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아 급성특발혈소판감소자반증에서 면역글로불린과 anti-D 면역글로불린의 치료 효과 비교

        양성완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급성 ITP에서 혈소판 수가 20,000/mm³ 미만인 경우 출혈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고용량 면역글로불린 및 anti-D가 사용된다. 이 두 치료제는 모두 급속하게 혈소판 수를 상승시키나 그 작용 기전은 다르다. 면역글로불린은 고용량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anti-D는 사용 용량이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아 구미에서는 50 μg/kg 또는 75 μg/kg을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혈소판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미인에 비해 Rh+가 많은 한국인에서는 anti-D의 적당한 용량이 알려져 있지 않다. 소아 급성 ITP의 치료 및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소아과에서 2003년 5월부터 2006년 5월 사이에 급성 ITP로 진단 받은 환아 중 고용량 면역글로불린과 anti-D를 50 μg/kg로 치료한 후 추후 관찰이 가능했던 총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면역글로불린과 anti-D를 투여한 후 혈소판 수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또한 부작용과 용혈성 빈혈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혈색소 치와 그물적혈구 치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대상 환아에게 면역글로불린보다 anti-D를 투여했을 때 24시간 후 혈소판 상승이 의미 있게 많았다(P=0.0018). 그 이후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투여 후 혈소판 수가 50,000/mm³ 이상이 되는 환아의 수도 면역글로불린보다 anti-D 군에서 24시간 후인 경우 의미 있게 많았다(P=0.0069). 그러나 그 이후에는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혈색소는 투여 후 48시간, 72시간, 1주일, 2주일까지 anti-D 군에서 면역글로불린 군보다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3, 0.015, <0.0001, 0.016). 용혈의 정도를 나타내는 그물적혈구 수치도 투여 1주일, 2주일 후에 의미 있게 면역글로불린 군보다 anti-D 군에서 증가하였다(P=0.0004, 0.0012). 결론: 급성 ITP 환아에게 고용량 면역글로불린이나 anti-D 50 μg/kg을 투여 시 모두 심각한 합병증 없이 효과적으로 혈소판 수를 상승시켰다. 그러나 면역글로불린보다 anti-D가 조기에 혈소판 수를 상승시켰으며, 혈색소 감소 및 그물적혈구 증가 효과도 더 심했다. 이러한 결과는 구미의 보고에 비해 혈소판 상승 효과는 더 우수하였고 용혈성 빈혈은 심했다. 이러한 현상은 구미인에 비해 대부분이 Rh+형인 한국인이 갖고 있는 적혈구 항원은 DD 항원인 경우가 Dd에 비해 구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에겐 75 μg/kg보다 50 μg/kg을 사용하는 것이 용혈성 빈혈의 심각성과 혈소판 상승 효과로 보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DD형과 Dd형에 대한 구체적인 검사 이후에 anti-D의 치료 효과를 비교해 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otential for life-threatening hemorrhage, such as intracranial hemorrhage, and the discomfort of restriction in life recommend the intervention with immunomodulatory therapy in acute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with platelet count being less than 20,000/mm³. As an immunomodulatory therapy, high dose immunoglobulin (IVIG) and anti-D immunoglobulin are known to effectively enhance the platelet count. Comparing to IVIG, anti-D has been tried clinically less often and the ideal dose for ITP is still controversial. In Western countries they used 50 μg/kg or 75 μg/kg of anti-D and the platelet enhancing effect was similar to high dose immunoglobulin. To certify the anti-D effect on platelet in acute ITP and the severity of complications in Korean children we performed this study. Method: Thirty one acute ITP patients received either IVIG or anti-D and follow-up evaluations were possible were analyzed. The platelet change was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IVIG and anti-D. The complications including the hemolytic anemia were investigated. The hemoglobin and reticulocyte change were evaluated to clarify the hemolytic anemia. Results: By 24 hours after treatment the mean platelet count was, respectively, 39.2 ±21.2×103/mm³, 74.5±34.8 ×103/mm³ in IVIG and anti-D group (P=0.0018). By 24 hours after treatment 81.3% and 86.7% of patients in IVIG and anti-D had achieved a platelet count>20,000/mm³ (P=0.9372). By 24 hours after treatment 25.0% and 80.0% of patients had achieved a platelet count>50,000/mm³ (P=0.0069). However, 48 hours after treatment the enhancing effect of IVIG and anti-D was similar. Both agents decreased the hemoglobin concentration. However, the decreasing effect was more severe in anti-D group 48 hours, 72 hours, 1 week, and 2 weeks after treatment (P=0.03, 0.015, <0.0001, 0.016). Addition to this, the reticulocyte increase was higher in anti-D group 1 week and 2 weeks after treatment (P=0.0004, 0.0012). Conclusion: The therapeutic effect of IVIG and anti-D was enough to enhance the platelet count in acute ITP. However, a single 50 μg/kg dose of anti-D raised the platelet count in children with newly diagnosed acute ITP more rapidly than high dose IVIG. The hemoglobin decrease and reticulocyte increase were more prominent in anti-D than IVIG. Anti-D raised the platelet more rapidly and induced the hemolytic anemia more severely in Korean than Western countries. Presumably, these results could be due to the higher frequency of Rh+ (about 99.9%) Korean. Most patients in this study might have the red blood cell antigen DD. Therefore, the effect of anti-D might be more potent in our patients than Western popul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 observation of the anti-D effect in acute ITP according to the subtype of Rh+, DD or Dd, will be necessary to clarify thes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