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주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의 문화자원화 과정 연구

        양미경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dissertation, taking Jeonju(全州) area as a study case, aims to find out the process that "chosen" specific cultural resources have been restructured into the ones representing the area. The biggest change in 21C is that the paradigm leading local economy has shifted to the cultural industries. Along with this, city development strategies of each local government have also been changed totally. In Jeonju's case, the cultural symbols representing the city shifted from Pan-sori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o Jeonju Hanok Village and Jeonju Bibimbab in the mid 2000s. Changes like this appeared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city's image from the previous "village of art" or "cultural art city" to "traditional cultural core city". This shows that Jeonju Hanok Village and Jeonju Bibimbab were chosen as the cultural resources which could best represent Jeonju Traditional Cultural Core City. Jeonju Hanok Village, however, is a modern residential district that was built during the 1930s and 1940s. Most of the roof tiled Korean-style houses are not the traditional ones but the modern ones influenced by Japanese architecture or the ones, so called "Korean-style houses by housing business". Jeonju Bibimbab, whatever the origin is, is also directly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eating-out cultures, which were formed around government offices during the 1960s and 1970s. So, it can be said that Jeonju Hanok Village and Jeonju Bibimbab are 'modern' products rather than traditional ones. Despite this, these two factors are recognised as the key elements forming Jeonju Traditional Cultural Core City. Then, why does this kind of phenomenon happen? To answer the question about this phenomenon, a fieldwork had been conducted for five years. The three things concerned most during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one is to identify the real existential aspects of these cultural resources. Since most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ir historical origins, cultural values, and commercialization plans and strategies, the true nature of these cultural resources were hard to know. The second one is to take a close look at the process of Jeonju Hanok Village and Jeonju Bibimbab's becoming cultural symbols in Jeonju Traditional Cultural Core City. The third one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making cultural resources in Jeonju city. For this, it is needed to thoroughly examine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back then, the orientations of cultural polici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Jeonju city which decided and administered the cultural policies, and cultural discourses in Jeonju. Chapter 2 is intended to easily understand the Jeonju Hanok Village and Jeonju Bibimbab which are the research theme of this dissertation, as an overview of Jeonju's old downtown and Jeonju Hanok Village. This chapter described the geographical background, the composition of population and occupations, the progression of historic space of the target area, and so forth. Chapter III is aimed at examining the process that the urban traditional housing districts of Gyo-dong and Pungnam-dong, could get traditionality, which started as a modern residential district. To do this, the process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① the formative period of hanok village(1930s~1960s), ② the slumism due to the designation of Hanok Preservation Zone (1970s~1990s) ③ the creation of Jeonju Hanok Village and tourism (after 2000s). Some facts were newly found out through this. Fisrt, Kyo-dong and Pungnam-dong which were recognized as traditional villages these days, in fact, started as modern residential districts. Second, there were various kinds of Korean-style houses from ones for upper class yangban, ones for middle class which were combined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s with modern houses to ones built by typical housing business in the 1970s. So, Kyo-dong and Pungnam-dong are very important places because they show the changing history of houses after modern times. Third, Jeonju Hanok Village is the result of Jeonju city's urban planning. The reason why urban traditional housing districts in Kyo-dong and Pungnam-dong could maintain the current landscape was the designation of Hanok preservation Zone in 1977 and underdevelopment because of being designated as a fourth class fine sight area in 1987 and its coincidence. Fourth, the most decisive reason why Jeonju Hanok Village got its traditionality is related to the launch of loc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was guaranteed its autonomous rights but, at the same time it was facing the dilemma of raising its own finance all alon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urvival strategies most local governments chose was to seek their own strategies using their cultural resources. Jeonju chose Traditional Cultural Core City, and tried to make the best use of Jeonju Hanok Village as a pivotal strategy. Chapter IV demonstrates the process that Jeonju Bibimbab was restructured into 'traditional food' through quality upgrade, discourse formation, and standardization. In order to examine this process, the understanding of Jeonju Bibimbab's existential aspects should be preceded. So, current conditions of Jeonju Bibimbab were described by taking a look at the restaurants such as Hankukgib, Sungmi-dang, Family Hall, which have sold Bibimbab in Jeonju area. Each restaurant's history, recipe, and recognition toward Bibimbab and so on were considered. Based on these cases, this chapter described the process of Jeonju Bibimbab's changing into gourmet meal through commercialization in terms of changes of materials, recipe and containers. Ye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Jeonju Bibimbab's becoming traditional meal is the discussion about local dish, and glob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business. Especially, the glob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business turned Jeonju Bibimbab into "Korean Food in the world", but in the meantime, this produced an adverse effect of over-standardizing Jeonju Bibimbab and making other Jeonju meals marginalized. By this process,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out. Firstly, after checking the each case of the restaurant, Jeonju Bibimbab wasn't sold as an official restaurant menu until the 1960s and 1970s. Secondly, Jeonju Bibimbab became traditional food through the competition among restaurants around Jeonju in the 1970s, the desire to change it into fancy food and discussion about royal court food. Thirdly, opinions from the outside had a powerful influence on Jeonju Bibimbab's becoming traditional food. Thanks to the boom for the nation-wide Korean food in the 1970s, and foreigners' preference for it after the 2000s, Bibimbab positioned itself as Jeonju Bibimbab and, furthermore, as "Korean Traditional Food". Fourthly, the fact that Jeonju Bibimbab became traditional food is deeply related to globalization. Korea wanted to export 'traditional culture' amid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fever in the late mid-2000s, that led Jeonju Bibimbab to be developed as a product. Chapter V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that Jeonju city has created their cultural resources. The urban characteristic of Jeonju, where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are mixed, caused Jeonju Hanok village and Jeonju Bibimbab to have the feature called 'tradition'. By adding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of Jeonju city to this, Jeonju Hanok Village and Jeonju Bibimbab acquired its commercial value.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is a case study about the process of creating cultural resources. Especially, it is a distinctive outcome distinguished from any previous studies because, noting the real existential aspects of the related cultural resources, it examin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creating a cultural symbol of a local area. Also, it suggested that we should collect and restructure 'the local resident's experimental contents' for the work of creating rational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intended to conduct a further study on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policies. 이 논문은 전주지역을 연구사례로 하여, ‘선택’된 특정 문화자원이 그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자원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밝힌 연구이다. 21세기 들어 가장 큰 변화는, 지역 경제를 이끄는 패러다임이 문화산업 중심으로 전환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와 함께 각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발전전략 또한 전면 수정되었다. 전주의 경우, 2000년대 중반 들어 도시를 대표하는 문화적 상징이 판소리와 국악에서 전주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으로 변화하였다. 이 같은 변화는 전주가 도시 이미지를 기존의 ‘예향’, 혹은 ‘문화예술도시’에서 ‘전통문화도시’로 새롭게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통문화도시를 가장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문화자원으로, 전주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이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주한옥마을은 일제강점기인 1930~1940년대에 조성된 근대적 주거지이다. 그리고 그 안에 자리 잡고 있는 기와한옥 대부분은 전통한옥이 아닌, 일본 건축의 영향을 받은 근대한옥이거나 주택건축업자가 대량으로 지어 분양한 이른바 ‘집장사 한옥’이다. 전주비빔밥 또한 그 유래가 어떠하든, 1960~1970년대에 관공서를 중심으로 형성된 외식문화의 발달과 직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주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은 전통문화라기보다는, ‘근대적’ 산물 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이 두 가지 요소는 전통문화도시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표상화 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일까?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서 전주지역에서 5년여의 기간 동안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가 특히 관심을 기울였던 것은, 첫째, 이들 문화자원의 실제 존재양상에 관한 것이었다. 왜냐면 기존 연구가 이들의 역사적 기원 · 문화적 가치 · 상품화 방안 및 전략 등에 치중하고 있어서 이들 문화자원의 실체를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둘째, 연구자는 전주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이 전통문화도시 전주의 문화적 상징이 되는 과정을 자세히 살피고자 했다. 셋째, 전주시 문화자원화 과정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당시의 정치경제적 상황, 문화정책의 방향, 문화정책을 결정 · 집행하는 중앙정부와 전주시의 상관관계, 그리고 지역의 문화담론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였다. Ⅱ장은 연구대상지인 전주 구도심과 한옥마을에 대한 지역 개관으로, 본 논문의 연구주제인 전주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마련 되었다. 여기서는 연구대상지의 지리적 배경, 인구구성과 생업, 역사적 공간의 전개과정 등을 서술하였다. Ⅲ장에서는 근대주거지로 출발한 교동 · 풍남동의 도시한옥군이 전통성을 획득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① 한옥촌 형성기(1930~1960년 대), ② 한옥보존지구 지정으로 인한 슬럼화(1970~1990년대), ③ 한옥마을 조성과 관광화(2000년대 이후) 되는 세 시기로 구분하여 고찰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새롭게 밝혀낸 사실은, 첫째, 오늘날 전통마을로 인식되곤 하는 교동 · 풍남동이 사실은 근대주거지로 출발하였다는 사실이다. 둘째, 교동 · 풍남동에는 상류층 양반가옥에서부터 전통한옥과 근대한옥을 결합시킨 중인계층의 가옥, 그리고 1970년대의 전형적인 집장사한옥까지, 다양한 한옥이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교동 · 풍남동은 근대 이후 가옥의 변천사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셋째, 전주한옥마을은 전주시 도시계획의 결과라는 사실이다. 즉, 교동 · 풍남동의 도시한옥군이 오늘날과 같은 경관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1977년 한옥보존지구 지정과 1987년 제4종 미관지구 지정이 불러온 저개발과 우연이라는 사실이다. 넷째, 전주한옥마을이 전통성을 얻게 된 가장 결정적인 계기는 지방정부 출범과 관련이 있다. 지방정부는 자치권을 보장받았지만, 동시에 지방재정을 스스로 조달해야 하는 딜레마에 처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대부분의 지방정부가 채택한 생존전략은, 각각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생존전략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전주는 전통문화도시를 생존전략으로 채택했으며, 그 전략의 구심점으로 전주한옥마을을 적극 활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Ⅳ장에서는 전주비빔밥이 고급화, 담론화, 표준화되면서 ‘전통음식’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과정을 살피기 위해서는 먼저 전주비빔밥의 존재양상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주지역에서 비빔밥을 판매하는 한미집, 정미당, 평화회관을 중심으로, 개별 식당의 역사와 그들이 보유한 조리법, 비빔밥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봄으로써 전주비빔밥의 현 상황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이들 사례를 바탕으로, 시장음식으로 출발하였던 전주 비빔밥이 상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고급음식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재료 · 조리법 · 용기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살폈다. 하지만 전주비빔밥이 전통음식으로 재구성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끼쳤던 것은, 향토음식 담론과 세계화 · 표준화 사업이었다. 특히 세계화 · 표준화 사업은 전주비빔밥을 “세계 속의 한국음식”으로 자리매김 하게 했지만, 한편으로는 전주비빔밥을 획일화 시키고 다른 전주음식을 주변화 시키는 역기능으로 작용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식당들의 개별 사례를 살펴본 결과, 전주비빔밥은 1960~1970년대에 와서야 외식업으로 본격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둘째, 전주비빔밥은 1970년대 전주지역 식당들의 경합과 고급음식으로의 욕구, 그리고 이후 궁중음식 담론이 더해지면서 전통음식화 되었다는 사실이다. 셋째, 전주비빔밥이 전통음식이 되는 과정에는 또한 외부의 시선이 강력하게 작용하였다. 다양한 전주음식 중 하나에 불과했던 비빔밥은, 1970년대에 유행했던 팔도음식 붐, 2000년대 이후 외국인들의 선호에 힘입어 ‘전주비빔밥’으로, 더 나아가 ‘한국 전통음식’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넷째, 전주비빔밥이 전통음식화 된 것은 세계화와 관련이 깊다. 대한민국은 2000년대 중후반 국제화 · 세계화 열풍 속에서 ‘전통문화’를 세계에 수출하고자 했는데, 그 과정에서 상품으로 개발된 것이 전주비빔밥이었다는 사실이다. Ⅴ장은 전주시 문화자원화 과정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전주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이 ‘전통’이라는 색채를 입게 된 것은 전통성과 근대성이 혼재된 전주의 도시적 특성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에 '전통성'을 활용한 전주시의 차별화 전략이 더해져 전주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은 상품적 가치를 획득하게 되었음을 서술하였다. 이 연구는 문화자원화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해당 문화자원의 실제 존재양상에 주목하고, 지역의 문화적 상징이 되는 과정을 조사 · 분석한 점은 기존 연구와 구분되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는 순리적인 문화자원화 작업을 위해 ‘지역주민의 경험적 콘텐츠’의 수집과 재구성을 주장하였는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문화자원과 문화정책에 대해 더욱 심화된 연구를 하고자 한다.

      •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양미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중학교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학교생활적응이 유의하게 더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더 높아질 것이다. 가설 3.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지속적으로 학교생활적응이 유의하게 더 높아질 것이다. 가설 4.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지속적으로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더 높아질 것이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 태백시에 소재한 H여자중학교 1,2학년 200명을 대상으로 학교부적응 측정진단 검사 및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적응 수치가 높은 20%의 학생을 구별하여 실험 집단 16명과 통제 집단 16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그러나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 각각 학생 1명씩 2명이 중도에 탈락하게 되어 실험 집단 15명과 통제 집단 1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수요일 계발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주 1회(회당 70분)씩 총 14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 2개의 검사도구(학교부적응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프로그램은 미술치료의 원리에 근거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미술을 이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학교부적응, 자아존중감을 종속변인으로 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 집단 설계로서 독립변인은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었고 종속변인은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 증진이었다. 실험결과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학교생활적응이 대체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실험 전보다 학교생활적응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대체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실험 전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30일이 지난 후 학교생활적응은 대체로 유의한 결과가 지속되었다. 넷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30일이 지난 후 자아존중감이 대체로 유의한 결과가 지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여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 · 실시되어 청소년 문제의 예방과 치료에 더욱 검증된 정의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esteem enhancement of a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maladjust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established study assumption is the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will adjust to school life much better than the students of control. Second,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will have much higher self-esteem than the students of control group. Third,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will adjust to school life much better constantly than the students of control. Fourth,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will have much higher self-esteem constantly than the students of control group. To verify the assumption of study, the test for measurement and diagnosis of school maladjustment and test for self-esteem were conducted for 200 students of 1st grade and 2nd grade from H girls' middle school located Taebaeksi Gangwondo. 20% of high-rank students in the numerical value of maladjustment were selected, and then 16 students belonged to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16 students belonged to control group at random. Since one students from each group dropped out halfway , the number of the each group students became 15. Experimental group received group art therapy program through development activity time on Wednesdays once a week for 70 minutes, while control group receive noth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conducted 14 times in total. Also two test instruments - school maladjustment test and self-esteem test- for two groups were conducted as before test, after test and afterwards test. I reconstructed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xperimental group by utilizing former group counsel program by using art based on the principles of art therapy and group art therapy program which had school maladjustment and self-esteem as a dependent variable. As the experimental plan used in this study was pre-post test control group plan, independent variable was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dependent variable was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esteem enhancement. Collected materials from experimental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T-verification by using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adjust to school life adjustment much better than the students of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part in the program have higher score of school life adjustment than before experiment. Second,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much higher self-esteem than the students of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part in the program have higher score of self-esteem than before experiment. Third,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adjust to school life much better after 30 days than the students of control. Fourth,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much higher self-esteem after 30 days than the students of control group. Therefore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group art therapy for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has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esteem of maladjusted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The constant development and research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adjusting to school life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cure juvenile problems.

      • 노인의 고독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양미경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한 노인자살 의 문제에서 고독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노인의 고독감은 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경시되어 온 측면이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을 이용 중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10월 26일부터 11월 16일까지였다. 서울지역과 인천지역, 그리고 경기도 부천지역의 종합사회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25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고독감에 대한 집단간의 차이에서는 연령과 학력, 경제 만족과 건강상태 및 배우자 유무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의 집단 간차이에서는 연령과 학력, 경제 만족과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및 동거 가족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학력이 낮을수록, 경제 만족의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고독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크기는 고독감은 .274이었고, 학력은 .177, 경제만족은 .140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고독감이 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므로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정책적인 면에서, 먼저 노인들의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의 확충이 시급하다. 적극적인 사회활동은 곧 노인들의 고독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으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쨰, 노인들의 삶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노인들의 삶에 개입할 수 있다면 고독감의 문제뿐만 아니라 노인 자살의 문제도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기존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에서 예방적 측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노인들이 경험하는 급격한 변화들을 단순히 노화현 상으로만 생각하고 방치함으로써 노인의 고독감이 만성화되는 경향이 있 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이 심화되어 병적인 증상으로 발전하기 전에 예방적 차원에서 노인들의 삶의 문제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인들의 고독감의 수준을 낮추려면 자기 스스로를 통제하고 조 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내적 요인의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홍 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노인들이 직면하는 다양한 여러 가지 어려 움을 노인들이 자신의 삶으로 스스로 계획하고, 자신의 삶의 주인공은 자신이란 생각으로 자기 스스로를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가 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노인들의 심리사회적 문제 해결을 지원할 수 있도록 보다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하 고, 지자체나 중앙 정부에서는 이에 필요한 적절한 예산과 전문 인력을 뒷받침할 수 있어야 한다.

      • 五行으로 분석한 五日場의 風水地理 立地 特性

        양미경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근대시대 울산은 읍내시장을 중심으로 장시가 발달하면서 오일장의 전형을 보여주었고 그 명맥은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다. 울산광역시와 주변의 오일장이 번성하는 이유는 시장의 입지와 풍수의 명당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장의 진산은 물론 장날의 날짜의 오행과도 연관이 있다. 울산광역시의 오일장 시장의 자연지세와 지형, 풍수사상과 오행, 진산의 형상과 날짜의 오행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태화시장은 5일과 10일장으로 진산의 형상과는 맞지 않지만, 현무봉인 은월봉의 토성체 형상과 조화를 이루어 입지적 관점에서 부합하였다. 1일과 6일에 열리는 양산시장은 수성체인 군지산과 오행이 합치되어 전통적 관점에 부합하였다. 언양시장은 토성체인 화장산과는 어울리지 않지만 화성체인 영축산과 조화되어 입지적 관접에서 부합되었다. 남창시장도 수성체인 배후산지와는 부조화를 보이지만, 목성체인 대운산과 부합하면서 목성인 장날과 오행이 일치되는 면을 보인다. 서창시장은 금성체인 대운산과 조화되면 장날이 4일과 9일인 금성과 합치되었다. 울산지역의 오일장 장시의 번창은 풍수지리적 입지와 장소의 중요성에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울산지역 전통시장의 입지와 진산의 관계에 대한 풍수해석과 오행 분석을 통해 증명되었다.. Former-modern age, Ul-san city showed the typical 5-day market system by the market place became active. The system is surviving in today. The reasons of the 5-day markets in Ul-san and near areas have become thriving is that the feng-shui location of the markets have ideal conditions for feng-shui’s myundang(明堂). And There was relationship between the Jin-san(鎭山) and the day opening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ve elements(五行). In this vein, this study analyzed the terrain of the five-day market in Ul-san, feng-shui theory and the five elements, and the shapes of the Jin-san and the day opening market. The Tae-wha market opens every 5days and 10days. The markets do not match with the shape of Jin-san, but match with the Mt.Eunwolbong(玄武), which has the shape of tosung(土星). The Yang-san market opens every 1days and 6days. The market match with the Mt.Gunjj, which has the shape of susung(水星), coincide with the view of tradition. The Eun-yang market do not match with Mt.whajang of tosung(土星), but match with Mt.Eyungchuk of whasung(火星). The Nam-chang market do not match with the rear mountain of susung(水星), but match with Mt.Daeun of moksung(木星). The Seo-chang market match with Mt.Daeun of geumsung(金星). There was a deep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ive of the 5-days markets in Ul-san and the feng-shui’s locations of them. This study proved there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s of the traditional markets and feng-shui’s Jinsan by the analysis of feng-shui’s location and the five-elements.

      • 幼兒期 子女에 대한 어머니의 性敎育 實態調査 硏究

        양미경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즈음 우리사회는 개방화 및 자유화로 많은 변화가 있는데 특히 성에 대해서는 예전에 비해 현저하게 개방되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급격한 변화로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불건전하고 왜곡된 성정보가 사춘기 학생들은 물론 자라나는 아동들에게 까지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서 각종 성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급기야는 성 범죄로 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유아들을 건전하게 보호하고, 올바른 성교육을 위해서 성교육은 인간교육이라는 데 의의를 두고 올바른 성발달과 성의식을 갖게하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부모의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두고 있는 어머니를 통해서 성교육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유아들에게 바람직한 성교육을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의 성교육 필요성의 여부에 대해서 대다수의 어머니가 필요성을 인정하였고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그릇된 성 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로 나타났다. 효과적으로 성교육을 할 수 있는 곳은 유치원, 성교육 담당자로는 부모가 더 많은 반응을 나타내었다. 자녀의 적절한 성 교육시기는 5∼6세로 어머니들은 보고 있다. 성교육할때 중요시 하는 분야에 대해서 여아어머니가 남아어머니보다 유아 자신의 신체보호 및 신체관리에서 28.2 % 더 많은 반응을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자녀의 성지식 출처에 대한 어머니의 의견은 대종매체가 많았고, 자녀의 성교육이 성장후 어느 분야에 영향을 주리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건전한 이성관이라고 남아어머니와 여아어머니가 똑같은 반응을 보였으며 그다음 항목인 자신의 신체보호 및 신체관리에 대해서는 여아어머니가 34% 더 많은 반응을 보였다. 자녀와 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경우는 유아가 질문할때 만으로 대다수의 어머니들의 반응이 나타났다. 성에 대해서 자녀로 부터 처음 질문을 받은 시기는 5∼6세로 가장 않은 반응이 나타났고, 그질문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비유를 들어서 설명했다가 과반수를 넘고 있다. 자녀의 성행위 모방이나 유사한 행동의 유무에서 그러한 행동이 있다 라고 대답한 어머니의 수는 34%이며, 이런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다른것으로 관심을 갖게했다로 나타났다. 성교육을 위해서 어머니는 구체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하지못하고 있다로 나타났으며, 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성교육 경험의 유무에 대해서 없다가 거의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자녀를 위한 성교육 지식출처는 대중매체로 의존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자녀의 성교육 지도시 문제점은 어머니 자신의 성교육 지도방법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하고자 한다. 유아기에 있어서 성에 대한 관심이 가장 활발한 때는 5∼6세로 나타났는데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지도하기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은 대다수의 어머니가 느끼고 있지만, 성교육 지도방법에 대한 지식부족과 성교육 경험이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에게 유아를 위한 성교육 지도서를 제공함과 동시에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이를 홍보하고 교육의 기회를 부여한다면 가정에서 부터 올바른 성지식과 성발달을 얻게되어 성장후 건전한 삶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성교육이 일상생활을 통한 인간교육이라는 개념을 어머니에게는 물론 유아에게도 심어주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어머니와 유아가 성지식 습득을 대중매체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사회와 교육기관의 성교육이 조화있게 이루어지도록 대중매체가 담당해야할 분야와 그 정도에 관해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Our attitude toward sex, in particular, has become remarkedly open compared with the extremely restrictive attitude we have before. Unfortunately the rapidity of the changes has brought about many undesirable side effects. Misleading informations about sex is having a bad effect even on children as well as to juvenile students. This research aims to assist in recommendations as to how the mothers of boys and girls should educate them concerning sex. The result of this inquiry are as follows. 1) Necessity of sex education. Most of the mother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Because they want to pretect their children from misleading information on sex. 2) Mother's attitude on sex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also shows that those polled think the proper place for the education is kindergarten, and that the persons in charge of such education should be parents. Mothers consider that the sex education should start when the children are 5-6 years old. Regarding the points which should be emphasized in the education, the others of girls contrast with those of boys in that put the emphasis on former placing the items of protection and taking care of the children's own bodies foremost is 28.2% higher than that of the boy's mothers. The current sources of sex information for their children the mothers think, are mainly the Mass Media. To the question "what do you think such sex education will affect most?" The Responses of the mothers of boys and girls are equal in the item "sound view of the other sex". 3) Mother's practice on sex education. Only when their children ask the mothers, to tell them about sex. The age 5-6 was the time most often cited for children's first questions about sex. And more than half of the mothers explained it with a metapher. For the item asking whether their child have ever imitated a sexual act or similar act, 34% of respondents said yes. Mother's reaction is to turn their children's interest away from it. For the items asking whether mothers explain verbally about methods for sex education and whether they have any experience in sex education, most of them respond in the negative. Mothers are shown to be heavily dependent on Mass Media for their sources of knowledge needed for the education and feel a back of knowledge in methods of sex education.

      • 초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양미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perfectionism and coping strategies on anger expression of elementary schoolers. For the study, 368 6th graders were surveyed with Child and Adolescent Perfectionism Scale, Daily Hassle Coping Scale,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for childre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passive coping strategies hav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children's anger control. The more self-oriented perfectionism uses passive coping strategy, the more children suppress the anger than express it. Second, when children wit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use aggressive/passive coping strategies they are tend to express their anger. Finall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suppression of anger, which is maladaptive sort of anger expression.Therefore, coping strategies are more important for adaptive anger control than perfectionism factor.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rther study sugges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368명을 대상으로 아동용 완벽주의 척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분노표현 척도로 설문을 실시하여, 상관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연구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 변인과 소극적 대처행동 변인이 아동의 분노억제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의 아동은 스트레스에 소극적 대처행동을 할수록 분노를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자제하거나 억압하였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의 아동은 스트레스에 공격적 대처행동과 소극적 대처행동을 할 경우 분노를 표면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분노유발 상황에 대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거나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 참여 동기와 학습 성과의 관계

        양미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 perception for distance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goal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The perception on learning outcome was composed of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social domain. This study purpose an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es of aducation of adult learner and learning outcom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ar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difference in personal background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ve motivation for distance education? Second, How does the difference in personal background of adult learner's learning outcome perception for distance education? Thired, How are adult learner's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 perception related? The data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the response of adult learner's the Jeollabukdo Koera National University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he 300 questionnaires that was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The 266 questionnaires that returned valid are uesd to analysis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in this study that the adult learner's participative motivation for distance education individual difference in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rough gender, age, grade, readmission, study groups, ha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respectively. Second, It was proven in this study that the adult learner's learning outcome perception for distance education individual difference in background age, grade, readmission, study groups, ha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respectively. Thired, It was prove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 perception for dista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adult learner's motivation sub-factors of adult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goal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It extended existing research on learning outcomes by presenting a new model of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chievement in distance education and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is theoretically app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