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톨로지 기반 사조별 회화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양선영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5

        인터넷과 정보통신 기술의 폭발적 성장으로 유통되는 정보의 양이 급속히 증가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찾기는 더욱 어려워졌고, 가치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런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의 목표는 저장되어 있는 다량의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가장 의도에 부합하는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1]. 그러나 일반적인 지식관리 시스템들은 전통적인 정보검색에서 사용해 오던 키워드 일치 검색 방식이나 카테고리 분류 방식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누적된 많은 양의 지식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찾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남아있다. 지식을 개념화하고 형식화한 공동의 언어인 온톨로지는 확실히 명시되지 않은 데이터를 유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검색의 정확성을 높여주고 공동 저작을 통해 보편성을 평가받는 지식의 체계이다. 또한 온톨로지의 의미정보를 통하여 동음이의어에 대한 구분과 연관된 정보의 검색 등, 검색의 범주도 다양해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작품명, 작가명 등의 항목을 이용한 단순한 텍스트 기반의 질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현재의 미술품 검색 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여러 미술관에서 같은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나, 미술품에 대한 정보가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모두 별도로 보관하고 있어 경제성이나 효율성면에서 생기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온톨로지 기반 시맨틱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3][8]. 시멘틱 웹과 온톨로지를 이용한 지식관리 방식인 온톨로지는 공동으로 제작하고, 관리가 가능한 웹 환경에서 시맨틱 웹의 장점을 검색 시스템에 적용하고 온톨로지 어휘를 이용해 저장한 지식 베이스를 기반으로 미술작품의 의미 검색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By Internet and explosiv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skill, increased two sword of information circulated in Web rapidly. Became more difficult to find only information that want within flood of information, and value great more. Target in this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searches efficiently and communicate result that coincide most in intention to user grasping correctly user's request among much informations had stored[1]. But, difficulty of general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remains still as find only information that want among much quantity's knowledges accumulated for a long time because is depending on keyword agreement search way or category tributary way that use in traditional Information Retrieval. Ontology that is the common language that conceptualize knowledge and formalize improves accuracy of search because Ontology has structure that can analogize data certainly done not clarify and through cooperation mastication universality system of knowledge be evaluated. Also, search of involved information, category of search becomes various with division about homonym through meaning information of Ontology. Current Painting search system with general search Saiteueseo similarly the name of Painting, the name of Painting is adopting form of quality of simple text base that use item of name of writer etc.. and search system that use in several art museums has interface of same form but all databases that information for Painting is constructed are keeping separately and are very insufficient in economic performance or efficiency aspect treatise that[3][8]. Ontology that is knowledge management way that use Symantic Web and Ontology applies strong point of Symantic Web to search system in possible in web environment that management is available and manufactures jointly. Knowledge base that use and store Ontology vocabulary can support to base meaning search service of Painting.

      • STAT3와 ERK1/2 활성기전을 통한 렙틴의 위암세포 증식

        양선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배경 및 목적 : 비만은 다양한 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렙틴(leptin)은 지방세포의 ob gene에서 생산되는 펩티드 호르몬으로 에너지 대사 조절과 음식 섭취에 중요한 신호전달 물질이다. 최근 렙틴은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등의 비만과 연관 있는 다양한 암세포의 증식과 혈관형성(angiogenesis)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기전에 대하여 연구 중이다. 그러나 위암에서 렙틴의 세포 기전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렙틴이 위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20명, 위선종으로 내시경 점막하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17명의 위암 조직, 위선종 조직, 정상 위점막에서 렙틴과 렙틴 수용체 OB-R 발현을 면역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 배양 실험을 통하여 위암세포주 AGS, SNU-486, SNU-601, SNU-638에서 렙틴 수용체 OB-R과 OB-Ra, OB-Rb의 발현을 RT-PCR과 immunoblotting으로 관찰하였다. 위암세포에서 렙틴의 기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렙틴을 처리한 후 STAT3, ERK1/2의 발현을 immunoblotting으로 확인하고, 인산화 STAT3와 ERK1/2를 관찰하였다. 또한 각각의 위암세포주에서 렙틴이 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을 MTT분석, immunoblotting, RNA interference 연구로 알아보았다. 결과: 렙틴은 정상 위조직의 기저부 주세포와 벽세포에서 강하게 나타났고, 점막 상피세포에서는 음성이었다. 위암 조직에서 렙틴 발현은 면역화학 염색 음성이 75% (15명/20명), 양성이 25% (5명/20명)이었고, OB-R 발현은 음성이 85% (17명/20명), 양성이 15%(3명/20명)이었다. 세포 배양실험에서 RT-PCR과 immunoblotting 분석 결과 렙틴 수용체 OB-R과 OB-Ra, OB-Rb가 인간위암세포주 AGS, SNU-486, SNU-601, SNU-638에서 발현되었다. 렙틴이 위암세포를 증식시켰으며 이러한 암세포의 증식에는 STAT3와 ERK1/2 인산화 과정이 관여하였다. 렙틴에 의한 위암세포의 증식은 RNAi로 억제되었으며 STAT3, ERK1/2를 통한 렙틴 수용체의 활성화 역시 RNAi로 억제되었다. 렙틴은 위암세포에서 VEGF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는 렙틴 수용체를 차단하였을 때 발현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렙틴은 위암세포의 증식인자로써 역할을 하고, 렙틴 수용체를 차단하여 위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렙틴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은 향후 위암치료의 중요한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besity increases the risk of certain types of cancer such as breast, prostate, and colon. Leptin, a protein product of the ob gene by adipose tissue, is an important signaling molecule in energy regulation and food intake. Recently, leptin is known to be in association with diverse cancers in terms of cellular proliferation and angiogenesi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of leptin has been poorly understood in gastric cancer.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specific antibodies, we evaluated the expression of leptin and OB-R in 37 patines (20 gastric carcinomas and 17 gastric adenomas) and analyzed their relationship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lso,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nd leptin receptor expression in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eptin on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gastric cancer cell proliferation. The cells of the fundic glands in the normal gastric mucosa expressed a significant level of leptin, suggesting that leptin is mainly produced in chief and parietal cells. However, the surface epithelium of normal gastric mucosa totally lacked expression of leptin. The rate of leptin and OB-R expression was 25 % (5/20) and 15 % (3/20),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leptin receptor in gastric cancer cell lines, AGS, SNU-484, SNU-601, and SNU-638, was detected in short and long isoforms using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blotting. The effects of leptin in these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by MTT assay, immunoblotting, and inhibitor study. The leptin receptor (OB-R) is expressed in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s. Stimulation with leptin leads to phosphorylation of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3 (STAT3) and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reduced by blocking OB-R. In conclusion, leptin promotes human gastric cancer cell growth by activating STAT3 and ERK1/2. Blocking as direct receptor level could be a rational therapeutic strategy of gastric cancer.

      • 월경전증후군과 월경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서 삶의 질의 매개효과 및 월경전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양선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verifies the mediated effects of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s on premenstrual coping methods, in respect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76 female college students and women, aged 20 to 30, in Busa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effects of quality of life were verified in relation to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This means that premenstrual syndrome affects the attitude towards menstruation through the quality of life. Second, harm avoidance method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could not weaken the negative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to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This means that passive coping methods fail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in respect of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Third, adjusting energy and self-caring methods have weakened the negative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on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This means that active coping methods can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to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However, the awareness of, and acceptance methods for premenstrual changes could not weaken the negative effects. This mean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deal with the symptoms by direct methods such as exercise and relaxation training, than to simply being aware of premenstrual chang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심미적 음악 교육 방법 연구

        양선영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창의·인성교육은 창의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교육으로서,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철학의 밑받침으로 베넷 리머의 심미적 음악교육을 적용하여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리머의 심미적 음악교육과 창의성의 요소, 그리고 인성의 요소를 알아보았고, 심미적 음악교육과 창의·인성 음악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를 위한 음악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설계 구성 요소 및 활동들을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심미적 음악교육방법을 설계하였고 이를 중학교 교과서의 3개 단원에 적용하여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표현영역에서는 가창활동을 중심으로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들장미’와 ‘모리화’ 단원을, 감상영역에서는 슈베르트의 예술가곡 ‘마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단원의 교수·학습 과정안은 심미적 경험 7단계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며, 각각의 단원에서 창의성과 인성의 교육 요소를 선택적으로 접목시켜 가창수업 지도안과 감상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가 설계와 개발에 대한 연구로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여 검증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is a creative knowledge-based education that is essential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is also enforced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Bennett Reimer’s aesthetic music education. We have investigated the elements of design and activities that can be applied in music education for this study by reviewing Reimer’s aesthetic music education and the elements of creativity an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aesthetic music education and creative character music education. Based on these literature reviews, we have designed an aesthetic music education method for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and provided the course plans after applying to 3 chapters of a middle school textbook. We have focused on the signing activity and selected Heidenroslein and Jasmine Flowers from the middle school textbook for the Presentation category, and selected Schubert’s art song, Erlkönig for the Music Appreciation category. Course pl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selected chapters were proceed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7 stages of aesthetic experience. Teaching plans for the singing class and music appreciation class were developed by selectively integrating educational element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from each chapter.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design and development, and further studies in verifying this study after applying in real-life field are expected.

      • 인천지역 주민의 건강정보 노출정도 및 수용정도와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

        양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s objective i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related with health behavior, analyzing the relatedness between degree of exposure and acceptance toward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for residents in Incheon, was performed with 180 participants from 20s to 50s years old at two district offices in Incheon. The research tool is comprised of 9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gender, age, education level, vocation, income, marital status, residential type,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health consciousness), 13 questions about degree of exposure to health information(frequencies of exposure to health information by 13 kinds of media), 78 questions about degree of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concentration, interest, understanding, acquisition, acceptance, recollection occurred by 13 kinds of media), and 7 questions about health behavior(smoking, drinking, workout, sleep, breakfast, snack, weight), total 107 questions of 4 part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Statistics 21.0 program.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verage of health information exposure degree of the subjects was 1.93±0.56, average of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degree was 13.83±2.95, and the average of health behavior was 16.00±1.93.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average of health information exposure were gender(t=-2.596*) and health consciousness(F=3.174*),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average of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were gender(t=-2.040*), and health consciousness(F=2.854*).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health behavior were gender(t=-.510**), age(F=7.432**), vocation(F=2.824*), marital status(F=2.084*), and health consciousness(F=5.808**). As <Appendix 5>,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and health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vity in newspaper(r=.302**), magazine(r=.168*), radio(r=.187*), TV(r=.177*), and E-mail(r=.153*). However,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the four media except newspaper showed very weak correlativity.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information exposure, acceptance, and health behavior, the relatedness between health information exposure and acceptance was high(r=.465**),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exposure and health behavior was not significant(r=.069). The relatedness between health behavior and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showed weak relatedness(r=.185*). Factors which affect health behavio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gender(β=.205*), age(β=.344**), health consciousness(β=.260**), and the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of newspaper was only statistically meaningful(β=.248**) among media. According to these results, with regard to health information delivery for developing health behavior,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deliver information considering ways to increase acceptance toward health information than to increase exposure only. Furthermore, depending on media, it was more effective to deliver health information through newspaper, which is a traditional media, than to deliver them through new media. This is because of the advantages that newspaper has, such as reliability and the fact that it is printed media which can save information. There are some difficulty explaining direct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behavior bec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cross-section research through a survey. However,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tudies which were focused on using health inform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of exposed information and health behavior. Moreover,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which were focused on only one media,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different levels of media. 본 연구는 인천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노출정도 및 수용정도와 건강행동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건강행동과 관련된 건강정보제공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 지역 내 2개 구청을 방문하여 20대에서 50대까지의 성인 18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나이, 교육수준, 직업, 소득, 혼인 상태, 거주 형태, 주관적 건강 상태, 건강관심도) 9문항, 건강정보 노출정도(13개 매체별 건강정보 노출정도) 13문항, 건강정보 수용정도(13개 매체별 주의집중, 흥미, 이해, 습득, 수용, 기억) 78문항, 건강행동(흡연, 음주, 운동, 수면, 아침식사, 간식여부, 체중) 7문항으로 총 4개 영역의 10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단순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건강정보 노출정도 평균은 1.93±0.56, 건강정보 수용정도 평균은 13.83±2.95, 건강행동 평균은 16.00±1.93이었다. 건강정보 노출정도 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성별(t=-2.596*), 건강관심도(F=3.174*)였고, 건강정보 수용정도에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성별(t=-2.040*), 건강관심도(F=2.854*)였다. 건강행동에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성별(t=-.510**),연령(F=7.432**) 직업(F=2.824*), 혼인상태(F=2.084*), 건강관심도(F=5.808**)였다. <참고5>와 같이 건강정보 수용정도와 건강행동간의 관련성은 신문(r=.302**), 잡지(r=.168*), 라디오(r=.187*), TV(r=.177*), E-mail(r=.15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신문을 제외한 네 개 매체의 상관계수는 매우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강정보 노출정도, 수용정도, 건강행동간의 관련성을 볼 때, 건강정보 노출정도와 건강정보 수용정도 간의 관련성은 높게 나타났으나(r=.465**), 건강정보 노출정도와 건강행동간의 관련성은 유의미하지 않았고(r=.069), 건강행동과 수용정도간의 관련성은 약한 상관성을 보였다(r=.185*).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β=.205*), 연령(β=.344**), 건강관심도(β=.260**), 건강정보 수용정도(β=.155*)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으로 분석됐고, 매체 중에서는 신문의 건강정보 수용정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β=.248**).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강정보전달에 있어, 단순히 노출 정도만 증가시키는 것 보다 건강 정보에 대한 수용 정도를 함께 증가시키는 방안을 고려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매체별로 봤을 때, 건강정보에 있어서 뉴미디어 보다는 전통적 매체인 신문을 통하여 건강정보를 전달했을 때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신문이 가지고 있는 신뢰성이나 정보저장이 가능한 인쇄매체라는 측면에서의 장점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한 단면연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건강정보와 건강행동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기존에 건강정보 관련 연구들이 건강정보 이용에만 치우쳐있었던 데 비해, 본 연구는 노출된 건강정보에 대한 대상자들의 수용정도와 건강행동수준간의 관련성을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하나의 매체에 치우쳐서 연구가 이루어 진 것에 비해,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매체들을 포괄적으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고대수사학을 통한 산상수훈 연구

        양선영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고대 수사학을 통해 '더 나은 의'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산상수훈(마5~7장)을 연구하였다. 이상에서 고찰한 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논문은 산상수훈이 심의적 수사학에 따라 기술된 서신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왜냐하면 수사학의 3가지 유형, 즉 법정적, 심의적, 제의적 수사학의 유형 중 심의적 수사학이 연설을 듣는 청중들의 미래에 대한 촉발 또는 금지를 목적으로 설득하는 연설이기 때문이다. 산상수훈을 심의적 수사학으로 결론 내림에 따라 산상수훈은 마태공동체의 청중들의 미래에 대한 관심으로 마태공동체에 불고 있는 여러 가지 변화와 핍박에 물러서지 말고 '더 나은 의'를 향하여 나아가라고 촉발하기 위한 설득의 가르침이 된다. 산상수훈의 수사학적 형태에 대한 규정은 산상수훈의 구조를 분석하는데도 큰 영향을 미친다. 심의적 수사학의 일반적인 배열은 '서론부(proem)', '주제제시부(propositio)', '논증부(confirmatio)', '결론부(peroratio)' 순으로 배열되므로 산상수훈의 구조 역시 이러한 순서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산상수훈의 구조를 심의적 수사학의 논거 배열에 맞추면 다음과 같다. Ⅰ. 서론부 5:1∼12 Ⅱ . 진술부 5:13~16 Ⅲ. 주제제시부 5:17~20 Ⅳ. 논증부 5:21∼7:12 첫번째 논증 5:21~ 5:48 두번째 논증 6:1~18 세번째 논증 6:19∼7:12 Ⅴ. 결론부 7:13∼7:29 고대 수사학에서 주제 제시부는 연설에서 연설가가 말하고자 하는 주된 관심사나 어떤 쟁점 혹은 문제가 청중들에게 함축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주제 제시부'는 바로 앞에 나오는 서론의 내용을 내포하면서 동시에 논증부의 내용을 이끌어 가는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산상수훈에서 마태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5:17∼20절에 나타나는 '더 나은 의'라는 것인데 이는 수사학적 연구뿐 아니라, 일반적인 산상수훈 연구에서도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주장이다. 이상에서 고찰하였듯이 산상수훈에서 마태는 마태공동체에게 '더 나은 의'를 향해 나아가자고 설득하고 있다.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그리스도인으로써 하나님의 뜻을 이루며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 하나님의 뜻을 어디까지 지켜야 할 것인가. 이 질문은 마태공동체뿐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쉽게 정의할 수 없는 질문이다. 마태의 시대와 견주어 볼 때 현대사회는 다양성을 추구하는 흐름 속에 서 있다. 서로가 인정된다는 점에서 다양성의 시대를 높이 평가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성 속에서 하나님의 가르침을 찾아내어 좇기는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현 시대가 그리스도인으로 어떤 삶을 살 것인가를 찾는 것을 어렵게 하지만, 산상수훈의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한 가지는 그리스도인의 삶은 안주하지 않는 삶이라는 것이다. 마태의 제안처럼 하나님의 온전하심을 좇아 사는 그리스도인이라면 늘 '더 나은 삶'의 현장에 서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서 그리스도의 은혜로 죄를 용서 받고 구원을 얻었다는 자부심을 갖는다면 천국백성이라는 신분을 지닌 자의 삶을 살아야 한다. 이미 천국 백성이 되었다는 이유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치신 윤리적인 삶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삶은 천국 백성의 삶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만약 그러한 삶을 고수한다면 고인물이 썩는 것처럼 정체된 그리스도인의 삶은 썩고 부패할 것이다. 우리가 받은 은혜가 '값싼 은혜'가 아니므로 늘 '더 나은 의'와 '하나님의 온전하심'을 좇는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오늘의 한국교인들도 마태복음의 독자와 같이 산상수훈을 마태복음의 문맥 속에서 바르게 읽고 이해하며 그대로 살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현실적으로 지키기 어렵다는 이유로 산상설교의 말씀들을 함부로 약화시키는 것은 반드시 피해야 할 것이다. 비록 산상설교가 인간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지만, 우리는 이렇게 은혜를 기초로 하여 바른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지금 여기에 선 우리는 예수의 제자로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마태를 통해 하나님께서 지금 여기에 선 우리에게 가르치신 '더 나은 의' 란 과연 무엇일까. '보다 나은 의'란 정체되지 않으며, 율법을 간과하지 않고 지키는 것뿐 아니라, 바리새인들에게 상실되었던 율법의 역사성까지 담아 하나님의 뜻에 온전히 순종하는 것이다.

      • 디지털 기술 도입에 따른 대중음악 수용자의 변화 연구

        양선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디지털 매체를 개인적으로 소유하고 기술력을 활용해 음악을 접하고 있는 새로운 종류의 대중음악 수용자들에 관한 문화기술지이다. 레코딩 기술의 발달이나 TV, 라디오의 보급이 대중음악 수용자를 라디오의 청취자로, TV의 시청자로, 레코딩 음반의 감상자로 변화시킨 것처럼, 그간 음악 매체의 변화는 음악의 수용 형태를 변화시키고 음악을 대하는 수용자의 태도와 정체성에 영향을 미쳐왔다.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화의 열풍은 음악 매체를 다시 한 번 변화시키고 있고, 대중음악의 수용자들 역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 같은 디지털 매체는 음악 수용자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 활용 능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이전까지의 음악 매체와 구별되는데, 디지털 매체가 음악의 매체로서 보다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됨에 따라 기술은 더 이상 음악 뒤편에서 수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영역이 아니게 되었다. 어떤 기술을 알고 있는가, 알고 있는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따라 음악의 활용도는 달라지게 되었고, 기술 활용 능력에 따른 수용자 별 편차도 커지게 되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게 된 대중음악 수용자들에게 ‘음악 듣기’라는 기존의 단일한 행위는 음악을 '검색'하고 ‘다운로드’하며 ‘실행’시키거나 종종 ‘변형’시키기조차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분절 되게 된다. 세분화된 각각의 과정은 대중음악 수용자들의 직접 개입을 통해 작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대중음악 수용자뿐만 아니라 대상이 되는 음악의 성격 역시 변화하게 된다. 최종생산물(end-product)의 형태로 대중음악 수용자들에게 도달했던 음악은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면서 더 이상 완결된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창작된 ‘작품’으로서 음악이 가졌던 절대적 지위가 디지털 음악이 갖는 ‘변형 가능성’ 때문에 ‘순간적’이고 ‘일시적’이며 ‘윤색’이 가능한 ‘정보’로 위치 이동을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음악의 성격 변화는 대중음악 수용자들에게 특정 형태의 수행성을 요구하는 동시에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활용능력을 욕망하게 만든다. 그간 논란을 불러일으켜 온 디지털 음악의 저작권 문제가 법적 제재를 통해 해결될 수 없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한편에서는 규제가 이루어지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디지털 기술 혁신이 가속화되고, 이에 부응하고자 하는 수용자들의 욕망 역시 증폭되고 있는 것이다. '음악'이 변형 가능한 것이 되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대중음악 수용자들은 이전보다 더욱 다양한 형태로 생산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법적 제약에 묶여 있는 일본 대중음악(JPOP)을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 유통하고, 인터넷 라디오 방송을 진행하며, 팬시용품을 만들고, 비평의 채널도 개인들 스스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음악을 만들어 출판하고 스스로를 뮤지션으로 프로모션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자생적 뮤지션의 풀(pool)도 빠르게 확장되어가는 추세이다. 이들은 단순 소비자라고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만큼 디지털 기술을 직접 활용하여 과거의 수용자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종류의 생산을 해 내고 있다. 이들은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생산자의 역할도 겸하고 있는, ‘생비자(prosumer)’ 라는 이름이 적합한 존재들이다. 이제 수용자들은 소비자, 청취자, 팬이면서 동시에 제작자, 유통업자, 프로모션담당자, 잠재적 뮤지션 이기도 하다. 디지털 기술은 무엇보다도 수용자들을 통해 대중 음악 영역을 급속도로 해체하고 있는 중이다. 정보사회는 개인 행위자 단위에서 디지털 기술과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며, 동시에 이들을 통해 시스템을 움직여가는 사회이다. 대중음악 수용자들의 변화 역시 이러한 사회 변화와 맞물려 있다. 이 논문은 대중음악이라는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정보화의 파급 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대중음악의 수용자들은 디지털 기술의 적극적인 사용자(active user)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대중음악 영역에 개입하며 기존의 시스템을 해체하고 새로운 룰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과도기에 놓여 있는 대중음악 영역의 이후 판도는 이들 다양한 주체들의 충돌과 협상을 통해 결정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중음악 수용자들이 갖는 중요성과 잠재적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이 논문의 의의라고 볼 수 있다. This is an ethnography of a newly emerged popular music audience who equip and utilize digital technology when they access music. As development of recording technology and spreading of radio and television have transformed popular music audience into record listeners, radio listeners, or television audience, developments of popular music media have affected attitudes and attribution of popular music audience. Digitalization, a recent, powerfully emerging phenomenon, is now shifting popular music media and audience. Digital media, such as, computer and the Internet are different from former music media in the manner of asking music audience higher level of capability for using digital technology. As digital media as device of accessing music are getting more important, technology is no longer an area left behind audience. In other words, how to use music depends on what technology audience know. As a result, there are wider gaps among audience. To the popular music audience who become to use digital technology, ‘listening music’, a kind of simple and singular behavior, is divided to various processes, such as searching, downloading, playing, and even transforming. Each process is carried out by audience themselves and in this process, the characters of music as well as audience become to be changed. Music that have reached audience as end-product are no longer completed form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Music that achieved from the past an absolute status as a creative work are changing into momentary, temporary, and embellished information. These changes of music world not only stimulate audience to perform a specific type of behavior but also germinate audience’s desire for more technological skills and capacity. This is a reason for difficulty to legally resolve copyright issues of digital music.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fundamental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researches on cultural dimensions of digital technology. Since music became possible to transform and embellish, popular music audience came to be more actively participant in the producing process. What audience do nowadays include: mediate Japanese Popular music, which is prohibited in Korea, through various contents; broadcast music through the Internet, make a channel of music critics. Moreover, indigenous musician pool is expanding because it is easier to make and publish music as well as promote themselves. These audience themselves are using digital technology for producing various kinds of products. They are not only customers but also producers, what is called 'prosumers'. These music audience who are simultaneously consumers, listeners, and fans are also producers, distributors, promoting agents and potential musicians. As a result, digital technology through the newly emerging audience is disorganizing a field of popular music industry. Information society makes a person as a peer connected by digital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run through it. Changes of music audience are interconnected with these transitions of a broader society. This thesis attempts identifying effects of digitaliz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rough a specific area of popular music. Popular music audience as active users are performing, disorganizing existing attributes of music industry, and making new rules. The Future of popular music industry will be determined by conflicts and negotiations among various agencies and actors introduced in the thes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proving importance and potential of popular music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