 보여주고, 양응정의 문학작품은 뛰어난 문장력과 웅건한 기상을 보여준다. 양산숙의 시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보여주고, 양만용의 문학작품은 연구가 미진한 17세기 작품으로 문학사적으로 의의가 있다. 양만용 선대의 문학작품은 정유재란 때 그 후손이 피난을 가다 모두 유실하여 일부만 남아 전한다. 17세기는 문학에 있어 다양성이 논의되고 전대에 비해 비교적 모화적인 중국관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비판적 수용을 통해 조선적 기풍을 만들려 했다. 17세기 호남 문학은 무등산권 지역의 문인들이 매우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또한 17세기 호남 문학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자연에 의미를 부여하며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인들로 남인 계열의 문인들을 주목할 만하다. 양만용의 한시는 형식면에서 오언절구 18수, 칠언절구 30수, 오언율시 30수, 칠언율시 20수, 총 98수로 전체 115수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내용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시를 쓰고 있는데, 일부분의 시는 불교와 도교의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그는 유학자이고 그가 평생 추구한 학문은 유학으로 이를 삶 속에서 실천하기 위해 노력했다. 때문에 그의 시 대부분은 당시의 유교적인 풍조나 경향을 따르고 있으며, 보통 사람의 사고가 담겨져 있다. 다만 국가와 군주에 대한 충성심과 백성에 대한 사랑이 있으며,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진정한 인간미가 있다. 양만용 한시의 문학사적 의의는 첫째, 역사적으로 맥락이 끊길 수 있는 공백을 메꾸어 주었다. 둘째, 사대부가 승려에게 준 시를 기록으로 남겼다. 셋째, 죽음의 문제를 다룬 애도시를 남겼다. 넷째, 형식과 내용을 엿볼 수 있고, 문학의 기교를 끌어올린 동시를 남겼다. 양만용의 업적은 첫째, 일평생 나라를 위해 살다간 선비로, 목숨을 건 의병활동을 통해 선비 정신을 실천하였다. 둘째, 호남문단에 잘 알려지지 않고 연구가 미진한 17세기 문학작품을 남겨, 호남문단에 연구주제를 부여하였다.

      • ≪송천집(松川集)≫ 연구 및 역주

        양승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16세기 중기의 문인이며 사대부로 문단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송천의 생애와 문학작품을 연구하여 그의 삶을 재조명하였으며, 제2부에서는《송천집》을 시대에 맞게 새롭게 역주하였다. 송천은 1519년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월곡에서 양팽손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552년 식년문과에서 급제를 하였고, 1556년 문과중시에서 국가방위대책으로 장원을 하였다. 성균관대사성을 두 번이나 지냈고, 문장에도 능하여 목릉성세를 이루었던 시인 중의 한 명이다. 송천에 대한 지금까지 연구는 박사논문 1편, 석사논문 2편, 소논문 17편이 있다. 이들 논문은 시문학에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고, 산문 등 다른 부분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송천은 다른 스승이 없이 부친으로부터 직접 교육을 받았고, 학문의 근본을 정성과 공경에 두고 충성과 신의를 중시하였다. 왜구의 침입을 걱정해 자녀들에게 병법과 군대의 일을 가르치고, 신립장군을 발탁해 가르치는 등 국가방위에 대한 대책을 몸소 행동으로 실천하였다. 을묘년에는 왜구의 침입이 있자 상중에 있는 종형에게 서신으로 의병을 일으킬 것을 종용하는 등 행동으로 대처하였다. 송천의 문집으로《송천집》이 있다. 1842년에 목활자로 간행된 원집 4권 부록 3권 도합 7권 3책이다. 16세기 중기 한시와 문장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송천집》의 선행역주는 1988년 양홍열에 의해 간행된《국역주해 송천집》이 있는데, 역주에 문제점이 있어 시대에 맞게 새롭게 역주를 하였다. 송천은 몇 수의 영사시를 남겼는데, 당시 사회의 불합리한 모순과 불의를 외면하지 않고 비판하였다. 세 편의 부와 의 작품을 남겼는데, 이것들은 사회적으로 혼란한 때에 군자의 덕과 도를 중시한 작품이다. 한 편의 의문 작품을 남겼는데, 당시 사회의 혼란한 모습을 보면서 작은 제도부터 훌륭한 것은 계승하여 실행하고자 했던 작품이다. 1556년에 문과중시에서 국가방위에 대한 대책으로 장원을 했는데, 왜구의 침입을 예견하고 실증적인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는 대책이다. 이는 후일에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송천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는 호남 문단의 명성을 높이는 데에 일조를 하였고, 이성적이고 비판성이 강하며 호방함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남겨서, 다양한 시문학 흐름의 한 영역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종합하여 볼 때에 송천에 대한 업적은 첫째, 국가안위에 대한 걱정과 관심을 가지고 이를 몸소 행동으로 실천하였다. 둘째, 여러 방면의 문학작품을 통해서 당시 사회의 땅에 떨어진 군자의 도덕과 선비정신을 찾고자 하였고, 뛰어난 문장력과 웅건한 기상을 보여 주었다. 셋째, 문과중시에서 자신의 국가방위에 대한 탁월한 경륜을 펼쳐 국가의 방위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송천의 정신은 애국정신과 우국충정이라 말할 수 있다. 그의 정신은 사대부가 마땅히 행하고 지켜야 할 행동 지침들로, 현실에 대한 뛰어난 안목으로 문제점을 간파하고 생활 속에서 준비하고 행동하는 실천철학이 중심을 이룬다. 그가 문과중시에서 국가방위에 대한 “남북제승대책”으로 장원을 한 것도 그러한 관점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송천은 16세기 중기 문인이며 사대부로서, 행동과 문학작품을 통해서 국가안위에 대한 걱정과 관심을 가진 참된 문인이며 사대부라고 하겠다.

      • 淸州市 委員會制度의 活性化 方案

        梁承天 淸州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autonomous local government age, restored since 1998, requires a great change in morning from behavior of a conventional bureaucratic administration to an autonomous administration with citizen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To meet the current demand of this change,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ies of using a committee system as one of the answers to democratize and rationaliz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committees presently available in CCheongju as on November 2000, a progressive management method of the committee system for democratic local administration can be pursued. Based on the above hypothesis, this study concluded on some progressive methods of improvement suggested by the problems and mistakes of 51 committees under the Cheongju city government between 1998 and 2000. Some important recommendations among them are : (1) A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needs of the citizens. (2) The chairperson and the members of a committee should be occupied by civilians as much as possible. Opportunities to be elected as a member of a committee should be broadened for local assembly members and female; multiple-commissioning must be avoided. (3) Abolish unnecessary committees, and integrate committees with overlapping members or similar functions and objectives. (4) Enhance budgetary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ommittees activities as well as administrative support. (5) In order to establish a responsible policy administration, specify the office-in-charge which specializes in managing committees. (6)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overall committee manag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