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이야기 구성능력 신장 방안 연구 : 그림책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양새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야기 구성능력은 유아가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고 계열화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로 산출하게 하는 능력으로 유아의 확산적 사고 과정을 이야기로 의미화 시킬 수 있는 능동적인 능력이다. 이 이야기 구성능력을 지닐수록 유아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절하게 조직하고 구성하여 전달하는 언어 발달의 신장을 기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야기를 감상하고 창조해 내는 문학적 사고를 갖게 되고, 자신의 생각을 확장하여 표현하면서 창의적 사고와 정서적 발달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야기 구성능력은 언어 발달의 지체 현상으로 학업 및 교우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정서적 혼란을 느끼고 있는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필요한 능력으로, 그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필요성을 인지하여 본 연구는 그림책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이를 위한 세부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야기 구성능력의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전략들을 알아보고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개념을 알아보고, 그들이 어떤 언어적 특성을 보이고 있는지 앞선 연구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야기 구성능력에 대해서 알아보며, 그 의미를 살펴보고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의 발달 양상 및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림책과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통합하였을 때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이야기 구성능력의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학습 제재로 백희나 그림책을 선정하였고 그 이유를 밝혔다. 다음으로 이야기 구성능력 신장 전략을 크게 이야기 다시 말하기와 이야기 꾸며 말하기의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먼저 이야기 다시 말하기는 그림책 스토리텔링 활동으로 그림책 이야기를 들은 후 그 내용을 회상하여 다시 말해보는 것으로, 문학의 필수 요소인 사건, 등장인물, 배경에 집중하여 이야기를 다시 말해볼 수 있도록 하위전략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다음 이야기 꾸며 말하기는 그림책 스토리텔링 활동으로 그림책의 내용을 변형하여 새롭게 이야기를 창출하는 것으로, 기존 그림책의 내용을 변형하여 이야기를 꾸미는 전략과 다른 내용을 삽입하여 이야기를 새롭게 꾸미는 전략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앞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이야기 구성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을 설계해 보았다. 교수·학습 목표와 모형을 설정하고, 각각의 백희나 그림책에 해당하는 교육내용을 구상하였다. 또한 하나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전략과 이야기 꾸며 말하기 전략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6차시에 걸쳐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1장부터 4장까지 본 연구 내용을 요약하였고 연구의 한계점을 들며 결과를 정리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수는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 그 중 유아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능력 신장을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질 것이다. 앞으로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그들을 위한 유의미한 연구들이 이어져 다문화가정의 학생들도 한국 사회에서 함께 융합하며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체계를 잡아가길 기대한다. Story construction ability is the ability of infants to select appropriate vocabularies and sequence them,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a story, and shape their thought process into stories. It is expected that young children with the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are able to have the development of language by properly organizing their thoughts and concisely presenting their ideas. Not only that, but they are also expected to possess literary thinking to appreciate and create stories, and have creative thinking and emotional development while expanding and expressing their thoughts. Therefore,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are necessary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ir studies and friendships due to the delay in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teaching methods related to this issue need to be discussed. Recognizing the ne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detailed storytelling teaching methods to improve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selecting strategie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ory construction ability,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is selected and the education plan is presented. First, Chapter 1 clarifi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preceding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torytelling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examined. Chapter 2 describes the concep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ose children, and the meaning of story composition ability. In addition,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pattern and story composition ability of infants are analyzed. Lastly, the concept and educational effects of picture books with storytelling are examined, and th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ing them into follow-up activities are identified. In Chapter 3, several methods to develop story construction ability are presented. First, Baek Hee-na's picture books are used as a main teaching material and the reason for this decision is revealed. Next, two strategies for improving story construction ability are presented: “story retelling” and “story making”. Story retelling refers to listening to a picture book story, recalling the story, and reuttering it. Sub-strategies are used to allow the stories to be recounted by focusing on the essential elements of literature such as events, characters, and backgrounds. Story making refers to creating new stories by transforming the content of the original picture books. The strategy is subdivided into two categories: creating a new story by changing some parts of the original book, or creating a new story by inserting different content into the original story. In Chapter 4, practical teaching methods are designed to improve story-construction abilit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The teaching goals and models are set and each content is related to Baek Hee-na's picture books. It is followed by two main strategies in Chapter 3 that are applied to one of the main picture books. They are the basi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presented in six sessions.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from Chapters 1 to 4, clarifie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organizes the results. Becaus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an especially large portion of infants –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he story construction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are required. Lastly, the writer suggests that meaningful research on a variety of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for them to integrate better into Korean society.

      • 과정드라마를 통한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

        양새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has begun in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preserve sustainability as a global citizen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world is increasingly threatened with sustainability and to preserve the sustainability of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rocess drama as an effective means to promote sustainability literacy, to develop a process drama for promoting the sustainability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drama. Therefore,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1. How could process drama be organized to promo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stainability literacy? 2. How will process drama affect the formation and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stainability literacy?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the related research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re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analysis, this study defines sustainability literacy as knowledge, function, value and attitude that individuals and community should have in order to practice sustainable behavior of the world. And the process drama is not the performance-oriented drama but the process of participant experiencing the drama process in a certain structure and interacting with the experience of the drama, a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six constitutional procedures of theme, context, role, frame, sign and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process drama as the method of promoting sustainability literacy is divided into six aspects of interaction with the community, learning through experience, expansion of perspective, organic context formation according to the theme, improvisation and combination of physical, emotional and coginitive activities.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2015 Social Studies Revision Curriculum and Sustainability Report questionnaire were referred to select sustainability issues as the theme of the drama, In order to apply such a process drama, action research was applied where the researcher sets up the research problem and carries out the program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In this study, a drama program was conducted over 6 times for 6th grade students who were taught as homeroom teachers by the researcher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triangulation test was conducted and data were gathered to be organized. As a result of the program execu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dram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ustainability literacy. In the first program,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drama on the subject of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to experience the back sid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second program, they developed a sympathetic and reflective attitude toward poverty and hunger. After that, they actively discussed cultural discrimination and dissociation in the third program, and produced good education plans on the topic of high quality education in the fourth program. Participants experienced a dilemma between economic growth and appropriate jobs in the 5th program, and in the final 6th program, participants realized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as they actually experienced i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 drama for promo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stainability literacy, you need to choose the sustainability issues which causes reflection of participants and shape them in various viewpoints and dramatic expressions. Second, the process drama to promote sustainability literacy hel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get the knowledge required for sustainability literacy, activate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lues ​​and attitudes toward practice.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the follow-up study is needed as follows. First, drama program for the formation of sustainability literacy could be developed for various commun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a process drama on the theme of various sustainability issues. Thir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process drama for enhancing sustainability literacy leads to actual action practice of the participants in the fu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drama of the subject on the theme of sustainability literacy that has not been studied in Korea and confirmed the effect of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literacy through it.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drama will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promotion of sustainability literacy through various subsequent studies. Key words: process drama, educational drama, sustainability, sustainability literacy, sustainable development 세계가 갈수록 지속가능성을 위협받고 있는 현대 사회에 글로벌 시민으로서 지속가능성 소양을 갖추고 세계의 지속가능성을 지켜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 소양을 증진할 효과적인 수단으로 과정드라마를 제안하고 초등학생의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을 위한 과정드라마를 개발하고 실행 연구를 시행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지속가능성 소양을 증진하기 위한 과정드라마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둘째, 과정드라마가 초등학생의 지속가능성 소양 형성 및 증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자는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여 본 연구에서의 지속가능성 소양과 과정드라마의 의미를 아래와 같이 밝힌다. 먼저, 지속가능성 소양은 세계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 행위 실천을 위해 개인과 공동체가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능, 가치와 태도로 정의하고 그 구성요소를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과정드라마는 공연 위주의 연극이 아니라 일정한 구조 안에서 참여자가 드라마의 과정을 즉흥적으로 체험하고 자신의 경험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며 주제, 맥락, 역할, 프레임, 기호, 전략의 여섯 가지 구성 절차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 증진 방법으로써 과정드라마의 의의를 공동체와의 상호작용, 경험을 통한 학습, 관점의 확장, 주제에 따른 유기적 맥락 형성, 즉흥성, 신체와 정서, 인지적 활동 결합의 여섯 가지로 제시한다. 과정드라마의 주제로 적합한 지속가능성 쟁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와 2015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 및 지속가능성 소양 설문지 결과를 참고하였다. 또한 과정드라마를 적용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 연구 문제를 정하고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실행 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담임교사로 지도하는 6학년 한 개 학급을 선정하여 총 6차에 걸쳐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연구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삼각검증을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과정드라마는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1차 프로그램에서는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주제로 한 과정드라마에 연구 대상이 참여하여 생산과 소비의 이면을 체험하였고, 2차 프로그램에서는 빈곤과 기아 문제에 공감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길렀다. 3차 프로그램에서는 문화적 차별과 편견 해소를 주제로 토론하였고 4차 프로그램에서는 양질의 교육 방안을 참여자가 직접 만들었다. 5차 프로그램에서는 참여자가 경제성장과 적절한 일자리 사이의 딜레마를 체험하였고 마지막 6차 프로그램에서는 참여자가 실제로 살아보듯이 체험하며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실감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지속가능성 소양을 증진하기 위한 과정드라마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참여자 견해에 변화와 반성을 일으키는 지속가능성 쟁점을 선정하여 이를 다양한 관점과 드라마적 표현 방식으로 제시한다. 둘째,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을 위해 개발한 과정드라마는 지속가능성 소양에 필요한 지식을 구체화하고 의사소통과 연대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며 실천으로 나아가는 가치와 태도를 다지는 데 기여한다.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공동체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소양 형성을 위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둘째, 다양한 지속가능성 쟁점을 주제로 한 과정드라마 개발을 위한 논의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을 위한 과정드라마가 추후 참여자의 실제 행위 실천으로 이어지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서 연구가 미비하였던 지속가능성 소양을 주제로 과정드라마 구성 방법을 탐색하고 그를 통한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에도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과정드라마가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과정드라마, 교육연극,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 소양, 지속가능한 발전

      •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양새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art elements- 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on young children's pro-soci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o acquire th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do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affect pro-sociability of young children? Second, How do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affect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Third, How do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affec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0 young children (25 in experimental group, 25 in comparative group) at age 5 in two classes of S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with one of the classes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the comparative group on a random basis.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1.04 month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71.04 months in the comparative group, which shows the homogeneity of two groups. The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 of ‘Social Situation Measurement’ devised by McGinnis and Goldstein(1990), the ‘Understanding about Syntactic Meaning Scale’ developed and standardized by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2009), and the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cale’ made by Chi, Sung-Ae(2001) were used to measure pro-soci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respectively. Interventions for the study were made up to 12 times-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from June 25 to July 20, 2012.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while their counterparts in the comparative group involved in expression-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In order to look into how those interventions affect pro-soci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we employed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pre-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Pro-sociability and language ability, proved to be homogeneou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re-test, were analyzed by t-test to find out any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However,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hich was not homogeneous in the pre-test, was tested via ANCOVA with the score of the pre-test as a covariate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he two groups i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bility of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significantly exceeded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 who involved in expression-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in the scores of ‘institution adaptive ability,' ‘peer relationship-building ability,' and ‘emotion controling ability' as sub-categories of pro-sociability. Second,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Scores of ‘syntactic structure' and ‘meaning' as sub-categories of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comparative group who engaged in expression-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Third,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tended to affect positively the improvement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Scores of ‘combination of basic shapes and lines,' ‘various colors,' ‘harmonious composition,' and ‘connection of representation and language' as sub-categories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ere higher among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comparative group of expression-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In conclusion, the research revealed that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pro-soci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which indicates that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with validity. Therefore, art elements-centered cooperative art activity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cenes to seek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increases pro-soci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S사립유치원 두 학급의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이었으며, 선정된 두 학급 중 임의로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은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연령은 실험집단 71.04개월, 비교집단 71.04개월로 동질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친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해 McGinnis와 Goldstein(1990)의 ‘사회적 기술상황 검사도구’를 번안하고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2009)에서 개발하여 표준화시킨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측정을 위하여 지성애(2001)가 제작한 ‘그리기표상능력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2012년 6월 25일부터 7월 20일까지 주 3회씩 4주에 걸쳐 총 12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을 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들은 표현 중심 협동미술활동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처치가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계프로그램인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사전검사에서 동질집단으로 나온 친사회성과 언어능력은 t-검증을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각각 분석하였다. 그러나 사전검사에서 동질집단으로 나오지 않은 그리기표상능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검사와 사전검사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성의 하위요소인 ‘기관적응능력’, ‘또래관계 형성능력’, ‘감정다루기 능력’ 점수에서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표현 중심 협동미술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능력의 하위요소인 ‘구문구조’와 ‘의미’ 점수에서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표현 중심 협동미술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기표상능력의 하위요소인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조화로운 구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점수에서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표현 중심 협동미술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구성한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의 유아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을 증진시키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적극적으로 적용될 것을 기대한다.

      • Effects of ethanol in methanol fuel on the performance of direct methanol fuel cell

        양새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Direct Methanol Fuel Cell)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해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전기 화학식 발전 장치인 연료전지의 한 종류로써 간편한 장치 구성, 운송 및 연료 저장의 편리성으로 휴대용이나 소형 이동용 전원 등의 용도로 사용 가능한 전도유망한 친환경적 전원 장치이다. DMFC에 공급되는 메탄올 연료의 불순물은 DMFC의 중요한 요소인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전극 (연료극 및 공기극)의 접합체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탄올 연료에 함유된 불순물이 MEA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약급의 메탄올과 공업용 메탄올 연료를 DMFC용 MEA에 공급하였다. 각각의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한 MEA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정전류 테스트, anode polarization 테스트 및 임피던스 분광법을 사용하였다. 메탄올 연료의 불순물을 정성, 정량 하기 위해 IMPCA, ASTM 규정에 따른 분석과 핵 자기 공명 장치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탄올 연료에 포함된 에탄올 농도가 MEA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기준 메탄올에 2, 5, 10, 30, 50, 100, 200 ppm의 에탄올을 첨가한 메탄올 연료를 사용하여 단위 전지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에탄올을 제외한 핵 자기 공명 장치로 분석된 불순물들을 기준 메탄올에 첨가하여 성능 비교 평가를 하였다. 정전류 테스트로 진행한 성능 비교에서 네가지 공업용 메탄올 중에서 두가지의 공업용 메탄올 연료를 MEA에 각각 공급하였을 때 성능 저하가 크게 일어났다. 메탄올 연료의 불순물 분석 결과에서 에탄올이 MEA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불순물인 것을 확인하였다. 메탄올에 포함된 에탄올 함량이 10ppm 이상인 경우 MEA의 성능저하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순물이 포함된 연료로 성능평가를 실시한 후 기준 메탄올을 다시 공급하였을 때 에탄올, 아세톤, 아세트알데히드, 펜테인, 헥세인이 포함된 메탄올로 운전한 경우 MEA의 성능 회복이 일어났고, 2-부탄올, 2-프로판올이 포함된 메탄올을 공급한 MEA는 성능이 회복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DMFC의 MEA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메탄올 연료의 주요 불순물인 에탄올 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되어야 하고, 성능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2-부탄올이나 2-프로판올 같은 불순물들은 최대한 적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탄올에 함유된 주요 불순물인 에탄올의 농도가 10ppm 미만으로 제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s) are a promising eco-friendly power source that has: easy configuration of apparatus, easy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fuel. Methanol is used as a fuel in DMFCs by converting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hrough an electrochemical reaction. However, the impurities such as ethanol, acetone, ethyl acetate, and acetic acid of the methanol fuel great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MEAs) of the DMFCs. In this study, a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n the MEA performance of impurities in the methanol fuel using reagent grade methanol and industrial methanol fuels. A constant current test, anode polarization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measurement were us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MEAs supplied with each kinds of methanol fuels. The specification of IMPCA, ASTM, and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1H-NMR) method was applied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impurities in methanol fuels. The effect of ethanol concentration in methanol fuels on the performance of MEAs was investigated by evaluating the constant current, anode polarization, and EIS measurement. Thes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by adding: 2, 5, 10, 30, 50, 100, and 200 ppm of ethanol to the reference methanol,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MEA with reagent grade methanol and two kinds of industrial methanol showed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 Methanol fuels analysis has proved that ethanol main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MEA among methanol fuel impuritie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thanol impurity concentration of methanol fuels should be limit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M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