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가관리회계시스템이 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산동성 지역을 중심으로

        양린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은 WTO(World Trade Organization: WTO)에 가입함에 따라 국내 시장이 개방되는 동시에 중국의 제품도 세계시장의 경쟁체제에 직면하게 된다.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기업들이 중국으로 진출하여, 이런 환경에서 회계시스템을 개선시키고 선진관리기법을 이용함에 따라 기업에서는 원가절감,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가능해졌다. 기업 성공 요인 중 하나가 바로 기업의 원가관리회계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경영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배가시키는데 있다. 그래서 먼전 중국 기업들은 원가관리회계시스템을 어떤 행태로 운영하고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JIT(Just In Time: JIT), 지식경영, 품질관리 등의 새로운 생산방식과 원가기획, 품질원가,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 ABC)등과 같은 혁신적인 관리회계시스템은 어느 정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황은 중국의 원가관리회계 상태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중국산동성의 기업을 중심으로 원가관리시스템의 실태를 파악하고, 원가관리시스템과 기업경쟁력에 관한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원가관리시스템의 실태에 조사를 통해서 제조환경의 변화에 따라 중국 기업들이 적절한 원가관리회계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지, 혹은 경영자들이 원가관리회계 최신동향을 잘 알고 있는 지를 조사 분석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산동성지역 중소규모 기업을 중심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로 전통적인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자료조사 및 설문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 수집은 설문대상기업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공협회의 자료를 통해 중소규모에 해당되는 대표 기업을 기업통감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매출액, 규모 등을 검토하여 약 100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실테분석은 빈도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은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상과 같은 실테분석을 바탕으로 원가관리회계 정보와 기업의 경쟁력의 관계에 대하여 몇 가지 가설을 통계적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정보의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음 알 수 있다. 둘째, 원가정보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최신기법에 대한 원가담당자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응답기업들의 원가절감노력의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 의심스러운 상태에 있다. 지적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중국의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원가정보 및 원가관리회계시스템이 담당하는 역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는 것에 어느 정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중국의 산동성 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원가정보 및 원가관리회계시스템에 관한 개선방향을 모색함에 있어서 향후 유용한 지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胡適의 文學進化論 硏究

        양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無论是研究中国语言文字还是分析中国诗歌,無论是考證中国古典小说还是批判中国传统戏剧,融入着西方自然科学和哲学精神的文学进化论作为胡適考察中国文學的有效工具贯穿了他一生的学术活动。从高举文学革命旗帜,发表一篇篇理论宣言到身体力行用白话文创作新诗、翻译小说和编写剧本,胡適站在传统與现代、東方文化與西方文化的交汇处,批判性地继承了晚清以来资产阶级改良主义者所发动的‘诗界、小说界、散文界’革命对现代性的探索,以西方文学理论为烛照,为中国文学由古典形态转变为现代形态,做出了巨大的贡献。 本论文以胡適文学进化论的历史演变为主线,试图勾勒出进化论自进入中国以来在文学领域内的受容过程及其影响、白话文学理论的展开及其发展、文学进化论在在诗歌、小说、戏剧领域内实践样相的轮廓。 第一章绪论部分,叙述胡適文学进化论的研究动機和研究範圍。 第二章论述达尔文进化论與中国近代文学的關係和文学进化论的形成过程。达尔文的生物进化论经由严復介绍到中国以来,‘物竞天择、適者生存’的竞争法则渐渐冲破了中国人心中陈陈相因的‘历史循環论’,成为當时‘保種强國’的维新派、革命派众观察世界、反省自身的新工具。他们在借助文学这個载體来启蒙大众,宣传政治主张的同时,文学自身也受到进化论的影响。传统的古典文学在‘欧风东渐’的强勢下,摒棄自身的诸多沉疴,逐步向近代文学过渡。梁启超、黄遵宪、王国维等人以西方哲学为参照,对中国文学开始进行科学研究。这些具有开创性的工作对胡適的文学进化论产生了不小的影响。胡適继承了达尔文、杜威和赫胥黎等人倡导的实验精神和懷疑态度,借鉴了梁启超、黄遵宪和王国维等人在文学领域的真知灼见,创造性地提出了文学领域的进化论,並以该理论为主线对中国文学的发展演变历程进行了综合考察。 第三章从文学形式和内容的进化两個方面来阐述文学进化论。就文学形式的进化而言,胡適断定文学进化的历史就是‘文字工具新陈代谢的历史’,並以意大利、法国和英国等欧洲国家语言文字发展演变的过程为例来論證中国文学语言演变进化的必然性。胡適倡导的󰡒白话是活文字󰡓,而󰡒古文是半死的文字󰡓的宣言引发了與以林纾为代表的復古派、以胡先驌为代表的学衡派和以章士钊为代表的甲寅派展开了激烈地论争。 胡適通过考察发现,蕴藏於古典文学之下、用‘活的文字’创作的白话文学不但没有因为朝代的更替而消失,反而随着时代的发展生機勃勃。胡適以白话文学的历史发展为主轴,勾画出了魏晋南北朝、唐、宋以来白话文学的历史发展曲线,断言白话文学是中国文学的正宗。胡適倡导的建设‘国语的文学、文学的国语’十字方针,一方面提升了白话文学的價値,一方面也为白话文学的发展指明了方向。 就文学内容的进化而言,胡適对承载着‘三纲五常’封建伦理思想的文学予以深刻批判。他充分吸收易卜生的個人主义思想,指出文学表现的主题应该是具有基本权利和独立價値的人。他认为饱受封建主义和殖民主义压迫的中国最缺乏的就是‘人的觉醒’。从这個视角出发,胡適把新文学运动稱作欧洲的文艺复兴运动,主张新文学的目标应该是在‘活的文学’基礎上建立以平等自由为核心的、具有人道主义精神的的‘人的文学’。 第四章论述在文学进化论引导下的文学实践活动。5·4新文学运动以前,尽管许多朝代都曾经掀起过诗歌革命的风潮,但这些以‘尊古’与‘復古’为主旨的诗歌革命没有从根本上改变传统诗歌存在的‘用典’、‘对仗’等形式方面,‘無病呻吟’、‘言之無物’等内容方面的弊病。胡適用‘八不主义’来总结这些弊病,倡导‘诗体大解放’‘作诗如作文’,積極宣扬新诗的用韵、音节、创作方法與技巧。在古典小说方面,胡適一方面通过考證作家,发掘出文学名著作家的本来面目。一方面通过分析作品,揭示出中国小说的历史演化进程及小说的真正價値。对於短篇小说,胡適不仅对其进行科学定义,而且用文学进化论原理论證了世界文学未来的发展趋势。在中国传统戏剧方面,胡適以西方戏剧为参照,批判了中国传统戏剧存在的形式的高度程式化、‘大团圆’的叙事結構等诸多弊端。他主张应该学习西方戏剧的革新精神,从加强‘悲剧观念’、讲究‘功利主义’、崇尚‘写实主义’角度出发对中国戏剧加以改革。 第五章结论部分全面总结文学进化论內容的同时,阐述本论文的研究成果及其價値以及进行进一步研究的关键點。 通过对胡適文学进化论的研究,笔者对文学进化论形成过程的復杂性、内容的豐富性以及实践样相的多样性有了一个比较宏观的认识。研究结果表明,达尔文的生物进化论不仅适用於生物界,也同样适用於文学领域研究。胡適吸收中西方文学理论的研究成果,提出的文学进化论豐富了既有的文学理论。他从文学进化的角度,阐述了白话文代替文言文的历史必然性。胡適倡导的白话文运动,确立了白话文学在文学史上的地位,打开了中国文学从古典步入现代的大门。胡適还利用文学进化论这個研究工具发掘出了中国文学发展的规律,结束了中国文学研究的盲目性,实现了文学研究的科学性。 胡適은 1917년 〈文學改良芻議〉라는 선언 형태의 이론을 발표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문학실천 노력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그는 가장 먼저 백화로 신시를 창작해 보기도 하고 외국 소설을 번역하기도 하였으며 새로운 극본을 창작해 보기도 하였다. 胡適의 이러한 실험적 창작정신은 전통과 현대 그리고 중국문화와 서구문화가 합류했던 시대의 교차점에서, 청대 말기 이래의 자산계급 개량주의자들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시계․소설계․산문계 등 다양한 문학 영역에서의 현대적 가치와 의의를 부단히 탐색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그는 서양의 문학 이론을 창의적으로 수용하면서 20세기 중국 학술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胡適의 문학이론은 중국 문학이 고전에서 현대로 향해 탈바꿈할 수 있도록 전환점을 만드는 과정에 커다란 공헌을 한 것이다. 본 논문은 胡適의 ‘문학진화론’을 중심축으로 삼아, 서구 진화론이 어떻게 중국문학 전반에 걸쳐 수용되었는지에 대한 과정과 그 영향관계 등을 고찰한 논문이다. 제1장 서론에서는 胡適의 문학진화론을 연구한 동기와 그 연구 범위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胡適의 문학진화론의 형성 배경을 서술하면서, 다윈의 진화론과 중국 근내 문학과의 관련성 및 문학진화론의 형성 과정을 집중적으로 조영했다. 嚴復의 소개를 통해 중국에 들어온 다윈의 생물진화론 중심이론인 ‘자연도태’니 ‘적자생존’이니 등의 경쟁 법칙은, 그간 중국인 마음속에 견고하게 뿌리 내리고 있었던 ‘역사 순환론’을 점진적으로 와해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다윈의 진화론은 당시 ‘保種强國’했던 유신파와 혁명파에게도 영향을 주어, 세계를 관찰하고 자신을 반성하게 만드는 사유의 도구가 되었다. 이들 유신파와 혁명파 인물들은 문학이라는 운반체(carrier)를 이용하여 대중을 계몽하고 자신들의 정치적 주장을 선전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문학도 진화론의 영향권 안에 들어오지 않을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 胡適은 다윈과 듀이 및 헉슬리 등이 제창한 실험정신과 회의적 학문 태도를 계승하고, 梁啓超․黃遵憲․王國維 등이 주장한 문학 분야에서의 명철한 견해들을 참고로 하여 문학 분야에서 독창적인 자신만의 진화론을 제시하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胡適의 문학진화론의 시발점이 되는 것이다. 胡適은 이 이론을 주요한 골격으로 삼아 중국 문학뿐만 아니라 중국철학의 역사발전과정에 대해서도 종합적 고찰을 일구어내었다. 제3장은 문학진화론의 구체적 내용으로 문학 형식과 내용의 진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문학 진화론의 주요 내용을 구체적으로 서술했다. 문학 형식면에서 胡適은 문학 진화의 역사는 곧 ‘문학 도구의 신구교체 역사’라고 단정했다. 그는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의 언어 문자의 변천 과정을 예로 들면서 중국의 문학 언어의 변천과 진화의 필연성을 논증했다. 胡適의 “백화는 살아 있는 글”이며 “고문은 반쯤 죽은 글”이라는 선언은 林紓를 대표로 하는 復古派와 胡先驌을 대표로 하는 學衡派, 章士釗를 대표로 하는 甲寅派와의 격렬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논쟁이 격화되는 과정에서 시대적 대세는 백화문 신문의 수량 증가와 학교에서의 백화문 교재의 보급 등을 통해 백화 문학 발전을 크게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胡適은 중국 고전문학사 고찰을 통해서 백화문학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그는 고전 문학 아래 묻혀 있던 백화문학이야말로 왕조와 시대의 교체에도 소멸하지 않고 시대 발전에 따라서 오히려 더 생기발랄한 활력을 지니고 있는 진정한 ‘살아 있는 글’임을 발견했다. 그리하여 胡適은 백화 문학 발전을 주축으로 삼은 魏晉南北朝․唐․宋 이래의 백화 문학 역사 발전 과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그는 백화 문학이야말로 중국 문학의 정통이라고 단언했다. 문학 내용면에서 胡適은 문학진화론의 관점에서 ‘三綱五倫’ 등 봉건 윤리 사상을 담은 문학에 대해서는 신랄한 비판을 하였다. 胡適은 입센의 개인주의 사상을 충분히 흡수하여 문학이 표현하는 주제는 기본적인 권리와 독립적 가치를 지닌 인간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봉건주의와 식민주의 등 온갖 내․외적 압박을 다 겪어 온 중국에 가장 결핍되어 있는 것은 바로 ‘사람에 대한 각성’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이런 시각에서 출발하여 중국의 신문학 운동을 유럽의 문예부흥운동에 견주면서 적극적으로 입센의 개인주의 사상을 전파하고자 했다. 또 그는 신문학의 목표는 ‘살아 있는 문학’의 기초 위에서 정립해야 하며, 자유와 평등을 핵심으로 하고 인도주의 정신을 갖춘 ‘人的文學’의 건설해야 함을 역설했다. 제4장은 문학진화론의 실천 양상에 대한 논의이다. 5·4신문학운동 이전에도 이미 여러 왕조에서 여러 차례 시가 혁명의 운동들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이들 시가 혁명은 기본적으로 尊古나 復古를 주지로 삼았기에, 전통 시가에 존재하는 ‘전고의 사용’, ‘대구’ 등 형식면에서의 문제점, 그리고 ‘병이 없는데 신음하는 것’, ‘말에 실질 내용이 없는 것’ 등 내용면에서의 여러 폐해를 근본적으로 불식시키지는 못했다. 胡適은 ‘八不主義’라는 말로써 이런 폐단들을 총괄적으로 지적함과 동시에, 신시 창작에 있어서 ‘시체의 대해방’과 ‘시를 산문처럼 짓기’ 등을 제창할 수 있었다. 또한 그는 적극적으로 신시의 압운 사용, 음절 고려 등 신시 창작 상의 방법 및 기교를 제창하기도 했다. 또한 胡適은 고증을 행해 고전소설 분야의 명저를 창작한 우수 작가들의 진면모를 발굴해 내기도 하였다. 그는 이들의 작품 분석을 통해서 중국 소설의 역사 진화 과정 및 소설의 진정한 가치를 일깨워주었다. 단편소설에 대하여 胡適은 과학적인 정의를 내렸을 뿐 아니라 문학 진화론의 원리를 가지고 세계문학 미래의 발전 추세를 예측하는 견해를 내놓기도 하였다. 이러한 胡適의 소설 이론은 소설의 지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설의 과학적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해 주기도 하였다. 중국 전통 희극 분야에서 胡適은 서양의 희극을 참고로 하여 중국 전통 희극에 존재하는 고도로 양식화된 형식, ‘대단원’의 서사구조 등 여러 가지 폐단을 비판했다. 그는 중국 희극은 서양 희극의 혁신 정신을 배워야 하며, ‘悲劇觀念’을 강화하고 ‘功利主義’를 중시하고, ‘寫實主義’를 숭상하는 각도에서 출발하여 중국 희극을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5장은 결론 부분으로, 우선 본론에서 제기한 핵심적인 과세들을 총괄하고자 한다. 아울러 胡適의 문학진화론이 가진 사회적, 시대적, 문학적 가치를 평가하고 이와 동시에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胡適의 문학진화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문학진화론 형성 과정의 복잡성, 내용의 풍부성 및 실천 양상의 다양성에 대한 비교적 거시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胡適의 문학진화론을 통해 다윈의 생물 진화론이 단지 생물계에만 적용되었던 이론이 아니라, 문학 전 영역에도 두루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胡適의 문학진화론은 서구문학이론의 성과를 흡수함과 동시에 자신의 견해를 덧입힌 독창적인 이론이라고 하겠다. 또한 胡適은 문학 진화의 각도에서 백화문이 문언문을 대체해야하는 역사적 필연성을 천명하기도 했다. 胡適은 백화문 운동을 제창함으로써 중국 문학사에서의 백화 문학의 위상과 가치를 확립해 주었고, 중국 문학이 고전에서 현대로 진입하는 과도기에 서서 그 ‘역사적 대문’을 활짝 열어 주었던 것이다. 그의 이러한 학술활동은 기존 중국 문학 연구에 대한 맹목적인 연구관점을 종식시키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토양을 만들었다고 하겠다.

      • 황준헌의 외교활동과 동아시아정책론 : 『류큐삼책』과 『조선책략』을 중심으로

        양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will systematically examine the changes in Japan policy of a major diplomat and poet of the late Qing Dynasty, Huang Tsun-hsien (黃遵憲). The thesis concentrates on perceptions of Chinese Confucian intellectuals regarding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status of neighboring countries under a shifting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As a Qing dynasty diplomat, Huang was in charge of negotiating with Japan on the status of Ryukyu and Joseon. Hwang Tsun-hsien's perception of Japan changed throughout these negotiations. This thesis focuses on Huang's perceptions, as revealed in Ryukyu Samchaek and Strategy of Joseon, with research materials from 1877 to 1882, when Huang was active in Japan. In addition, the thesis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Huang's diplomatic ideology by using historical and descriptive methods, with a focus on the political approach. Ryukyu and Joseon were the tribute countries closest to China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Both of them sent tribute to China and carried out trade as vassal states for hundreds of years. However, in the late 19th century, as the Western powers invaded inearnest,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was rapidly reorganized. As the traditional Chinese order collapse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was transformed into one governed by the modern international law of the West. Both Ryukyu and Joseon suffered invasions from Western powers and Japan. This meant that the China’s tributesystem was in jeopardy. Facing such a crisis, modern Chinese diplomats, including Huang, responded by suggesting Ryukyu Samchaek and Strategy of Joseon. Ryukyu Samchaek led to an exchange of Diplomatic Notes between Japan and China and the mediation of U.S. president Ulysses S Grant. Through the writings of Kim Hong-jip (金弘集), a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朝鮮修信史), Strategy of Joseon was introduced to Joseon and promoted thesigning of the Korea-U.S. Trade Treaty (朝美通商条約). During this period, Huang Tsun-hsien's view of Japan changed as follows. First, Hwang maintained an uncompromising position with Japan, as seen in the Ryukyu case. However, he later developed his diplomatic ideology,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 view of international politics towards acceptance and use of international law. Subsequently, he shifted from the cultural centralism that looked down on Japan to the position that China should learn from Japan, when he saw the developments promoted by the Meiji Restoration. In Strategy of Joseon, he advised Joseon “to seek survival by getting closer to China, aligning with Japan, connecting with the United States to defend against Russia.” He also argued that Russian’s aggression was a greater threat to the whole of 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China, and advocated for an alliance with Japan. He was influenced by the concept of “Renaissance of Asia” (兴亚)in Japan and began to use the term “Asia” in his later work, which shows a sense of Asian community. At the time, Li Hong zhang did not want Japan to become a branch of Western powers in Asia, but his greater purpose was to makeJ apan act as a buffer between China and the West. Unlike Li Hong zhang, Huang genuinely supported China-Japan cooperation to bring peace and prestige to Asia, and was in one of the earliest pan-Asianist groups. His theory of Asian revival was constructed based on several factors, such as historical encounters in Asia, shared culture, realistic fate , and common race. He declared that Asian countries would unite for the revival of Asia. Currently, globalization is intensifying and Asian integration is becoming visible. Huang's view of Asia is a great example of how to create a community of destiny in Asia. In particular, recently the discussion on the revival of geopolitics as a theoretical perspective to explain the situ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Northeast Asia is drawing attention. This thesis is useful in explaining the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diplomatic strategies of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Russia towards it. Sino-Japanese competition in East Asia in the 19th century has common points with U.S.-China competition today, as does the trilate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이 논문은 청나라 말기의 대표적인 외교관 겸 문장가인 황준헌(黃遵憲)을 통하여 그의 대일본관과 외교 사상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국제질서 변동 하에서 중국 유교지식인들이 국제정치관과 주변국 지위의 변화에 인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황준헌은 청나라 외교관으로서 일본과 류큐(琉球), 조선 사건 교섭을 담당했다. 이를 통해 황준헌의 일본 인식은 변화하게 된다. 이 논문은 황준헌이 일본에서 활동했던 1877년부터 1882년까지, 연구 자료를 『류큐삼책』과 『조선책략』에 드러난 황준헌의 인식에 주목한다. 또 정치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역사적 기술방법을 함께 사용하면서 황준헌의 외교사상의 특질을 파악하고자 했다. 류큐와 조선은 명청시대부터 번속국으로서 중국에 조공하고 무역을 행하였으며, 중국-조선과 중국-류큐는 사대교린의 관계를 유지했다. 19세기 후반 서구 열강의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동아시아 국제질서도 서양의 근대 국제법인 만국공법에 의해 규율되는 질서로 변화되어 갔다. 류큐와 조선은 모두 서양 열강, 특히 일본으로부터의 침해를 당했다. 이는 청나라의 조공 체제가 위태로워졌다는 점을 의미했다. 이러한 위기에 직면하자 중국 근대의 하여장, 황준헌 등 외교관들은 『류큐삼책』(琉球三策)과 『조선책략』을 제안하여 대처하였다. 『류큐삼책』은 각서 사건과 미국의 조정 실현을 추진하였다. 조선수신사(朝鮮修信史) 김홍집(金弘集)의 필담을 통해 󰡔조선책략󰡕은 조선에 소개되어 『조미통상조약』 (朝美通商条約)의 체결을 추진하였다. 이 시기 황준헌은 일본에 비타협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황준헌은 이후 전통적인 유교 국제정치관에서 벗어나 만국공법을 수용과 이용을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을 얕잡아 보던 문화적인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메이지 유신의 효과를 톡톡히 본 일본으로부터 배워야 한다는 입장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러시아의 한반도 남하를 막기 위해 『조선책략』에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의 책략을 내세웠다. 황준헌은 러시아의 침략이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체에 더 큰 위협이라고 주장했고 일본과 동맹을 맺은 것을 주장했다. 또한 일본에서 "흥아 兴亚"라는 개념에 영향을 받아 아시아 공동체 의식을 내보였다. 당시 이홍장은 일본이 아시아에서 서구 열강들의 지사가 되는 것을 바라지 않았지만, 그의 더 큰 목적은 일본이 중국과 서방 사이의 완충 지대 역할을 하게끔 만드는 것이었다. 이홍장과 달리 황준헌은 아시아에 평화와 위신을 가져다주는 중국과 일본의 협력을 지지했고 초기 범아시아주의 단체들 중 하나인 흥아회(興亞會)를 조직했다. 그의 아시아 부흥론은 아시아의 역사적 조우, 상통하는 문화, 현실적 운명, 인종 등 여러 요소를 바탕으로 구성됐다. 아시아 부흥을 위해 아시아 국가들이 연대할 것을 천명했다. 현재 글로벌화가 강화되고 아시아 통합이 가시화되고 있다. 황준헌의 아시아관을 되살리는 것은 아시아 운명공동체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귀감이 크다. 특히 최근 동북아 국제정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이론적 시각으로서 ‘지정학(Geoplitics)의 부활’에 대한 논의가 주목을 받고 있다. 고전적인 지정학의 시각이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한반도 주변정세와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의 외교 전략, 19세기 동아시아에 있는 중일 경쟁과 오늘날의 미중 경쟁, 한중일 삼국협력 등을 설명하는 데 이 논문이 유용성을 지니고 있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